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팽효의 『분장통진의』 연구 (1)

        이대승(Lee, Dae-Seung) 한국도교문화학회 2015 道敎文化硏究 Vol.43 No.-

        본 글은 『참동계』 주석사에서 선지적인 역할을 한 당말오대 도사팽효와 그의『주역참동계분장통진의』(이하 『분장통진의』)에 대한 연구이다. 필자는『참동계』 저작자와 『참동계』 전승 계통 논쟁, 그리고 당대부터 송대까지 『참동계』텍스트의 유행 등과 관련하여 팽효와 그의 『분장통진의』가 갖는 의미를 살폈다. 『참동계』저작은 대체로 위백양, 서종사, 순우숙통 세 사람과 관련되는데, 당대에 이르기까지 저자는 작자 1인설과 3인설, 그리고 전승계통은 위백양 중간설과 말미설 등 여러 설이 혼재해 있었다. 팽효는 갈홍설을 바탕으로 위백양 1인 저작설과 위백양-서종사-순우숙통 전승설을 제시하여 기존의 논의를 정리하였다.『참동계』의 유행은 당대부터 당말 오대까지 연속성을 보이다가 북송시기와 남송 초기에 잠시 불연속적인 상황을 보인다. 이러한 불연속성은 남송 초 이후에 『분장통진의』가 알려지면서 점차 사라진다. 이후 『참동계』는 널리 유행되면서 지속적으로 주석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그 과정에서 팽효본은 주석가들에게 가장 오래된 『참동계』주석본이자 저본으로 인식된다. 결국 팽효와 그의 『분장통진의』는 당대의 저자 논쟁을 위백양 1인 저작설로 정리하는 동시에, 당대본의 『참동계』 구성과 내용을 계승하여, 후대에 현행본 형태의 『참동계』가 안정적으로 전해지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thesis aims to study Peng Xiao 彭曉 and his Cantong qi fenzhang tong zhenyi 參同契分章通眞義, especially to discuss the role of Peng Xiao performed in the argument about writers and transmission of Cantong qi, and the spreading of the text. As a result, relating writers and transmission of Cantong qi, Peng Xiao cleared the various opinions away before his period by suggesting next arguments: Wei Boyang 魏伯陽 wrote Cantong qi by oneself, and Cantong qi was handed down from Wei Boyang to Xu Congshi 徐從事 and next to Chunyu Shutong 淳于叔通. Relating the spreading of the text Cantong qi, it had a continuation from the Dang 唐 dynasty to the Shu 蜀 dynasty, but having a discontinuity from the North Song 北宋 dynasty to the early South Song 南宋 dynasty. These discontinuity was gradually disappear by the situation that the text fenzhang tong zhenyi became generally known. Finally, Peng Xiao and his fenzhang tong zhenyi could be evaluated that paly a important role in the argument about writers and the spreading of Cantong qi.

      • KCI등재

        팽효 『주역참동계분장통진의』의 외단 연단법 연구

        신진식 ( Shin Jin-si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8 儒學硏究 Vol.44 No.-

        이 논문에서는 팽효의 『주역참동계분장통진의』를 주요 텍스트로 삼아 그의 외단 연단법에 대한 분석 작업을 진행하였다. 여타의 『참동계』 주석들과는 달리 팽효의 『참동계』 주석은 내외단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즉 『주역참동계분장통진의』는 『참동계』에 대한 이해가 외단에서 내단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보이는 특징을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다. 『분장통진의』에 대한 연구는 도교의 외단과 내단의 전환과 그 전환에서 일어나는 연단의 변화와 용어의 전환 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주역참동계분장통진의』의 외단 연단의 기본 원리와 연단의 주요 도구인 정기와 약물, 화후 3대 요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아울러 연단의 구체적 과정에서 얻어지는 황단과 영단 그리고 현단(금단)에 대해서도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밝혀 보았다. 끝으로 외단의 연단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 등에 대하여 차례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위백양의 『참동계』 원문 자체와 여타의 주석에서는 보이지 않는, 좀 더 다채롭게 외단을 풀이하는 용어들을 접하게 될 것이고, 난해한 외단 연단법에 한층 더 쉽게 다가 갈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에 『분장통진의』의 내단사상에 대한 또 다른 심도 있는 연구도 가능해질 것으로 본다. In this paper, Peng Xiao`s analysis of his Waitan Alchemy method was conducted, using Zhouyi Chantongqi Fenzhangtongzhenyi as the main text. Unlike former President Zhouyi Chantongqi, Peng Xiao`s president Zhoui Chantongqi is characterized by the simultaneous appearance of Neidan and Waitan. It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rse. The study of Zhouyi Chantong qi Fenzhangtongzhenyi explains the shift in Waitan and Neitan in Taoism and the change in terms of its meaning and terminology. In this paper, we looked at the basic principles of Alchemy in Zhouyi Chantongqi Fenzhangtongzhenyi, the three main tools of Alchemy : pots, drugs, and fire control. In addition, Huangtan, Liangtan and Xuantan, which were acquired in the specific process of Alchemy, were also identified through text analysis. Finally, we looked at the effects and effects of the Waitan's Alchemy. These studies will provide easier access to the Waitan language, which is more diverse than the original Wei Boyang's Zhouyi Chantongqi and other comments. Based on this, another in-depth study of the Neitan idea of Fenzhangtongzhenyi will be possible in the future.

      • KCI등재

        팽효「명경도」의 도교역학적 의의 고찰

        이대승(李大承)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3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8 No.-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Daoism Yixue as presented in Peng Xiao’s ‘Mingjing tu’ during the Five Dynasties at the conclusion of the Tang Dynasty. To achieve this, the paper reviews the ‘Mingjing tu’ tradition and examines mirror design in Daoism during the period preceding Peng Xiao,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Riyuexiang tu’ and ‘Bahuan tu’ included in Peng Xiao’s ‘Mingjing tu.’ The ‘Mingjing tu’ inherits the traditional Daoism ‘Mingjing’ design tradition from the earlier period but also display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The ‘Riyuexiang tu’ is a diagram expressing the alchemical drug theory of Zhouyi Cantongqi . Unlike the previous tradition, which depicted the sun and the moon using images of crows in the sun and rabbits in the moon, this diagram combines these images with the Kangua (坎卦) and Ligua (離卦) of Book of Changs . The “Bahuan tu” is a diagram focusing on the theory of the alchemical huohou (火候, fire phasing) of Zhouyi Cantongqi . This diagram, differing from the earlier tradition that centered around painting images, is focused on the Yixue diagram that expresses cosmology. In conclusion, Peng Xiao’s ‘Mingjing tu’ not only inherits the Daoism ‘Mingjing tu’ and Daoism Yixue traditions from the previous Tang era but also presents Daoism Yixue as a prehistory to the Song Dynasty’s Tushu Yixue (圖書易學), which discusses cosmology through the diagrams of Yixue. This aspect makes it of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e study of Yixue.

      • KCI등재

        『참동계고이』의 편찬과 구조

        이대승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3 泰東古典硏究 Vol.30 No.-

        본 글은 주희의 『참동계고이』에 대한 연구이다. 본 글에서는 심도 있는 『참동계고이』연구를 위한 토대작업으로서 『참동계고이』의 집필시기와 편찬과정, 『참동계고이』의 판본, 그리고 그 구조를 다루었다. 주희는 1186년(57세) 즈음부터 『참동계』에 이미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그는 채원정과 함께 1196년부터 집필 작업을 시작하여, 1197년 말엽과 1198년 초엽 사이에 채원정의 아들 채연으로 하여금 1차 간행본을 출판케 한다. 그리고 주희는 이후 수정작업을 거쳐 1199년 봄에 정본을 간행한다. 주희 당시 간행된 채연본은 현재 통행되지 않으며, 현행본은 원대 황서절이 편집한 것으로서 경문과 주석의 문자에서 채연본과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주희의 『참동계고이』는 팽효의 『참동계분장통진의』를 바탕으로 다른 『참동계』판본들과의 비교·대조 작업을 거쳐 저술된 것으로, 그 구조는 다른 『참동계』판본과 큰 틀에서 유사하다. This thesis is a foundation research for an in-depth study for Chantong qi kaoyi (參同契考異) of Zhu Xi and aims to examine the publication and structure of Chantong qi kaoyi. Zhu Xi was already interested in Zhouyi cantong qi (周易參同契) by 1186, his 57 years of age. He started to write Chantong qi kaoyi through a cooperation with Cai Yuanding (蔡元定) in 1196 and made Cai Yuan ( 蔡淵) publish the first version of Chantong qi kaoyi between end of 1197 and beginning of 1198. He published the formal edition of Chantong qi kaoyi in the spring of 1199 through an amending work with Cai Yuan. The edition of Cai Yuan does not pass on these days, and the current edition is the edition of Huang Ruijie (黃瑞節) on Yuan (元) dynasty, which is a little bit different with the edition of Cai Yuan. Chantong qi kaoyi was made by the comparative study with other Zhouyi cantong qi editions on the basis of Cantong qi fenzhang tong zhenyi (參同契分章通眞義) of Peng Xiao (彭曉). The structure of Chantong qi kaoyi is generally similar with the other editions of Zhouyi cantong qi.

      • KCI등재

        참동계고이의 편찬과 구조

        이대승(Lee Dae-seung)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3 泰東古典硏究 Vol.30 No.-

        본 글은 주희의 참동계고이에 대한 연구이다. 본 글에서는 심도 있는 참 동계고이 연구를 위한 토대작업으로서 참동계고이의 집필시기와 편찬과 정, 참동계고이의 판본, 그리고 그 구조를 다루었다. 주희는 1186년(57세) 즈음부터 참동계에 이미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그는 채원정과 함께 1196년부터 집필 작업을 시작하여, 1197년 말엽과 1198년 초엽 사이에 채원정의 아들 채연으로 하여금 1차 간행본을 출판케 한다. 그리고 주희는 이후 수정작업을 거쳐 1199년 봄에 정본을 간행한다. 주희 당시 간행된 채연본은 현재 통행되지 않으며, 현행본은 원대 황서절이 편집한 것으로서 경문과 주석의 문자에서 채연본과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주희의 참동계고이는 팽효의 참동계분장통진의를 바탕으로 다른 참동계 판본 들과의 비교·대조 작업을 거쳐 저술된 것으로, 그 구조는 다른 참동계 판본과 큰 틀에서 유사하다. This thesis is a foundation research for an in-depth study for Chantong qi kaoyi (參同契考異) of Zhu Xi and aims to examine the publication and structure of Chantong qi kaoyi. Zhu Xi was already interested in Zhouyi cantong qi (周易參同契) by 1186, his 57 years of age. He started to write Chantong qi kaoyi through a cooperation with Cai Yuanding (蔡元定) in 1196 and made Cai Yuan (蔡淵) publish the first version of Chantong qi kaoyi between end of 1197 and beginning of 1198. He published the formal edition of Chantong qi kaoyi in the spring of 1199 through an amending work with Cai Yuan. The edition of Cai Yuan does not pass on these days, and the current edition is the edition of Huang Ruijie (黃瑞節) on Yuan (元) dynasty, which is a little bit different with the edition of Cai Yuan. Chantong qi kaoyi was made by the comparative study with other Zhouyi cantong qi editions on the basis of Cantong qi fenzhang tong zhenyi (參同契分章通眞義) of Peng Xiao (彭曉). The structure of Chantong qi kaoyi is generally similar with the other editions of Zhouyi cantong q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