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부용·홍소월의 가창방식 분석연구 -경기12잡가 <유산가>에 사용된 목기교를 중심으로-

        최세은 ( Choi Se-eun ) 한국음악사학회 2017 한국음악사학보 Vol.58 No.-

        가창방식이란 노래 부르는 것에 대한 방법과 방식 일체인데, 이는 노래부르는 사람이 목을 기교적으로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선율의 곡조가 유사하더라도 부르는 사람마다 음악적 질감이 다른 것은 가창자의 목기교 구사 방식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목기교는 그 음악적 유형을 다양하고 풍부하게 만드는 실질적 요소인 것이다. 이러한 목기교를 밝히는 것은 곧 창자가 노래 부르는 방식의 구성 원리와 나아가 그 전모를 밝히는 것과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그간에는 노래 부르는 방식은 개인의 개성이나 경험에 따른 것이라 간주되어 학술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나 이번 연구를 통해 목기교가 분자와 같이 작은 의미 단위들의 구성 및 결합이라는 사실을 확인하면서, 가창방식에 관한 학술적 계측·계량을 시도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특히 그간에 조명되지 못했던 일제강점기 창자이자 당시의 스타였던 박부용·홍소월을 선정하였다. 이들이 취입한 곡목 중 경기 12잡가의 백미로 꼽히는 <유산가>를 대표로 두 창자가 구사한 목기교의 유형과 양상을 파악하였다. 우선 선행의 채보 자료를 검토하고 그것에 사용된 시각적 기호를 차용 및 재설정함으로써 객관성과 공동의 합의를 얻은 부호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목기교의 유형은 떠는목·미는목·흘리는목·끼는목·뻐드렁목·속목·감는목·굴리는목·치는목의 9가지로 대분류되었으며, 제Ⅲ장에서 마루별로 목기교가 쓰인 지점인 사용음에 따라 그 용례를 확인하였다. 이는 다시 선율진행형·꾸밈·속도·발성·강약의 다섯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세부적으로 설명하였다. 박부용·홍소월 창의 <유산가>에서 최종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목기교는 떠는목이다. 그리고 치는목, 감는목, 끼는목, 뻐드렁목, 굴리는목, 속목의 순서로 사용되었고 미는목, 흘리는목은 등장하지 않았다. 특히 떠는목, 치는목은 모든 마루에서 나타난다. 두 창자는 음악적으로 지루하지 않게 끼는목, 굴리는목, 뻐드렁목을 사용할 뿐 아니라, 음색과 음질적으로 분명하게 차이를 느끼게 하는 속목을 구사하기도 하였다. 또한 음악의 절정에 해당하는 마루에 다채로운 목기교를 구사함으로써 음악을 고조시키고 흥미로운 진행을 이끌어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박부용·홍소월은 음악적 내용과 연관하여 목기교를 어디에서 사용할지 판단하는 능력, 즉 목기교의 구성 방식과 다양한 유형의 목기교를 구사할 수 있는 음악적 기량 등이 탁월한 창자라 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박부용·홍소월 <유산가>의 목기교를 분석함으로써 이들 가창의 구성 원리를 밝히고자 하였는데, 크게 세 가지 점에서 의미있다고 생각한다. 첫째, 박부용과 홍소월의 <유산가>를 최초로 학술적 자료로 채보했을 뿐아니라, 그 실제 가창을 시각적 기호로써 재현하고 학술적·합리적 방법으로 구성 원리를 이해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둘째, 노래 부르는 방식과 같이 창자의 개성과 임의성이 강조된 음악적 특징을 악보로 재현해낼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한다면, 앞으로 잡가 뿐 아니라 전통 성악의 연구로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창에 있어 적확한 지시를 가능하게 하여 교육의 활성화에도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셋째, 목기교 분석은 다양한 유형의 가창방식이 구성되는 원리와 그것이 지닌 가치와 의미를 확인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론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작금과는 다른 노래의 유형이자 전통사회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옛적의 노래부르는 방법을 지금 시대에서 환기시킨다면 옛 소리의 복원이나 응용의 가능성도 열 수 있으리라 예상한다. The singing style is the method and manner about singing a song. It appears differently way depending on how the singer uses his vocal technique. That each singer`s musical feel is different although the tunes of the melody are similar is attributed to the singers` way to make use of the vocal technique. That is, the vocal technique is the substantive element which makes its musical type diverse and abundant. Revealing this vocal technique is directly connected with revealing the constitution principle of the singers` singing method and its full account. The singing method has been considered to be a thing following the personal individuality or experience and has not been dealt with academically. However, as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vocal technique was the constitution and combination of the small meaning units like the molecule, the academic measuring and gauging on the singing method were attempted. In this paper, Pak Pu-yong 朴芙蓉 and Hong So-wol 洪素月 were selected who were the singers and sta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type and aspect of the vocal technique both singers made use of were apprehended through Yusan`ga 遊山歌 chosen as the best of Kyonggi sibi chapka 京畿十二雜歌 among the song list they recorded. First of all, the mark obtaining the objectivity and common consensus was set by borrowing and resetting the visual sign used for the precedent score data. As a result, the type of vocal technique was classified into 9 things: ttonun mok 떠는목, minun mok 미는 목, hulinun mok 흘리는목, kkinun mok 끼는목, ppodurong mok 뻐드렁목, songmok 속목, kamnun mok 감는목, kullinun mok 굴리는목 and ch`inun mok 치는목 and the example of the use note, the spot where the vocal technique was used according to each period in chapter Ⅲ. It was explained in detail in the light of 5 elements: melody progress, decoration, speed, vocalization, and dynamics. The vocal technique used much finally in Yusan`ga by Pak Pu-yong and Hong So-wol is ttonun mok followed by ch`inun mok, kamnun mok, kkinun mok, ppodurong mok kullinun mok, songmok, and minun mok and hulinun mok did not appear. Especially ttonun mok and ch`inun mok appear in all periods. Both singers not only used the kkinun mok, kullinun mok, and ppodurong mok not to be boring musically but also made use of songmok. Also it was confirmed they elevated the music and attracted the interesting progress by making use of a variety of vocal techniques in the period applicable to the peak of music. It is confirmed through it that Pak Pu-yong and Hong So-wol have the ability to judge where to use the vocal technique in association with the musical contents and have the excellent musical capability to make use of various types of vocal techniques while knowing how to constitute the vocal technique.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veal the constitution principle of singing by analyzing the vocal technique of Yusan`ga by Pak Pu-yong and Hong So-wol it is significant in three points. First, this study tried not only to make Yusan`ga by Pak Pu-yong and Hong So-wol into the academic material for the first time but also to reproduce the real singing into the visual sign and understand the constitution principle in an academic and rational way. Second, if it suggests the methodology that can reproduce the musical characteristic emphasizing the singer`s individuality and temporality into the score like the singing method, it will be able to be expanded to the study of the traditional voice as well as the folk song in the future. It will enable the exact directions in singing, contributing to the activation of the education. Third, the vocal technique analysis can be a methodology that can confirm the principle various types of singing methods are constituted, and the value and meaning it has. Therefore, if the way to sing an old song that is a different type of song from these days was formed naturally in the traditional society is educated in present times, it is expected the old sound will be able to be restored or applied.

      • KCI등재

        한국 근대시에서 절망과 기교가 교섭하는 두 가지 방식 : 이상과 김춘수를 중심으로

        조강석(Cho Kang-sok) 한국근대문학회 2011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2 No.1

        김춘수는 다작의 시인이었지만 동시에 한국 근현대시사를 통틀어도 드물게 손꼽을 수 있을 정도로 왕성하게 시론을 전개한 시의 이론가였다. 그는 공시적으로는 시란 무엇이며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답변을 시론에 대한 이론적 차원에서 모색했으며 이렇게 마련된 전거들을 통해 통시적으로 한국 근현대사의 다양한 작가들과 작품들을 평가하는 작업을 계속해서 수행한 시인이다. 그런 맥락에서 볼때 시론가이자 문학사가로서 김춘수가 이상에 대해 기울인 관심은 결코 소홀히 넘길 수 없는 것이다. 이상은 절망이 기교를 낳고 기교는 다시 절망을 낳는다고 말했다. 작품 「꽃나무」와 「절벽」은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김춘수는 이상에 대한 여러 언급에서 바로 이 점을 주목했다. 그리고 김춘수는 절망이 유희를 낳고 유희가 위안이 된다는 시론을 제출한다. 두 시인의 시적 제작 기술(art, techne)은 공히 고통과 절망을 질료로 삼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두 시인에게 있어 시의 원천은 동일하다. 그러나, 고통을 우회하기 위해 발휘된 제작술이 마련하는 경로는 확연히 달라진다. 바로 여기에 이상과 김춘수의, 아니 좀 더 확대하자면 우리 근현대시가 현실의 절망과 시의 기교가 교섭하는 운동을 통해 마련하는 중요한 분기점이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기교가 위안에 닿지 못한 까닭과 김춘수의 기교가 위안에까지 이르게 된 추이를 잘 살펴보면 우리 근현대시에서 내용과 형식이 가장 극적으로 길항하고 이반하는 한 현장을 적시할 수 있다. 이상은 시적 기교가 현실의 절망을 건사하지 못하는 지점에 이르러 생의 말년에 다시 산문 쪽으로 회귀했다. 김춘수는 시형식의 한 극단에 이르기까지 기교의 운동을 멈추지 않았지만 이를 통해 자신의 절망을 소산시킬 수 있었다. 청록파 시를 사사하다가 존재에 대한 관심 쪽으로 선회하고 다시 서술적 이미지를 거쳐 무의미시에까지 이르게 되는 김춘수의 시적 행보는 절망에서 비롯된 기교가 재차 절망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끊임없이 ‘유희’를 부양하는 운동에 비견된다. 김춘수의 시적 행로의 저간에 이상이라는 대척점이 놓이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Kim Choon-soo had written great volumes of poetry. Also, he himself was one of the eagerly working poetic theorist. He concentrated his efforts to explore such questions; 'What makes a good poem?' 'Who, in the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could be the memorable poet who had left great legacy?" As an answer, there was Yi Sang. Yi sang said, "Despair engenders artistic 'techne' and 'techne' produces despair again." Kim Choon-soo tried to grasp the meaning of this aphorism. To Yi-Sang, art could be metaphorically understood as the self-referential movement of despair. In the context of "anxiety of influence"(Harold Bloom), Kim Choon-soo tried to overcome Yi Sang's literary legacy. He modified Yi Sang's aphorism, and he got another one. Kim Choon-soo said' "Despair engenders rewardless play and techniques of art, eventually, poetic 'techne' produces the comfort." Kim Choon-soo's two ways of poetic development-poetry of 'non-meaning' and the meaningful long verse 'Che Yong Dan Jang'-could be further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action and reaction with Yi Sang's attitude.

      • KCI등재

        朝鮮朝 山水時調의 修辭的 特性

        崔東國(Choi Dong-Kook) 한국시조학회 2006 時調學論叢 Vol.25 No.-

        이 글은 조선조 산수시조의 작품을 통해서 수사적 특성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시는 시인의 체험을 토대로 상상력과 표현기교에 의해 창작된다. 작품성은 사물을 묘사하되 어떻게 기묘하게 표현할 것인가 하는 기교의 효과에 달려 있다. 따라서 문인이 시를 짓는데 시어의 조탁에 노력을 기울인다는 것은 필수적이다. 그런데 조선조의 문인들은 수사와 기교에 노력을 기울이는 자를 雕蟲篆刻之徒라 하여 폄하했다. 이는 조선조의 문인들이 지니는 특별한 詩眼이다. 그들은 표현의 기교를 사물의 외형에 집착되어 솜씨의 교태를 부리는 잔재주라 인식했다. 그 이유는 기교에는 過情이 있고 그 속에 자만과 豪情 獨善이 드러날 소지가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또한 기교는 인위적인 조작성이 있어 사물의 자연성을 왜곡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반면 시인으로서의 예술정신 즉 匠人性이 약화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하여튼 기교는 기교로 자각되어서는 안 된다. 자각이 되면 詞理와 心意의 흐름이 막히고 왜곡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수사와 기교를 억제하는 대신 哲理的 情趣인 理趣를 중시하게 되었다. 항상 일상생활과 상관되면서 평범한 언어로 표현하되 味外之味를 느낄 수 있는 枯淡한 서정성을 중시했다. 조선조의 시조는 淸麗하고 華靡한 서정적 작품이 냉정하고 깊이 있는 작품으로 이행하게 되었다. 이는 자연으로부터 인생을 음미하고 인생을 대하는 태도도 자적하며 자연스러운 여유가 있는 작품으로 존재하게 되는 因子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rhetorical features of the Chosun Sijo through researching them. A poem has been made by imagination and rhetorics which are based on the poet's experience. The qualities of the poem have been determined by how the poet described the object oddly. So it is essential for the poet to struggle to make embellishments and artistic skills when he or she makes a poem. But the Chosun clerisy ostracized the poet who was trying to do these things mentioned above, which was a kind of special poetic point of view the Chosun clerisy had. They recognized embellishments and artistic skills as a resort to petty trick as a result of their sticking to the external form of the objects. The reason they thought them like this was that the Chosun clerisy thought the embellishments and artistic skills could show the self-pride and self-righteousness. Also, there were concerns on the distortion of the object nature by the artificial concoction. Because they can interrupted and distorted the stream of feeling and the original meaning, the artistic skills mush not be recognized as the artistic skills of itself. As a result, they valued the poem made from restraining the rhetoric and artistic skills. They valued the poem which had common words related people's daily life, but was able to feel the simple lyricism. The poem based on these features has remains as a work which makes people enjoy the nature, and face their life without any resorts, and which has the natural leeway.

      • KCI등재

        袁宏道 遊記산문의 修辭와 창작기교-對比 對偶 排比 誇張을 중심으로-

        남덕현 중국학연구회 2019 중국학연구 Vol.- No.87

        In the late Ming Dynasty, the Gong-an School, a literary group was led by Yuan Hong-dao. Yuan Hong-dao was the leader of the Gong-an School. Yuan Hong-dao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late Ming literary criticism. The literary theory of Yuan Hong-dao is very important in the late Ming literary world. The late Ming essay have very special meaning in chinese classical prose. Yuan Hong-dao’s essay is a part of the late Ming essays. The landscape essay is one of the important parts in Yuan Hong-dao’s essays. Yuan Hong-dao’s landscape essay has many rhetorical techniques such as contrast, antithesis, disposition, hyperbol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rhetorical technique and literary creative technique of Yuan Hong-dao in his landscape essays. We believe that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bout rhetorical technique and literary creative technique of Yuan Hong-dao in his landscape essays will bring us the right direction to understanding of Yuan Hong-dao’s literature. 만명(晩明)시기 대표적 문학이론가인 원굉도(袁宏道)는 예술성 높은 유기산문을 많이 창작하였다. 그의 문학작품 창작이론의 주요 창작기교는 직기(直寄)와 신기(新奇)이다. 유기산문의 산수경관과 산천경물의 형상 표현에 다양한 수사기교를 사용하여 그 특징을 잘 묘사하였는데 이에 그는 직기와 신기의 창작기교를 잘 활용하였다. 원굉도는 유람과정에 눈앞에 보인 산수자연에 대한 감상을 직기와 신기의 창작기교를 활용하여 자유스런 사유를 통해 대비(對比) 대우(對偶) 배비(排比) 과장(誇張) 등의 다양한 수사기교를 사용하여 예술성 있는 유기산문을 창작하였다. 이리하여 원굉도의 유기산문에는 작품 서술과 표현 면에서 수준 높은 다양한 수사기교가 잘 반영되어 있다. 원굉도 유기산문의 서술적 표현에 보이는 직기와 신기의 창작방법에 바탕하여 활용되어진 대비 대우 배비 과장 등의 주요 수사기교를 살펴보면 원굉도 문학 창작이론과 기교는 물론이고 유기산문의 높은 예술적 수준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박태원의 외국문학 독서 체험과 ‘기교’의 탄생

        김미지(Kim, Mi Ji) 구보학회 2010 구보학보 Vol.5 No.-

        Novelist Park Tae-Won is a leading modernist and technician of the 1930s. How was the technician born in colonial period? It is a question not only for Park Tae-Won but also for most of modernists in those day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building of one novelist by examining Park’s reading experience of foreign literary works. During the 1920s, Park Tae-Won had made a great effort to read foreign literature and had started to write shot stories. In his training days as a novelist, he read huge amount of literary works from various foreign countries. But unfortunately the books which he read was works of Japanese translation. He read selected works and anthologies from Japan. In this study, it has been traced the list of books which he read and supposed the form of the books. The work was possible only because Park Tae-Won had written about his reading experience very concretely. According to his documents about reading foreign literary works, he especially loved English literature. Then he had tried to translate a few English works, for example Ernest Hemingway’s “The killers”, Katherine Mansfield’s “A cup of tea”, and had published these works in newspaper. At the same time he had written several short stories his own, then the works of his early days had many signs and marks of foreign literature especially in style. 본 논문은 박태원 문학의 ‘기교’ 문제에 접근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박태원의 습작기 체험 가운데 특히 외국문학 독서에 주목하였다. 1930년대 모더니스트로서 박태원은 ‘기교의 작가’라는 정평을 얻음과 동시에 ‘기교주의자’라는 폄하에도 직면했는데, 고평이든 폄하든 그가 탁월한 기교를 구사하고 창조한 작가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는 듯하다. 그리고 ‘세련된’, ‘새로운’과 같은 수식어가 따라붙는 그의 문체와 스타일은 월북 이후에도 계속된 그의 작가 활동 전체를 꿰뚫고 있는 흔들리지 않는 원리이기도 하다. 본고는 그의 기교의 세계가 문학청년 시절이자 습작기인 1920년대 중후반 동시대 최고 수준의 세계 문학과의 만남을 통해 촉발되고 형성되었다고 보고, 그 시기 그의 외국문학 독서 체험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행하였다. 박태원의의 학창시절 그리고 습작시절(1922~1929)은 일본의 외국문학 수용과 출판이 절정에 달하는 시기와 겹쳐지며 식민지의 외국어 교육이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했던 때이기도 하다. 따라서 박태원을 비롯한 식민지의 작가들 역시 제국의 수준 높은 외국문학과 접촉할 기회가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이런 조건들이 식민지의 모더니스트를 키워낸 자양분이 되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일이다. 박태원은 특히 외국문학 독서 편력에 대한 기록들을 매우 많이 남겨놓고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실증적 접근이 매우 용이한 작가에 속한다. 본고에서는 일차적으로 박태원 소설의 기교가 마련되는 하나의 배경으로서 박태원의 독서체험을 실증적으로 재구성하는 밑그림을 그려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박태원의 습작기 흔적 가운데 하나인 영문학 번역 작업에 대한 연구를 후속 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Virtuosity of K-Pop through Culture and Arts Education

        Ae-Jin, Han 한국문화교육학회 201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virtuosity of K-pop through arts and culture education. The popularity of K-pop idol groups stemmed from their virtuoso dance and vocal performances but also their carefully constructed visual presentation or style—make-up, clothes, facial expressions, mood, physique and attitude. For instance, Korean cuteness (aegyo) gradually embedded itself in their attitudes and behaviours. Such training occurred within specific regimes run by the entertainment companies. Through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by the entertainment company, the trainee idols were thus indirectly, yet deliberately, ‘taught’ aegyo, through learning how to adopt specific facial expressions, hand gestures, body postures, manners and behavioural styles, and through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ir individual stage personae. The virtuosity of K-pop through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was examined by the tree aspects; training camp system, One Source Multi-Use (OSMU) strategy and an aesthetic style of aegyo. Through, a music video ‘Gee’ (2009) by K-pop idol group Girls’ Generation, this paper further examined how aegyo has made possible a produced form within K-pop idols’ virtuosity through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케이팝의 기교에 대해 논의하였다. 케이팝은 보컬과 댄스 기교 뿐만이 아니라, 아이돌의 스타일과 이미지, 메이크업, 외모, 및 태도 등과 같은 시각적인 부분까지 엔터테인먼트의 시스템에 의해 교육되어지고 있다. 합숙훈련 속에서 예술적 기교 및 단체생활과 집단의식을 배우며, 동시에 자신만의 돋보일 수 있는 개성을 나타내기 위한 기획된 이미지를 거듭 연습하게 된다. 본 연구는 첫째, 하나의 콘텐츠로 다양한 상품을 만들어낸다는 개념의 OSMU전략을 통해 케이팝의 기교를 분석하였고, 둘째, 합숙훈련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예로 걸그룹 소녀시대 ‘지(2009)’ 뮤직비디오를 통해 크라카우어의 ‘대중장식’의 개념을 적용하여 케이팝의 귀여움의 미학을 분석하였으며, 셋째,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케이팝 기교의 예로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애교와 의도적으로 훈련을 통해 몸에 내재된 애교를 분석하면서, 어떻게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케이팝의 기교가 만들어질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케이팝의 미적기교뿐 아니라 대중문화공연 분야에서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고, 이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케이팝과 대중문화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다.

      • KCI등재

        기교파라는 ‘권력’과 기교파이지 않을 ‘권리’ - 조선어 구어의 ‘노래’를 찾아가는 임화의 근대시 기획에 대하여

        조영복 상허학회 2016 상허학보 Vol.47 No.-

        ‘Technists’ imply discontinuity and non-homogeneity both terminologically and historically; it is an another strategy of enonciation. If the ‘technique’ is substituted to the ‘technology,’ the value-neutral word, this ‘technology’s searching process is the one of modern poetry’s style for the melodic execution of Chosuneo spoken language. Lim hwa, who had criticized Modernism and Technicalism as the leading theorist of KAPF, could reorganize the history of modern poetry in terms of objectivity and reflection beyond dogmatic prejudice. On the history of it, the authority as Technists must be changed to the right of Technicians. Writing the history of literature, he approached the music of Chosuneo spoken language as poem’s describing problem; it shows the aspect of poet-technician deviant of self-contradiction. ‘How could you write the poem so well with Chosuneo spoken language?’ When it comes to this problem, Kim kirim, Park yongchul, even Lim hwa had not been in outside the border of Technicalism. Lim hwa had had big interest in sense problem of Chosuneo. Lim hwa’s active assessment to the new generation of end of Japanese imperialism(O Janghwan, Kim kwangkyun, Seo jungju, Yoon konkang etc.) also has relationship with the language(technology)’s problem; this rising poets’ role model were older ones, who had realized a sense of beauty of everyday words and natural Chosuneo so excellently. If Chosuneo spoken language’s melodical execution and succession take place in modern poetry’s syntactic plan, rising poets also were located in the structure of the plan. In this viewpoint, relationship between Kim uk, Kim kirim, and Lim hwa makes the discussion of the argument of Technists’ authority meaningless. Just the noble plan of modern poetry as the completion of Chosuneo poem could replace the role of this ‘authority’. 자명성(自明性)은 성찰의 조건이기보다는 오히려 망각의 조건이다. 그것은 문학적 ‘사건’이 발생한 당대와 그것을 해석하는 현재 사이의 ‘역사적 거리’가 간과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조선어’ 문제는 언문일치와 시적 기술(技術) 문제의 핵심임에도 불구하고 문학사적 ‘사건’으로서의 중요성이 그다지 부여되지 않는다. 연구자의 현재적 관심사로부터 벗어나 있기 때문이다. 임화는 문학사를 서술하면서 시의 ‘기술(技術)’ 문제, 즉 조선어 및 조선어 구어의 음악(음률, 노래)성 실현이라는 관점을 견지하게 되는데, 이는 ‘기교주의’에 대한 비판과 자가당착으로부터 벗어나 ‘시인-기술가(技術家)’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말하듯 자연스럽게 어떻게 시를 조선어로 잘 쓸 것인가?’ 이 문제에 관한 한 김기림, 박용철, 심지어 임화까지도 이 ‘기교주의’의 경계선 밖에 있지 않았다. 임화는 일제 말기 문학사 서술이나 평문에서는 이상의 ‘데카당적 경향’까지도 그 성과를 인정할 정도로 조선어와 언어적 감각에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인다. 일제 말기 신세대 시인들, 오장환, 김광균, 서정주, 윤곤강 등에 대한 임화의 적극적인 평가 역시 ‘언어(기술)’ 문제와 무관하지 않은데, 이 신진시인들의 이른바 ‘롤모델’은 일상어의 미감과 자연스런 조선어를 구사한 선배시인들이었다. ‘기교주의 논쟁’의 핵심은 조선어 시의 ‘기술’ 문제였다. ‘기교’는 불연속성과 불균질성을 내포한 개념인데, ‘기교(파)’에 대한 용어학적 판단 부재가 이 논쟁의 맥락을 공소하게 만든 요인이다. ‘기교’를 가치중립적인 용어 ‘기술’로 대체한다면 이 ‘기술’의 탐색 과정은 곧 ‘조선어 구어의 음률적 실행’을 위한 근대시 양식의 모색과정인 것이다. 카프문단의 주도적 이론가로서 모더니즘파, 기교주의파를 비판하던 임화는 이 ‘기술가’의 관점에서는 경험적, 충동적, 문단적 이해관계와 도그마적 편견들을 넘어서서 보다 객관적이고 성찰적인 관점에서 근대시사를 재편할 수 있었다. 근대시사상 ‘기교(파)’라는 ‘권력’은 ‘기술(가)’의 ‘권리’로 대체되어야 하는 것이었다. 근대시의 통사적 기획을 ‘조선어 구어의 음률적 실행 및 계승’에 둔다면, 김억으로부터 임화를 거쳐 정지용과 김기림, 그리고 1930년대 대거 등장하는 신진시인들까지 이 ‘기획의 구도’ 안에 존재한다. 임화가 정초하고자 했던 조선 신문학사의 정점에는 ‘조선어’라는 항이 중요하게 놓이는데, ‘근대시’는 이 조선어 시의 양식을 고구하는 문제와 분리될 수 없다. 시의 음악성을 최대한 구현하는 조선어 구어(일상어)의 운용, 곧 언어 기술(技術)의 문제는 문단 ‘권력론’이나 유파를 뛰어넘어 존재하는 근대시학의 핵심 사안이었다. ‘조선어’ 시(가)의 완성이라는 근대시의 숭고한 기획만이 그 ‘권력’의 자리를 대신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매혹의 영화의 현실재현적 특성: 초기기교와 디지털 시각효과의 비교

        류재형 ( Jae Hyung Ryu )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2012 언론문화연구 Vol.19 No.-

        초기 영화시절의 특수효과인 기교와 첨단의 3-D CGI를 동반하는 당대 특수효과는 그들이 사용된 영화를 ‘매혹의 영화’로 만드는 측면에서 맥을 같이 하지만 그들의 현실구성과 기술에 대한 시각은 서로 상반되는 듯하다. 첫째, 초기 기교영화는 그 기교가 관객에게 마술의 일종으로 재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카메라 앞에서 물리적으로 실제 벌어지는 사건을 보여주었으나 3-D CGI는 지각적 리얼리티를 제고하기 위해 컴퓨터를 동원하는 인공적 리얼리티를 재현한다. 즉, 초기 기교영화와 할리우드 SF 블록버스터가 재현하는 특수효과 모두 동시대 뉴미디어가 관객에게 제공하는 문화적 즐거움이라는 동일한 목적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두 특수효과에 의해 재현되는 리얼리티의 특징들은 실제 세상에 참조물이 존재하는가의 측면에서 상반된다 하겠다. 둘째, 이와 더불어 초기 기교영화와 최근의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는 특수효과에 의해 생산되는 리얼리티의 미학과 기능이라는 측면에서 또한 다소 상이하다. 초기 영화의 마술 같은 내지는 마술을 재현하는 장면들과 이를 구현하는 단순한 기교들은 내러티브로부터 관객을 소외시키는 기능을 하는 반면, 할리우드의 디지털 특수효과는 내러티브에 대한 관객의 감정이입을 촉진시키는 경향을 보인다. The early special effects of trick and contemporary special effects, accompanied by the cutting edge of 3-D computer generated imagery (CGI), share the same vein as the aspects of the cinema of attractions. However, their realities and their visions of technology seem to stand facing opposite directions. First, the early trick films show the real events physically presented in front of the camera, despite the fact that the tricks are shown as magic; in contrast, 3-D CG draws an artificial reality using computers to increase perceptive reality. Even if both special effects of the early trick films and Hollywood SF have the same goal of cultural pleasure that contemporary new media offer to the audiences, the features of the realities created by the two special effects are opposite in terms of existence of references in the real world. Second, the aesthetics and functions of realities generated by special effects are somewhat different between the early trick films and recent Hollywood blockbusters. The magic scenes and simple tricks of early films serve to alienate the audiences from the narrative; however, the digital effects of Hollywood function as a catalyst of empathy.

      • KCI등재

        「國葬」의 表現技巧 分析

        황현국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9 東洋學 Vol.0 No.76

        This paper analyzed the expressive technique of the author used in the short novel Guozang (「國葬」) of Pai Hsien-Yung(白先勇:1937~) to examine its artistic achievement in detail. Guozang(「國葬」) is a work published in 1971 through Xiandaiwenxue(『現代文學』)(第43期) and is included in the novel’s book Taibeiren (『臺北人』). Taibeiren (『臺北人』) is a collection of 14 short stories published between 1965 and 1971. Guozang is the last part of Taibeiren (『臺北人』). The status and significance of TaiBeiren is worthy of caution regardless of its shortness of the novel. Guozang’s main character is the army lieutenant general LiHaoRan. In the novel, the author made the appearance of his deputy, QinYiFang(秦義方), who lived closely with LiHaoRan(李浩然) for 30 years, describing LiHaoRan(李浩然) mainly through his inner world. Guozang used a variety point of view, not a single point of view. An omniscient viewpoint of secondary character is added to an omniscient viewpoint of the writer, the traditional technique of Chinese literature. These two narratives were combined or inserted into each other in Guozang(「國葬」). Guozang can be said to be a miniature of the history of the Republic of China in LiHaoRan’s lifetime. The use of refined languages from authentic precedents, such as “funeral oration” and “Elegy,” has a good narrative effect to capture such a large history in short stories. The author has worked effectively on this method of narrative. Guozang(「國葬」) focuses on the description of scene and the recollection of a secondary figure. Pai Hsien-Yung(白先勇) combined the merits of Chinese and Western novels through Guozang (「國葬」), displaying his mature creative technique without regret. The operation at the appropriate point of view, the expressive power of skilled verbal description, and the ‘flow of consciousness’ technique were effectively used to achieve great results. The characteristic shown in Guozang’s expressive technique is the successful use of expression techniques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ethnicity by merging the techniques of Western novels on the basis of Chinese literary tradition. 이 논문은 白先勇(1937~)의 단편소설 「國葬」에서 사용된 작가의 표현기교를 분석하여 그 예술적 성취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國葬」은 1971년에 『現代文學』(第43期)을 통해 발표된 작품으로 소설집 『臺北 人』에 수록되어 있다. 『臺北人』은 1965년부터 1971년 사이에 발표한 14편의 단편소설로 이루어진 소설집이다. 「國葬」은 『臺北人』의 마지막 작품이다. 편폭(篇幅)이 매우 짧은 소설이나 독립성을 갖추고 있어 단독으로존재할 수 있는 훌륭한 작품으로 『臺北人』에서 차지하는 지위와 의의는 주의할만하다. 「國葬」의 주인공은 고인이 된 육군 중장 李浩然 장군이다. 작가는 소설에서 삼십 년 동안 李浩然과 밀접하게 생활한 부관 秦義方을 등장케 하여 주로 그의 내면세계를 통해 李浩然을 묘사했다. 「國葬」의 서술 시점의운용은 단일시점이 아니라 다양한 시점을 사용하였다. 중국 전통기법인 삼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 속에 부차적인물의 삼인칭 시점을 보탠 것으로 이 두 가지의 서술 시점이 서로 결합하거나 삽입하여 운용하는 기법을 사용하였다. 「國葬」은 중화민국의 역사를 李浩然의 일생에 축소하여 담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단편소설에서 이렇게큰 역사를 담으려면 중국 문학 전고를 사용한 祭文과 輓詞와 같은 정제된 언어의 사용은 좋은 서술 효과가 있다. 작가는 이 서술방법을 효과적으로 잘 운용하였다. 「國葬」은 정경의 묘사와 부차적 인물의 회상을 위주로서술하였다. 白先勇은 「國葬」을 통하여 중·서 소설의 장점을 결합하여 자신의 성숙한 창작기교를 유감없이 발휘하였다. 적절한 서술 시점의 운용과 숙련된 언어묘사의 표현력, 그리고 ‘의식의 흐름’ 기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큰 성과를 거두었다. 「國葬」의 표현기교에 나타난 특징은 중국 문학 전통의 기초 위에 서양 소설의 기교를 융합시켜 민족 특색을 살린 표현기법을 성공적으로 사용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필자는 『臺北人』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서 진행해왔다. 『臺北人』의 종합적인 분석에 이어서 『遊園驚夢』, 「花橋榮記」, 「孤戀花」, 「梁父吟」 등 작품을 분석하였다. 다시 『臺北人』의 마지막을 장식한 「國葬」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臺北人』의 전반적인 연구에 일조를 꾀하고자 한다.

      • 번역에서 개념범주의 구분과 상호 관련성—번역 리론, 전략, 방법, 기교를 둘러싸고

        김창진(金昌珍)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0 중국조선어문 Vol.228 No.-

        번역리론은 번역실천으로부터 개괄해낸 관련 지식의 체계화된 결론 및 번역 관련 현상이거나 본질에 대한 체계화된 기술이고 설명이다. 번역전략은 일반적으로 문화에 대한 적용 즉 번역자가 출발어문화에 대한 취사와 선택을 구현한다. 또한 직역, 의역 등 번역방법은 이러한 번역전략을 시달하기 위한 구체수단에 해당하며 언어형식에 관련된다. 주석달기, 증역, 감역, 어순변경 등 번역기교는 번역방법을 언어형식으로 조절할 때 역자가 사용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번역에서는 대체로 리론, 전략, 방법, 기교의 우로부터 아래로 되는 순으로 그 개념범주의 순위를 정리해볼 수 있으며 번역작업은 이를 념두에 두고 수행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