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여성선교사의 교육선교

        박보경(Bo Kyoung Park)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6 선교와 신학 Vol.40 No.-

        본 연구는 한국 여성선교사들의 교육 선교에서 주목할 만한 사역의 결과를 거둔 세 명의 여성선교사의 사역을 조명하여 그들의 사역 성공의 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세 명 여성선교사의 회심 경험이 실제로 사역 성공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이 된 세 명의 사례는 모두 25년 이상의 교육 사역 경험을 가진 여성선교사들로서 본인이 세운 학교에서 장기간 최고의 리더십을 발휘하였고, 그 결과 대단한 구체적 성과를 이룩하였다. 무엇이 이들의 구체적 성과를 가능하게 하였는지 요인을 살피면서 필자는 먼저 회심의 새로운 정의를 시도하였다. 전통적으로 회심을 급격하고 순간적인 종교적 변화를 가져오는 경험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본 글에서는 보다 장기적이며, 심화한 깨달음의 단계로 들어가는 ‘강화’의 경험을 회심의 경험 안에 포함하였다. 이글은 이러한 형태의 회심을 ‘장기적, 점진적 회심’ 경험으로 규정한다. 이에 본 글은 세 명의 선교사 이야기에서 발견되는 장기적이며 점진적인 회심 경험이 실제 이들의 사역에 어떻게 공헌하였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세 가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여성선교사들의 사역 성공의 요인인 ‘장기적이며 점진적인 회심’ 경험은 이들이 역경과 장애물을 극복하고 지속해서 교육 사역을 수행할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하였다. 둘째, 여성선교사의 사역이 성공한 또 다른 요인은 이들의 과거 경험들이 현재의 교육행정업무와 서로 연관되어 긍정적으로 공헌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모두는 과거 자신들의 경험을 현재의 관점에서 해석하면서 의미부여를 하였다. 이것은 과거의 경험을 무의미한 경험이 아니라 현재의 교육 사역을 위한 준비과정으로 이해함으로써 현재 사역의 효율적 태도뿐 아니라 더욱 깊은 차원의 확신을 제공하였다. 셋째, 이들의 교육 선교가 큰 성과를 이룬 것은 선교지에서의 교육 선교의 특성과 자신들의 여성적 접근이 서로 잘 조화되었기 때문이었다. 이어서 이글은 여성선교사들의 효율적 사역을 위하여 네 가지를 제안한다. 첫째로 효과적인 사역을 위해 여성선교사들이 확고한 회심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의 영성 훈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여성선교사들이 자신들의 은사와 전문성이 충분히 발휘되는 선교사역으로 배치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셋째로 여성선교사의 사역 활성화를 위해서는 여성의 삶의 여정을 충분히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 넷째, 여성선교사들은 자신의 과거의 행적을 하나님의 인도하심이라는 관점에서 성찰하고 현재의 삶의 자리에서 감당해야 할 소명을 적극적으로 연결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KCI등재

        이케아 제품과 공간에 적용된 사용자 경험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형석(Hyung Seok Kim),김성훈(Sung Hoo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는 존 듀이(John Dewey)의 경험이론과 나단쉐드로프(Nathan Shedroff) 등의 선행연구를 통해, 경험(experience)과 사용자 경험디자인(User Experience Design)의 개념을 살펴보고 사용자 경험디자인의 관점에서 소비자의 경험과 참여의 상호작용이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사례로 2014년 12월 국내 진출예정으로 소비자 경험과 참여를 통해 성장한 스웨덴의 가구 제작 유통업체인 이케아(IKEA)를 선정하였다. 이케아 사례 중 경험과 사용자 경험디자인의 영역이 구체화 되어있고 타 브랜드와 분명한 차별화 요소를 가지고 있는 제품과 공간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를 소비자와의 상호작용과 본능적(visceral), 행동적(behavioral), 반성적(reflective) 경험의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용자 경험디자인의 네 가지 표현 요소인 감각의 참여성, 역동성, 연상성, 이벤트성을 적용하여 이케아 매장의 공간을 분석함으로써 소비자가 느끼는 참여와 경험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케아는 제품의 형태, 기능, 품질, 환경친화적 디자인 및 낮은 가격 등의 균형 잡힌 조화를 통해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소비자와 공급자, 환경, 문화 등의 상호작용에 관한 시뮬레이션을 거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케아 쇼룸(showroom)은 다양한 문화적 차이와 성향을 세심하게 구분하여 보여주고 있으며, 소비자는 구매욕구가 있는 제품을 주방, 거실 등 용도와 목적에따라 선택하였다. 소비자는 쇼룸을 통한 경험으로 자신의 구매의도와 상상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기억하며 적극적인 감정이입과 몰입을 이루었으며, 경험했던 것을 추후 다시 경험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험과 사용자 경험디자인의 사례로 선정된 이케아 제품과 공간에 한계를 두고 소비자와 경험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여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에 기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cept of experience and User Experience based on John Dewey’s theory of experience, Nathan Shedroff’s Experience Design, and several advanced studies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nsumers’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As an example, this study has examined the case of IKEA, the Sweden-based home furnishing company launching in Korea at the end of 2014, which has embodies experience and User Experience Design in its product and space and became one of the world’s largest furniture brands. The aspect of the product and the space of IKEA has been studied as they distinguishes the brand of IKEA from other furniture companies by demonstrating experience and Experience Design. The product of IKEA has been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teraction between consumers’ visceral, behavioral and reflective experience. And the space of IKEA’s showroom has been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customers’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by applying the four elements of User Experience Design, the recognition of five senses, the dynamic interaction, the association, the event.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is that IKEA has simulated consumers, suppliers, surroundings and cultural factors to satisfy customers by reaching an ideal balance between function, quality, eco-friendly design and low price. The IKEA’s showrooms tactfully visualize cultural diversities and characteristics and consumers choose showroom spaces such as kitchen and living room according to their intention of purchase. With their experiences in showrooms, they positively develop empathy and concentration by forming a resolve between their intention of purchase and expectation and try to experience what they have experienced afterwards. There are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is study investigated experience and Use Experience Design only in the case study of IKEA’s product and space to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consumer and experience.

      • KCI등재

        디지털 환경변화에 따른 옴니채널의 등장과 브랜드 경험

        김수진,김민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1

        Brand experience design is to give consumers experience with brand value and concept. It puts focus on the value of experience and helps to build a brand identity. As the value of experience increases, and as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has been accelerated by smart mobile devices including smart phones, tablets, and PCs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wireless internet and GPS, more people get interested in the experi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brand and consumers based on smart devices. And, these days, consumers of the digital generation do not simply purchase products, but they purchase products on smart devices to get experience and satisfaction. Also, they prefer interaction which is bilateral, active communication to unilateral, passive one. All these prove the importance of real experience. With these comes the OMNI-Channel, a platform which tears down the wall between on-line and off-line and enables consumers to experience a brand through purchase, distribution, and marketing in an integrative manner, which indicates a new possible experiential approach that allow us to differentiate our brand from other brands by using visual factors of the brand strategically. This study’s aim is to define the concept of brand experience design which is being newly formed based upon OMNI-Channel that uses every channel available including smart phones, PCs, and off-line shops so that consumer’s experience can continue seamlessly,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ous needs of consumers for experience and experience design by reviewing the related cases at home and abroad, to show how brand experience design has changed, and to provide a direction of development. 브랜드 경험이란, 브랜드의 가치와 개념에 상응되는 경험을 소비자들에게 전달하는 것으로, 경험(Experience)의 가치에 주목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을 돕고 있다. 경험의 가치가 높아짐과 동시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 기기가 무선인터넷, GPS와 같은 정보통신기술(ICT)을 통해 디지털 미디어(Digital Media)의 발달을 가속화시키며 소비 패러다임에 스마트 커머스(Smart Commerce)라는 큰 변화를 가져옴에 따라, 스마트 기기를 통한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관계와 경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대 소비자들이 단순 구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세대의 특성에 따라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자신의 경험과 주관적인 만족을 위해 소비하며 일방적 소통보다는 상호작용, 즉 직접 참여하여 교류하는 쌍방향의 능동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선호하면서 실질적인 경험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었다. 이런 흐름에 따라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를 허물고 쇼핑에서 유통, 마케팅까지 통틀어 하나의 브랜드를 통합적으로 소비자가 경험할 수 있게 해주는 플랫폼인 옴니채널(OMNI-Channel)이 등장하였고, 이는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채널들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타 브랜드와 차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경험적 접근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PC, 오프라인 매장 등 이용 가능한 모든 쇼핑 채널을 통하여 고객 경험이 끊이지 않게 집중하는 옴니채널을 기반으로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브랜드 경험의 개념을 정의하고 국내외 시도되고 있는 사례들을 통해 소비자의 다양한 경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는 옴니채널의 분류별 특징을 분석하여 변화하고 있는 브랜드 경험 전략과 그에 따른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학교폭력경험이 군 폭력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과 폭력허용도의 매개효과 - 학교폭력경험 유형간 비교를 중심으로 -

        김재엽(Kim JaeYop),장대연(Jang Dae Yeon),김수지(Kim Soo Ji),조현지(Cho Hyun Ji)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9 한국군사회복지학 Vol.12 No.1

        본 연구는 병사의 입대 전 학교폭력경험이 군 폭력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에서 폭력허용도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육군, 해군, 공군에 복무 중인 병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지각된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경험, 군 폭력가해 경험, 폭력허용도 등을 묻는 질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조사는 2016년 10월부터 2개월간 진행되었으며 996명의 응답을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위해 SPSS 25.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병사의 의 26.4%가 입대 전 학교폭력경험을 가지고 있었으며, 가‧피해 중복경험집단이 14.0%, 순수피해경험집단 5.5%, 순수가해경험 6.9%로 나타났다. 둘째, 군 폭력가해 경험은 전체의 11.3%이며, 입대 전 학교폭력경험 유형과 계급별로 군 폭력가해와 폭력허용도에 차이를 보였다. 셋째, 입대 전 학교폭력 피해‧가해‧중복피해경험 모두 군 폭력가해에 영향을 미치며 폭력허용도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군 내의 폭력 예방을 위한 군 정책의 실질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on military violence perpetration of duty service personnel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ceptability of violence. We selected soldiers from institutions (Army, Navy, Air Force) and conduct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on the participants.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wo months starting in October 2016, and we were able to collect a total of 996 responses. Date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5.0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ose who turned out to be bully-victims group was 14.0%. bully group was 6.9%, victims group was 5.5%.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chool violence exper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ilitary violence perpetration. Also, the acceptability of violence was found to partia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types of school violence and military violence perpetr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 policies and the necessity of social welfare intervention to prevent the military violence of soldier

      • KCI등재

        문학교육의 ‘경험’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및 교육 방안 연구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진솔(Jin, Sol)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1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8

        본 연구는 피상적이고 일회적인 독자의 경험을 다루는 문학수업에 문제의식을 지닌다. 문학교육에서 다뤄질 필요가 있는 ‘교육적 경험’이란 일차적 경험에 의미를 더하고 다음 경험의 방향을 결정할 능력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본고에서 초점을 맞추는 교육적 경험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험은 학습자와 환경 간 상호작용의 산물이고 이는 문학교육에서 궁극적인 목표이자 방법이 된다. 둘째, 과거의 경험이 현재의 교육 요소가 되고, 현재의 경험이 미래 교육에 활용될 수 있기에 경험은 유기적이며 계속적으로 일어난다. 셋째, 교육적 경험은 독자의 반성적 사고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고찰한 결과, 교육과 정에서 추상적인 경험 용어의 사용, 교과서에서 초점화하지 못한 일차적 경험 바탕의 교육 전개, 동기유발 중심의 단편적 활동 및 발문 제시의 한계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교육 방안으로 ‘작품 주제와 관련된 나의 경험 초점화’, ‘동일한 사건에 대한 작중인물과 나의 경험 비교’, ‘경험에 기반한 작품 감상 후 가치 내면화’를 제안한다. This study is problematic for literature classes dealing with superficial and one-time reader experiences. The “educational experience” that needs to be addressed in literature education is to add meaning to the first experience and increase the ability to decide the direction of the next experie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focused on in this study include: First, experience is the product of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the environment, which becomes the ultimate goal and method in literature education. Second, experience is organic and continuous because past experience becomes an element of education for the present, and current experience can be used for future education. Third, educational experience requires reflective thinking of the reader.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revealed the limitations of abstract experience terms in the curriculum, first experience-based educational development, motivation-oriented fragmentary activities, and presentation. To improve this, I propose “focusing my experience related to the theme of the work,” “comparing my experience with the same person on the same event,” and “internalizing the value after appreciating the work based on experience.”

      • KCI등재후보

        공동경험 구성과정에 대한 설명가능성 - 경험학습론과 공동체학습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경애(Kim Kyung-Ae) 한국평생교육학회 2007 평생교육학연구 Vol.13 No.1

          본 논의는 기존의 경험학습 논의가 경험의 중요한 속성인 상호작용성보다는 개인적인 반성을 강조하는 논의로 전개되어온 과정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공동체 학습론과 조직학습론에서 공동경험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포괄적으로 검토하였다. 공동체 학습론과 조직학습론을 통해 공동학습이 개인학습을 지원하면서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키는 차원, 대화와 협력을 통한 학습방법의 유용성, 공동학습을 통한 집단의 비전과 정체성 형성의 가능성, 개별경험의 차원으로 환원될 수 없는 공동학습의 차원 등이 밝혀졌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개인경험과 공동경험의 구분과 관계 규정 문제, 공동학습의 목적설정 문제, 공동학습에서 공유되어야 하는 것과 공유방법의 문제, 개인들의 기존경험을 뛰어넘는 혁신적 학습의 가능성을 모색해야 하는 것이 추가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본 논의는 이론적 검토를 통해, 이러한 측면이 향후 개인의 선행경험이 공동의 경험으로 조직화되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연구를 통해서 설명될 수 있어야 한다는 필요성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Experience seems private and inaccessible from others, but when we are experiencing, it is within the context of collective thought and shared situations. So to understand experience, we have to focus on the collective experience within a social context, such as a community. But as theory of experiential learning has been developed, the focus has moved on the individual reflection following the concrete experience.<BR>  The theory of community learning and organization learning is more focused on collective learning. These theories found out that 1) collective learning makes synergy within participators, 2) dialogue and collaboration is effective as a way of learning, 3) it"s possible to develop collective vision and identification, and 4) there is "α", which cannot be reduced to individual learning.<BR>  But there remain some thesis to be explored and developed: 1) how to explain the connection between individual experience and collective experience, 2) where to locate the purpose of collective learning, 3) what to be shared and how to be shared, 4) how to make it possible to exceed the limit of individual experience and make a innovative collective learning. These aspects should be explained through the case study which explores the organizing process of individual prior experience into a collective experience.

      • KCI등재

        국내 중등단계 진로관련 경험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조영아(Youngah Cho),이재은(Jaeeun Lee)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1

        이 연구는 중등단계 진로관련 경험을 다룬 국내문헌에서 경험이 어떻게 정의되고 측정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진로관련 경험의 구체적인 내용과 영향요인 및 결과변인을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Whittemore와 Knafl(2005)가 제안한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2018년 12월 31일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의 등재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중 ‘진로’, ‘경험’과 ‘중학생’ 또는 ‘고등학생’을 검색어로 자료를 검색하였고, 연구자가 선정한 기준에 따라 연구목적에 부합하지 않은 논문을 제외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27편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단계 학생들의 진로관련 경험을 다룬 연구들은 대부분 경험을 ‘활동 및 프로그램 참여 행위’의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었다. 둘째, 중등단계 진로관련 경험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참여 유/무와 빈도를 중심으로 경험을 측정하고 있었다. 셋째, 중등단계 학생들의 진로관련 경험은 대부분 ‘진로교육 경험’을 다루고 있었으며, 특히 ‘학교 진로교육 경험’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험의 영향요인에는 크게 학교특성, 개인특성, 학습관련 경험, 교사 및 학부모와의 관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등단계 진로관련 경험은 진로성숙도, 자아개념, 목표설정, 학습동기, 직업인식과 같은 진로 관련 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중등단계 진로관련 경험 연구에 갖는 함의와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of students in the secondary education is defined and measured, what is the specific content of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and what is the influencing and consequential factors of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in the existing literature in Korea. This study utilized the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suggested by Whittemore and Knafl (2005)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A total 27 articles are selected through the process of excluding unfit literature for research purposes after searching data based on ‘career’, ‘experience’ and ‘middle school student’ or ‘high school student’ among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KCI Journals until December 31, 201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tudies dealing with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of the student in the secondary education approached to experience as ‘activities and program participation’. Second, most of the studies dealing with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of the student in the secondary education measured experience as a status of participation and frequency. Third, the career-related experiences of secondary students were mostly focused on ‘career education experience’ and were found to be especially focused on the career education experience in the school. Fourth,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were found to be related to school characteristics, individual characteristics, learning experiences,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parents. Lastly,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was found to affect the attitudes and behaviors related career such as career maturity, self-concept, goal setting, motivation to learn, and perception of occup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esented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considering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of students in secondary education.

      • KCI등재

        인과관계와 경험: 흄과 화이트헤드의 경우

        문창옥 ( Chang Ohk Moon ) 한국동서철학회 2012 동서철학연구 Vol.65 No.-

        화이트헤드는 흄에 의해 정리된 고전 경험론의 기본 이념을 수용하여, 경험에서 발견되지 않는 요소를 철학적 도식에 받아들여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흄이 인과관계의 필연성을 의심한 것은 정당했다. 우리는 과거와 현재의 경험으로부터 미래의 경험을 연역할 어떤 실마리도 발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지금의 이 우주를 우연적인 세계로 경험할 뿐이다. 그것이 머금고 있는 모든 질서 또한 마찬가지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화이트헤드는 고전 경험론의 세부적인 원리들에 대해서는 대체로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 이런 비판적 시각은 흄의 인과관계 분석의 불충분성을 비판하는 데서 정점에 이르고 있다. 그는 지각경험을 다시 분석함으로써 흄이 간과해버린 1인칭 시점의 지각경험을 부각시킨다. 이것은 인과적 효과성의 지각으로, 명석 판명한 지각, 즉 현시적 직접성의 지각의 토대가 되는 일차적 근원적 경험이다. 인과적 효과성의 지각을 분석하고 설명하는 가운데 화이트헤드는 인과관계, 또는 인과적 힘을 결코 경험할 수 없다는 흄의 주장을 거부하고 인과관계의 실재성과 인식가능성을 논증한다. 무엇보다도 우리는 이 경험 양태를 통해 환경세계로부터 주어지는 인과적 힘을 경험한다. 흄은 경험의 이런 근원적 측면을 무시하고 경험을 오직 현시적 직접성의 양태로만 분석하였고, 그 결과 환경세계로부터 주어지는 힘에 대한 우리 자신의 경험이 인과관계를 예증하는 가장 기본적인 경험사건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깨닫지 못했다. A N. Whitehead accepts the basic principles of the early modem empiricism that Hume established, and he asserts that we should not endorse any element which could not be found within experience. Then, our present experience affords no intellectually satisfactory ground for presupposing that the general pattern of our present world will hold in the future. Hume was, thus, fully justified in placing the necessity of causal relation in doubt. The order of our world itself is contingent But Whitehead criticizes some of the detail principles of the early modern empiricism. His attack against these principles reaches the peak in criticizing the inadequacy of the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 that Hume exhibits. He analyses our immediate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irst person, and discloses the perception in the mode of causal efficacy which Hume missed This mode of perception, though vague, is more fundamental and primitive than the clear and distinct perception And the latter perception, called the mode of presentational immediacy, is derived from the former, that is the causal perception. Based on the analysis and explanation of this causal perception, Whitehead denies Hume`s assertion that we can never experience the causal relation, and argues that the causation is real and able to be experienced. this Above all, we perceive the causal power of the environmental world given through this immediate experience. Hume neglected this immediate aspect of our experience, and only concentrated on the mode of presentational immediacy. In result, he failed to understand that our immediate experience of the power of the environment itself illustrates the causal relation immanent in nature.

      • KCI등재

        조기보육경험 아동의 보육관련 특성, 심리사회적발달 특성에 관한 연구

        김미 ( Kyung-sook Lee ),이경숙 ( Mi-kim ),이선우 ( Sun-woo Lee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0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3 No.1

        만 4-6세 사이의 조기보육경험(18개월 이전) 아동 23명과 후기보육경험(36개월 이후) 아동 23명을 대상으로 보육경험시기에 따른 아동들의 보육관련변인과 전반적인 심리사회적 특성에 대한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조기보육경험 아동은 평균 13개월에 보육을 시작했고 후기보육경험 아동은 평균 38개월에 보육을 시작했으며, 조기보육경험 아동은 평균 41개월 동안 보육을 경험했고 후기보육경험 아동은 평균 20개월 동안 보육을 경험했다. 보육양육특성에 있어서 조기보육경험 아동의 어머니는 일찍 맡긴 이유는 ‘직장’ 때문이고, 후기보육경험 아동의 어머니는 ‘아동의 영향’이었다. 보육기관에 보낸 것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는 두 집단의 어머니가 만족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보육 후 저녁시간 주 양육자는 두 집단 모두 어머니였다. 심리사회적 발달 특성에서 조기보육경험 아동이 후기보육경험 아동에 비해 인지발달 특성인 지능에서 동작성 소검사인 토막짜기의 점수가 높았고, 감각처리능력발달 특성에서 시각/청각 민감성이 더 예민했으며, 정서·행동문제 특성과 보육장면에서의 정서행동·사회성특성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examines variables related to child care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ho experienced child care in child care centers at different times: early child care (before 18 months) and late child care (after 36 months). The subjects are 23 children who had early child care and other 23 children who had late child care. The age of the children ranges from four to six. The early child care began at 13 months and lasted for 41 months, and the late child care began at 38 months and continued for 20 months. It was found that the early child care was mostly caused by lack of time of working mothers. The late child care was motivated by mothers' concerns on the influence of child care experiences in child care centers on children. Mothers of both groups were concerned about social and emotional influences of child care centers on their children. In terms of parent-child interactions, most mothers of the children in the early child care group said that they rarely played with their children at home in the evening. Mothers of both groups responded that they were mostly satisfied with child care centers. It was also found that the major care-giver of the children at home was their mothers. In terms of psychosocial development,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early child care produced high scores in block design, showing higher cognitiv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than the children who had late child care. In terms of sensory integration, the children who had early child care showed higher visual/auditory sensitivity than their counterparts. In terms of emotional and social behavior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 KCI등재

        경험서사 쓰기 교육 연구

        우신영(Woo Shin you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1 No.1

        이 연구에서는 경험을 서사화하는 자전적 소설의 양상을 장르로서 일별하고, 이러한 장르에서 나타나는 경험서사 쓰기의 지향성과 유형, 서사적 전략을 도출하였다. 먼저 자전적 소설의 지향성으로는 인물의 내면 공간 발견과 탐색, 경험의 상징화과 미학적 플롯화, 서술을 통한 경험의 사회역사적 의미화 등을 도출하였고,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자전적 소설의 서사 형식을 서간 형식의 자전적 소설, 회상 형식의 자전적 소설, 여로 형식의 자전적 소설 등으로 나누어 살폈다. 그리고 자전적 소설의 서사전략 분석의 결과로 초점화된 인물의 내면 고백을 통한 진정성 주장, 공통경험의 강조를 통한 독자의 공감적 이해 유도, 대타자의 설정을 통한 성찰 및 행위 지향 표명 등이 도출되었다. 이상 검토된 경험서사의 표현 원리를 토대로 문학교실 속 학습자의 경험서사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 요구되는 교육 내용을 크게 ① 자기표현 동기화 및 지향성의 설정, ②라이트모티프 경험의 발견과 변형, ③ 경험자아와 서술자아의 분리, ④타자의 설정과 방법으로서의 대화 등의 네항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자전적 서사가 갖는 아마추어리즘의 성격은 허구에 의한 자기표현의 가능성을 넓힌다는 점에서 생산론적 문학교육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교육적 실천의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쓰기를 통한 정체성 문식성의 신장과 경험서사의 상호 소통 능력의 신장을 이룰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project to take shape an identity as a writer for student. So I take note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This study analyze 1930~1940s Korean autobiographical novels for educational content design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Especially 1930~1940 autobiographical novels have strong association between private experience and social-cultural context. Thus 1930~1940 autobiographical novels are useful resource for extract principles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This study do research common directivity, writing type, and narrative strategies among 1930~1940 autobiographical novels. As a result, I found that exploration of person’s inner-side, symbolization of experience and aesthetic plot-making, making meaning of experience in social-cultural context as common directivity. Next I found that epistolary novel, reminiscence novel and journey novel as meaningful narrative form in literary education. And I found that sincerity - emphasis through person’s confession, common experience - emphasis for reader’s empathic understanding, self-examination through assumed ‘others’. Based on this theoretical survey, the present study design the activity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in literary classroom. This activity is make up four steps: ① motivation of self-expression and setting of directivity, ② finding and changing of light-motif experience, ③ separation of experiencing self and narrating self, ④ setting of ‘others’ and conversation as a method.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develop self-expression competence, communication skill of experiential narrative and identity-literacy for students in literar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