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험학습 모형의 고찰을 통한 과학체험학습의 운영에 관한 연구

        권난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교육논총 Vol.43 No.1

        학교교육과 학교밖 교육을 어떻게 짜임새 있게 연결하며 체험학습을 어떻게 계획 운영하는지에 따라 교육적 효과는 큰 차이를보인다. 본 연구는 범교과 체험학습 모형과 과학교과 체험학습 모형에 대한 선행연구를 상호비교함으로써 과학체험학습의 운영에관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체험학습 모형 4개와 과학관 놀이-학습 모형, RSM 탐방 모형을 살펴보고,공통점과 차이점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체험학습은 공통적으로 3가지 단계의 흐름으로 준비, 실행, 평가되고 있었다. 단계의 구분은연구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였지만, 전체적인 흐름은 일치하여 사전활동 단계, 현장학습 단계, 사후활동 단계로 진행되고있다. 다만, 범교과 체험학습 모형에서는 과학교과가 가진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으며, 과학교과 체험학습 모형에서는사전활동 단계와 사후활동 단계를 심도 있게 다루고 있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범교과 체험학습 모형의 큰 틀은 유지하여사전활동과 사후활동도 유기적으로 다루어야 하며, 과학교과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탐구활동과 활동장소에 대한 연구를 통해과학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활동전략의 개발과 연구가 필요해 보였다. 이에 자유탐구 수업방법을 토대로 일반적 과학체험학습 활동전략을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다양한 과학체험학습의 활동전략의 개발과 운영은 학생들에게 흥미로운 직접 경험의 기회를 제공해 줄것으로 기대하며, 학생들이 과학에 대한 흥미와 활동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고 실제적인 탐구수행이 가능할 것이다.

      • 초등학교 과학에서 자연체험학습자료 개발과 적용효과에 대한 정성적 분석

        김효남 ( Hyo-nam Kim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24 No.2

        초등학교에서 기본적인 과학 교수학습방법 중 하나가 자연체험학습이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자연체험학습활동의 유형을 제시하고, 자연체험학습활동지를 개발하여,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한 다음 그 학습 효과를 분석하였다. 자연체험학습활동의 유형은 과학교수학습이론을 바탕으로 도출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 학생 2명과 4학년 학생 1명으로 구성된 A팀과 4학년 학생 13명으로 구성된 B팀이 있다. A팀에는 나무체험활동지, QR코드 활용 나무활동지, 물의 순환활동지를 적용하였다. B팀은 꽃-초본활동지, 열매활동지를 적용하였다. 학생들이 자연체험하면서 작성한 자연체험학습활동지, 지도교사의 지도일지, 연구대상 학생들의 소감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연체험학습활동의 유형은 서술적, 발견적, 가설연역적, 그리고 제작과 생산 강조의 자연체험학습활동과, 교육목표별, 역량목표별, 오감별, 과학적 탐구능력별, 학습주제별 자연체험학습활동을 제시하였다. 자연학습자료는 교수자료와 학습자료로 나누고, 각각 사전, 현장, 사후자료를 고려하여 개발하였다. 자연체험학습활동의 효과는 자연과 과학학습에 대한 관심 증진과 함께 과학 지식 습득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였다. 특히 자연체험 대상에 관한 사전자료는 일종의 초인지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Nature experiential learning is a fundamental method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t elementary schools. Various types of nature experiential learning were suggested. Nature experiential learning worksheet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first and fourth 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the effects of the activities with the nature experiential learning worksheets applied, teacher’ note and opinion of students were analyzed. Descriptive, discovery, hypotheses deductive, and production emphasizing nature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activities according to educational objectives, core competencies, five senses emphasized, scientific inquiries and science topic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that the concerns of students about nature and science learning, and interest in obtaining science knowledge were increased. Specially pre-learning materials triggered meta-cognition about on-site experiential learning.

      • KCI등재

        세계문화유산 양동마을에서의 과학 학습:

        김미경(Kim Mi kyoung),신동희(Shin Do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7

        본 연구는 세계문화유산인 양동마을을 활용한 과학 현장 체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탐구 활동의 도구로서 스마트 기기와 측정 도구가 학습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양동마을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현장 체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양동마을 현장을 직접 방문하면서 사전 학습, 현장 체험 학습, 사후 학습으로 구성된 양동마을 과학 현장 체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서울 지역 한 대학교에서 운영하는 과학 교실에 다니는 18명의 중학교 1·2학년 학생들에게 개발된 체험 학습프로그램을 적용했다. 모든 수업 과정과 면담 과정을 녹화했으며, 사전·사후 조사지, 면담 전 조사지, 학생들의 활동지, 발표 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했다. 스마트 기기를 사용한 모둠은 자동 측정이 되는 스마트 기기 때문에 측정 활동이 약화된 과학 학습을 경험했다. 문화 유산은 자신이 배운 내용을 직접 확인하고 정서적 학습을 경험하는 공간이었다. 스마트 기기를 사용한 모둠은 문화 유산이 강조된 과학 학습을 경험했다. 이에 학생들은 양동마을의 자연 환경보다는 사회·문화적 내용을 중심으로 지식을 형성했고, 양동마을에 대한 자신만의 장소감을 가졌다. 측정 도구를 사용한 모둠은 기온, 풍향과 풍속 등 자연 환경요소를 반복적으로 측정하면서 측정 활동이 강조된 과학 학습을 경험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측정 결과를 자기화했고, 새롭게 형성된 지식에서 양동마을의 자연 환경이 중심 내용이었다. 학생들은 양동마을을 종합적으로 이해했다. 측정 도구를 사용한 모둠은 문화 유산인 양동마을에서 과학 활동 위주의 과학을 학습했다. 학생들은 문화 유산 현장을 다양한 감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교육 공간으로 인식했고, 양동마을의 문화 경험에서 부족함을 느꼈다. 추후 문화 유산에서 이루어지는 스마트 기기 활용 과학 교육의 의미와 한계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in science using Yangdong Village which is a world cultural heritage and to confirm its educational effect. We analyzed the effects of smart devices and measurement tools on learning process as a tool of inquiry activities. We developed the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of Yangdong village which consists of pre-study, on-site experience learning, and post-learning by analyzing the previous research and visiting the Yangdong Village several times. We applied the program to 18 middle schoolers in a science classroom hosted by a university in Seoul. We recorded all classes and interviews, and collected and analyzed pre- and post-surveys, pre-interview surveys, student activities, and presentations. The team using the smart device experienced a science lesson in which the measurement activity was weakened by the smart device that was being measured automatically. Cultural heritage was a place to directly learn what they learned and experience emotional learning. It was a place to directly learn what they learned and experienced emotional learning. Using the smart device, the team experienced science learning that emphasized cultural heritage. The students built knowledge based on social and cultural contents rather than natural environment of Yangdong Village, and had their own sense of place in Yangdong Village. Using the measurement tools, the team experienced science learning where measurement activities were emphasized by repeatedly measuring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n this process, the students self-measured the results, and in the newly built knowledge, the natural environment of Yangdong Village was the central contents. Students ma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Yangdong Village. Using the measurement tools, the team experienced science-oriented learning at Yangdong Village, a cultural heritage site. The students recognized the cultural heritage site as an educational space where they could experience various senses, and felt the lack of culture experience in Yangdong Village.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science education using smart devices in the cultural heritage site in the future.

      • KCI등재

        초점집단 면담을 통한 초등교사의 과학 체험학습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권혁재 ( Hyeokjae Kwon ),강헌태 ( Hountae Kang ),성혜진 ( Hyejin Seong ),전상일 ( Sangil Gen ),권난주 ( Nanjoo Kwon ),신영준 ( Youngjoon Shi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科學敎育硏究誌 Vol.42 No.2

        연구의 목적은 과학 체험학습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초등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학교 현장의 분위기를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과학 체험학습의 활동 경험이 풍부한 5명의 초등교사와 초점집단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체험학습의 운영실태, 과학체험학습의 운영, 계획 수립 및 진행, 평가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예산에 대한 고민을 가장 먼저 꼽았으며, 과학교과와 연계하여 체험학습을 운영하고자 하는 경우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하여 부담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과학 체험학습시 과학지식에 대한 전문적 이해가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과학교과 전담 교사가 있을 경우 협업의 어려움을 꼽았다. 전체적으로 과학 체험학습의 교육적 효과보다 예산이나 장소, 행정적 편의성 등을 먼저 고려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체험학습 주제 선정과 방법, 교육적 기대효과, 고민사항을 확인한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face and the atmosphere of school fields in depth in the course of conducting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For this study,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had rich experiences in science field studies. Through interviews, the actual state of experiential learning operation, the operation of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including planning, progress and evaluation of experiential learning oper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eachers were most concerned about budget, and were burdened with curriculum reconstruction for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In addition, teachers expressed their lack of expert scientific knowledge with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and difficulties with collaboration with science-specialized teachers. In sum, teachers consider budget, site, and administrative convenience first, rather than effects of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selection of topics, methods, educational expectations, and problems of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topics, which were difficult to identify in previous studies.

      • 과학관 체험학습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 과학관 체험학습 실태와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

        문재원,나지연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6 No.-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의 과학관 체험학습 실행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 교사들이 생각하는 과학관 체험학습 활성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심층 면담(6인)과 설문 조사(188명)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82%가 사전교육을 실행하고 있지만 52.2%의 교사만이 활동 중 과제 및 활동지 제시와 사후교육을 실시한다고 하였다. 사전교육의 경우에도 과학관 안내 및 전시물 소개와 안전교육에 집중되어 있어 과학관 교수ㆍ학습 특징이 일회성 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육과정 내용과 긴밀한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교사들은 과학관 체험학습에서 주로 요구되는 전문성 요소에서 ‘과학적 지식’에 가장 낮은 중요도를 보였고, ‘안전 및 생활 지도’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과학해설사의 전문성은 ‘과학적 지식’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며, ‘안내 및 생활 지도’에 가장 낮은 중요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들은 과학해설사와 교사의 역할을 다르게 보고 있으며, 이러한 교사들의 인식을 고려한 지원과 효과적인 과학관 관람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교사들은 과학관에서의 체험학습 지원 방법으로 근거리 소규모 과학관 설립, 이동 과학관 지원, 과학해설사와의 협업 지원, 교사 연수 지원 순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특히 교사들은 과학관에서는 소규모 교육이 가능한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기를 가장 원했다. 넷째, 교사 연수 지원과 관련하여 연수 내용은 과학관 직접 체험과 수업에 직접 적용 가능한 수업 사례를 선호하였으며, 강사로는 과학해설사와 현장 교사를 선호하였다. 연수 주관 기관으로는 과학관을 선호했으며, 2~3회 1일 4시간의 연수를 여름 방학이나 겨울 방학 기간 진행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 자연체험학습의 철학적 역사적 배경과 과학과 핵심역량의 함양 가능성

        김효남 ( Hyo-nam Kim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2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자연체험학습의 철학적 역사적 배경을 찾고 자연체험학습에 의한 과학과 핵심역량의 함양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는 주로 문헌연구에 의한 것이다. 자연체험학습은 아리스토텔레스, 코메니우스, 루소, 페스탈로찌, 헤르바르트, 듀이에서 찾을 수 있었다. 자연체험학습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학생들이 자연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된다. 학생들의 관찰하기, 측정하기, 분류하기, 추리하기와 같은 과학적 탐구능력이 자연체험학습에 의하여 증진된다. 자연체험학습은 특정 시간과 특정 장소라는 자연적 상황을 교실밖 환경 속에 존재하는 학생의 학습과정에 제공한다. 제공된 자연적 상황은 사실적 개념적 지식의 기억과 학생의 과학적 흥미와 과학적 태도와 같은 과학 정의적 영역에 의미 있게 작용될 것이다. 상황에 기반을 두고 과학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에 효과적일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seeking the philosoph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out-door science learning and exploring of the possibility of science core competency development by out-door science learning. Out-door science learning is originated from Aristotle, followed by Comenius, Rousseau, Pestalozzi, Herbart and Dewey. Concern to nature is mostly developed by out-door science learning effectively.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especially such as observing, measuring, classifying and inferring are increased through out-door science learning. Out-door science learning provide the context to the learning process, which occurs to the student at out-door natural environment. The context provided is operated meaningfully to the memory of factual or conceptual knowledge and to the science affective domain of science learning such as science interest or scientific attitude of student. Achieving science educational objectives contextually could provide effectiveness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core competencies.

      • KCI등재

        시화호 조력발전소를 활용한 초등 환경과학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체험장소 및 교육과정 분석

        정성환,권난주 한국환경교육학회 2020 環境 敎育 Vol.33 No.3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has been more focuses on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under low carbon energy policies of government. Some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experiential learning, whereas it is common to keep the current programs in classrooms. In the Sihwa tidal power plant, there are various suitable conditions for experiential learning. First, the previous studies were divided into three fields; (1) science and engineering, (2) environment, and (3) urban and residential space formation. After that, we made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s associated with core concepts in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Lastly,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s including topics and core concepts were developed for not only the activity but also the pre- and post-activity. Moreover, it is more likely to expect better learning performance if involved in long-term tasks, like project-based learning. It is necessary to fully utilize community resources and to make creative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s by utilizing new types of place for improving the current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s. 정부의 저탄소 에너지 정책 기조와 함께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도 환경 교육의 중요성과 비중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체험학습을 통한 환경 교육의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교육현장에서는 정형화되고 기존의 프로그램을 답습하는 경향도 나타난다. 시화호 조력발전소는 체험학습 장소로서 적합한 조건들을 갖추고 있으며, 시화호 조력발전소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과학․공학 측면, 환경 측면, 도시․주거 공간 형성의 측면으로 분류하고 범주화하여 초등학교 과학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개념과 연계된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의미 있는 체험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현장 학습뿐만 아니라, 사전 활동 및 사후 활동 단계에서도 체험학습 주제 및 핵심 개념에 초점을 맞춘 활동을 구성하였으며, 향후 프로젝트 학습과 같이 장기적인 학습 과제를 제시한다면 보다 심화된 학습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정형화된 체험학습 내용을 개선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새로운 유형의 장소를 활용하여 창의적인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지역 자원을 활용한 체험 기반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과학영재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안근재(Ahn, Keunjae),강경희(Kang, Kyunghee)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0 과학영재교육 Vol.1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 자원을 활용한 체험형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이 프로그램이 초·중등 과학영재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계지질공원 등 제주 지역의 지역 자원을 활용한 체험형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J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초·중등 과학영재 79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이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에 따라 진행되었다. 초·중등 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 과학적 태도와 과학 관련 태도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과학적 태도에 대한 t-test 결과 사전 사후검사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과학적 태도 하위 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 개방성, 계속성, 비판성, 객관성, 협동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 관련 태도에 대한 t-test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지역 자원을 활용한 체험형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과학영재들의 과학적 태도 함양에 효과적임을 나타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xperience-based education programs for gifted students using local resources. It is also to examine the impact of this program on the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ce related attitud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gifted students. For this study, an experience-based gifted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hat utilizes local resources in the Jeju region such as World Geopark. In addition, the program was applied to 79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t the J University s Institute of Science and Gifted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single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Pre-test and post-test of scientific attitudes and science related attitudes was conducted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The t-test results for scientific attitud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particular, the analysis of the sub-area of scientific attitude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openness, continuousness criticalness, objectivity and cooperation.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test on science related attitu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xperience-based education program for gifted students utilizing local resources is effective in cultivating scientific attitudes of the gifted.

      • KCI등재

        과학관 활용 조사를 통한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 방안

        류지영 ( Ryu Jiyoung ),김미진 ( Kim Mi J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대표적 학교밖 과학교육기관이자 현장체험학습이나 자유학기제 등으로 많은 학생들이 방문하는 과학관을 학교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살펴 본 다음, 과학관을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체험 장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과학관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사들의 과학관 교육 활용 현황에 대한 선행연구와 설문을 실시하였는데, 교사들은 과학관을 방문하기 전에 과학관 전시물에 대한 사전 조사를 하며, 과학관에서는 전문해설사의 설명이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교사들은 과학관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게 해 주는 기관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여러 자료와 정보를 바탕으로 학생-교사-과학관이 상호 연계된 학교 교육과정 연계 과학관 교육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교육모델이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과학관 전시물과 학교 교육과정을 연계한 자료들과 활동지들이 개발되어야 하고, 개발된 정보들은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에 탑재되도록 제안하였다. 또한 보다 효과적인 과학관 교육 모델이 되기 위해서는 과학관에서 교사들을 직접 연수하는 방안도 고려하여야 하며, 이 모델이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와 지식형성 등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in science museum for teachers and students who visited a science museum during school trips. To achieve the purpose, we examined how science museum which was regarded as the best out-of-school learning place for experiencing a science, was used as an educational purpose by school teachers. 245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a survey study. Based on this survey and previous literature review, we found out that teachers studied about the science museum and museum displays before visiting, and they prefer museum docent`s guide. Teachers regard the science museum as unofficial institute to improve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in science, and students`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Based on these results, we developed a science museum education model. The model suggest to cooperate school teachers, students, and museum to link museum display and school curriculum. For the best result of this model, science museum needs to develop educational resources and materials linking science museum with science curriculum and upload those to museum homepage for teachers and students. Teachers training program for science teachers in science museum are also needed. The following research on examining the effects of this model is highly recommended.

      • KCI등재후보

        초등과학 지질 관련 단원의 학습에 적합한 제주도 체험학습장 개발-"지층과 화석" 단원을 중심으로-

        김덕호 ( Deok Ho Kim ),홍승호 ( Seung Ho Ho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 지질 관련 단원의 학습에 적합한 제주도의 체험학습장을 개발하여지질 현상을 소개하는 것이다. 조사된 14곳 중에서 적합하다고 판단된 성산일출봉~신양리층 구간, 서귀포층, 송악산~용머리해안 구간 그리고 수월봉을 중심으로 지질 현상을 분석하였다. 이 네 곳에서는 바다에 의한 풍화, 여러 가지 지층, 퇴적암 및 화석을 관찰할 수 있고 화산활동으로 생긴 지형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교육과정 관련 단원의 학습 목표 달성에 적합한 장소로 판단되었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된 삽화 및 학습 내용을 제주도에서 조사된 네 곳의 지질 현상에 대한 설명과 함께 학습 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지질 현상은 초등과학 지질 관련 단원에 제시된 삽화와 유사한 곳이 많기 때문에 효과적인 대체 체험학습장이 될 수 있으며, 현장 체험학습과 연계하여 초등학생들에게 구체적인 학습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교육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regional field learning area of geology units in elementary science. Among fourteen places of investigation, Seongsan Ilchulbong~Sinyang-ri formation, Seogwipo formation, Songaksan~ Yongmeori cliffs, and Suwolbong of Jeju-do were selected as suitable places for field experience learning, and analyzed the geological features. In those places can be observed the weathering by the sea, various strata, sedimentary rocks, and fossils. In addition, the places are formed by volcanic activity, it was considered on proper places to achieve the learning objective of geology units in curriculum. Also, it is to develop alternative learning materials for regional geology that can be observed the geological phenomenon, after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to pictures and learning contents of textbooks in four places. Because the geological phenomenon that be observed in this study is similar to pictures in geology units, it can be effective alternative field learning area. We proposed the educational direction that can be provided with specific learning material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connecting field experience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