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부모학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

        이종각 한국학부모학회 2014 학부모연구 Vol.1 No.1

        이 연구는 ‘학부모의 질이 교육을 좌우한다’는 새로운 화두에 주목하여 학부모학 연구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고 향후 학부모학 연구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부모학 연구가 왜 필요한지, 학부모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 그리고 학부모학 연구가 지향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 등을 논의하였다. 한국교육에서 학부모담론은 양적으로 매우 빈약할 뿐 아니라 질적으로도 부정적이거나 소극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학부모의 현실적?담론적 지위가 낮은 상황과 맥을 같이 한다. 빈약한 학부모담론의 현실은 담론구조의 불균형을 초래함으로써 ‘구조적 비판불가능성’을 잉태하고 이는 교육민주화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학부모는 교육의 원천주권자이며, 학부모가 자신의 교육권을 정당하게 발휘하고 나아가 교육민주화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학부모학 연구의 양적인 확대와 더불어 질적인 변화가 요구된다. 학부모의 의식과 행동의 기반이 되는 교육열에 대한 새로운 해석 작업도 필요하다. 지식기반사회, 세계화, 소비자시대, 평생교육시대 등 새로운 교육패러다임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한국교육의 미래를 이끌어갈 새로운 에너지원으로써 교육열에 대한 재해석 작업은 학부모학 연구의 지평을 확대할 것이다.

      • KCI등재

        학습하는 부모: 평생학습시대의 학부모 담론 재구성

        강대중(Kang, Dae Joong) 한국학부모학회 2020 학부모연구 Vol.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저출산고령화, 지능정보화와 더불어 한국 사회를 해독하는 중요한 기표로 등장한 평생학습 관점에서 학부모 담론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저자는 평생학습이 한 개인의 생애 동안 지속적으로 학습에 참여해야 한다는 의미를 넘어 교육시스템의 재구조화를 추동하는 정책적 관점과 개개인의 생애경로를 형성 변모시켜나가는 전기적 학습의 관점을 시사하고 있다고 Alheit와 Dausien(2002)의 논의를 빌어 주장한다. 후자의 관점에서 평생학습은 각 사람이 생애 전개 과정에서 경험하는 이행의 국면을 파악하는 안목을 제시한다. 이 안목에서 학부모는 단순히 학교에 포섭된 존재에 부여하는 정체성이 아니다. 자녀의 출생과 더불어 부여되는 일종의 생물학적, 자연적 존재인 부모로부터 학부모라는 사회적 존재로의 이행이 평생학습으로 가능하다면, 그에 대한 심화된 연구 기획이 필요하다. 저자는 부모와 학부모의 담론적 지위를 구분하고, 학부모를 ‘부모 됨을 학습하는 존재’로 재개념화하고 ‘학습하는 부모’로 그 의미를 확장할 것을 요청한다. 이를 통해 저자는 학부모 연구의 새로운 영역과 주제를 논의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school-parents discourse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learning. The author argues that the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is more than an individual should participate in learning throughout one s life. Using Alheit and Dausien, the author argues that lifelong learning is, first and foremost, raising a policy perspective to reorganize the existing education system, and second, providing a perspective to understand various transitions throughout one’s life progression in terms of learning activities. From the latter perspective, school-parents are not a given identity of who is subjected to school. If the transition from parents to school-parents is possible through lifelong learning, more research on this process is needed. The author argues that we should divide the discourse position of school-parents from parents, and asks for recognizing those who learn to become school-parents. The author discusses new research topics in the study of school-parents.

      • KCI등재후보

        수학교육에서 학부모 참여의 의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의 고찰

        탁병주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9 교육발전 Vol.39 No.2

        Many researchers suggested that parents should participate as a subject of school education together with students and teachers. The government also runs mathematics popularization projects for parents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of mathematics. There are some studies how parental participation affects students’ learning of mathematics, but almost of them are by quantitative methods. This study explored the role of parents in mathematics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studies based on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learning mathematics. As a result, the role of parents in mathematics education could be explained as (1) participating on discourse community, (2) sharing the affects with students, and (3) constructing the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s. 학부모가 학생, 교사와 함께 교육의 한 주체로서 참여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수학교육 영역에서도 학부모 수학교실 등 학부모 대상의 수학 대중화 사업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수학교육에서 학부모 참여가 지니는 교육적 의의, 특히 학생의 수학 교수-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질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 학습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을 바탕으로 문헌 연구를 통해 수학교육에서 학부모의 역할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교육에서 학부모의 역할은 담론공동체의 참여자로서 학생과 수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을 공유함으로써 수학교실문화를 함께 구성해나가는 수학교육의 참여 주체로 설명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