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한 복음서의 인지언어학적 시간 연구

        염철호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6 가톨릭신학 Vol.0 No.28

        본 연구는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요한 복음서에 나타나는 시간 관련 표현들을 분석함으로써, 요한 복음서의 시간 인지 모형이 지니는 특징을 밝히는 연구다.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보면, 모든 언어는 시간을 움직이는 개체로 은유적으로 개념화하는 특성이 있다. 곧, “마감 시간이 지났다”, “크리스마스가 다가온다”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시간’ 관련 개념인 ‘마감시간’과 ‘크리스마스’는 ‘자아’를 지나가거나(과거), 다가오는 것(미래)으로 은유적으로 개념화된다는 것이다. 이때 과거는 자아 ‘뒤’로 이동하는 것으로, 미래는 자아 ‘앞’에 위치해서 자아에게 다가오는 것으로, 현재는 자아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개념화된다. 이런 시간 관련 은유는 인간이 시간을 인지하는 인지 모형과 관련되어 있는데, 요한 복음서에 나오는 시간 인지 모형들을 조사한 결과 요한 복음서만이 지니는 특이점을 발견할수 있었다. 곧, 시간이 자아를 지나 과거화 되는 표현이 발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특히 요한 복음서에서 중심이 되는 시간인 예수의 시간, 곧 예수의 때인 경우 그때를 지나는 시간 표현은 나타나지 않는다. 이 점은 요한 복음서의 신학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요한 복음서는 세상의 모든 시간이 예수의 때, 곧 예수의 죽음과 부활로 완성된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세상의 시간은 예수의 죽음과 부활 사건 이후에도 계속 이어진다. 또한, 하느님의 시간은 시작과 마침도 없이 영원에서 영원까지 지속되는 선적시간(linear time)으로 개념화된다. 하지만 영원에서 시작하여 영원으로 나아가는 하느님의 시간은 예수의 시간 안에서 완성되고 그 시간을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세상의 어떤 시간도 예수의 시간 앞에 위치하여 그 시간을 과거화할 수 없다. 예수의 시간은 영원 안에서만 비로소 이해되고 완성될 수 있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요한 복음서에 나타나는 또 다른 시간 표현에 대한 설명도 가능해진다. 요한 복음서에는 두 가지 다른 층위의 시간 순서 모형을 기반으로 하는 시간 관련 표현이 나오는데, 바로 요한이 자신 뒤에 오는 예수가 자신 앞에 있던 분이라고 말하는 대목이다(요한 1,15). 이 구절에서 예수는 시간적으로 요한 뒤에 위치하면서, 동시에 앞에 위치한 존재로 개념화된다. 이 역설적인 표현은 예수가 지상의 시간 안에서는 요한에 이어서 등장한 인물이지만 하느님의 시간 안에서는 요한에 앞서 위치한 존재라는 말이다. This study analyzes time expressions of John’s gospel, based on the cognitive linguistics and it reveals characteristics of time conceptual models in the fourth gospel. In general, time is conceptualized and expressed metaphorically as a moving object like following sentences, “The deadline has passed”, “Christmas is getting closer.” The time expressions, which are “the deadline” and “Christmas” are metaphorically conceptualized either as an object to pass the ego who stays at the present or an object to come near the ego. The past is conceptualized as an object which is behind the ego and the future as an object which is in front of him. However, in the fourth gospel, no example that there is a time which is conceptualized as an object which is behind of the ego is found. Especially, the time of Jesus, which is a center of the whold divine time in John’s gospel, has never been passed by any earthly time. It is very important in john’s theology, because all times are regarded to be understood and fulfilled in the time of Jesus. Of course, the earthly time does not cease after the death. And the divine time is conceptualized as a linear time which has neither its beginning nor its end and continues from eternity into eternity. However, this divine time is completed the time of Jesus, which is the center of the divine time. So, any earthly time could not pass the time of Jesus. It is understood and completed only in eternity. From thi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a paradoxical time expression, which is based on two different types of temporal sequence model: John who proceeds Jesus actually follows him(John 1,15). Jesus follows John in the earthly time, but proceeds him in the divine time.27)

      • KCI등재

        공관복음에 등장하는 회당 핍박 구절들(막 13:9-13, 마 10:17-22, 눅 21:12-19)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본 요한복음에 등장하는 ἀποσυνάγωγος의 역사성

        송승인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2 영산신학저널 Vol.- No.60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ity of ἀποσυνάγωγος in John 9:22; 12:42; and 16:2. Since the publication of Martyn’s research, most Johannine scholars have agreed that this word is an anachronistic expression. However, my proposal is that the expression is not anachronistic, but descriptive of the historical situation during Jesus’ public ministry. I suggest that the author of the Gospel of John uses this word as a general term referring to a discipline executed in the synagogue, not as terms referring to specific punishment such as flogging, imprisonment, expulsion, niddui, and Herem. This proposal receives support from the parallel passages of John 16:2 in the Synoptic Gospels: Mark 13:9-13; Matthew 10:17-22; and Luke 21:12-19. The four passages are parallels because they include references in common as follows: (1) the synagogue as the subject which will persecute the disciples, (2) the aftermath of the disciples that they will be killed due to their confession of faith in Jesus, and (3) the Holy Spirit’s appearance as a facilitator when the disciples stand in court for their testimony. I will compare the four passages under the premise that the four Gospels were written in the order of Mark-Matthew-Luke-John. Through the comparison, this study will reveal that the Gospels of Mark and Matthew provide specific descriptions about the persecution of the disciples that they will be beaten or whipped in the synagogue; whereas the Gospel of Luke describes that they will be simply handed over to the synagogue without mentioning explicit discipline methods. Furthermore, the Gospel of John simply renders Luke’s “hand over to the synagogue (παραδιδόντες εἰς τὰς συναγωγὰς)” as “out of the synagogue (ἀποσυναγώγους ποιήσουσιν).” Based on these observations, I suggest that the ἀποσυνάγωγος in John 16:2 be understood as a general description of the persecution that will be given to Jesus’ disciples in the synagogue in a while. In other words, the term does not intend to mean expulsion from the synagogue, but is used as a general expression of persecution, such as beating, whipping, or handing over to a synagogue. I also propose that ἀποσυνάγωγος in John 9:22 and 12:42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same way. According to my interpretation, therefore, ἀποσυνάγωγος in these three passages of John’s Gospel is not anachronistic, but historical. 이 연구는 요한복음 9:22, 12:42, 16:2에 등장하는 ἀποσυνάγωγος의 역사성에 대한 연구이다. 현재 요한복음을 연구하는 대부분의 학자는 마틴의 연구 이후 이 단어가 시대착오적인 표현임에 동의한다. 그러나 필자는 이 표현이 시대착오적인 표현이 아니라 예수의 공생애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묘사하는 표현이라고 주장한다. 필자는 요한복음의 저자가 이 단어를 통해 회당에서의 징계로서 채찍질, 투옥, 축출, 니두이, 헤렘과 같은 특정한 징계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회당에서의 징계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로서 이 단어를 사용했다고제안한다. 이러한 필자의 제안은 공관복음에 등장하는 요한복음 16:2의 병행구절인 마가복음 13:9-13, 마태복음 10:17-22, 누가복음 21:12-19를 통해 뒷받침된다. 이 네 구절은 (1) 제자들을 핍박할 대상으로써 회당에 대한 언급이 등장하며, (2) 예수에 대한 믿음의 고백으로 인해 제자들이 죽게 될 것이라는 언급이 등장하며, (3) 제자들이 법정에 섰을 때 그들의 증언을 도울 존재로 성령에 대한 언급이 등장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그리고 필자는 사복음서가 마가복음-마태복음-누가복음-요한복음의 순서로 기록되었다는 전제 하에 이 네 구절을 비교하여 이 네 구절의 회당에 의한 핍박 묘사가 보다 구체적이고 자세한묘사로부터 점차 일반적인 묘사로 나아가는 경향을 발견한다. 즉 마가복음과마태복음에서는 회당에서 매질 혹은 채찍질할 것이라고 묘사하며 분명한 징계의 방법이 구체적으로 기록된 반면, 누가복음에서는 구체적인 징계의 방법에대한 언급 없이 단순히 회당에 넘겨 줄 것이라고 기록하며 더욱 일반적인 묘사로 나아가고, 요한복음에서는 누가복음의 “회당에 넘겨 주며(παραδιδόντες εἰς τὰς συναγωγὰς)”를 단순히 “출교(ἀποσυναγώγους ποιήσουσιν)”라는 표현으로더욱 짧게 묘사함을 보게 된다. 이러한 관찰에 근거하여 필자는 요한복음 16:2 의 ἀποσυνάγωγος는 장차 예수의 제자들에게 행해질 회당에서의 핍박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묘사로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 즉 요한복음의 저자는 요한복음16:2에서 이 단어를 회당에서 쫓아내는 출교의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마가복음 13:9, 마태복음 10:17, 누가복음 21:12에 묘사된 회당에서 매질하거나, 채찍질하며, 회당에 넘겨 주는 핍박과 같은 일반적인 핍박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필자는 요한복음 16:2와 동일한 단어가 사용된 요한복음 9:22와 12:42에 대해서도 동일한 해석을 행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따라서 이 필자의 견해에 따르면 요한복음의 이 세 구절에 등장하는 ἀποσυνάγωγος는 시대착오적인 표현이 아니라 역사성을 가진다.

      • KCI등재

        [번역논문] 정류(靜流) 이상근 박사의 그리스도론

        헤르만 리히텐베르거(Hermann Lichtenberger)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0 신약연구 Vol.19 No.3

        정류 이상근박사는 신약성경과 구약성경 그리고 외경까지 주석함으로써 한국 신학에 큰 영향을 끼쳤다.(Jae Woog Bae, Summary, 32, 46, 59, 66) 정류와 슐라터(Adolf Schlatter)는 여러 가지 관점에서 비슷하다. 두 사람 모두 기본적으로 보수적인 경향으로 규정된다. 정류와 슐라터 사이의 중요한 공통점이 마태복음 주해에서 나타난다. 정류에게 마태복음이 특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리스도론 진술 외에도 교회론적인 진술이 마태복음에 발견되기 때문이다. 정류의 많은 작품은 한국의 끔찍한 시대에 만들어졌다. 그의 성경 주석은 세속화 시대(Zeitalter der Säkularisierung)에 오늘날 한국 교회를 위한 길이 될 수 있다.(Summary, 32) “한국교의 회복과 갱신은 성경으로 돌아가는 데 있다.”(Summary, 37) 그래서 오늘날 한국 교회가 나아야할 길에서 그리스도론적인 진술이 가장 중요하다.(Summary, 35) 정류가 ‘대승 불교’(Mahayana-Buddhismus)와 토론하기 위하여 요한복음을 선택한 것은 이치에 맞다. 요한복음은 예수의 세례 그리고 수난과 부활에서 공관복음과 여러 면에서 일치하지만, 많은 세부 사항에서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 그것은 요한복음에서 그리스도론적인 칭호는 다양성을 가지고 있는 것과 연관된다. 그 다양성은 특정한 전통적-역사적인 맥락에서 나타나며,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은 다른 기능을 표현한다. 요한복음은 신학적인 발전의 정점(頂點)에 있고 정류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정류는 석사 학위 논문에서 ‘하나님 상’을 다루었고 박사 학위 논문에서 ‘요한복음의 예수와 대승 불교의 부다’를 비교했다. 정류는 대승 불교의 정교(精巧)한 교리와 대조하고자 요한복음을 선택하여 요한복음에 통일되게 나타나는 ‘고기독론’을 명확히 이해했다. 정류는 요한복음의 발전된 그리스도론을 대승 불교와 비교 연구하여 요한복음의 그리스도론을 명확하게 하고자 하였다. 요한의 그리스도론은 예수의 존엄성을 묘사하는 데 있어서 인상적으로 배타적이다. 정류는 요한복음의 아버지의 개념과 관련하여 친자(親子) 관계에 대해 이야기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친자(親子) 관계’의 근거는 하나님이 ‘아버지 되심’에 있다. 예수의 아들되심은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유일무이하고 아버지에 의하여 결정된다. 정류는 우리에게 신적인 영광으로 비교할 수 없는 방식으로 요한복음에 나타난 예수를 보여주었다. 그것에 대하여 우리는 정류에게 매우 감사한다. 정류는 그의 모든 주석을 교회란 관점에서 연구하여 성경신학과 실천 신학적인 관점에서 예수를 선포했다는 점에서 교회를 위한 신학자였다. Jung-Ryu(靜流) Dr. Sang Kun Lee had a great influence on Korean theology through his commentaries on the New Testament, the Old Testament, and the Apocrypha. (Jae Woog Bae, Summary, 32, 46, 59, 66) Jung-Ryu and Adolf Schlatter are similar in various perspectives. They are basically defined as conservative tendencies. An important commonality between Jung-Ryu and Schlater appears in the com-mentary on Matthew. The Gospel of Matthew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Jung-Ryu. Because in addition to the Christological statements, ecclesiological statements are found in Matthew’s Gospel. Many of Jung-Ryu’s works were made during the confusing times of Korea(1960’s). His biblical commentary could be the solution for the Korean church today in the era of secularization (Zeitalter der Skularisierung). (Summary, 32) The restoration and renewal of Korean Church lies in returning to the Bible (Summary, 37). The Christological statement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path to be restored (Summary, 35) It makes sense that Jung-Ryu chose the Gospel of John to discuss with ‘Mahayana-Buddhismus’. The Gospel of John is in many ways consistent with the Synoptic Gospel in Jesus baptism and in Passion and Resurrection, but in many details it is out of harmony. It is associated with the diversity of Christological titles in the Gospel of John. Its diversity emerges in a specific traditional-historical context, and on the other hand it discloses a different function. The Gospel of John is at the peak of theological development and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for rectification. In his master s thesis, Jung-Ryu dealt with ‘The Statue of God’ and in his doctoral thesis, he compared ‘Jesus in John’s Gospel and the Buddha in the Great Buddhism’. Jung-Ryu chose the Gospel of John in order to contrast with the elaborate doctrine of Mahayana Buddhism, for clear understanding of high-christology that unified in the Gospel of John. In addition, Jung-Ryu tried to clarify the Christology of John’s Gospel by comparing and studying the developed Christology of John s Gospel with Mahayana Buddhism. John’s Christology is impressively exclusive in describing the dignity of Jesus. Jung-Ryu talks about paternity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father in John s Gospel. God s Father is the basis for the paternity of Jesus Christ. Jesus’ sonship is unique and determined by the Father in his relationship with the Father. Jung-Ryu showed us Jesus according to the Gospel of John, with divine glory in an incomparable way. For that we are very grateful to Jung-Ryu who was a theologian for the church, also studied all his commentaries from the viewpoint of the church and also proclaimed Jesus from the viewpoint of biblical and practical theology.

      • KCI등재

        요한복음에서 오순절의 자리

        김휘준(Whiejun Kim)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21 Canon&Culture Vol.15 No.1

        요한복음 20:22의 성령수여와 사도행전 2장 오순절 사건의 관계는 신약학의 난제이다. 먼저 본 연구는 이 문제를 해결하려 시도했던 도널드 카슨, 레이몬드 브라운, 제임스 던, 로버트 멘지스, 막스 터너 그리고 김동수의 주장을 분석하였다. 각 주장은 나름의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의 만족스러운 해결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기에 새로운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는 요한복음의 문학적 구조와 요한복음 20:22의 “숨을 내쉬다”가 보내는 새 창조의 인유들을 재고함으로 새로운 해결 방안을 제안하려 한다. 몇몇 학자들이 제안한 바와 달리, 본 연구에서 제안한 요한복음의 내적 맥락은 이 복음서 안에 있는 성령에 대한 약속들이 구분되지 않으며 모두 요한복음 20:22에서 성취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요한복음의 전체 구조가 창세기 1-2장의 창조이야기를 인유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나의 다른 연구는 요한복음 20-21이 1장과 인클루지오를 이루면서 창조주간의 첫 나흘을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통찰은 요한복음 20:22이 새 창조의 첫째 날 사건으로, 요한복음 21:20-25를 새 창조의 넷째 날 사건으로 이해하게 한다. 이는 요한복음 20:22의 부활한 예수가 새 아담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과 요한복음 21:24의 증인에 대한 언급이 또 다른 성령 수여와 연관될 가능성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요한복음 20:22은 예수가 가져온 새 창조와 신자를 연결시키는 성령의 계시적 활동을 가리키고 있고, 이는 이 복음서가 약속한 모든 성령에 대한 약속의 성취라는 결론을 얻었다. 그러나 요한복음에는 또 다른 성령의 활동도 묘사하는데, 그것은 기사와 표적에 관계된 ‘외적으로 증거하는’ 또는 ‘가시적인’ 성령의 활동이다. 이는 사도행전 오순절 사건과 연결될 수 있으며, 요한복음 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자리를 찾는다면 증언하는 “우리”가 등장하는 요한복음 21:24을 지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issue of the bestowal of the Holy Spirit in John 20:22 with regard to the Pentecostal event in Acts 2 is a crux in New Testament studies. This study starts by analyzing the claims of scholars such as Donald Carson, Raymond Brown, James Dunn, Robert Menzies, Max Turner, and Dongsoo Kim, who have each tried to solve this issue. The analysis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no one solution is satisfactory, and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solving the problem.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a new solution by reconsidering the literary structure of John’s Gospel and the allusions to the new creation signaled by “breathing out” in John 20:22. In contrast to the suggestions of some scholars, this study shows that in the literary context of John’s Gospel, the promises of the Holy Spirit are undifferentiated and are altogether fulfilled in John 20:22. In addition, under the researcher’s own view that the entire structure of John’s Gospel implies the creation story of Genesis 1–2, John 20–21 forms an inclusio with John 1 to reflect the first four days of the creation week. John 20:22 can be seen as an event on the first day of the new creation week and John 21:20–25 as an event on the fourth day of the new creation. This suggests that the resurrected Jesus in John 20:22 can be understood as the new Adam, and that the mention of witnesses in John 21:24 may be associated with another bestowal of the Holy Spirit. From this analysis, we can see that John 20:22 refers to the revelatory activity of the Holy Spirit that connects believers with the new creation brought by Jesus. Such activity is the fulfillment of all the promises of this Gospel concerning the Holy Spirit. Moreover, John’s Gospel describes another activity of the Holy Spirit, which is the “external witness” or “visible” activity of the Holy Spirit in relation to signs and wonders. This activity can be linked to the incident of Pentecost in Acts, and if we are to find a specific place in John’s Gospel, we can point to John 21:24, where the witnessing “we” appears.

      • 영지주의적 관점에서 본 요한복음의 프롤로그(1:1-18) 연구

        김충연(Chung-Yeon Kim) 감리교신학대학교 2022 신학과세계 Vol.- No.102

        요한복음 연구에 있어서 영지주의는 매우 중요한 해석의 열쇠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요한복음의 프롤로그(요 1:1-18)중 특별히 1-3절, 14절에 등장하는 로고스의 5가지 개념적 특징을 영지주의적 해석의 관점으로 살펴보았을 때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려 한다. 기존의 관점에서 볼 때 1절은 로고스 선재론으로 구분되었지만, 영지주의적 관점에서 전치사 πρός의 의미를 ‘~향하여’로 보았을 때 1절은 각각 로고스의 선재론(1a)과 로고스의 종속론(1b)으로 다시 나누어 볼 수 있다. 실제로 이 전치사는 같은 요한복음 본문 안에서 ‘~향하여’(지향)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것은 요한복음의 신학적 내용과도 일치한다. 그리고 1c는 전통적으로 로고스는 하나님이라는 로고스의 동형론(同型論)을 주장하는 본문으로 해석되었지만, 여기서 관사 없이 사용되는 θϵόζ는 신적인 것 또는 신성으로 번역할 수 있다. 이 역시 요한복음의 다른 본문들(10:34, 35 등)을 통해 이러한 해석의 근거를 제시할 수 있으며, 그렇다면 이것은 로고스와 하나님의 본질적인 동형론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로고스의 동질성(同質性)을 말하는 것이 된다. 그 밖에도 로고스의 창조론(3절)과 로고스의 성육신론(14절)도 영지주의적인 해석방법으로 해석할 때 어떠한 해석이 가능한지도 살펴보겠다. 이처럼 요한복음의 프롤로그를 고대 영지사상과의 관계성 속에서 해석하는 것은 요한복음 해석의 또 하나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준다. 물론, 이러한 해석이 프롤로그와 요한복음 전체를 해석하는 바른 최선의 방법이라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이러한 시도들을 통하여 영지주의적 해석 방법이– 스토아 철학이나 필로의 로고스 그리고 구약과 유대교의 지혜문학 등에서 찾으려는 것과 더불어- 요한복음의 사상적 배경과 본문의 의미 그리고 해석을 더욱 깊고 풍성하게 해주는 것이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요한복음 6장 35절의 목마름 언어에 대한 의미 재고

        송승인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9 신약연구 Vol.18 No.3

        This study is a study of the meaning of the phrase “he who believes in me will never be thirsty” in John 6:35c. So far,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is passage have been suggested, and I argue that this expression is deeply related to John 4:10-14 and 7:37-39 and that it is most persuasive to see it as the promise of Jesus to quench people’s spiritual thirst through the Holy Spirit. As a basis for supporting this interpretation, I present the following five points. (1) The thirsty language of John 6:35c is closely related to the living water in John 4:10-14 and 7:37-39. (2) Isaiah 55:1-2 provides a better background for John 6:35 than Sirach 24:21 or Proverbs 9:5, and the water in Isaiah 55:1 refers to the Holy Spirit. (3) The words of Jesus in John 6:35c (“he who believes in me will never be thirsty”) presupposes that Jesus will give water, and this water is given by Jesus. It not only fits well with Jesus’ giving the living water in John 4:10-14 and 7:37-39, but also coheres well with the theology of the Fourth Gospel (Jesus is introduced as the giver of the Holy Spirit in 15:26, 16:7, and 20:22). (4) References to the Holy Spirit appear in the near context of John 6:35(6:63). (5) The thirsty language of John 6:35c can be seen as a symbolic expression because it does not make sense literally and this partially supports that this thirsty language refers to the Holy Spirit. These five points make a convincing suggestion to read this thirsty language in connection with the living water in John 4:10-14 and 7:37-39, and lead the readers to interpret it as Jesus’ promise to those who believe in him to satisfy their spiritual thirst forever through the Holy Spirit whom he will send in the future. 본 논문은 요한복음 6:35c에 등장하는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목 마르지 아니하리라”라는 구절의 의미에 대한 연구이다. 이제까지 이 구절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이 제안되었는데, 필자는 이 표현이 요한 복음 4:10-14, 7:37-39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이 표현을 장차 자신을 믿는 자들에게 주실 성령을 통한 영적 목마름 해소에 대한 예수님의 약속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설득력이 있다고 제안하는 바이다. 이 해석을 뒷받침하는 근거로서 필자는 다음의 다섯 가지를 제시한다. (1) 요한복음 6:35c의 목마름 언어는 요한복음 4:10-14과 7:37-39에 등장하는 생수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2) 이사야 55:1-2이 집회서 24:21 혹은 잠언 9:5보다 요한복음 6:35에 대한 더 나은 배경을 제공하며, 이사야 55:1의 물은 성령을 가리킨다. (3) 요 한복음 6:35c의 예수님의 말씀(“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라”)은 예수께서 물을 주심을 전제하며 이 물은 예수님에 의 해 주어짐으로, 요한복음 4:10-14과 7:37-39에서 예수께서 생수를 주 심과 잘 어울릴 뿐만 아니라, 예수께서 성령을 주시는 분으로 소개된 요한복음의 신학과도 잘 어울린다(15:26; 16:7; 20:22). (4) “성령”에 대한 언급이 요한복음 6:35의 인접 문맥인 6:63에 등장한다. (5) 요한 복음 6:35c의 목마름 언어는 문자적으로 의미가 통하지 않음으로 상 징적 표현임을 알 수 있고, 이 사실은 부분적으로 이 목마름 언어가 성령을 가리킴을 지지한다. 이 다섯 가지 포인트는 요한복음 6:35c의 목마름 언어를 요한복음 4:10-14, 7:37-39에 등장하는 생수와 연결하 여 읽도록 설득력 있게 제안하며, 이 목마름 언어를 장차 믿는 자들 에게 주실 생수이신 성령을 통해 사람들의 영적 목마름을 영원토록 해결해 주실 것이라는 예수님의 약속으로 해석하도록 인도한다.

      • KCI등재

        요한복음의 도마와 몸의 부활에 대한 논쟁

        조재형(Jae Hyung Cho) 한국기독교학회 2020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6 No.-

        이 논문은 요한복음에 나오는 디두모 도마에 대한 묘사를 통해서 요한공동체와 도마공동체가 가지는 몸에 대한 신학의 차이를 살펴본 후, 도마 영지주의 문서들(도마복음, 용사 도마의 책, 도마행전)에서 이러한 차이가 어떻게 강화되는가를 편집비평과 문학비평을 사용하여 연구한다. 공관복음서와 사도행전에서 이름만 언급되는 것과는 달리(마 10:3; 막 3:18; 눅 6:15; 행 1:13) 요한복음은 도마와 관련된 중요한 이야기를 제공한다(11:16; 14:5; 20:24-28; 21:2). 이 이야기들에서 도마는 나사로와 함께 죽으러 가자고 말하고(11:16), 예수가 “나는 너희가 있을 곳을 마련하러 간다”라고 말할 때(11:2) 도마는 사후 세계와 예수의 “길”에 대해서 모른다고 선언하고(14:5), 가룟 유다처럼 열둘 중 하나이며, 예수의 부활을 의심하는 신앙이 없는 제자로 나온다(20:24-28). 요한복음의 부정적인 도마의 모습과는 대조적으로 도마복음에서 도마는 예수의 쌍둥이 형제이다. 도마복음의 예수는 ‘성전’이나 ‘집’을 영혼이 거하는 ‘몸’으로 해석하여, 육적인 몸의 부활을 부정하지만, 요한복음의 예수는 성전 정화 사건을 통해서 ‘성전’을 예수의 부활한 몸이라고 말한다(2:21). 또한 예수는 나사로가 다시 살아난 이야기 속에서도 육적인 몸의 부활을 강조한다(11:1-44). 그러므로 육적인 몸의 부활을 거부했던 도마 영지주의는 영혼의 여행에 대한 강조를 통해서 영혼의 부활을 믿었기 때문에 몸에 대한 금욕적인 실천을 통해서 영혼의 훈련을 주장하였다. 요한 기자는 이러한 도마 영지주의의 사상에 반대하여 도마가 가졌던 예수의 말씀에 대한 잘못된 이해(11:16; 14:5)와 육적인 몸의 부활을 의심하는 도마의 신앙(20:25-29)을 비판한다. 이러한 입장은 이미 하나님에게서 나온 말씀으로서의 예수가 살(sarks)이 되었다는 선언(1:14)을 통해서 강조되었다. Throughout the story of Didymus Thomas, this paper investigates theology of the body in both the Johannine community and Thomas community, and how different theologies are intensified in the text of Thomas Gnosticism (The Gospel of Thomas, The Book of Thomas the Contender, and the Acts of Thomas) by using redaction and literary criticism. Unlike the synoptic (Mt. 10:3; Mk 318; Lk 6:15) and the Acts of Apostle (1:13), the Gospel of John provides with important stories of Thomas (11:16; 14:5; 20:24-28; 21:2). In these stories, Thomas says that “We may die with him [Lazarus]” (11:16), and when Jesus states “I am going to prepare a place for you”(11:2), Thomas declares that he does not know after life and the way of Jesus (14:5). In addition, Thomas is one of ‘the twelve,’ the unbelieving disciple, and doubtful of Jesus’ resurrection. In the Gospel of Thomas, Jesus denies the bodily resurrection by interpreting ‘temple’ or ‘house’ with ‘body’ as a dwelling place of the soul; in the Gospel of John, Jesus affirms the bodily resurrection by explaining ‘temple’ as his resurrected body (2:21). He also emphasizes the bodily resurrection in the story of Lazarus’ resurrection (11:1-44). Therefore, the gnostic community of Thomas that negates the bodily resurrection asserted the soul’s training by acetic practice of the body for the resurrection of the soul. Objecting to the thought of Thomas Gnosticism, the author of John criticizes the faith of Thomas who has wrong interpretations of Jesus’ remarks and doubts on the bodily resurrection (20:25-29), which was already stressed by the statement of “the Word became flesh”(1:14).

      • KCI등재

        한국신약학 50년의 회고와 전망 : 요한문헌 연구

        김선정(Seon Jeong Kim) 한국신약학회 2012 신약논단 Vol.19 No.3

        이 글의 목적은 한국신약학회 50년을 기념하여, 요한복음서 연구 50년의 역사를 회고, 평가하고, 앞으로 해야 할 일들을 전망해 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범위는 시기적으로는 1960년부터 2011년까지이고, 연구 대상물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요한복음서에 관한 학술 논문이 중심이다(번역서와 저서도 일부 포함하였다). 지난 50년간 국내 요한복음서 연구는 크게는 구조비평과 서사비평을 통해서 요한복음서의 문학적 구조와 서사적 특징들을 분석하는 연구들이 한 축을 이루고 있고, 또 다른 한 축은 사회과학적 연구를 통해서 요한복음서의 배후 공동체의 형성, 특징, 사상을 규명하는 연구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더불어, 국내 요한복음서 연구의 또다른 특징은 요한복음서의 신학적 주제에 대한 관심이다. 서로 다른 방법론이 적용되는 가운데, 요한복음서를 특징짓는 고유한 신학적 주제들이 발굴되고 연구되었다. 60-70년대 요한복음서에 대한 국내 학계의 소극적인 관심에 비해서 2000년대 이후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많은 진전이 있었으나, 해외 학계가 보여주는 다양한 연구 성과들과 비교했을 때, 더 많은 학문적 도전과 실험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방법론의 개발과 적용, 1세기 주변 사회와 요한공동체의 관계에 대한 규명, 다른 문헌들과의 비교연구, 한국적 해석 모델의 개발, 신학 내외 학문 분야와의 학제간 연구의 개발 등 창의적인 연구들이 활발하게 시도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recent Johannine studies of Korean scholars that has been published in Biblical journal during the last 50 years. In order to do it, the various approaches on the Gospel of John should be introduced to readers and then I attempt to evaluate the light and the shadow of them. During the last 50 years, the Korean scholars have been usually interested in the literary structure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Gospel of John in terms of literary criticism and narrative criticism. They have tired to find out the literary motives and narrative framework. On the other hand, the social history of the Johannine community has been deeply argued by many Korean scholars, who strongly influenced by the studies of R. E. Brown and J. L. Martyn. They are specially concerne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que theological ideas and its socio-historical circumstances. Although the Korean scholarship on John’s Gospel have been rapidly grow up until the last 50 years, however, the Johannine studies of the Korean scholars are still limited in comparing with those of the Western. Therefore I think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new critical methode and to compare the Johannine idea with that of Eastern religion as well. In short, it can be said that the Korean scholarship on the Gospel of John during the last 50 years have been identified as an adopting history of the western methodology in the Korean theological context. I really expect that the Korean scholars will overcome the western methodology and develop the creative perspectives on the Gospel of John.

      • KCI등재

        Did John Know the Synoptic Gospels?

        김현광(Hyun Gwang Kim)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5 신약연구 Vol.14 No.4

        본 논문은 공관복음과 요한복음 사이에 존재하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간략히 고찰한 후 이와 같은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제안된 두 가지 상반된 입장을 고려한다. 첫째 입장은 요한이 요한복음을 쓸 때 공관복음에 대해 알고 있었고 공관복음을 사용해서 요한복음을 기록했다는 것이다. 둘째 입장은 요한은 공관복음을 사용하지 않았고 공통된 전승에 의존하여 요한복음을 기록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두 입장을 고찰하며 둘째 입장을 지지하는 견해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베다니에서 향유 부은 사건, 가나에서의 치유 사건을 분석하고 공관복음과 요한복음의 공통된 전승의 예들을 살펴보며 둘째 입장이 좀 더 설득력이 있음을 논증한다. 요한이 사용한 공통된 전승은 대부분 구전 전승이었겠지만 예수님의 제자들과 목격자들이 기록한 자료들을 배제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요한이 요한복음을 기록할 때 공관복음을 문자적으로 의존하지 않고 여러 중첩된 전승을 사용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요한복음의 새 창조 모티프: 표적, 십자가와 부활, 성전

        권해생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7 신약연구 Vol.16 No.4

        요한복음 연구에서 새 창조 모티프는 그동안 요한복음 전체를 아우르는 핵심 주제로 인정받지 못했다. 많은 요한복음 주석가들은 주로 서문이나 성령 수여 장면에 나타난 새 창조 모티프에 초점을 맞춰왔다. 본 연구는 새 창조 모티프가 요한복음 전체에 퍼져있는 핵심 주제라는 것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첫째, 예수의 표적들은 예수께서 새 창조의 시행자시라는 것을 분명하게 나타낸다. 전반부(1-12장)에 나오는 6개의 표적은 예수께서 무지한 자에게 빛을 비추시고, 죽은 자에게 생명을 주시는 분으로 묘사한다. 둘째, 후반부(13-21장)에 나오는 예수의 십자가와 부활 사건은 새 창조의 시대가 시작되었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보여주는 가장 분명한 표적이다. 예수께서 종말론적 고난을 겪으시지만, 새 창조의 첫 열매로 부활하신다. 셋째, 요한복음에 두드러진 성전 신학은 요한복음 새 창조 모티프를 더욱 돋보이게 한다. 첫 창조에서 에덴동산이 성전과 같은 기능을 했다면, 이제 요한복음에서는 예수와 그의 공동체가 새로운 성전의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자주 새 창조 모티프로 언급되는 요한복음 서문과 예수의 성령 수여 외에도, 십자가와 부활을 포함한 요한복음의 다양한 표적들은 예수의 새 창조 사역을 설명한다. 뿐만 아니라 요한복음에서 강조되는 성전 신학은 새 창조 주제가 요한복음에서 얼마나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지를 보여준다. In the study of the Gospel of John, the new creation motif has scarcely been acknowledged as a central theme which comprehends the whole Gospel of John. Many Johannine scholars have exclusively placed a focus on the Prologue(1:1-18) and Jesus’ impartation of the Spirit(20:22) in terms of the new creation motif. This study is purposed to present the new creation motif as a crucial theme which is prevalent in the Gospel of John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reasons. First, Jesus’ signs unveil that Jesus is a decisive agent of new creation. The six signs in the first half of the Gospel of John describe Jesus as the one who changes ignorance to knowledge, death to life, and old generation to new generation. Second, Jesus’ cross and resurrection are the most apparent miracle that discloses the beginning of the kingdom of new creation. Jesus experienced the eschatological suffering and came to life again as a first fruit of resurrection. Third, the Johannine temple theology effectively supports the prevalence of the new creation motif in the Gospel of John. The fact that the garden of Eden functioned as a temple in the Genesis creation story demonstrates how old cre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temple theology. In the Gospel of John, Jesus and his community who are the agents of new creation are depicted as the new tem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