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몰리에르 발레희극들에서의 희극적 인물과 음악 및 무용의 효과 간의 상호작용의 방식들

        임채광 ( Lim Chae-kwang ),조르주포레스티에 ( Georges Forestier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9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20

        본 연구는 발레희극 장르에 속하는 몰리에르 희극 작품들에서 희극의 막 전후에 삽입되는 전원막간극이 희극의 사랑의 줄거리의 진전과 희극적 인물에 대한 희극적 효과의 창출에 어떻게 가담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희극적 인물의 극적, 희극적 변화와 전원 막간극을 구성하는 음악과 무용의 희극적, 서술적 역할 간의 상호관계의 분석은 주인공의 희극적 맹목성을 유발하는 성격적 결함의 종류 - 감정적, 사회적, 정신적 범주의 - 에 따른 희극과 무용의 효과상의 차이를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희극과 막간극이 의미적 단절을 형성하는 병렬적 구성의 경우 막간극은 오히려 반복적 대조를 통해서 희극적 거리를 만들어냄으로써 관객으로 하여금 희극을 보는 프리즘을 제공하고 희극적 일관성을 구축해준다. 『조르주 당댕』의 희극 주인공은 전원 막간극 안에서 목동과 목녀 커플이 제시하는 희극적 거울을 참조하기를 거부함으로써 그의 결혼의 불행이 그가 믿고 있는 것과는 달리 부인의 불륜 때문이 아니라 복수를 통한 명예회복의 고집스러운 시도의 귀결임을 보여준다. 아울러 희극의 대단원에 비극적 인상을 조성하는 대조적 희극성의 신랄함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발레희극은 희극의 대단원이기도 한 피날레에 유쾌하고 볼거리 많은 음악과 무용 공연을 도입한다. 희극과 막간극이 희화적 대조를 유발하도록 극중극의 형식으로 협력해서 희극 주인공의 실체를 폭로하는 방식은 희극의 주인공들이 당댕과 같은 부르주아적 심성의 인물과는 달리 귀족적 신분과 태도를 지향할 때 막간극의 형식과 역할은 새로운 변화를 겪는다. 세련미를 더하고 규모를 확대한 막간극은『부르주아 귀족』에서 희극 주인공의 귀족에 대한 환상을 충족시켜주는 한편 막간극을 현실로 착각한 주인공의 일탈적인 욕망 충족의 희열을 부각시킨다. 이로써 주르뎅 씨의 귀족 서임이라는 허구적 의식은 젊은 연인 커플을 위한 행복한 결말의 마련이라는 서술적 통합과 희극 주인공에 대한 희화적 효과를 양립시킨다. 『상상병 환자』의 의사 서임식은 『부르주아 귀족』의 ‘터키 의식’과는 달리 의사들의 탐욕의 폭로로 인하여 젊은 연인들의 사랑의 줄거리의 진전에 대한 장애물은 이미 해소된 시점에서 개최된다. 희극의 대단원이기도 한 이 발레희극의 피날레는 여전히 연극적 허구에 지나지 않지만 희극 주인공의 의학에 대한 여전한 강박적 의존을 희화화하면서도 『부르주아 귀족』의 ‘여러 나라들의 발레’와는 달리 주인공의 환상적 만족의 자기 희화적 구가를 넘어서서 가족 구성원 전체의 집단적 환희를 확인하고 공유하도록 해준다. 이처럼 몰리에르의 발레희극은 환상에서 광기로 심화되는 성격적 결함을 역이용하는 음악 막간극의 극적, 희극적 효과의 확장을 통해서 사랑의 줄거리의 완결, 주인공의 성격적 내면의 천착, 주인공의 불합리한 원망까지도 충족시켜주는 진정한 희극성의 완성을 조화롭게 성취한다. Molière semble tenter de relier le developpement de la peinture du caractère du personnage comique à celui de l’intrigue amoureuse dans la mise en rapport de l’intermède avec la comedie sous la forme d’un spectacle interieur qui est à voir aussi par les personnages de comedie, ceci en s’appuyant sur l’emploi de l’effet de contraste entre la « civilite » et le comportement de son personnage comique. On peut faire alors l’hypothèse que le dramaturge a envisage d’etablir une interaction entre le personnage comique et les effets du spectacle musical dans le but de faire considerer les “illusions burlesques” dans laquelle vivent les divers personnages, ainsi que jalousie amoureuse, idolâtrie de la noblesse et, enfin, devotion pour la medecine. En effet, leurs illusions s’aggravent jusqu’à devenir, au cours de la pièce, tantôt aveuglement total, tantôt une folie delirante, tout ceci au benefice du dispositif comique tendu pour manifester pleinement la dimension comique de son caractère tout en permettant une fin heureuse à l’amour des jeunes gens au travers d’un spectacle chante et danse. Comme le personnage de George Dandin refuse de consulter le miroir que la Bergère lui tend sans le savoir, il devait paraître aux spectateurs mondains de l’epoque comme “un modèle d'un mari odieux que condamne sans repit les ideaux mondains.” Par contre, la ceremonie turque du Bourgeois Gentilhomme donne l’impression de tourner le personnage comique en ridicule en lui faisant realiser son rêve aussi intense qu’illusoire, et, à la fois, l’amour des jeunes premiers, empêche par son rêve même au travers de la grande pastorale. Ce qui est remarquable dans la mise en rapport entre developpement du caractère et comique du burlesque ascendant, c’est que c’est le passage chez le personnage comique de l’illusion au delire, autrement dit l’aggravation de son aveuglement, qui permet la transition dans la mise en oeuvre de l’action comique : de la repetition horizontale du contraste comique (George Dandin) à la realisation simultanee du contraste comique et de l’integration à l’intrigue amoureuse (Le Bourgeois Gentilhomme). Finalement, Le Malade imaginaire règle, dans son finale, toutes les questions dramatiques liees au genre de la comedie-ballet : peinture profonde du protagoniste, intrigue amoureuse, satire sociale, et, enfin, perfectionnement du comique joyeux. Autrement dit, le finale du Malade imaginaire est en quelque sorte la synthèse dramatique du ballet pastoral et de la comedie.

      • KCI등재후보

        The role and value of comic characters in Shakespeare's tragedy

        송일상 미래영어영문학회 2011 영어영문학 Vol.16 No.2

        셰익스피어의 희극적 인물은 비극적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중요한 의미와 역할을 하고 있다. 희극적 인물은 극의 전체적인 구성과 진행에서의 비중과 역할 측면에서 보면 제한적이고 한정적이어서 극의 희극적 위안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만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정서적 위안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희극적 인물은 시대와 장소를 막론하고 관객들에게 계속해서 관심과 호의를 받고 있다. 그것은 희극적 인물들이 극의 주제와 극의 전체적인 흐름을 위해 자연스럽게 극적으로 기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첫째, 희극적 인물은 우리가 모르는 사실적인 정보와 지식을 제공해 준다. 그는 비극적 행동에 직접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자신이 갖고 있는 정보와 지식을 통해 개인적 혜택과 이득을 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의 농담과 해학은 자유롭고 자발적이며 거침이 없다. 둘째, 희극적 인물은 자신의 농담과 해학을 통해 자신의 세계에 대한 비평적 관찰을 제시한다. 또한 그의 지각적인 해설과 평가는 신뢰와 정직을 바탕으로 한다. 왜냐하면 그는 자신의 말의 의미와 상황을 모르고 있고 비극적 인물과의 가족적, 정치적, 사회적 유대감이 없기 때문에, 그는 모든 것을 동등하게 취급한다. 그리고 사물을 보는 그의 관점 역시 편견없이 공명정대하다. 셋째, 희극적 인물은 극의 도덕적 윤리적 측면에서 기여하고 있다. 비극적 인물은 희극적 인물을 통해서 자신이 모르고 있었던 진리와 사실을 배워나가는 자아성찰의 과정을 밟아 나간다. 그는 다른 인물들에게 농담이라는 거울을 비추어 진실을 반영함으로써 그들의 목표와 진실을 인식하게 한다. 설령 도덕적 평가가 기대했던 목표에 도달하지 못한다 하드래도, 그 영향력은 관객들을 포함한 모든 인물들에게 보다 강렬하게 가슴을 울리는 진실로 다가갈 것이다. 결론적으로 희극적 인물은 비극적 인물과 균형을 맞추기 위해 자신의 삶에 충실하고 있다. 그는 다른 인물들이 할 수 없는 진실을 설명하고 분석하고 평가한다. 비록 조야하고 상투적인 저속한 표현의 말과 행동을 보이지만, 희극적 인물은 비극적 인물과 상황에 대한 지각있는 평가와 균형 잡힌 안목을 적절하게 제시한다. 그러므로 셰익스피어 비극의 희극적 인물은 비극적 인물의 기쁨과 슬픔에 대한 균형을 유지하면서 시대와 장소를 초월해서 모든 사람과 관객들에게 끝임없이 보편적 호소를 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다리오 포 『무정부주의자의 사고사』의 풍자적 연극놀이 양상

        장지연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2022 이탈리아어문학 Vol.- No.65

        Dario Fo utilizes the genre of satirical play accompanied by caustic lampooning and laughter as the most effective means of criticizing the establishment and awakening the audience’s consciousness. Particularly, the role of “Maniac” and his play-acting in Morte accidentale di un anarchico turn out to be what Fo borrowed from the medieval and Renaissance-style dramatic techniques and recreated anew in a contemporary manner. Thus, this researcher explored two aspects found in this play: first, the role-playing of giullare, the medieval character of entertainer adopted to maximize the play’s lampooning; second, the manifestations of the Renaissance techniques borrowed for dramatic vitality and comedic effects, of Commedia dell’Arte and “lazzi” as its laughter-provoking device. First, the “Maniac”’s “roles of giullare” consists largely of six stages where totally five roles are performed by masterful play-acting (to be specific, by playing simultaneous crossover characters as well). Starting from a suspect, his acting goes through simultaneous double policemen, a judge, a forensic laboratory chief, a Vatican envoy (bishop), and back to the suspect. In this process occurs “lampooning the establishment” that enjoys all kinds of privileges and encourages the overall corruption in society, such as the police, the judiciary and judges in back-scratching relationship to the former, the governmental organizations in arts and culture, the capitalist haves and politicians, the clergymen and doctors utilizing authority and dependent on money and power, and the press instigating the public by distributing the establishment’s logics lopsidedly. Meanwhile, he does not stop here but never miss “lampooning the public” tamed and swayed by the establishment’s highly elaborate strategies and sensational images. Second, the deployment of lampooning is not so much serious but causing side-splitting laughter, as it was found that the “improvisation” and “lazzi” ― which causes laughter ― characterizing Commedia dell’Arte appear all around. The Maniac acts impromptu whenever facing an unexpected situation as if he were already prepared for it, just like the Commedia dell’Arte actors who showed highly trained improvisations. The “Maniac” who immediately changes himself by switching between five roles as occasion demands throughout the deployment of the play turns out to be the seasoned impromptu actor proper. Whereas the Commedia dell’Arte actors played just one role for all their life given the challenge of impromptu acting, it is pointed out here with examples of scenes that the Maniac plays the roles of different characters simultaneously. Also, the “lazzi” of Commedia dell’Arte can be found wherever laughter is used to narrate serious incidents, as exemplified by the scenes treated here. 포는 기득권층에 대한 비판과 관객들의 의식을 일깨우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수단으로 신랄한 풍자와 웃음을 동반한 풍자극을 사용한다. 특히 극의 ‘미친 사내’의 역할과 그가 벌이는 연극놀이는 포가 과거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의 극적 기법들을 차용해 현대적으로 새롭게 재창조해낸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 극에 드러나는 두 가지 측면, 첫째로 극의 풍자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차용한 중세의 어릿광대 줄라레의 역할 양상을, 둘째로 극적 활기와 희극적 효과를 위해 사용하는 르네상스 시대 콤메디아 델라르테와 웃음 유발 장치인 ‘라찌)’의 발휘 양상을 살펴보았다. 첫째, ‘미친 사내’의 ‘줄라레 역할’은 크게 6단계로 총 5가지의 역할을 능수능란한 연극놀이를 통해 수행해낸다(세부적으로는 동시 교차역할도 함). 용의자로 시작하여, 동시 2인의 경찰 역할, 판사 역할, 과학수사연구소의 소장 역할, 교황청 특사(주교) 역할을 거쳐, 다시 용의자로 돌아온다. 각각의 역할이 진행되는 동안 경찰, 이들과 유착관계인 사법부와 판사들, 문화예술관련 정부조직, 돈 가진 자본가와 정치인들, 권위를 이용하고 돈과 권력에 종속된 성직자들과 의사들, 그리고 이들 기득권층의 논리를 일방적으로 유포하고 선동하는 언론 등, 온갖 특권을 누리며 사회의 전반적인 부정부패를 조장하는 ‘기득권 세력들에 대한 신랄한 풍자’가 이루어진다. 동시에 그는 여기서만 멈추지 않고, 피해를 당하면서도 기득권 세력들의 속성을 파악 못한 채 그들이 구사하는 고도의 전략들과 자극적인 이미지에 길들여지고 좌지우지되는 ‘대중들에 대한 풍자’도 빼놓지 않는다. 둘째, 풍자의 전개 과정은 심각하거나 진지하다기보다는 요절복통할 웃음을 유발하는데, 콤메디아 델라르테의 특징 중 하나인 ‘즉흥성’과 웃음을 불러일으키는 ‘라찌’가 도처에 등장함을 살펴보았다. 먼저 미친 사내는 예기치 않게 놓이는 상황마다 마치 준비가 되어 있던 듯 즉흥적으로 대처를 해내는데, 이 모습은 마치 콤메디아 델라르테 배우들의 고도로 숙련된 즉흥연기 면모를 찾아볼 수 있다. 극이 전개되는 내내 ‘미친 사내’가 상황에 따라 5가지 역할을 바꿔가며 즉각적으로 변신하는 모습은 노련한 즉흥극 배우 그 자체이다. 즉흥극의 어려움상 콤메디아 델라르테에서는 평생 한 가지 역할만 했다면, 미친 사내는 성격이 다른 여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낸다는 점을 장면들의 예시를 통해 지적해보았다. 또한 심각하고 진지한 사건의 이야기를 웃음으로 풀어내는 곳곳마다 콤메디아 델라르테의 ‘라찌’를 발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장면들의 예시도 다루어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Les Démarches d’interaction entre le personnage comique et les effets de la musique et de la danse dans les comédies-ballets de Molière

        임채광,Georges FORESTIER 한국불어불문학회 2019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20

        Molière semble tenter de relier le développement de la peinture du caractère du personnage comique à celui de l’intrigue amoureuse dans la mise en rapport de l’intermède avec la comédie sous la forme d’un spectacle intérieur qui est à voir aussi par les personnages de comédie, ceci en s’appuyant sur l’emploi de l’effet de contraste entre la « civilité » et le comportement de son personnage comique. On peut faire alors l’hypothèse que le dramaturge a envisagé d’établir une interaction entre le personnage comique et les effets du spectacle musical dans le but de faire considérer les “illusions burlesques” dans laquelle vivent les divers personnages, ainsi que jalousie amoureuse, idolâtrie de la noblesse et, enfin, dévotion pour la médecine. En effet, leurs illusions s’aggravent jusqu’à devenir, au cours de la pièce, tantôt aveuglement total, tantôt une folie délirante, tout ceci au bénéfice du dispositif comique tendu pour manifester pleinement la dimension comique de son caractère tout en permettant une fin heureuse à l’amour des jeunes gens au travers d’un spectacle chanté et dansé.* premier auteur, ** auteur correspondant Comme le personnage de George Dandin refuse de consulter le miroir que la Bergère lui tend sans le savoir, il devait paraître aux spectateurs mondains de l’époque comme “un modèle d'un mari odieux que condamne sans répit les idéaux mondains.” Par contre, la cérémonie turque du Bourgeois Gentilhomme donne l’impression de tourner le personnage comique en ridicule en lui faisant réaliser son rêve aussi intense qu’illusoire, et, à la fois, l’amour des jeunes premiers, empêché par son rêve même au travers de la grande pastorale. Ce qui est remarquable dans la mise en rapport entre développement du caractère et comique du burlesque ascendant, c’est que c’est le passage chez le personnage comique de l’illusion au délire, autrement dit l’aggravation de son aveuglement, qui permet la transition dans la mise en œuvre de l’action comique : de la répétition horizontale du contraste comique (George Dandin) à la réalisation simultanée du contraste comique et de l’intégration à l’intrigue amoureuse (Le Bourgeois Gentilhomme). Finalement, Le Malade imaginaire règle, dans son finale, toutes les questions dramatiques liées au genre de la comédie-ballet : peinture profonde du protagoniste, intrigue amoureuse, satire sociale, et, enfin, perfectionnement du comique joyeux. Autrement dit, le finale du Malade imaginaire est en quelque sorte la synthèse dramatique du ballet pastoral et de la comédie.

      • KCI등재

        서술자의 신빙성에 관한 연구

        최병우(Choe Byeong U) 한국현대소설학회 2003 현대소설연구 Vol.- No.19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reliability of narrator in Korean modern novels. The unreliable narrator appears in many 1920`s Korean novel. These novels are unreliable because of the confusion in narrative strategies, point of view, tense, narrative situation, etc. The unreliable narrator appears in many 1930`s Korean novel too. But in 1930`s Korean novel, unreliable narrators are made choice of author`s aesthetic intention. Authors of 1930`s Korean novel made use of a reliable narrator that is a device for aesthetic effect, comedic effect and allegoric situation and so on. The change of the reliability of narrator during this twenty years has bee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narrative technique in Korean modern novel.

      • KCI등재후보

        『로미오와 줄리엣』 : 희극과 비극의 대비와 조화

        신웅재(Woong-Jae Shin)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03 셰익스피어 비평 Vol.39 No.1

        Romeo and Juliet differs from the other Shakespearean tragedies in that it emphasizes both good fortune (or the pleasures of life) and misfortune (or the pains of life) equally. This play celebrates Romeo and Juliet's joyful love as much as it laments their tragic death. It is a play with mixed comic and tragic elements, which proceeds happily like Shakespeare's romantic comedies in its first half but turns out tragically in its second half. Also, the first comic half carries ominous forebodings of catastrophe while the second tragic half is mingled with comic scenes, so that both comic and tragic elements can appear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throughout the play. This paper explains in detail such tragicomic structure, examining its effects on the play's themes, plots, characters, atmospheres, and overall dramatic effects and also discussing how the unique structure illuminates the meaning of the playas a whole. The tragicomic structure of this play achieves a variety of effects. First of all, it gives the audience a very colorful and exciting experience of not only appreciating both tragedy and comedy within a play, but also watching the continuous reversals of events and atmospheres between comedy and tragedy. Second, as the play changes in genre from comedy to tragedy, its main characters grow mature and strong and the roles of its secondary characters become serious and complex, which adds zest and artistic merit to the play. Also the tragic reversal in the play, occurring after the whole process and outcome of the previous comic action, evokes a greater sense of woe than in other tragedies. Conversely, as the tragic sense grows deeper, so the comic vision underneath the tragic consequence-that is, the reconciliation between the two antagonistic families and the prospects of peaceful order in Verona-becomes more valuable and nobler. The coexistence and intersection of the comic and the tragic in the play thus produce the synergy effect of enhancing each other by contrast. The tragicomic structure of the play reflects both the bright and dark sides of life. It also shows the ironic fact of life that happiness causes deeper sorrow which in turn helps to bring greater pleasure. Man, like the whole action of the play, is born to experience the ups and downs of fortune and doomed to die in the end. This play suggests that the best way for man to cope with the tragic destiny should be to lead his life with courage and dignity and sublimate his inevitable death into a noble and valuable act (or sacrifice) like Romeo and Juliet, whose deaths bring reconciliation and peace to Verona. The sense of spiritual triumph arising from this brings an affirmative view that life is worth living despite the hostility of its fate, which is a comic vision of life in a broad sense. In this respect, the tragicomic structure of this play points to the dialectic harmony in which comedy is reversed into tragedy that in turn brings forth comedy.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후기 ‘平民詩歌’의 시적 초점과 창작원리

        성호경(Seong Ho-gyong) 한국어문학회 2009 語文學 Vol.0 No.105

        For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so-called ‘commoners’ poetry’ in the late Joseon perio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etic focus and the principle of composition in the saseolsijo and so-called ‘commoners’ gasa’.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Many works of saseolsijo and ‘commoners’ gasa’ in the late Joseon period deal with ‘man-woman relationship’ or ‘love and enjoyment of life’, or ‘lamentation of one’s own fortune’. ‘Criticism on reality’ is seldalinaticed in these works. The poetic focus as a dalinant element in the organization of these works is directed on the interesting expression of subject matters rather than on the embodiment of the theme. In a good many works of the ‘commoners’ poetry’, it would be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principle of composition to produce comic effect through the interesting expression of subject matters, rather than to embody the theme in un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