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古代 日本 論語 木簡의 特質-한반도 출토 論語 木簡과의 비교를 통해서-

        三上 喜孝(Mikami yoshitaka),오택현(역) 한국목간학회 2020 목간과 문자 Vol.0 No.25

        본고는 古代 日本의 『論語』 수용과 그 特質을 論語 木簡의 검토를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論語 木簡이란 論語의 일부를 기록하고 있는 木簡과 「論語」라고 하는 글자가 쓰여 있는 木簡 등을 말한다. 日本에서는 지금까지 30점이 넘는 論語 木簡이 출토되었다. 論語 木簡이 출토된 지역별 수량을 살펴보면 飛鳥지역에서 6점, 藤原宮·京에서 4점, 平城宮·京에서 14점, 都城 이외에서 11점이 출토되었다. 작성 시기는 7세기 후반에서 8세기 전반에 집중되어 있어, 문자의 習得과 論語 木簡의 존재가 밀접하게 관련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日本에서 출토된 論語 木簡에는 몇 가지 공통된 특징이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첫 번째는 論語 木簡이 출토된 유적의 성격이다. 이미 지방 출토 論語 木簡에 대해서는 초기 国府가 두어졌던 것으로 알려진 유적과 중앙 관인이 왕래한 駅家로 알려진 유적 등 중앙에서 관인이 파견된 유적에서 論語 木簡이 출토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7세기 후반 『論語』의 지방 전파는 国司의 전신인 国宰가 커다란 역할을 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또 『論語』뿐만 아니라 중국의 古典 등의 문자 텍스트(서적 및 교과서)가 변경의 城柵 유적에서 발견되는것도 주목된다. 국가의 경계와 접해 있는 城柵 유적에서는 지배의 先進性과 문명 세계의 상징으로서 중국 텍스트(경전 및 교과서)의 수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졌던 것이 아닐까. 한국 계양산성에서 출토된 論語 木簡도 이러한 관점에서 볼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는 論語 木簡의 習書 패턴을 보면 學而篇의 첫 구절을 기록한 것이 다수 출토되는 등 그 경향이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텍스트를 실용적으로 습득하기보다 오히려 텍스트의 첫 구절을 암송하거나 문자화할 수 있는 데 큰 의미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왜냐하면 『論語』는 문자 문화를 습득하는 관인들에게 상징적인 의미를 지녔던 텍스트였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寺院 유적에서도 論語 木簡이 출토된다는 점이다. 유교의 문자 텍스트(서적 및 교과서)가 불교의 경전과 함께 寺院에서 학습 대상이 되었던 것은 불교와 유교가 지배자 집단 사이에 널리 퍼져 국가의 지배이념을 가진 사상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고 하는 역사적 배경과 큰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된다. 古代 日本의 論語 木簡의 이러한 특징은 중국에서 『論語』가 전해진 한반도에서도 공통되는지 아닌지는 아직 한국의 사례가 많지 않아 확실하지 않지만 이후 발굴 사례가 증가하면 추후 검토가 가능해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consider the acceptance of “The Analects Of confusius” in ancient Japan and its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examination of so-called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The term “The Analects Of confusius” here refers to a Wooden Documents in which a passage of The Analects Of confusius is written, or a Wooden Documents in which the title “The Analects Of confusius” is written. The number of excavated points of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in Japan has exceeded 30 so far. Looking at the breakdown, 6 points were excavated in the Asuka area, 4 points were excavated in Fujiwara Palace ·Kyo, 14 points were excavated in Heijo Palace ·Kyo, and 11 points were excavated outside Miyakonojo. The period is concentrated in the latter half of the 7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8th century, and it can be said that the acquisition of letters and the existence of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are closely related. If you look at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excavated from various parts of Japan, you can point out some common characteristics. First, it is the nature of the ruins where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was excavated. In particular,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excavated in rural areas tend to be excavated from archaeological sites where officials are dispatched from the center, such as archaeological sites where the early Kokufu was supposed to be located and archaeological sites where central officials come and go.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re is. It is thought that the predecessor of the Kokushi, the Kokushi, played a major role in the local spread of “The Analects Of confusius” in the latter half of the 7th century. It is also noteworthy that not only “The Analects Of confusius” but also Chinese classics and other texts have been found at the remote castle fence ruins. At the castle fence ruins, which borders outside the borders of the nation, the Chinese texts may have been actively accepted as a symbol of the advanced rule and the civilized world. The meaning of the excav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from Gyeyang Mountain Castle in South Korea can be understood from such a viewpoint. Secondly, paying attention to the pattern of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study book, it can be seen that the tendency is biased, such as the excavation of many articles with the beginning of the essay. These characteristics show that it was more important to be able to recite or transliterate the beginning of the text, rather than to learn the text practically. In other words, “The Analects Of confusius” was a text that had a symbolic meaning for officials who mastered the character culture. Thirdly, it is noteworthy that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was excavated from the temple ruins. Along with the Buddhist scriptures, Confucian texts were the subject of study in the temple, as Buddhism and Confucianism first spread among the rulers, and they were taken as an idea that supported the rule of the nation. It is thought that the historical background that it was being used is greatly related. Whether or not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Japanese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are common to the Korean Peninsula, where “The Analects Of confusius” was also transmitted from China, is still rare in South Korea, but it will be examined as the number of excavation cases increases in the future. Will be possible.

      • KCI등재

        平壤 貞柏洞364號墳출토 竹簡 『論語』에 대하여

        李成市,尹龍九,金慶浩 한국목간학회 2009 목간과 문자 Vol.4 No.-

        본고는 1990년대 초, 평양 락랑구역 통일거리건설장에서 발굴된 貞相洞364號墳출토 『論語』 竹簡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정백동364호분은 內外 2重槨안에 男性 1인을 묻은 單葬의 나무곽무덤(板槨墓)이며, 여기에서 출토된 「樂浪都初元四年縣別戶口簿」木牘으로 미루어 初元 4年(B.C. 45)에서 멀지 않은 시기에 조성된 樂浪群府 屬吏의 무덤으로 추정되고 있다. 「논어」 죽간의 출토지를 비롯한 유구와 부장유물에 대한 공식적인 보고는 없었다. 그러나 2001년 일본 東京소재 「高句麗會」會報(63號)에 수록된 『논어』 竹簡寫眞에 ‘貞柏364號古墳’ 출토라는 사진 설명을 통하여, 「樂浪郡初元四年縣別戶口簿」木牘과 함께 정백동364호 분에서 출토된 사실을 알 수 있다. 정백동364호분에서 출토된 『논어』는 통행본 『논어』의 先進·顔淵篇에 해당하는 章句가 적힌 죽간 120板 내외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39枚는 형태와 字句가 대체로 온전하나, 나머지 70여 枚는 殘簡 상태로 보인다. 정백동364호분에서 출토된 『논어』 죽간 가운데 내 용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先進篇 33枚(19個 章句, 589字), 顔淵篇 11枚(9개 章句, 167字)로 출토된 죽간의 1/3이 조금 넘는 정도이다. 죽간의 크기와 背面 상태는 확인하기 어렵지만, 定州漢墓 출토 『논어』 죽간과 마찬가지로 三道編聯의 上下 10字내외로 기재하였고, 죽간 右側面에 上下, 中間에 契口가 만들어져 있다. 계구의 크기가 다양한 것으로 미루어 출토된 죽간 『논어』는 基主가 살아 있을 때에 장기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출토된 『논어』 죽간에는 章句 시작을 알리는 圓點(ㆍ), 종결을 알려주는 餘白, 상하 10字를 기본으로 하는 (顔淵篇은 上下 9字)기재 방식, 1~2字의 字句는 자간을 좁혀 기재하거나, 의미전달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字句를 생략하는 用例가 확인된다. 缺字는 추후 字間사이에 細字로 追記하였고, 중복자인 경우 重文符號없이 연이어 같은 자를 적었다. 내용은 定州漢基 『논어』 죽간 및 通行本 『논어』와 大同小異하지만, 人名과 地名, 官名 표기에서의 차이, 而를 如로 대치하는 등 텍스트상의 『논어』 계통을 논할 때 매우 중요한 단서가 적지 않다. 한편 정백동364호분 죽간 『논어』의 출토 시기와 중국 하북성 定縣에서 출토된 『論語』 竹簡과의 시기 차가 최소 10년 정도의 차이라는 사실은 武帝代 儒家의 官學化와 五經博士가 설치된 이래, 宣帝·元帝시기 儒家의 서적과 사상이 변경 지역으로 확대하였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따라서 근래 한국 남동부에 위치한 金海와 중서부의 仁川 지역에서 출토된 論語 관련 木簡과의 연관성을 고려한다면, 본 자료의 출토는 『論語』라는 텍스트 연구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고대 동아시아 사회에서의 文字나 思想의 전파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을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論語學’을 연구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농후하다. 물론 현재 공개된 자료만으로는 이러한 논의가 더 이상의 진전이 없을 가능성도 결코 부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현재까지 입수한 竹簡 사진 2매와 또 다른 관련 자료가 있다는 정보는 향후의 진전된 논의를 가능케 하고 있다.

      • KCI등재

        『논어정의』에 나타난 허사 설명의 특징 — 『경전석사』 인용을 중심으로

        신원철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論叢 Vol.75 No.2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annotations of function words in Lunyuzhengyi (論語正義, A comprehensive annotation of the Analects) by way of quoting Jingzhuanshici (經傳釋詞, An explanation of function words in Chinese classics), and to discuss its characteristics. There are many systems of annotations of function words in Lunyuzhengyi (論語正義). For example, Lunyuzhengyi (論語正義) sometimes quotes Jingzhuanshici instead of explaining function words, and sometimes quotes Jingzhuanshici after explaining function words in order to present the evidence. The characteristics of Lunyuzhengyi’s annotations of function words are as follows: it discusses many aspects of function words by presenting many examples, and adds its own opinion for further explanations. This shows that Lunyuzhengyi (論語正義) is located in a comprehensive annotation of the Analects. 본 논문은 『논어정의』(論語正義)에 나타난 허사 훈석에 대해 『경전석사』(經傳釋詞)의 인용 상황 및 기타 허사 훈석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그 특징을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논어정의』에서는 『경전석사』를 직접 인용함으로써 허사에 대한 설명을 대신하기도 하고, 허사에 대해 설명한 후 『경전석사』로 방증, 여러 다른 의견 중 하나로 제시하기도 하는 등의 다양한 인용방식을 드러냈다. 허사 인용에 있어서의특징은 다음과 같다. 『논어』 내에 나타나는 허사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풀이를 폭넓은 방증 자료를 통해 제시하고 논의하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자신의 의견을 더하여 『논어』에서의 허사에 대한 한 단계 발전된 설명을 제시한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 방식은 『논어』에 대한 소증(疏證)으로서의 『논어정의』가 가지는 학문적 태도에서 기인한 것으로본 논문에서는 파악하였다.

      • KCI등재

        『논어정의』의 『설문해자』(說文解字) 인용 연구

        문수정,문준혜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論叢 Vol.75 No.2

        Lunyuzhengyi (論語正義) by Liu Baonan (劉寶楠) is an annotated book that compiles the diverse achievements of previous annotations and a wide range of comments and achievements made by scholars. Comments were made on The Analects in the book called ZhengYi using the KaoZheng (考證) method, which interprets Confucian Classics based only on the evidence. It can be distinguishingly by the fact that it demonstrates an aggressive use of Shuowen Jiezi (說文解字), compared to other works. Specifically, Shuowen Jiezi is cited as the basis of the semantic commentary in the ZhengYi; as the basis upon which the main character (本 字) is distinguished from the temporary character (假借字), and as the basis for describing the original meaning (本義) and the derived meaning (引伸義). Most of the citations using Shuowen Jiezi are necessary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tents; however, some contents that are supposed to be discussed mainly in the field of graphonomy are also included. This phenomenon is closely related to the recognition, starting from Dai Zhen (戴震) and extending through the Duan Yucai (段玉裁), that the ultimate principle (道) can be reached through a quest for the original meaning of each letter. This recognition brought encouragement to Shuowen Jiezi studies, which resulted in more attention being paid to verifying and explaining the meaning of the letters used in the texts of the annotations on various documents. Lunyuzhengyi (論語正義) demonstrates a propensity towards Shuowen Jiezi, which was a general tendency for the KaoZheng scholars of the Qing (淸) Dynasty, and it also became a characteristic of the Yangzhou School (揚州學派) which Liu Baonan was a member of. 유보남의 『논어정의』는 역대 주석서들의 다양한 성과를 흡수하고, 당시 학자들의 주석과 고증의 내용을 폭넓게 수용한 청대를 대표하는『논어』 주석서이다. 『논어정의』는 반드시 근거를 가지고 경전을 해석하는 고증학적 방법으로 『논어』를 주석했는데, 다른 주석서들보다 더 적극적으로 『설문해자』를 활용하였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구체적으로 『논어정의』에서는 『설문해자』를 인용하여 문자의 의미를 해설했고, 본자(本字)와 가차자(假借字)를 구분하고 본의(本義)와 인신의(引伸義)를 설명했다. 『설문해자』의 인용은 경전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문자 자체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문자학의 영역에서 논의되는 내용도 다수 보인다. 이것은 글자의 본래 의미 탐구와그것을 통해 경전이 담고 있는 궁극의 ‘도(道)’에 도달할 수 있다는 당시 학자들의 인식과 관계있어 보인다. 이러한 인식에 따라 청대에는 본의를 탐구한 『설문해자』가 활발하게 연구되었고, 각종 문헌에 대한 주석에서 경문에 쓰인 글자의 의미를 검증하고 설명하는 데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게 되었다. 이는 고증학자들의 일반적인 경향이지만, 유보남의 『논어정의』에서는 『설문해자』에 대한 편향성이 더 두드러지며, 유보남과 그를 포함한 건가시기 양주학파의 특징을 형성하였다.

      • KCI등재

        A New Approach to Chen Men’s Ridicule of Kongzi

        ( Guo Yuan ),( Guo Tan )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6 儒敎文化硏究(中文版) Vol.0 No.25

        在“子路宿于石門”篇中, “晨門”對孔子周流列國之擧的態度究竟如何? 對此問題, 先賢巨匠的釋讀觀點旣精彩紛呈又存有爭論。在分析《論語》原典和諸家注釋的基礎上, 本文認爲“晨門”之“知其不可而爲之”一語應是在譏諷孔子;但是“晨門”的譏諷却恰好反證了孔子高尙的品格和對人類社會發展的眞切關懷;同時, “知其不可而爲之”從另外一種側面揭示了儒家的精神骨幹。 The “Xian wen” 憲問chapter in the Lunyu 論語contains Chen Men’s 晨門remark about Kongzi 孔子(551-479 BCE). Kongzi was well known for his travel to feudal states to preach his political ideals. Of this effort, Chen Men remarked that Kongi was “doing things though he know they are unworkable” (zhi qi bu ke er wei zhi 知其不可而爲之). Chen Men’s remark has typically been understood as a ridicule of Kongzi. While there have been various debates on the nature of the Chen Men’s criticism of Kongzi’s behavior and diverse interpretations are possible it seems clear that Chen Men’s ridicule of Kongzi attests to Kongzi’s lofty moral integrity and idealistic devotion to improving human society. The effort and devotion exemplified by Kongzi are usually understood as the essence of Confucian morale and value. The ridicule implied by "knowing it is impossible" can be said to represent the evaluation of Confucius and all Confucian scholars made by the people at that time. Such comments made by them can be regarded as purely a criticism of Confucius, who did not know much about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in the real political world at that time, and only pursued ideals that departed from reality. Confucius' perseverance was not accepted by those in power at the time. It is not an appropriate dimension to interpret Confucianism from the perspective of popularization, idealization, and deification. [Article in Chinese]

      • 艮齋의 朱子經學思想에 대한 繼承發展 : 艮齋?論語講說의 朱子?論語集註에 대한 보충

        傅武光 간재학회 2010 간재학논총 Vol.11 No.-

        艮齋선생이 朱子의 학문을 계승하여 저술한?四書講說?은 朱子?四書章句集注?를 보충함이 대담히 크다. 대체로 간재선생은 朱子의 理氣論과 心性論을 기초로 하여 朱子?集注?중의 중요한 개념과 핵심 용어들을 검증하고 논술하였다. 본 논문은 간재선생의?論語講說?부분에서 朱子?論語集注?에 보충의 공로가 어디에 있는가를 논술하였다.요약하면, 대략 네 방면이다:첫째는 “주자로 주자를 설명하는 것”(以朱申朱), 즉 주자의 학술로 朱子注釋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둘째는 “주자에서 잘못된 것을 보충하는 것”(裨補朱失), 즉 朱注에 확실하지 못한 곳은 다른 관점으로 검증하여 바르게 보충하였다. 셋째는 “程說의 실마리를 잡는 것”(紬繹程說), 즉 주자는 二程子를 私淑하였고, 集注는 程說을 인용하였으니, 착오가 많은 부분을 간재선생이 대부분 이를 疏解하여 朱注를 검증하였다. 넷째는 “이단을 반박 배척하는 것”(闢斥異端), 즉 佛家와 道家및 陸王學派를 배척하였다. 네 방면을 종합하면, 간재선생의 朱子?論語集注?보충에 위대한 공헌을 모두 볼 수 있다.

      • KCI등재

        Jiao Hong’s Interpretation of the Lunyu: A Study of the Jiaoshi bisheng

        ( Wang Cheng )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6 儒敎文化硏究(中文版) Vol.0 No.25

        以“心學”觀點詮釋儒家經典在晩明蔚然成風, 這種經學的心學化傾向, 是對明代中前期獨尊朱注的突破。焦竑對《論語》的心學詮釋就是其中的一個代表。焦竑《焦氏筆乘續集》卷一《讀論語》八十餘條主要以《論語》文本爲載體來詮釋對心性之學和三敎會通的哲學思考。焦竑借孔子所云“空空”來形容天命和心性的本體狀態, 子貢的“億(臆)”則是對心性本體的背離, 心性的修養須由知性進而復性, 以回歸空的境界。焦竑主張三敎會通, 以儒家爲本位, 援佛、道二家以解儒。本文通過闡釋焦竑所用的“不二”的思想方法和所提倡的“止”的工夫, 說明它們與佛、道二敎的密切聯繫。由於具有自由的思想環境和多元的文化視野, 焦竑的詮釋具有融合、創新的特色, 爲原本趨於僵化的經學注釋注入了活力。 One intellectual trendwhich characterized thought during the lateMing dynasty 明(1368- 1644) was the practice of interpreting Confucian classics through heart-mind theory. This trend reflects a departure from the dominating influence of Zhu Xi’s 朱熹(1130-1200)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s which held such sway during the early and middle Ming dynasty. One representative of this late Ming dynasty thought is JiaoHong`s interpretation of the Lunyu 論語. As part of Jiao Hong’s Miscellaneous Notes (Jiaoshi bicheng 焦氏筆乘), the eighty notes in “On Reading the Lunyu (Du Lunyu 讀論語)” consist of philosophical thinking about the heart-mind theory and the integration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conducted through a textual analysis of the Lunyu. Jiao Hong 焦竑(1540-1620) describes the original state of heaven`s will and heart-mind by borrowing the words “kongkong 空空(empty)” from the Analects of Confucius. He also points out that Zigong, a disciple of Confucius, deviates from the nature of heart-mind by “yi 臆(guessing)”. Jiao argues that cultivation of the heart-mind begins with recognizing it and then returning it to the state of emptiness. JiaoHong proposes an amalgamation of the three religions, taking Confucianism as the essential and drawing on Buddhism and Taoism to support it. This paper focuses on the thinking method of “non-duality” adopted by Jiao and the practice of “samatha” that Jiao advocates, discussing their relation with Buddhism and Taoism. Because it fosters an environment which encourages free thinking and a multi-cultural view, Jiao Hong`s integrated and innovative interpretation of the Lunyu should be seen as injecting important new vitality into the rigid field of studies dedicated to the Confucian classics. [Article in Chinese]

      • 艮齋對朱子經學思想的繼承發展 -艮齋『論語講說』對朱子『論語集註』的翼助-

        傅武光 간재학회 2011 간재학논총 Vol.11 No.-

        艮齋先生, 學宗朱子。所著『四書講說』, 翼助朱子 『四書章句集注』甚大。大抵言之, 艮齋先生乃以朱子之理氣論及心性論為基礎,印證或申論朱子『集注』中之重要觀念及關鍵詞語。本論文僅就艮齋先生 『論語講說』部分, 論述其於朱子『論語集注』翼助之功何在。總而言之, 約有四端:一曰「以朱身朱」, 即以朱子之學申論朱注。二曰 「裨補朱失」, 即遇朱注有未安處,引證他說以匡補之。三曰「紬繹程說」, 朱子私淑二程子, 集注引程說忒多, 艮齋先生多為之疏解, 以印證朱注。四曰「闢斥異端」, 及闢斥佛、老與陸王學派。總此四端, 俱見艮齋先生翼助朱子『論語集注』之豐功。

      • KCI등재

        『논어집주(論語集注)』의 문헌학적 읽기(1) ― 「학이(學而)」편 1장의 주석 분석

        柳浚弼 ( Ryu Jun-pil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3 No.-

        이 글은 『논어집주』 읽기의 역사라는 방대한 영역에 다가가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논어집주』에 대한 일련의 문헌학적 읽기 작업의 일부분이다. 문헌학적 읽기를 방법으로 삼아 주자의 『논어집주』를 그 형성 과정 속에서 면밀히 다시 살폈다. 주자의 『논어집주』는 그 자체로 문헌학적 방법을 적극 활용한 문헌학적 저작이다. 주석 모음이라는 제목처럼 주자는 여러 선학들의 견해를 두루 아우르는 한편으로 새롭게 재배치하였다. 이에 따라 이들 주석을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 의미의 층위가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동시에 『논어집주』는 문헌학적 읽기의 대상이기도 하다. 『논어집주』의 최종 형태에 이르기까지 주자는 다양한 주석들과의 고투 과정을 거치면서 장기간 수정하였다. 이 양상을 살피기 위해 『논어정의』·『논어혹문』·『주자어류』·문집의 기록들을 시간에 따라 재배열하고, 그런 다음 『논어집주』의 주석을 그 사이사이에 끼워 넣으며 다시 읽었다. 『논어집주』의 「학이」편 편제는 『논어집주』 이전의 주석서의 체례를 계승하는 한편으로 그들과는 구별되는 명확한 해석적 입장을 천명하면서 「학이」편의 독특한 위상을 드러내었다. 제1절의 주석 읽기를 통해서는, 정자와 사량좌 그리고 주자의 주석이 긴밀한 상호 연계 속에서 배치되었음을 보았다. 제2절의 주석 읽기에서는, 주자가 정자의 주석을 전면화하는 방식으로 ‘朋-衆-樂’의 연쇄를 마련하여 다른 견해들과 경합하는 양상을 자세히 들여다보았다. 제3절의 주석 읽기를 거치면서, 배움을 상승의 단계론으로 이해하는 방식에 저항하면서 해석적 순환을 만들어내는 주석의 구조를 확인하게 되었다. This article suggests the method of philological reading to closely examine the Zhu Xi’s variorum edition for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its formation. Zhu Xi actively utilized the philological researche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his annotations (ranging from the collection from the older interpretations to his own comments) clearly exhibits a peculiarity as a philological work. Zhu Xi collected and reassigned the various annotations with his own, which can be read in different displacement of reading. As a result,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level of meaning depends on how these annotations are read. At the same time, Zhu Xi's "Variorum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itself is a subject of philological reading. Up to the final form of his variorum edition, Zhu Xi modified for a long time through the struggle with various annotators. In order to examine this aspect, I rearranged the related general works of Zhu Xi over time and read them in accordance with his annotations to "The Analects of Confucius."

      • KCI등재

        『논어정의』에 나타난 노론(魯論)

        이예성,이강재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論叢 Vol.75 No.2

        . 본고는 청대 유보남(劉寶楠)의 『논어정의』(論語正義)에 인용된 노론(魯論)을 통해, 이문(異文)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것이 갖는 학술적가치를 논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한(漢)나라 초기의 『논어』 텍스트로는 노론(魯論), 제론(齊論), 고론(古論)의 세 가지 논어가 있었으며, 그중 가장 광범위하게 유포된 것은 노론이다. 한대의 장우(張禹)와 정현(鄭玄) 등이 노론을 기초로 하여 제론과 고론을 흡수하여 교수한 논어를 편찬한 이후, 이 세 가지 논어는 하나로 통합되었고 각 텍스트의원래 모습을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유보남의 『논어정의』는 문헌학적의미가 매우 큰데, 이는 한나라부터 청나라 때까지의 역대의 풍부한 『논어』에 대한 주소를 보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 책을 주요한연구대상으로 삼아, 노론과 고론, 제론을 비교하여 그 같고 다름을 고찰하였다. 문자, 음운, 의미적 차이에 주목하여 세부 분석을 통해 노론이문의 구체적인 유형을 귀납하였다. 이와 동시에 본고는 『논어정의』 와 청대 고증학의 학술적 성과에 대해 논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