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험이해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이은영(Eun-Young Rhee),조혜진(Hyejin Cho) 한국FP학회 2016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9 No.3

        본 연구는 보험이해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첫 단계로 국내외 보험이해력 관련 측정도구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보험이해력을 정의하고, 기초적 보험원리 및 보험 종류별 보험이해력의 측정 항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OECD 및 금감원의 금융이해력 측정 가이드라인 문헌들을 참고하여 기존 연구를 분석한 결과, 향후 보험이해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서는 다음의 내용에 대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보험지식 영역에서는 대수의 법칙 등 보험제도의 기초 원리에 대한 이해력 측정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보험금 수령 등 계약 후 사후적으로 필요한 정보에 대한 이해력 측정도 보강될 필요가 있다. 셋째, 보험상품 구매에 있어서 소비자의 권리를 올바르게 행사하기 위한 지식뿐만 아니라 책임 있는 행동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항목도 균형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태도 및 행동 영역에 있어, 비투자 위험에 대한 인식 및 위험관리 수단으로서의 보험의 역할에 대한 인식, 적정보험료 수준 유지 여부에 대한 내용의 보강이 필요하다. 다섯째, 보험상품 분류별 검토 결과 특히 해외에 비해 자동차보험 및 공적/기업제공 보험에 대한 이해력을 측정하는 항목이 매우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보험이해력 측정 항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함으로써 향후 척도 타당성에 대한 추가적 검증을 거쳐 다양한 정책적 교육적 보험이해력 제고 수단들에 대한 객관적 평가 기준으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inductively from the insurance and personal finance literature, OECD/INFE and Korean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guidelines, a working definition of insurance literacy and a measurement tool for it, and to find the gap between the proposed measurement tool and those described in the literature. The previous research data on insurance literacy was plotted against that for the proposed measurement tool for each survey question level, and five areas of improvement were detected, namely the need to measure the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1) the principles underlying insurance products and services (such as "the rule of large numbers"), 2) posteriori information such as the terms and conditions of the claims, 3) the responsibilities of, as well as the rights of, the policy holders, and 4) subjective arousal levels of different types of non-financial risks. 5) Lastly, more test questions on auto insurance, public/worksiteprovided health and pension benefits areas need to be added to the Korean insurance literacy measurement tools. Follow-up research to test the validity and improve the parsimony of the proposed measurement tool would contribute to government and educational efforts to enhance insurance and financial literacy by providing objective evaluation criteria.

      • KCI등재

        우리나라 대학생의 금융 이해력 결정 요인 분석

        한진수,장경호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2 시민교육연구 Vol.54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financial literacy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To this end, we used a translated version of standardized test for measuring the financial literacy developed by the Council for Economic Education for 1,006 university students across the country using an online survey method.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financial literacy was performed using a regression model. Financial understanding was classified into earning income, buying goods and services, saving, using credit, financial investing, and protecting and insurance. The determinants were also classified into individu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high school and university academic characteristics,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financial behavior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ed a difference in financial literacy according to the region of residence among family characteristics. Financial literacy was higher in the metropolitan area than in the non-metropolitan area, but the gender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econd, among academic characteristics, taking economic courses in high school had a negative effect on financial literacy, whereas majoring in economics or business at university had a positive effect. Subjective level of financial knowledg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financial literacy. Third, 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work experience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literacy. Lastl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behavior, the timing of opening a bank account,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financial media, and the experience of investing in stocks had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litera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financial literac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regional characteristics, conduct continuous financial education,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be interested in financial transactions from an early age and actively search for financial news.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의 금융 이해력을 측정한 후 그 결정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경제교육협의회가 개발한 금융 이해력 측정 도구를 번역한 후 온라인 조사 방식으로 전국에 걸쳐 1,00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금융 이해력을 측정하였다. 금융 이해력의 결정 요인 분석은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금융 이해력은 수입, 구매, 저축, 신용, 금융 투자, 보험 등으로 구분하였고, 결정 요인은 개인 및 가족 특성,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학업 특성, 경제적 특성, 금융 행위 특성 등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가족 특성 중 거주 지역에 따른 금융 이해력의 차이가 나타났다. 수도권의 경우 비수도권에 비해 금융 이해력이 높게 나타났으나 성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학업 특성 중 고등학교에서의 경제 선택이 금융 이해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대학교에서의 경상 계열 전공 선택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주관적인 금융 지식 수준은 금융 이해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셋째, 근로 경험 등 경제적 특성은 금융 이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금융 행위 특성 중 은행계좌 개설 시기, 금융 미디어 접촉 빈도, 주식 투자 경험 등은 금융 이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금융 이해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 특성을 고려하고, 지속적인 금융 교육을 진행하며, 어려서부터 금융 거래에 관심을 갖고 금융 관련 뉴스를 적극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재일본 한국 고등학생의 금융이해력 분석

        한경동 ( Kyung Dong Hahn ) 국제지역학회 2012 국제지역연구 Vol.16 No.1

        금융이해력의 측정과 분석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바탕으로 재일본 한국 고등학생의 금융이해력을 측정하고, 이를 기존의 한국, 일본, 미국의 측정 결과와 비교 분석했다. 청소년의 금융이해력에 대한 엄밀한 정의에 따라 금융이해력을 체계적으로 측정한다면,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수행되고 있는 금융교육의 적절성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금융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표준적인 금융이해력테스트를 통해 측정된 재일본 한국 고등학생과 기존의 한국, 일본, 미국의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재일본 한국 고등학생의 금융이해력 문항에 대한 평균 정답률은 한국, 일본, 미국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금융이해력 문항 중 소득, 저축과 투자, 지출과 신용 영역에서는 일본 고등학생의 경우가 재일본 한국 고등학생이나 한국, 미국의 경우보다 높은 이해력을 보였으며, 금전 관리 영역에서는 한국의 경우가 미국보다는 다소 높아 보였으나 일본의 경우보다는 낮았다. 셋째, 재일본 한국 고등학생, 한국, 일본, 미국 고등학생 모두의 경우, 학업 준비에 대한 금융이해력은 높았으나 가계 관리에 대한 이해력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eks to address concerns, such as measurement and analysis in financial literacy, and also offers comparative evidence of financial literacy among Korean-Japanese, Japanese and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 robust measure of financial literacy amongst young people will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indicate whether the current approach to financial education is effective. Comparativ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a Korean school in Tokyo was lower than that in Japan, Korea, and U.S. Second, in income, saving & investing, spending & credit areas, Japanese students were more literate financially than those in the U.S., Korea, and a Korean school in Tokyo. And, in money management area, Korean students had higher score than those in the U.S., lower than those in Japan. Third, while the financial literacy in academic preparation was the highest area, that in household management was the lowest among other areas for all studies in Japan, Korea, U.S., and a Korean school in Tokyo.

      • KCI등재

        경제 이해력 평가를 통해 본 성별 차이

        한진수 한국경제교육학회 2019 경제교육연구 Vol.26 No.2

        This study analyzes a survey data on Korean adults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their economic literacy and gender differences. The average percentage of correct responses across all 20 questions is 63%, implying significant room for improvement in the economic literacy. Men, adults residing in the capital area, adults with higher education levels, and higher income adults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levels of economic literacy. In addition, interest in economic matters, willingness to receive an economic education, and reading economic news als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conomic literacy.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male and female adults’ economic literacy a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disparity in estimated coefficients of region and educational background variables is greater for men than women. Such factors as satisfaction with own wealth status, willingness to learn economics, and reading economic news are more helpful in accounting for the economic literacy of women than that of men. Among female adults, an inverted U shaped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literacy and age is dominant and the coefficient of experiencing economic education is estimated to be negative, implying urgent needs for effective economic education targeting women.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성인의 경제 이해력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개인의 경제 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정하고 경제 이해력에서의 성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성인의 경제 이해력 점수는 100점 만점에 평균 63점이었으며, 성, 거주 지역, 학력, 소득, 경제 문제에 대한 관심도, 경제교육 욕구, 경제 기사 접촉도가 개인의 경제 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여러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남성의 경제 이해력 수준이 여성보다 높아 우리나라 성인의 경제 이해력에 성별 차이가 존재하였다. 뿐만 아니라 경제 이해력의 결정 요인과 그 영향에서도 성별 차이가 존재하였다. 지역과 학력 요인은 여성보다 남성의 경제 이해력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재산 상태에 대한 만족도, 경제교육 욕구, 경제 기사 접촉도는 남성보다 여성의 경제 이해력을 설명하는 데 더 유의미하였다. 중년을 정점으로 경제 이해력 수준이 감소하는 현상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두드러졌으며, 최근 5년 이내의 경제교육 경험 변수는 여성의 경우 오히려 음의 부호를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어 여성 대상 경제교육의 효과 제고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경제에 대한 관심도와 경제 이해력이 합리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박상은,노현종 한국경제교육학회 2017 경제교육연구 Vol.24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terest in economy, economic literacy and rational decision making of korean adults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mong the interest in economy, the economic literacy and sub-areas, and the rational decision making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interest in economy brings positiv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rational decision making through economic literacy. Third, the microeconomics and financial literacy has mediating effect on relations between interest in economy and rational decision making, while the macroeconomics and international economics does not. The result shows that not only the economic literacy but also the interest in economy is the important variable that can bring positive effect on the rational decision making. Moreover, the sub-areas of economic literacy can result different effects on the rational decision making. Thus, it implies that the educational approach and curriculum development need to be closely related to everyday lives.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the measurement error is applied to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at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in the causal 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are analyzed in one model.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에 대한 관심도, 경제 이해력, 합리적 의사결정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전국의 성인 3,000명을 대상으로 한 경제 이해력 조사 자료를 사용하였고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경제에 대한 관심도, 경제 이해력 및 각 하위요인, 합리적 의사결정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경제에 대한 관심도는 경제 이해력을 매개로 합리적 의사결정에 직․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 이해력의 매개효과를 하위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미시경제 및 금융 이해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지만 거시경제 및 국제경제 이해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합리적 의사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으로 경제에 대한 이해력뿐만 아니라 경제에 대한 관심도도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제 이해력의 하위요인에 따라 합리적 의사결정에 차별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도록 생활과 밀접한 주제를 다루는 경제 이해력에 대한 접근방식 및 교육체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측정오차를 고려하고 변인 간 인과관계에서 나타나는 직․간접 효과를 한 모형에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우리나라 청소년 금융 이해력 측정과 시사점

        홍기영,최병일 한국금융교육학회 2017 금융교육연구 Vol.2 No.-

        본 논문은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금융 이해력을 연구하기 위해 총 10회에 걸쳐 시 행된 경제금융이해력인증시험의 측정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결과 국내 고등학교 청소년들의 금융이해력은 2학년이 1학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 으나 2학년과 3학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제별로는 복리 이자 계산, 주식시세표 해석과 같은 실생활에 필요한 금융 해결능력을 검증하는 문 제의 정답률은 낮았다. 반면 금융 상품의 종류를 분류하고 그 특성을 묻는 전형적 인 이론 문제의 정답률은 높았다. 문제 유형별 정답률은 계산형과 도표 해석형 문 제의 정답률은 평균보다 낮았으며, 상황분석형과 단순지식형 문제의 정답률은 평균 보다 높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현재 청소년들의 금융 이해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실생활과 밀접한 금융 개념 및 관련 사고력에 대한 추가적인 교육이 필요 함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이해력과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이영미 ( Young Me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이해력을 살펴보고,읽기 이해력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5세 미만에 인공와우이식을 받고, 중복장애와 심한 내이기형이 없으며, 일반 초등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청각장애 초등학생 31명(1-6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아동의 읽기 이해력은 수준별 교육을 위한 읽기 진단 검사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말지각, 자음정확도, 수용어휘, 단어재인 검사도 함께 실시였다.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이해력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이 말지각,자음정확도,수용어휘,단어재인 점수 중에서 어떤 것인지 살펴보기 위해서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연구 결과,대상 아동의 33%는 정상적인 읽기 발달을 하고 있었다.아동의 평균 읽기 이해력은 2.1학년 수준이고, 읽기 발달의 지연 정도는 1.4학년으로 나타났다. 말지각, 자음정확도, 수용어휘 발달률, 단어재인 중에서, 수용어휘 발달률이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이해력을 예측해주는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인공와우이 식으로 청각장애 아동의 일부는 정상적인 읽기 이해력의 성취가 가능하며,수용어휘 발달이 정상적인 읽기 이해력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읽기 이해력 발달에 지연이 있는 인공와우이식 아동을 위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겠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school-aged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CIs) an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ir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Thirty-one school-aged children who received a CI under 5 years ol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had no severe inner ear malformation and multiple handicaps. The study examine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by the criterion referenced reading comprehension test. Children``s speech perception, articulation, receptive vocabulary, and word recognition were assessed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was a wide range of performance on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from normal to severe developmental delay. 33% of children with CIs obtained grade-level equivalent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The rate of the receptive vocabulary development was the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reading outcomes. A wide range of reading outcomes would depend on their receptive vocabulary skill in children with CIs. Children with CIs may have a potential risk for improvement in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so these children should be identified early and provided with reading and language intervention.

      • KCI등재

        조세 및 재정에 대한 납세자들의 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강민조 ( Min-jo Kang ),허광복 ( Kwang-bok Hue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1 유라시아연구 Vol.18 No.3

        조세시스템의 특성을 적절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조세법과 조세정책에 대한 상당 수준의 관심과 지식이 요구된다. 조세제도에 대한 납세자들의 주관적 인식과 신념을 조사하는 경우 직면하게 되는 의문점은 설문 응답자들이 과연 현행 조세시스템에 대하여 적절한 판단할 수 있을 만큼 조세 및 재정에 관한 배경지식을 갖추고 있는지는 여부이다. 조세제도에 대한 사전지식과 경험의 차이는 조세제도에 대한 납세자들의 신념 및 태도의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납세자들의 조세이해력(tax literacy)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는 자료수집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제대로 수행되지 않았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조세지식의 대용변수로서 대부분 납세자들이 스스로 보고한 조세이해력 수준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접근법은 납세자들이 자신의 이해수준을 적절하게 판단할 수 있다는 전제가 필요하므로 만약 이러한 가정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 심각한 측정오차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인 조세지식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조세 및 재정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한 구체적인 설문항목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납세자들의 조세이해력에 체계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납세자들의 조세지식 수준의 현황 및 조세이해력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증거를 바탕으로 납세자 교육 및 홍보 전략 수립에 유용한 정책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재정패널조사 자료인 10차 재정패널데이터에 신설된 조세 및 세정에 관한 납세자들의 인식 항목 중 조세제도에 대한 납세자들의 이해도를 직접 측정하는 항목인 정답 및 모름 응답을 조세이해력의 대용변수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납세자들의 행동에 관한 주요 경제·인구통계적 변수들이 조세이해력에 미치는 체계적인 영향을 다변량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정패널데이터의 가구원 의식조사 중 조세 및 재정에 대한 이해도 항목을 조세이해력의 대용변수로 활용하여 실증분석한 결과 납세자들의 경제적·인구통계적 특성의 차이가 조세이해력의 수준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소득수준, 최종학력 수준, 총자산 규모가 높을수록, 남성인 경우, 배우자가 있는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 또는 연말정산 대상의 경우, 서울에 거주하는 경우에 조세 및 재정에 대한 올바른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납세자의 경제·인구통계적 특성이 조세에 대한 올바른 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조세에 대한 무관심에 미치는 영향과 상반된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조세지식의 객관적인 측정치를 활용하여 조세 및 재정에 대한 납세자들의 이해도에 체계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최초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의 차별점 및 학술적인 공헌점을 가진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조세제도에 대한 납세자들의 이해도를 증진하는데 필요한 교육 및 홍보 프로그램의 수립과 실행에 대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Proper deter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ax system requires a significant level of interest and knowledge in tax laws and tax policies. The question facing taxpayer’s subjective perceptions and beliefs about tax system is whether survey respondents have enough background on tax and finance to make appropriate judgments about current tax system. Differences in prior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ax system can have a decis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taxpayer’s beliefs and attitudes toward the tax system. However, despite its importance, empirical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the tax literacy of Korean taxpayers have not been properly conducted due to the difficulty of collecting data. Existing prior studies use mostly self reported tax comprehension level by taxpayers as a proxy for tax knowledge. This research approach requires the premise that taxpayers can appropriately judge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and if this assumption does not hold, serious measurement errors may occur.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systematically affect the tax literacy of Korean taxpayers by using specific questionnaire items that measure their understanding of tax and finance in order to grasp the level of objective tax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useful policy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taxpayer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strategies based on empirical evidence on the current status of taxpayers’ tax knowledge level and the determinants of tax literacy in Korea. Using the correct answer and unknown answer which are the items that directly measure taxpayers’ tax and taxation of representative data from the 10th finance panel survey conducted by Korean Institute of Public Finance, we investigate the impact of Korean taxpayers’ economic and demographic traits on their tax literacy. In particular, the study attempts to discover Korean taxpayers’ economic and demographic traits such as age, gender, education, marital statu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 their tax literacy regarding value-added tax rate, individual as well as corporate income tax rate, etc. The followings 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tax literacy items, it is found that differences in economic and demographic traits of taxpaye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tax literacy. The regression results reveal that higher level of education, higher income, marital status, reporting status, house ownership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degree of un-informed tax knowledge. However, older taxpayers are more likely to be indifferent to the tax system. These results show that 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axpayers have an effect opposite to the effect on the correct perception of tax and the effect on the unknown perception to tax. In this study, we explore traditional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gender, education, marital statu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ax literacy.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and has academic contributions in that it is the first to analyze factors that systematically affect taxpayers’ understanding of tax and finances using objective measures of tax knowledg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useful implication of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 programs necessary to enhance taxpayers’ understanding of the tax system.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shedding new lights on the determinants of tax literacy towards the current Korean tax and fiscal system.

      • KCI등재

        대학생의 금융이해력에서의 과신

        이윤호 ( Lee Yun-h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8 시민교육연구 Vol.5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생의 금융이해력 측면에서의 자기 과신의 실태를 파악하고, 금융이해력 과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며, 그로부터 금융 교육과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금융이해력에서의 과신은 주관적 금융이해력 수준이 객관적 금융이해력 점수보다 높은 경우로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분석 결과, 평균 능가(better-than-average) 자기평가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다고 생각하고 주식 투자 경험이 있는 대학생에게서 자기 과신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반면에, 경제학 수업을 많이 듣고 가족과의 재무적 대화를 자주 나누며 주식투자 경험이 있을수록, 금융 지식이 많으면서 동시에 금융지식에 대한 자신감도 높은 바람직한 경향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객관적 금융 이해력의 향상을 위한 경제학 및 금융 이해 교육이 금융이해력에서의 자기 과신을 낮추는 유효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aimed to report the overconfidence of financial literacy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find the empirical significant variables explaining it. The overconfidence of financial literacy was measured operationally if the subjective financial literacy was above the objective one. The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self-appraisal tendency of better-than-average was not found. On the one hand, the students, who consider themselves to be of a higher economic class and have experience investing in the stock market, significantly tend to be financially overconfident.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who have received higher academic scores in economics, have the experience of investing stock, and have discussed monetary matters with their family, significantly tend to be more financially literate objectively and also subjectively. The empirical findings suggest that economics and financial education to improve objective financial literacy, also effectively contributes to bringing down financial overconfi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