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성경적 변화모델의 발전과 에드워드 웰치의 기여

        황영아 ( Hwang Yeung Ah ) 개혁신학회 2017 개혁논총 Vol.43 No.-

        이 논문의 목적은 기독교상담에서 최근의 성경적 변화모델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에드워드 웰치(Edward T. Welch.)의 성경적 변화모델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대표적 성경적 상담의 이론가들인 제이 아담스(Jay E. Adams), 래리 크랩(Larry Crabb) 그리고 데이빗 포울리슨(David A. Powlison)의 변화모델에 나타난 인간이해, 병리, 구체적인 변화방법들을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웰치가 강조하고 있는 상담관계, 성경적 신학에 기초한 상담문제의 이해, 교회 공동체 안에서의 상담영역의 확대에 대한 분석을 제공한다. 아담스는 인간의 죄를 모든 상담문제의 원인으로 보고 죄악된 삶의 습관을 성경에 부합되는 습관으로 바꾸는 재습관화를 강조하였다. 아담스의 행동의 성경적 변화가 인간의 깊은 동기에 대한 이해가 결여되어 있다고 믿은 크랩은 인간관계에서 경험되는 필요들을 상담문제의 핵심으로 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성경적 사고와 신념의 변화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포울리슨은 크랩의 이론이 심리학적 동기 이론에 영향을 받았음을 지적하며 인간의 마음의 변화를 강조한 성경적 동기이론을 주장하였다. 웰치는 성경적 변화모델에서 포울리슨과 같은 관점을 공유하면서 이를 더 구체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그는 상담자와 내담자의 상담관계를 강조하며 내담자와 상담문제를 더 깊이 이해하고자 했다. 깊은 상담관계를 통해 상담자는 내담자의 내면세계와 이야기 속에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상담문제들을 성경적으로 이해하고 상담하기 위해서는 성경의 구약과 신약을 통합하는 관점을 제공해주는 성경신학적 접근이 필요함을 주장하였고, 이는 복잡한 상담문제에 연관된 성경 구절의 적용과 같은 단조롭고 피상적인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고 보았다. 웰치는 복잡한 상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담실에서 이루어지는 전문상담뿐만 아니라 신자들이 속한 교회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돌봄사역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는 이를 위해 교회내의 평신도들과 가족들을 격려하며 돌보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제시해준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웰치의 성경적 변화모델을 기반으로 상담에서 성경적 변화를 추구하는 이들의 구체적인 상담기술과 방법들을 다룬 교재의 제작과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ribution of Edward T. Welch on the development of biblical change model in Christian counseling. To do this, the article first analyzes the biblical counseling models of major theorists such as Jay Adams, Larry Crabb, and David Powlison. and then investigate what Welch contributed: emphasis on counseling relationship, the importance of biblical theological understanding on counseling issues, and caring ministries in local congregations. Adams claimed that the goal of biblical change should focus on changing sinful habits into more biblical habits. However, Larry Crabb found that Adams' model lacked motivation theory and emphasized fulfilling the relational needs to bring changes in counselees. Yet, David Powlison criticized Crabb's model was heavily influenced by psychological theories, and claimed that human heart must be changed to solve counseling problems. Edward Welch shares same principles with Powlison in focusing on human heart but further advanced the principles toward the direction of counseling relationship, biblical theological understanding, and the importance of church's caring ministries, For Welch, counseling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 and counselees are important because through the deep relationship, counselor can enter and understand inner world of counselees' lives. Though biblical change is based on the use of the Bible in counseling, however, appropriat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are crucial for effective biblical change, which is possible through biblical understanding of counseling problems. Welch believes that biblical counseling understanding would prevent shallow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Bible on counseling problems. Welch also claims that not only structured counseling sessions but also caring ministry of local churches are crucial to bring biblical changes to the Christian counselees. As a conclusion, the article suggests the need of developing concrete technique and methods to bring concrete biblical changes based on Welch's contributions.

      • KCI등재

        동기변화를 통한 부부갈등의 회복 - 성경적 상담의 관점으로

        최성미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58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and interpretation of the motive of the heart,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marital conflict resolution, from the biblical perspective, and to study the recovery process of marital conflict by changing motivation through the gospel of Jesus Christ.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ies of the causes and solution of marital conflict, and understands this from the biblical perspective. After explaining the psychological concept of motivational theory, it examines the issue of heart motivation in biblical counseling. Finally, it discusses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process of change of heart motivation and the recovery result through the dynamics model of biblical change. The real change of a person comes from a change of heart, and a complete and lasting change is possible only if the motivation of the heart is changed. The approach of biblical counseling on conflict resolution focuses on changing the motivation of the heart, rather than the changing in behavior, thinking, and emotions. Human motivation is not an area that is influenced by psychological needs but an area determined by faith and is a matter of worship. Therefore, the goal of biblical change is to abandon sinful motives, the idol of the heart, and to make God control his thoughts and motives. Biblical counseling for the change of marital relationship is a biblical change ministry that recovers the relationship with God by changing the motive that governs each person's heart. Married couples who have recovered to a redemptive relationship with changed motives may react differently to conflict. When the relationship with God is recovered, marital relationship is recovered, and the conflict becomes a channel of gratitude and blessing. 이 논문의 목적은 부부갈등 해결에서 중요한 요소인 동기의 탐색과 해석을 성경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통해서 마음의 동기를 변화시킴으로써 부부갈등이 회복되는 과정을 제안하는 것이다. 먼저 일반적인 부부갈등에 대한 이론들을 살펴보고, 갈등의 원인과 대처에 대한 성경적 관점을 제시한다. 이어서 동기이론에 대한 심리학적 개념을 설명한 후 성경적 상담에서 말하는 마음의 동기의 문제를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성경적 변화의 역동성 모델을 통해 마음의 동기 변화와 부부갈등 해결의 유기적 연관성에 대해서 논의한다. 사람의 진정한 변화는 마음의 변화에서부터 오는 것이며, 완전하고 지속적인 변화는 마음의 동기가 변화되어야 가능하다. 갈등 해결에 대한 성경적 상담의 접근은 행동과 사고와 감정의 변화보다 마음의 깊은 동기가 변화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상담에서 문제의 원인을 이해하고 변화를 촉진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인간의 동기는 심리적 욕구에 의해서 좌우되는 영역이 아니라 신앙적인 믿음에 의해 결정되는 영역이며, 이는 곧 예배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경적 변화의 목표는 마음의 우상인 죄 된 동기를 버리고 하나님이 그의 생각과 동기를 다스리게 하는 것이다. 부부관계의 변화를 위한 성경적 상담은 각 사람의 마음을 지배하고 있는 동기를 변화시킴으로써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도록 돕는 성경적 변화(聖化)의 사역이다. 변화된 동기를 가지고 구속적인 관계로 회복된 부부는 갈등에 대해 다르게 반응할 수 있다. 이처럼 하나님과의 관계가 회복되면 부부의 관계가 회복되고, 갈등은 감사와 축복의 통로로 변한다.

      • KCI등재

        그리스도인이 직면하는 고통의 재해석 : 요셉의 생애를 중심으로

        정혜연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6

        본 연구의 목적은 고통을 해석하는 인간의 방식 중 새로운 기독교적 관점으로서 성경적 인지변화과정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일반적 의미의 고통의 정의, 고통의 양상, 유익을 살펴보고 귀인 이론과 사회화 이론을 통해 고통에 접근한다. 이어서 고통의 원인과 결과, 고통의 유익과 다양성에 대한 켈러와 루이스의 성경적 관점을 서술한 뒤 고통을 다루는 요셉의 성경적 마음변화과정을 고찰하여 고 통 안에 숨어 있는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며 성장과 성화로 나아가는 과정을 살펴본 다. 본 연구는 고통에 대한 성경적 인지구조를 탐색할 때에 창세기 37~50장에 등장하 는 요셉의 생애를 중심으로 분석을 시도한다. 구체적으로 고통 중에 있는 인간의 마 음에 접근하기 위해 포울리슨의 나무모델을 기초로 김준이 체계화시킨 성경적 인지변 화모델을 적용하여 살펴본다. 성경적 인지변화모델을 적용한 요셉의 생애 분석은 고 통을 통한 성경적 변화가 동기, 사고, 감정, 반응, 열매의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있고, 깊은 내면의 왜곡된 사고와 동기의 변화가 참된 성경적 변화와 성장으로 이어지며 거 듭남으로 나아가게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드러난 요셉의 인지변화 과정은 본질적 죄성의 자각과 강제적 학습, 자기 삶에 대한 통제욕의 버림, 하나님 앞에 고정된 삶,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더 큰 고통의 선택, 은사의 진정한 가치 발견, 공동체의 변화를 견인하는 이타적 희생과 열매였으며, 요셉의 고통 경험을 통한 성경 적 고통의 새로운 해석은 이전 자아의 죽음의 기록, 하나님의 일하심을 볼 수 있는 기회, 하나님 형상의 회복과 영광이었다. 본 연구는 지면의 한계상 요셉의 생애를 중 심으로 한 고통의 새로운 해석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후속 연구로 고통에 대한 더 다 양한 관점에서의 사례연구를 촉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biblical cognitive change as a new christian perspective among human ways of interpreting suffering.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definition, aspect and benefits of suffering in a general sense and approaches suffering through attribution theory and socialization theory. It then describes Keller and Lewis' biblical perspective on the causes and results of suffering, benefits and diversity. And it is examined Joseph's biblical mind-changing process in dealing with suffering is reviewed to obey God's will hidden in suffering and move toward growth and sanctification. This research employs to analyze the biblical cognitive structure of suffering, focusing on Joseph's life. Specifically, to understand the human mind in suffering which is based on David Powlison's tree model, Joon Kim systematized the biblical cognitive change model by applying it. The process of Joseph's cognitive change revealed through this study is the recognition of essential sinfulness and forced learning, the abandonment of the desire to control one's life, the fixed life before God, the choice of greater suffering for the glory of God, the discovery of the ture value of gifts and altruistic sacrifices and fruits that drive community's change, and the new meaning of the biblical suffering through Joseph's experience of suffering is the record of the death of the former self, the opportunity to see God's work, and the resoration and glrory of God's image. Due to the limitations of space, this study presented a new method of interpreting suffering centering on Joseph's life, and urges case studies from more diverse perspectives on suffering as a follow-up study.

      • 변화의 시대, 어떻게 행복하게 살 수 있을까?

        박정윤(Park, Jeong Yun) 행복한부자학회 2017 행복한부자연구 Vol.6 No.1

        본 논문의 목적은 급변하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어떻게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지를 성경적 세계관에 기초하여 그 방향과 원리를 발견하여 제시하는데 있다. 가계부채의 급증으로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한국의 많은 사람들은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적응하지 못하여 스트레스와 우울증 등으로 행복도가 크게 낮아지고 있다. 먼저, 변화의 속도와 변화의 내용으로 기후변화, 사회적 변화, 경제적 변화, 국민 행복도 저하 등을 간단히 살펴보았다. 둘째, 여러 가지 환경변화에도 불구하고 성경적 세계관, 즉 창조-타락-구속의 틀에 비추어볼 때, 행복의 시작은 내적 변화인 중생을 통해 시작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죄로 인해 불행한 삶을 살다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써 구원받아 행복하게 된 니고데모, 수가성 여인, 삭개오, 바울 등의 사례를 차례로 살펴보았다. 셋째,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난 후에 행복은 성장 또는 성숙해진다는 사실을 말씀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성숙한 자는 돈과 소유에 대한 태도가 바뀌어야 하는데, 이것은 성경적 세계관에 기초하여 정립된 행복한 부자학을 이해하고 재무적 삶에 지속적으로 실천할 때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완전한 행복은 주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 시에 이루어진다는 것을 기억하며 살아야 한다. 또한 늘 깨어서 기도하면서 재물을 믿음, 소망, 사랑의 대상으로 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find and establish principles of happiness based on a biblical worldview to incorporate in this rapidly changing times. Korea is facing a slowdown of economic growth largely due to the high level of household debts; the national happiness index has declined due to stress and depression. First, the author examines the speed and range of changes including climate change, social change, economic change, and decrease of Korea’s national happiness index. Second, no matter what is happening in the world, one can start to experience true happiness when he or she is born again by believing in Jesus Christ and accepting Him as their Lord and Savior. Specific cases where various individuals such as Nicodemus and Paul experience this change are described. Third, the Bible makes it clear that happiness grows or matures after he or she begins his/her personal relationship with Jesus Christ. In addition, mature Christians’ attitude toward money and possessions should and does change when one comes to understand and implement the biblical principles examined more deeply in the studies of affluence and happiness. Lastly, we must not forget that complete happiness is achieved when our Lord comes again. Also, we should stay awake and rely on the Holy Spirit to not regard money as an object of faith, hope, and love.

      • KCI등재

        기독교교육의 성경적 토대에 관한 연구

        신현광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4

        기독교교육이 진정으로 기독교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성경적 토대 위에 세워져야 한다. 성경을 실재에 대한 하나님의 계시로 이해할 때만이 기독교교육이 가능하다. 본 논문은 기독교교육의 성경적 토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첫 번째 부분은 하나님 계시로서의 성경, 각종 직분과 성경교육의 의무를 포함하여 기독교교육의 구약 성경적 토대를 다루었으며, 두 번째 부분은 예수님과 성경교육, 사도들과 지도자들의 성경교육, 그리고 성경교육의 현장으로서의 초대교회 모델을 포함하여 기독교교육의 신약 성경적 토태를 다루었다. 성경을 통한 하나님의 계시는 오늘날 우리에게 기독교교육의 원천이 되는 하나님의 언약 백성과 예수님과 사도들의 실례를 보여주고 있다. 실재에 대한 계시로서 성경을 이해하는 것은 기독교교육의 방향을 제공한다. 신구약을 살펴볼 때 성경교육의 당위성 및 필요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만 오늘날 기독교교육의 기초가 되는 성경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현실이다. 인간의 인격변화와 행동의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마침내 믿음 안에서 새로운 삶의 모습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교육이 우리의 과제이다. 교회의 중심적 과제는 초대교회에서부터 하나님의 백성들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가르치고 그들을 신앙 안에서 자라게 하여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를 세우기 위한 교육적 행위였다. 그러므로 교회는 그 자체가 성경말씀의 교육과 더불어 존재한다. 성경을 잃는 것은 모든 것을 잃는 것이다. 교육적 자세의 방향은 분명하다. 그것은 교육의 중심적인 원리로 되돌아가는 것이다. 기독교교육의 성경적 토대를 바로 인식하는 일에서 출발해야만 올바른 기독교교육의 수립과 실천은 물론 개혁교회의 모든 갱신운동도 가능할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Biblical Groundwork for Christian education, and focuses on the understanding of Scripture as God's self-revelation of reality. This paper is composed of two part: The first part is Biblical groundwork for Christian Education in Old Testament, including the Bible as a God's revelation, various leaders and their duties of education of the Bible; The second part is Biblical groundwork for Christian education in New Testament, including Jesus and His teaching of the Bible, the apostles and leadership and their teaching of the Bible, and early church model as the context of Bible teaching. Christian education arises from fertile soil of the Bible. We look to the Biblical record for both its origin and form. Its purposes, methods, and institutional expressions are rooted in the Scriptures. Scripture is regarded as the primary lens through which Christian educators perceive and prescribe the character of Christian education. The main reason for placing such emphasis upon the Scriptures is the claims of revelation and inspiration made by the Bible. It is special revelation of God, and Christian educator is compelled to formulate a model of Christian education consistent with it. The teaching function of the church flows from the Bible. It does not ignore the contemporary setting and the developmental needs of the learner, but it finds its roots in the Word of God. The understanding of Scripture as a revelation of reality gives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What we think about God indicates what we do about education. When we consider any proper understanding of the Biblical foundation of Christian education we must account for God. What we think about God, however, depends on what we think about the Scriptures. As Christians we can rest in the assurance that the Bible is our only infallible guide in judging ultimate truth. The crisis of the recent debate over the Scripture and its defense has tended to detract the church from its central task of actually teaching the Bible. Anyone can confess a high view of the nature of the Scripture, but ultimately the real test is whether or not it is read, taught, studied, and lived in the life and community of faith. The direction of our educational stance is plain. It lies in a return to a central principle of education-namely, that of going to original sources. We must teach the Bible itself. We must return to the Bible, which has made every renewal movement in protestantism possible.

      • KCI등재

        사이버폭력 경험자들의 불안심리를 중심으로 한 단일사례연구: 기독교 상담적 접근

        정혜연 ( Chung Heyoun ),김준 ( Kim Jun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9 복음과 상담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폭력 경험자들의 불안심리에 대한 기독교 상담의 한 가지 방법으로서 성경적 변화과정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사이버폭력의 특징, 개념, 종류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 후 빠르게 진화하는 사이버폭력의 심각성을 지적한다. 이어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사이버폭력 경험과 불안심리와의 인과관계를 서술하고 불안에 대한 성경적 관점을 함께 제시한 뒤 기독교적 사고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본 연구는 사이버폭력에 대한 기독교상담의 접근을 시도할 때 단일사례연구를 통한 질적 연구방법론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사이버폭력 경험자의 인지구조에 접근하기 위해 Beck의 인지모형으로 부정적 사고를 파악한 후 Powlison의 나무모델을 기초로 김준이 체계화 시킨 성경적 변화모델을 적용하여 살펴본다. 단일사례분석은 성경적 변화가 동기, 사고, 감정, 반응, 열매의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더 깊은 마음속의 왜곡된 사고와 동기의 변화가 진정한 성경적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비참한 상황에 놓여 있던 사이버폭력 피해자들의 성경적 인지 재구조화 과정을 기술한다. 또한 본 연구는 단일사례연구로서의 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사이버폭력에 대한 더 많은 후속연구를 촉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iblical change process as a Christian counseling approach to anxiety in the victims of cyber violence.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first characteristics, related concepts, and types of cyber violence, and points out the severity of cyber violence as a rapidly expanding phenomena. It then describ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s of cyber violence and anxiety, and claims the necessity of Christian approach to anxiety problems of the victims. This research employs a single case study of qualitative method in conducting a Christian approach. Specifically, to understand the cognitive process of cyber violence victims, it reveals negative thoughts of the victims and applied these finding to Jun Kim’s biblical change mode, which is based on David Powlison’s tree model. The analysis of the single case shows that biblical change consists of five aspects of motive, thoughts, emotions, response, and fruits, and the change of distorted thoughts and deep motives bring real change in the victim’s life. Finally, this study reaffirms that serious situations of cyber violence and disastrous effects on the victims, and points of weakness of a single case study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future study that investigates more cases related cyber violence.

      • 중년위기 부부의 갈등과 성경적 상담

        홍정의 한국성경적상담학회 2008 성경과 상담 Vol.8 No.-

        인생 가운데 중년은 중요한 전환점의 시기이다. 중년이 되면 가정적으로 사회적으로 왕성하게 활동하는 시기이지만 또한 자신의 한계를 느끼게 된다. 신체적으로는 쇠퇴를 경험하면서 심리적인 변화와 함께 정체감의 위기를 경험하게 된다. 또 이제까지의 살아온 삶을 되돌아보게 되면서 자신의 내면적인 자아에 집중하게 된다. 이런 심리 변화와는 관계없이 기독 중년부부들은 사회적, 가정적, 교회적으로 요직을 차지하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중년 부부들은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가정과 사회와 교회에서 마땅히 감당하여야 한다. 때론 중년위기의 부부들에게는 이것이 과중한 부담이 되기도 한다. 중년의 위기가 찾아오더라도 부부관계가 돈독하면 위기를 원만히 넘어가게 된다. 그러나 부부의 관계가 소원하거나 원만치 못할 때는 중년의 위기를 헤쳐 나가기가 어렵게 된다. 기독 중년 부부들에게 일어나는 갈등의 요소는 다양하다. 그 요인으로 부부의 결혼생활에서 일어나는 관계요인, 중년 위기에서 일어나는 여러 심리 요인들, 그리고 기독 부부들 사이에 벌어지는 신앙과 교회 봉사의 차이를 들 수 있다. 그럴 때 교회 안에서 이들을 위한 성경적 상담이 필요하다. 성경적 상담은 성경 말씀과 기도로 진행되는 성령의 역사로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을 닮아가는 변화의 과정으로서 기독 중년 부부들의 문제해결에 좋은 방안이 된다. 필자는 기독 중년 부부들의 갈등이 교회 안에서 쉽게 드러나지 못하는 현실 속에서 성경적 상담을 피력해 보았다. Mid-life is an important turning point of one`s life. It is a time where one actively lives; experiencing prosperity both at home and in the society, but it is also a time where one realizes self-limit. One experiences physical decline and identity crisis together with psychological changes. Also, it allows for one to focus on the interior self while reflecting back on the life lived. Despite such psychological changes, Christian mid-age couples have important roles holding important posts in their homes, society, and at church. As disciples of Jesus Christ, mid-age couples must manage their roles as light and salt in their homes, society, and at church. This may come at them as a heavy burden at times. If marriage life is firm and sincere, couples may pass mid-life crisis smoothly but if marriage life is not firm and sincere, it is much harder for them to overcome mid-life crisis. There are diverse factors that cause conflicts in Christian mid-age couples. The factors could be relationship factors that happen in marriage life, many psychological factors that occur in mid-life crisi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faith and volunteer work at church that occur between Christian couples, to name a few. When such conflicts occur, there needs to be Biblical counseling for these couples. Biblical counseling is a movement by the Holy Spirit through the Word of God and prayer, which is also a transformational process, transforming one to be more like Jesus Christ. It is a good solution for problem solving of Christian mid-age couples. The writer approached the conflicts of Christian mid-age couples that do not reveal easily in the reality of church atmosphere through Biblical counseling.

      • 연구논문 : V.Satir의 의사소통 이론과 상담심방 적용 가능성 연구

        김정희 ( Jeong Hee Kim ) 한국성경적상담학회 2007 성경과 상담 Vol.7 No.-

        본 연구는 의사소통을 통한 가족 상호 작용에 관심을 둔 `V. Satir의 가족 의사소통 이론`의 상담심방 적용 가능성에 관한 것으로서, 기능적 의사소통 향상에 목적을 두고 가족치료적 형태로 행해지는 목회 상담적 심방에 Satir의 의사소통 이론 적용 가능성을 모색함으로써, 실제 교회 심방 사역에서 많이 시행되고 있는 상담심방의 이론적 정립 및 구체적인 가족치료 진행 실제를 제시하는 데에 초점이 있다. 연구의 목적은 Satir의 가족 의사소통 이론의 제 국면을 고찰하여 상담심방 적용 가능성의 기초를 제공하며, 영혼에 대한 사랑과 관심에 동기를 둔 상담심방에 대한 이해와, 성경적인 상담심방의 원리와 방법을 기반으로 한 기독교적 가족 상담으로서의 상담심방 모델을 모색하고, 성경적인 상담심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향성과 성경적인 준거 틀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연구 결과 Satir 이론의 취약점과 한국적인 상황이 가지는 장단점, 그리고 현재 목회상황에 적용함에 있어서 예견되는 제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Satir 이론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과 은총의 변화된 인간성에 기초한 성경적인 적용방안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가족 의사소통 갈등의 문제를 예방하고 치유하는 상담심방의 보다 효과적이고 실천적인 목회상담적 상담심방을 위한 모색점으로서, 가족체계의 특성을 고려하여 갈등문제에 대한 정확한 처방을 세워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는 기독교 가족 상담심방은 가족 의사소통에 대한 성경적인 관점에서의 올바른 이해를 가지고 있어야 하고, 또한 피상담자와 그 가족 구성원의 변화와 성숙을 지향하여 가족을 향한 하나님의 언약을 이루는 공동체가 되도록 지도해 나가야 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V. Satir`s Family Communication` to a visit counselling, by searching a potential of applying Satir`s Communication Theory to a mission counsel visiting that conducts the form of family healing in order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the foundation of possibility of applying a counsel visiting by considering the Satir`s Family Communicaiton Theory, understand a counsel visiting that is motivated on the love and interest of a soul, search a model of counsel visiting as a christian family counsel that is based on the fundamental truth and method of the bible, and present a direction and a biblical precedent for a biblical counsel visiting.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weakness of Satir`s Theory, an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Korean circumstances, and foresight of limitations of applying to a mission situation in the present time. Therefore, Satir`s Theory presents the necessary of the biblical application that is based on a changed human inclination, the salvation, and the grace through Jesus Christ. There are several things to consider, depending on the logical matter.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find a biblical value about human-beings before a counsel visiting. Secondly, it is also needed to find a content and a meaning of a counselling in a biblical principal and interest, because a family was created by God`s creating fundamental truth. In particular, a family worship is important for a counsel visiting to recover a family, because it is easy to do as an improved-communication for a revival of a family gathering and adaptation. Thirdly, it is necessary to have a upright understanding about a family communication to be a biblical counsel visiting. It is desirable to find the basic principal of a communication in a biblical point of view, and try to solve a problem by a christian communication. This study is a fumble point for a more fruitful and practical mission counsel visiting, that prevents and cures a problem of a communication conflict in a family. It also proposes the consideration for a specific character of a family system to solve a conflict problem from the root, an upright biblical way of understanding about a family communication in a christian family counsel visiting, and a guidance with an intention for the people who needs a counsel and his family member`s change and maturity, to be a community that achieves God`s verbal promise for a family.

      • KCI등재

        현대사회 변화에 따른 성경적 상담의 방법:성경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박은호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2 성경과신학 Vol.103 No.-

        In unparalleled (incomparable) science and a social-cultural change that are happening nowadays, predicted dystopic discussions regarding the future predispose a loss of direction, anxiety, and a sense of crisis. Dystopic dis- cussions claim that human life will be abundant occur doubts due to un- certainty as well. In this reality, what is the truth in the situation that are people experiencing, and what must be our response and decision? In these questions, the Bible state clearly that to worship and know God is wisdom. Therefore, regardless of period, human’s thought, respond, and choice must be founded on truth words in the Bible and to come to resemble Jesus Christ by obeying the words. Sincerely, to become a man who obeys the Bible must be taught to know the Bible. Diligently teaching Bible is also a command from Go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each words in the Bible that are connected to the Gospel in counseling practice sites that most encounter people’s painful emotions, anthropocentric thinking, sense of crisis, anxiety, and confusion that are affected by social change and cul- tural influence: To teach Bible in the situations above, biblical counseling method will be applied This article, the area of a change in modern society, will look at a change in scientific technique, sociocultural, modern counseling culture, and bib- lical counseling and will present that loss of a corrupted humanity that is influenced by a change in modern society is possible through biblical iden- tity recovery. 오늘날 일어나고 있는 유례없는 과학과 사회문화적 변화 속에서 미래에 대 한 디스토피아적 예측의 담론들은 방향성 상실, 불안, 위기의식을 갖게 한다. 인간의 삶이 더 윤택해질 것이라는 유토피아적인 담론들에 대해서도 불확실 성으로 인한 의구심은 마찬가지다. 이러한 현실 가운데, 사람들이 ‘처한 상 황에서 진실’은 무엇인가, 그리고 ‘우리의 반응과 선택’은 무엇이어야 하는 가? 여기에 대해 성경은 ‘하나님을 경외하고 아는 것이 지혜’라고 명확하게 말한다. 그러므로 시대를 불문하고 인간의 생각과 반응 그리고 선택은 진리 의 말씀에 기반해야 하고 또 그 말씀을 순종함으로 그리스도를 닮아가야 한 다. 그러므로 말씀에 순종하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말씀을 알도록 가르쳐 야 한다. 하나님의 명령 또한 부지런히 말씀을 가르치라는 것이다. 본고의 목적은 현대사회의 변화와 문화적 영향으로 인한 사람들의 고통스러운 감 정, 인간중심적사고, 위기의식, 불안과혼란과같은상담의실천현장에복 음을 연결하는 것이다. 이에 현대사회의 변화의 영역으로 과학기술, 사회문화, 현대 상담문화와 목회 상담 영역에서의 변화를 살펴보고, 현대사회의 변화와 그 영향으로 인한 인간성 상실은 하나님을 반영하는 존재로서의 성경적 정체성 회복을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밝힌다.

      • KCI등재

        공황장애 파국적 사고를 중심으로 한 단일사례연구: 기독교상담적 접근

        양정선 ( Yang Jung Sun ),황영아 ( Hwang Yeung Ah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8 복음과 상담 Vol.26 No.2

        본 연구는 공황장애에 관한 기독교 상담적 접근으로서 공황장애의 주요 인지적 특징인 파국적 사고에 대한 기독교 인지행동치료를 기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황장애의 핵심증상인 공황발작이 신체감각에 대한 파국적 사고의 결과임을 고찰한 후, Barlow와 Craske에 의해 개발된 PCT(Panic Control Program)에 대해 살펴본다. 이어서 기독교적 사고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단일사례를 통해서 기독교적 인지행동치료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고찰한다. 본 연구는 Powlison의 나무 모델과 김준이 체계화시킨 성경적 변화모델을 기초로 하여 삶의 다섯 가지 영역인 동기, 생각, 감정, 반응, 열매를 분석한다. 진정한 변화는 다른 네 가지 영역의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효과적으로 만들어지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동기의 관계적 변화에서 기인한다. 연구결과는 공황장애의 원인과 발전과정, Clark의 공황장애 인지모형에 따른 본 사례의 신체감각의 파국적 사고과정을 분석한다. 공황장애 파국적 사고의성경적변화는‘신체감각에 대한 파국적 사고 끊어내기’,‘ 신앙적 모순발견하기, 객관적 신앙적 사고 증가시키기’,‘ 파국적 사고의 동기 파악하기’,‘ 말씀으로 논박하기’,‘ 파국적 사고의 인지재구조화하기’ 과정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hristia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by investigating catastrophic thought process in the process of counseling a panic attack client.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employs a single case qualitative study and explains how catastrophic thought process changes in the client’s cognitive process in Christian perspective. First, it explains that panic attach is the result of catastrophic thoughts, and introduce Barlow & Craske’s Panic Control Programs. Then, it provides the necessity of Christian intervention, and investigates how Christian CBT works by using a single case study. Based on Powlison’s tree model and Kim’s Biblical cognitive approach, the study analyses the five areas of motives, thought, emotion, response, and fruits of life. It concludes that real change comes by changing motive through relationship with Christ, which can effectively done through systematic analysis of other four areas of person.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study investigates cognitive process of the client following Clark’s cognitive model, and then evaluates cognitive process, motives in Christian perspective. Biblical changes in the client includes “cutting catastrophic thought”, “finding discrepancy in personal faith”, “increasing objective view on faith”, “finding motives of catastrophic thought”, “refuting using God’s words”, “cognitive restructuring of catastrophic thou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