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외측 도달법을 이용한 소절개 회전근 개 봉합술 - 수술 술기 -

        조철현,손승원,배기철,이경재,서혁준,Cho, Chul-Hyun,Sohn, Sung-Won,Bae, Ki-Cheor,Lee, Kyung-Jae,Seo, Hyuk-Joon 대한관절경학회 201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4 No.1

        목적: 회전근 개 파열에서의 전외측 도달법을 이용한 소절개 봉합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전신 마취하에 측와위 자세를 취한 후 후방 삽입구, 전방 삽입구를 이용하여 관절내 병변의 유무를 확인하고, 관절경을 견봉하 공간에 위치시킨 후 외측 삽입구를 이용하여 회전근 개의 파열 형태 및 크기를 파악한 후 관절경하견봉 성형술을 시행한다. 견봉의 전외측 연에서 하방으로 3~4 cm의 피부 절개를 가한 후 전방 및 중간 삼각근의 봉합선을 따라 박리하고 삼각근 견인기를 이용하여 시야를 확보한다. 파열된 건에 견인 봉합을 시행하여 해부학적 복원을 위한 위치를 확인한 후 봉합 나사를 이용하여 일열 혹은 이열 봉합술을 시행한다. 봉합술 후 견봉에서 삼각근이 견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번 흡수봉합사를 이용하여 견봉과 삼각근과의 추가적인 봉합을 시행한다. 결론: 본 술기는 회전근 개의 가장 흔한 파열 부위인 극상건의 전방부에 직접 도달이 가능하고, 전방 및 중간 삼각근 사이로 접근하기 때문에 삽입구 연장 도달법에 비해 비교적 적은 견인으로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전방으로는 견갑하건의 상부와 후방으로는 극하건까지 도달할 수 있는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introduce arthroscopically assisted mini-open rotator cuff repair using anterolateral approach. Operative Technique: Placing lateral decubitus position on general anesthesia, a standard arthroscopic glenohumeral examination is performed to evaluate lesions of shoulder joint through posterior and anterior portal. And then arthroscope is placed in the subacromial space and we evaluate the size of the torn tendon and perform arthroscopic acromioplasty through lateral portal. A 3 to 4 cm skin incision is performed from anterolateral edge of acromion to distal and dissected along to raphe between anterior and middle deltoid. A deltoid retractor is then placed, allowing direct visualization of the rotator cuff and humeral head. As torn tendon is tagged by traction suture, we try to anatomical reduction on the footprint and then perform single row or double row repair of the rotator cuff using suture anchors. To prevent avulsion of the deltoid from the acromion, additional sutures by bone tunnel with acromion and deltoid is performed. Conclusion: This technique is useful procedure to get direct approach to anterior portion of supraspinatus tendon and to need lesser deltoid retraction than portal extension approach due to dividing along to raphe between anterior and middle deltoid. Also it provide better visualization of the superior portion of subscapularis and infraspinatus.

      • KCI등재

        회전근 개 파열의 봉합에서 UU 봉합법은 변형된 MA(Mason-Allen) 봉합법을 대치할 수 있는가?

        Darren J Friedman,고상훈(Sang-Hun Ko),박기봉(Ki-Bong Park),전형민(Hyung-Min Jun),김태원(Tae-Won Kim),임현우(Hyun-Woo Lim),염영진(Young-Jin Yum)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09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2 No.2

        목적: 관절경 하 회전근 개 봉합에서 일반적으로 건-봉합간 접촉면 (tenon-suture interface) 에 약한부위 (weak link)가 형성되어 있어 관절경 하 회전근 개 봉합은 개방적 봉합술보다 높은 재파열율을 가진다. 이 연구의 목적은 봉합사를 뼈에 고정할 때 관절경으로 사용할 수 있는 UU(Ulsan University) 봉합과 개방적 변형 MA (Mason-Allen) 봉합의 강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한 구의 사체 극상근 건을 채취하여 절반으로 나눈 후 다시 절반을 나누어 사체의 어깨 관절 한 구당 네 개의 건을 만들어 총 24개의 검체를 만들었다. 두 봉합 형태 (UU, MA)는 무작위로 선택하였으며 각각의 건에 시행하였다. 검체는 0.25 Hz에서 5~30N의 조절된 외력하에서 50회 주기 부하 (cyclic loading)를 받았다. 각 검체는 초당 1mm의 전이가 되는 상황하에서 파열이 발생할 때(ultimate tensile load)까지 부하를 받았다. 조건 이완 (condition elongation), peak-to-peak 전이(displacement), 기울기 (stiffness), 최대 인장력 (ultimate tensile load), 파열 양상 (mode of failure) 등을 기록하였다. 결과: 주기 부하 실험에서 두 봉합 형태 간 유의 있는 차이는 없었다. 최대 장력 실험에서 UU 봉합과 변형 MA (Mason-Allen) 봉합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09.4 N, and 110.6 N). 양 봉합 형태에서 가장 흔한 파열 양상은 봉합의 빠짐 (suture pull-out)이었다. 결론: UU 봉합과 변형 MA 봉합은 유사한 생역학적 특성을 가진다. Purpose: In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s there are generally weak link in tendon suture interface,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s can have higher retear rates than open repai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trength of UU (Ulsan University) suture than open modified MA (Mason-Allen) suture when suture anchored into bone. Materials and Methods: The human supraspinatus tendons were harvested from the shoulder of the cadaver and split in 2 times, producing four tendons per one shoulder, for a total of 24 specimens. Two suture configurations (UU, MA) were randomized and checked on each set of tendons. Specimens were cyclically loaded under force control between 5 and 30 N at 0.25 Hz for fifty cycles. Each specimen was loaded to failure under displacement control at 1 mm/sec. Cyclic elongation, peak to peak displacement, stiffness, ultimate tensile load, mode of failure were checked.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wo suture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peak to peak displacement, cyclic elongation, and stiffness. With regard to ultimate failure loa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the UU suture and modified MA suture (109.4 N, 110.6 N). The most common mode of failure between both sutures was suture pull-out through the tendon. Conclusion: The UU suture and modified MA suture produced similar biomechanical properties.

      • KCI등재

        회전근 개 파열의 관절경하 봉합에서 새로운 봉합 방법의 이용

        고상훈(Sang-Hun Ko),신승명(Seung-Myeong Shin),최영진(Young-Jin Choi),차재룡(Jae-Ryong Cha),박한창(Han-Chang Park)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1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4 No.1

        목적: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술은 여러 가지 봉합술이 알려져 있으나 저자들은 새로운 봉합법인 UU 봉합법의 임상적 결과와 해부학적 결과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본원에서 회전근개 파열에 대해 UU 봉합술을 시행한 156명 (남자: 88명, 여자: 6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55세 (38~75세)였으며 추시 관찰 기간은 평균 12개월 (6~23개월)이었다. 결과의 판정은 최초 내원 시점과 6개월, 1년과 최종 추시에 시행한 ASES 점수 중 통증에 대한 VAS, 기능에 대한 일상 (ADL), UCLA 점수 및 KSS 점수로 평가하였다. 추시 기간 중 술 후 3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MRI 촬영에 동의하는 환자에 한하여 MRI를 시행하여 재파열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결과: 통증 지표인 VAS는 술 전 평균 7.0에서 술 후 평균 2.7로 감소하였다 (p<0.05). UCLA 및 KSS score는 각각 22.2에서 32.5로, 83.7에서 91.5로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5). 능동적 관절 운동 범위는 전방 굴곡이 평균 125도에서 175도, 측방 외 회전이 평균 38도에서 58도, 외전이 평균 104도에서 169도로 향상되었다. 전체 환자 156예 중 술 후 3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MRI 촬영에 동의하여 시행한 117예 (75%) 중 재파열은 총 4예 (3%)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회전근 개 파열의 관절경하 봉합술로 UU 봉합법은 우수한 임상결과와 낮은 재파열을 보이는 방법이다. Purpose: There are various known methods fo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is to report on the clinical results and anatomical results of UU repair surgery, which is a new repair method. Materials and Methods: We enrolled 156 patients (88 men and 68 women) who underwent UU repair for rotator cuff tears from January 2009 to May 2010 in our hospital. Their average age was 55 years old (range: 38~75 years old) an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2 months (range: 6~23 months). For determining the results, we evaluated the VAS for pain, the daily living index (ADL) in the ASES scores, the UCLA and KSS scores, and all these tests were conducted at the first hospital visit and 6 months and 1 year after surgery and at the final follow-up. During the follow-up period, MRI was performed 3 and 6 months after surgery only in the patients who consented to MRI scans to confirm the presence of re-rupture. Results: The average scores of the VAS as a pain indicator decreased from 7.0 before surgery to 2.7 after surgery (p<0.05). The UCLA and KSS scores increased from 22.2 to 32.5 and from 83.7 to 91.5, and the changes was significant (p<0.05). For the active joint range of motion, the average forward flexion was improved from 125 to 175 degrees, the average lateral external rotation was improved from 38 to 58 degrees, and the average abduction was improved from 104 to 169 degrees. Out of a total of 156 patients, re-rupture was observed in 4 cases (3%) of 117 cases (75%) for which MRI was performed (with consent) between 3 and 6 months after surgery. Conclusion: UU repair surgery as arthroscopic repair of rotator cuff tear is a good repair method that shows excellent clinical results and a low re-rupture rate.

      • KCI등재

        큰 크기의 회전근 개 파열에서 UU-Tension Band Suture를 이용한 관절경 감시하의 봉합술

        고상훈(Sang-Hun Ko),이채칠(Chae-Chil Lee),신승명(Seung-Myeong Shin),김상우(Sang Woo Kim),조범근(Bum-Keun Cho)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2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5 No.2

        목적: 크기가 4 cm 이상의 회전근 개 전 층 파열에 대해서 UU-Tension Band suture 봉합 법을 이용한 관절경하 봉합술에 대한 추시 결과와 유효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11년 10월까지 큰 크기의 회전근 개 전 층 파열로 UU-Tension Band suture 봉합법을 이용하여 적어도 대결절의 내연까지 봉합이 가능하여 관절경하 봉합술을 시행하였던 71예의 환자를 1군으로, 단순 봉합법을 시행하였던 20예를 2군으로 하여 비교하였으며, 술 전과 7개월, 1년, 최종 추시 VAS of pain, ASES 점수의 ADL (Activity of Daily Living), UCLA 점수를 측정하였다. 통계적인 검정은 양군간에 student t-test와 수술 전후에 paired t-test로 비교하였다. 평균 연령은 63.2 (52~80)세 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38.4(13~62)개월 이었다. 결과: 동통에 대한 VAS 점수에서 1군의 경우 술 전 평균 8.1에서 술 후 최종 추시 1.6로 감소하였고 (p<0.05), 2군의 경우 술 전 평균 7.6에서 술 후 최종 추시 1.8로 감소하였다 (p<0.05). 두 군 간의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p>0.05). 평균 ADL은 1군의 경우 술 전 평균 12.5에서 술 후 최종 추시 평균 29.0으로 증가하였고 (p<0.05), 2군의 경우 평균 11.3에서 27.5으로 증가하였으며 (p<0.05), 두 군 간에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p>0.05). UCLA 점수는 1군의 경우 술 전 평균 12.9에서 술 후 최종 추시 28.7으로 증가하였으며 (p<0.05), 2군의 경우 술 전 평균 13.8에서 술 후 최종 추시 30.1으로 증가하였으며 (p<0.05), 두 군 간에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p>0.05). 술 후 평균 27.5주째에 촬영한 MRI (20예)와 초음파 (51예)를 이용한 재 파열의 비교에서 1군에서 28%, 2군에서는 20예중 11예에서 재 파열이 있어서 두 군간에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p<0.05). 결론: 크기가 4 cm 이상의 회전근 개 전 층 파열에서 UU-Tension Band suture 봉합법을 이용한 관절경하 봉합술은 단순 봉합법을 이용한 봉합술과 비교하여 임상적으로 차이가 없으나 재파열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repair with UU-Tension Band suture for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ar above 4 cm sized.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6 to October 2011, in 71 full thickness tears above 4 cm sized which is possible to arthroscopic repair to medial margin of greater tuberosity. The group I is 71 patients which is arthroscopic repair with UU-Tension Band suture, and the group II is 20 cases which is arthroscopic repair with simple suture. Both groups were compared with a VAS score for pain, Activity of Daily Living, UCLA score, KSS score in pre operation, 7 months, 1 year and last follow-up.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student t test and paired t est. Mean age was 63.2 (52~80) year old, mean follow-up was 38.4 (13~62) months. Results: The VAS scores for pain decreased from 8.1 at preoperative period to 1.6 at postoperative last follow-up period in group I (p<0.05), the score decreased from 7.6 at preoperative period to 1.8 postoperative last follow-up period in group II (p<0.05).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noted between two groups (p<0.05). Mean ADL scores increased from 12.5 at preoperative period to 29.0 post operative last follow-up period in group I (p<0.05), the score increased from 11.3 in pre op to 27.5 post-operative last follow-up in group II (p<0.05).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noted between two groups (p<0.05). The UCLA score increased from 12.9 at preoperative period to 28.7 postoperative last follow-up period in group I (p<0.05), the score increased from 13.8 at preoperative period to 30.1 postoperative last follow-up period in group II (p<0.05).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noted between two groups (p<0.05). In comparing of retear which was checked by MRI and ultrasound evaluated at postoperative period 7 months (mean: 27.5 weeks), the retears were 28% in the group I, and 11 shoulders out of 20 shoulders in the group II.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between two groups (p<0.05). Conclusion: Arthroscopic repair with UU-Tension Band suture and simple suture for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ar above 4 cm sized were not different clinical result between both groups. However,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point of failure rate between both groups.

      • KCI등재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경 감시하의 봉합술

        고상훈(Sang-Hun Ko),전형민(Hyung-Min Jeon),신승명(Seoung-Myung Shin)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3 No.2

        목적: 광범위 이상의 회전근 개 전층 파열에 대해서 UU 봉합법을 이용한 관절경 하의 이중 봉합술의 임상 결과와 수술의 유효성을 알아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09년 7월까지 광범위 회전근 개 전층 파열로 대결절의 중간부위까지 봉합이 가능하여 관절경하 봉합술을 시행한 36예의 환자중에서 1년 이상의 추시가 가능하였던 31예에 대하여 UU 봉합법을 이용하여 이열 봉합술 (Double Row Repair)을 시행하였던 11예를 1군으로, 단순 봉합법으로 일열 봉합술을 시행하였던 20예를 2군으로 하여 비교하였으며, 술전과 6개월, 1년, 최종 추시 때의 VAS of pain, ADL (Activity of Daily Living), UCLA 점수를 측정하였다. 통계적인 검정은 student t-test와 paired t-test로 비교하였다. 평균 연령은 59 (48~70)세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28 (12~43)개월이었다. 결과: 동통에 대한 VAS 점수에서 1군의 경우 술 전 평균 7.5에서 술 후 최종 추시에서 1.5로 감소하였고 (p<0.05), 2군의 경우 술 전 평균 7.6에서 술 후 최종 추시에서 1.8로 감소하였다(p<0.05). 두 군 간의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p>0.05). 평균 ADL은 1군의 경우 술 전 평균 11.5에서 술 후 최종 추시에서 평균 25.1으로 증가하였고 (p<0.05), 2군의 경우 평균 11.3에서 27.5으로 증가하였으며 (p<0.05), 두 군 간에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p>0.05). UCLA 점수는 1군의 경우 술 전 평균 13.9에서 술 후 최종 추시에서는 31.6으로 증가하였으며 (p<0.05), 2군의 경우 술 전 평균 13.8에서 술 후 최종 추시에서는 30.1으로 증가하였으며 (p<0.05), 두 군 간에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p>0.05). 술 후 3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촬영한 MRI를 이용한 재파열의 비교에서 1군에서 9예 중 3예가, 2군에서 15예 중 8예에서 재파열이 있어서 두 군간에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p>0.05). 결론: 광범위 회전근 개 전층 파열에서 UU 봉합법을 이용한 관절경하 이열 봉합술은 일열 봉합술과 비교하여 임상적으로 차이가 없으나 재파열에서 차이가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and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double row repair with UU stitches for massive, full-thickness, rotator cuff tear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7 and July 2009, we consulted on 36 massive tears in which it was possible to repair the middle area of the greater tuberosity by arthroscopy. One group consisted of 11 cases that had a double row repair with UU stitches. A second group consisted of 20 cases that had a single row repair with simple stitches. We compared the 2 groups for pa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UCLA score, and KSS score. We did this pre operatively, and at 6 months, 1 year and final follow-ups.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Students t test and a paired t est. Mean age was 59 (48~70); mean follow-up was 28 (12~43) months. Results: VAS scores decreased from 7.5 pre operatively to 1.5 post operatively at the last f/u in the 1<SUP>st</SUP> group (p<0.05). In the 2<SUP>nd</SUP> group, the score decreased from 7.6 in pre op to 1.8 post operatively at the last f/u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05). Mean ADL increased from 11.5 to 25.1 at the last f/u in the 1<SUP>st</SUP> group (p<0.05); in the 2<SUP>nd</SUP> group the ADL score increased from 11.3 to 27.5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05). The UCLA score increased from 13.9 to 31.6 in the 1<SUP>st</SUP> group (p<0.05), while in the 2<SUP>nd</SUP> group the score increased from 13.8 to 30.1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05). Comparing MRIs at 3 and 6 months post op, there were retears in 3 of 9 cases in the first group, and in 8 of 15 cases in the second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05). Conclusion: Arthroscopic double row repair with UU stitches for massive, full-thickness rotator cuff tears showed no differences in clinical results. However, it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retears.

      • 내측으로 퇴축된 대범위 회전근 개 파열

        고상훈,차재룡,김태원,Ko, Sang-Hun,Cha, Jae-Ryong,Kim, Tae-Won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3

        내측으로 퇴축된 대범위 이상의 회전근 개 파열은 대범위 파열과 광범위 파열, 봉합이 불가능한 파열을 포함한다. 봉합 이 가능한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관절경 하 봉합술이나 개방적 봉합술을 시행할 수 있다. 그러나 관절경 감시하의 봉 합법은 무척 인내를 요하며 장기간의 긴 학습곡선을 필요로 한다. 봉합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관절경 하에서 변연절제술(debridement)이나 부분 봉합술(partial repair)을 시행할 수 있고, 때로 광배근 이전술이나 역형 인공관절술을 시행할 수 도 있다. 관절경 하에서 변연절제술(debridement)은 국소 마취제의 견봉하 주사후에 통증의 완화와 운동범위의 향상을 경험한 환자들에게 일시적인 호전을 얻을 수 있다. 역시 봉합이 불가능 할 경우에 관절경하에서의 부분 봉합술(partial repair)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견갑 신경의 신연에 의한 생리적 신경차단(suprascapular nerve traction neurapraxia)이 있는 경우에 특히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건 이식은 수평까지 어깨를 들어 올릴 수 있을 정도의 경도에 서 중등도 근력 약화의 경우에 장기적인 치료로 사용될 수 있다. 전상방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하여 대흉근(Pectoralis major sternal head)의 근 이전술이 사용될 수 있으며, 후상방 회전근 개 파열의 경우에는 광배근(Latissimus dorsi) 근 이전술이 사용되고 있다. 역 견관절 치환술(Reverse Shoulder Prosthesis)은 어깨 관절의 근력이 극도로 약화된 가성 마비 (pseudoparalysis)에서 유용한 치료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자들은 내측으로 퇴축된 대범위 이상의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경하 봉합법의 시행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봉합이 불가능한 파열의 경우에 변연절제술, 부분 봉합 및 건 이전술과 역 견관절 치환술의 이용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Medially retracted large-sized rotator cuff tears includes large-sized tears, massive tears and irreparable tears. Generally arthroscopic repair or open repair of rotator cuff tears is used in reparable tears. However, arthroscopic repair requires long period practice and endurance. In irreparable tears, arthroscopic debridement, partial repair, latissimus dorsi transfer and retrograde arthroplasty can be the option. Arthoscopic debridement gives temporal relief who experienced improvement in pain and increase in range of motion after subacromial local anesthetic injection. Also arthroscopic partial repair gives good results in irreparable cases, especially in suprascapular nerve traction neurapraxia. Tendon transfer can be used in mild to moderate muscle weakness in shoulder abduction for long term treatment. Pectoralis major transfer can be used in anterosupeior tears and latissimus dorsi transfer can be used in posterosuperior tears. Reverse shoulder prosthesis is used in extreamly weakened shoulder pseudoparalysis. The authors discussed the method of arthroscopic repair in irreparable tears. The debridement, partial repair, and tendon transfer could be used in medially retracted large-sized rotator cuff tears.

      • KCI등재

        전외측 도달법을 이용한 소절개 회전근 개 봉합술

        조철현(Chul Hyun Cho),여경기(Kyung-Ki Yeo),이성윤(Sung Yoon Lee),정구희(Gu-Hee Jung)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3 No.1

        목적: 회전근 개 파열에서의 전외측 도달법을 이용한 소절개 봉합술을 소개하고 임상적 결과 및 그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외측 도달법을 이용한 소절개 봉합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5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56.6 (39~71)세였고, 남자가 39예, 여자가 20예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26 (12~41)개월이었다. VAS 점수 및 ADL 지수를 이용하여 동통 및 기능적 평가를 시행하였고, 임상적 결과의 판정은 ASES 점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VAS 점수는 술 전 7.04점에서 최종 추시시 1.02점으로, ADL 지수는 12.37점에서27.20점으로 호전되었으며, ASES 점수는 술 전 35.32점에서 최종 추시시 90.08점으로 향상되었다(p=0.000). 임상적 결과는 우수 41예, 양호 11예, 보통 2예, 불량 5예로 52예 (88.1%)에서 만족할 만한 임상적 결과를 나타내었다. 나이, 성별, 증상 기간, 파열의 크기, 술 전 견관절 강직과 최종 추시 ASES 점수와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p>0.05). 결론: 전외측 도달법을 이용한 소절개 봉합술은 만족할 만한 임상적 결과를 보였으며 시야 확보에 유리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introduce mini-open rotator cuff repair using the anterolateral approach and evaluate its clinical outcomes and effectiveness. Materials and Methods: 59 consecutive cases of rotator cuff tearing which were treated with mini-open repair utilizing the anterolateral approach were evaluated. The population comprised 39 men and 20 women, with an average age of 56.6 years. An average follow-up time period was 26 months. Clinical outcomes were analyzed based on VAS, ADL, and ASES scores. Results: The average respective VAS, ADL, and ASES scores improved from 7.04, 12.37, and 35.32 preoperatively to 1.02, 27.20, and 90.08 postoperatively (p=0.000). There were 41 excellent, 11 good, 2 fair, and 5 poor results. There were satisfactory results in 52 cases (88.1%).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inal ASES scores and age, sex, duration of symptoms, tear size, and preoperative stiffness (p>0.05). Conclusion: Mini-open rotator cuff repair using the anterolateral approach effective in providing better visu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