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교폭력 갈등과 회복적 서클 이야기치료 사례 연구

        오일록(Il-Rok Oh),이미나(Mi-Na Lee)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2 청소년상담학회지 Vol.3 No.4

        본 연구는 학교폭력 갈등조정을 위한 회복적 서클(Restorative Circle) 이야기치료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은 참여자(피해학생, 가해학생)의 진술을 분석하여 자신에 대한 인식과 현재의 감정, 타인에 대한이해,갈등에 대한 재인식, 변화 등의 4가지 유형의 경험에 대한 내용이다. 본 연구는 학교폭력 사건 이후에 갈등조정과정에서 이야기를 중심으로 갈등해결을 위한 종합적 이해 및 대응체계의 문제를 파악하고 이해당사자들의역할과 책임을 탐색하도록 돕는 것이 목적이다. 이는 학교폭력 사건 이후 피해자와 가해자가 갈등의 해결과정에서 겪는 경험을 살펴보았다. 특히 갈등의 전개 양상 및 주요 요인, 갈등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욕구에 대해정확하고 관계자들을 돕기 위함이다. 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 갈등조정을 위한 회복적서클의 경험은 무엇인가? 둘째, 학교폭력 갈등 및 회복은 어떻게 접근하는가? 셋째, 이야기치료 과정에서 학교폭력의 갈등조정 경험은 무엇인가? 따라서 이야기치료를 통해 학교폭력 피해자 및 가해자들은 갈등을 인식하고참여와 소통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 즉 회복적 서클경험과 이야기치료 과정은 학교폭력 피해자와가해자로 하여금 피해보상을 넘어 회복이라는 근원적인 갈등해결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restorative circle story therapy for conflict resolution ofschool violenc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content of four types of experiences:self-awareness and current feelings, understanding of others, re-recognition of conflicts, andchange by analyzing the statements of participants(victims and perpetrators). The purpose ofthis study is to help identify the problem of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responsesystem for conflict resolution and to explore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stakeholders inthe process of mediating conflicts after school violence incidents, focusing on stories. Thisstudy looked at the experiences that victims and perpetrators experience in the process ofresolving conflicts after school violence incidents. In particular, it is to be accurate about thedevelopment of the conflict, its main factors, and the desire for a fundamental resolution ofthe conflict, and to help those involved.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xperience of restorative circles for school violence conflict resolution?Second, how do you approach school violence conflict and recovery? Third, what is theexperience of conflict resolution of school violence in the process of narrative therapy?Therefore, through narrative therapy, victims and perpetrators of school violence have anopportunity to recognize conflicts and solve problems through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the restorative circle experience and story therapy process will be anopportunity for victims and perpetrators of school violence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fundamental conflict resolution beyond compensation for damage.

      • KCI등재

        폭력 극복을 위한 생물학적, 평화교육적 단초: 디퓨징과 서클 프로세스

        이은경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5 기독교교육논총 Vol.43 No.-

        This study starts from the view that it is time to correct our approach to violence prevention in a radical way, in order to improve the prevailing standards within our society. We cannot address the problem of violence at its root through retributive punishment. Moreover, violence and its related behaviors are not independent or closed events and behaviors, but contain an inter-related and complex web of connections. Thus, if one wants to change the reality of violence, one must consider the entangled chains of cause and effect as a whole and prescribe a relevant treatment for it as a whole. The fact that such violent behaviors have and continue to happen relentlessly implies an urgent need to understand the matter of violence in a fundamentally new way, instead of punishing the criminal, the inflicter,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such violent acts. Violence or violent behavior since its incident generates more problems and causes other violence. Its effect may last throughout the the life-times of victims and related persons. In other words, retributive or judicial punishment cannot prevent violence, and is likely the cause of other social problems related to it.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the cause of violence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nature. In doing so, this study seeks to look beyond judicial justice or retributive justice, which regards the incidents as crimes and which punishes the criminals and tries to compensate the victims, for ‘Restorative Justice’, which aims at peace in terms of sincere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by examining ‘Circle Process,’ which is the practical alternative of ‘Restorative Justice’ program, from a religious-educational perspective. 본 연구는 사회 전반에 만연한 폭력적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폭력을 바라보는 시각에서부터 근원적인 교정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폭력적인 사람을 죄악시하고, 이런 사람은 그에 합당한 처벌을 받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렇게 생각하는 기저에는 폭력은 나쁜 것이고, 역폭력을 사용해서라도 맞대응해야 한다는 생각이 깔려있다. 그러나 폭력의 결과에 대한 ‘응보(應報)’적 처벌만으로는 폭력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폭력과 연관된 행동들은 고립적이거나 독립적인 행동, 사건이 아니라, 서로 연관된 복잡한 관계의 망을 갖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폭력적 현실을 바꾸려면, 복잡하게 얽힌 인과의 사슬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처방을 내려야 한다. 작년(2014년) 우리 사회는 참혹한 폭력의 현상들을 경험하였고, ‘학교폭력’, ‘가정폭력’을 넘어 ‘데이트 폭력’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폭력적 행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은, 폭력행위의 결과만을 놓고 주동자 즉 가해자를 처벌하는 식이 아니라, 폭력의 문제를 근원에서부터 다시 이해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다뤄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폭력이나 폭력적 사건은 그것이 일어난 후부터 훨씬 더 많은 문제들을 일으키고, 또 다른 폭력을 만들어내기도 하며, 때로는 관련된 모든 사람에게 평생 동안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다시 말해 ‘응보적’, ‘사법적’ 처벌만으로는 폭력을 예방할 수 없으며, 처벌로 인해 또 다른 사회문제를 유발할 수도 있다는 사실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먼저 폭력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공격성과 분노를 근원적인 인간 본성의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이것은 폭력의 가해자는 ‘악마적 본성을 지닌 사람’이라는 불편한 오해를 줄이고, 사전에 공격성과 분노를 건전하게 표출하고, 해소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함이다. 다음으로는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폭력적 사건이 발생했을 경우에 가해자와 피해자를 구분하여 가해자에게는 처벌을 내리고, 피해자에게는 보상을 하는 것으로 사건을 해결하는 ‘사법적’, 혹은 ‘응보적 정의’를 넘어서 ‘마음으로부터의 용서와 화해를 통한 평화’를 추구하는 ‘회복적 정의’와 그에 따른 실천적 대안인 ‘서클 프로세스’를 종교교육의 시각에서 고찰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학교전담경찰관 제도의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황정용 한국치안행정학회 2019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5 No.4

        2011년 대구에서 학교폭력 피해를 입은 중학생이 자살한 사건이 촉매가 되어 학교폭력에 대한 범정부적 근절 대책이 마련되었고, 이 과정에서 전국적으로 시행된 것이 학교전담경찰관 제도이다. 그 후 지금까지 운영되는 과정에서 학교폭력이 지능화·흉폭화·집단화하고 피해학생이 그로 인해 사망하거나 피해학생의 사진이 SNS등에 게재되어 국민적 공분을 자아내면서 학교폭력의 실질적 예방 필요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학교전담경찰관 제도도 이에 맞추어 문제점을 탐색하고 합리적으로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선행연구들은 학교전담경찰관의 활동이 지역사회와 연계되어야 하고, 범죄에 대한 처벌 중심에서 선도·교화 중심으로 가야 한다고 역설한 바 있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주장에 동감하면서, 필자는 경찰조직의 관련 부서에 근무한 경험과 일선의 학교전담경찰관 의견을 토대로 변화하는 학교폭력 경향에 대처해야 할 학교전담경찰관 제도의 개선방안을 조직적 측면, 학교 등 지역사회와의 협조 측면, 선도활동의 질적 개선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선, 학교전담경찰관 편제를 위기청소년의 실질적 관리를 통한 학교폭력 예방이 가능하도록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현재의 학교전담경찰관들은 경찰서 여성청소년계에 소속되어 근무하는데, 소속 계장이 이외에도 아동안전, 실종예방 등 많은 업무를 다루는 등 통솔범위가 지나치게 넓어 실질적 관리·감독이 어려우며, 학교전담경찰관의 다양하고 전문적인 업무수행이 조직 내에서 비중있게 다루어지지 못하는 가운데 인사상 불리함을 안고 있어 잦은 교체, 베테랑 부재 등의 현상과 전반적인 근무사기 저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학교전담경찰관들로만 구성된 별도의 학교전담팀을 만들어, 팀장에게 실질적인 관리·감독권한을 줄 것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학교전담경찰관의 실질적인 학교폭력 예방활동이 가능해지고, 이들이 장기간 근무의욕을 갖고 근무할 수 있는 여건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교와 경찰의 학교폭력 관련 정보 공유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아직, 개인정보라는 이유로 양자간 협조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학교전담경찰관의 경우 1인당 11개교 이상을 담당하고 있어 현실적으로 폭력이나 비행이 우려되는 학생 관련 정보를 인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눈에 드러나지 않아도 범죄 우려가 높은 학생들 관련 정보를 잘 알고 있는 학교 측에서 학생생활부장 교사 등이 학교전담경찰관과 정보를 공유하여 공동으로 이들을 관리할 수 있다면, 사회적 공분을 자아내는 큰 폭력범죄와 안타까운 희생자 발생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현행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등 법적 근거의 개정도 필요하다. 그리고, 학교전담경찰관이 행하는 청소년 선도활동이 양적 활동에서 질적 활동으로 개선되고, 활동의 주요 포인트도 변화하는 학교폭력 추세에 따라가야 한다. 현재의 주요한 선도활동 중 하나가 선도프로그램 운영인데, 얼마나 많은 소년범 등을 프로그램에 연계하였느냐가 성과지표로 반영되어 학교전담경찰관들이 다수의 청소년을 연계하는 양적 활동에 치중하고 있다. 하지만, 단순 비행 청소년과 폭력전과가 있는 청소년은 달리 선도해야 한다는 점에서 후자의 경우 질적으로 깊이 있는 교육이 가능하도록 차별화된 선도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여러 학교 ... As a catalyst was the suicide of a middle school student who was hit by school violence in Daegu in 2011, a pan-governmental anti-bullying measure against school violence was prepared, and the School Police Officer system was implemented nationwide in the process. Since then, in the course of operations so far, school violence becomes intellectual, extreme violent, and collective and the victim suicides or a photo of the victim gets on SNS, the School Police Officer system needs to search for problems and make rational improvements. Previous researches have stressed that the activities of School Police Officers should be linked to the community, and that they should focus on guiding and socializing from the punishment for crimes. Basically, I agree with these arguments, and based on my experience working in the relevant department of the police organization and the opinion of the School Police Officers, I divided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Police Officer system into organizational aspects, coope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school etc. and quality improvement of the guiding activities. First, we need to change the system of School Police Officers so that they can prevent school violence through actual management of crisis juveniles. Currently, School Police Officers are affiliated with the section of women & juvenile in police station.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he chief of section who deals with many tasks such as children’s safety and prevention of missing persons to manage and supervise staffs. As the various professional practices of the School Police Officers are not dealt with seriously in the organization, they have disadvantages in personnel, problems such as frequent replacement, absence of veterans, and overall decline in morale of duties are surfaced. Therefore, I propose that we make a separate School Police Officer’s team consisting of only school police officer and give the team leader the authority to manage and supervise school affairs practically. This will allow School Police Officers to prevent actual school violence and provide conditions for their long-term desire to work. Also, schools and police should be able to share information on school violence. Yet, there are many cases that bilateral cooperation is not possible due to sensitivity of personal information. As School Police Officers are in charge of more than 11 schools per a person, there is a limit to recognize information related to students who are afraid of violence or delinquency. Thus, if schools including director teacher of student life guide, which are well aware of students who are afraid of crimes even if they are not seen, can share information with the School Police Officer, and manage them jointly, they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violent crimes and tragic victims that makes public rages. To this end, the law on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needs to be revised. In addition, juvenile guiding activities conducted by School Police Officers should be improved from quantitative to qualitative activities, and major points of activity should be followed by changing school violence trends. One of the guiding activities in the present day is the operation of a guidance program, and the performance index reflected how many juvenile criminals were linked to the program, so School Police Officers focus on quantitative activities that link a large number of juveniles. However, it is suggested that the latter have a differentiated guidance program so that a qualitative and deep education can be achieved in the sense that simple delinquents and juveniles with violent battles should lead differently.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changes in police activities and concentration are needed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such the disbandment of a circle in which students commit violent crimes jointly and proactive detection and protection of crisis symptoms in cooperation with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so t...

      • 회복적 정의 실현을 위한 서클의 도덕교육적 의의

        김순자,이경원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0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

        본 논문에서는 회복적 정의에 바탕한 서클프로세서가 초등 도덕과 수업에 미치는 의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기존 응보적 생활지도가 강제, 처벌, 비난, 배제, 수치심 심어주기 등으로 문제행동을 고치겠다는 패러다임을 바꾸려는 시도로서 회복적 생활교육이 도입되었다. 회복적 생활교육은 갈등을 억누르고 회피하는 방식을 오히려 배움과 성장의 기회로 보고 내면치유, 관계회복, 공동체 복원, 그리고 갈등 당사자의 공동체 재통합을 위한 패러다임이다. 회복적 정의와 회복적 생활교육에 바탕한 서클프로세서는 또래 간의 소통, 공감과 경청, 관계회복, 치유와 화해 능력을 또래들에게 부여할 수 있다. 서클프로세서를 통하여 갈등과 폭력의 당사자들의 갈등 해결만이 아니라 상호간에 신뢰를 회복하고 공동의 지혜에 도달할 분 아니라 학교공동체(학급, 동아리 혹은 학교)가 평화적이고 안전한 공간으로 회복될 수 있는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도덕교과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서클프로세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회복적 서클을 활용한 비대면 다문화 교양교육 수업 사례 - D시 이슬람사원 건립 갈등 이슈를 중심으로

        신난희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5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what positive changes appear in the acceptance of restorative justice viewpoints and attitudes as a flexible multicultural perspective by learners who dealt with the issue of conflict over the construction of a mosque in city D in a non-face-to-face multicultural liberal arts education class using restorative circles. The results of the learners’ restorative circle activities are as follows. 1) In the initial activities that dealt with the issue of conflict in the construction of mosques, learners were unfamiliar with recognizing and expressing the emotions that social issues cause to them, and they took for granted the already internalized legitimate feelings and opinions. 2) After two months of the initial restorative circle activities, learners improved their ability to explain their feelings and understandings with key words or concepts in a very rich and in-depth way. 3) Learners wanted to expand what they realized in learning into the field of life and showed motivation to practice in the future. 4) In a non-face-to-face, unfamiliar learning environment, nonviolent (empathy) communications and restorative circle activities contributed to learners experiencing comfort and satisfaction through self-care and mutual care and enjoying a self-directed world.

      • KCI등재후보

        남녀 청소년들의 폭력써클 가입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

        신동준(Shin Dong-Joon)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5 사회연구 Vol.- No.9

          이 논문은 청소년의 비행집단 가입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다. 이 연구는 사회통제력의 약화로 청소년들이 비행집단에 가입하게 된다는 사회통제이론적 관점에서 다음의 두 가지 가설을 검증한다. 첫째, 사회적 유대가 약화된 청소년이 비행집단에 가입하려고 할 가능성이 클 것이다. 둘째, 자신들의 문제를 적절히 해결해 줄 수 있는 집단이나 조직이 부재하는 상황에서는 청소년들이 비행집단을 통해서 개인적 문제를 해결하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비행 피해를 겪는 청소년일수록 오히려 비행집단에 가입하려고 할 것이다. 여자 청소년들의 비행집단 가입 의사와 관련하여, 성 역할에 대해 진보적인 견해를 갖는 여자 청소년일수록 비행집단에 가입하려고 할 것이라는 여성해방/성평등 가설을 추가적으로 검증한다. 2003년 청소년 종합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위의 가설들은 지지되었다. 청소년의 비행성향과 무관하게, 가족 유대와 학업 관여의 정도가 높은 청소년은 폭력써클에 가입하려고 할 가능성이 낮았다. 그리고 집단따돌림과 폭행 피해를 당한 청소년들뿐만 아니라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이 있는 청소년들도 폭력써클에 가입하려고 할 가능성이 높았다. 가족과 성에 대한 진보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여자 청소년들이 폭력써클 가입 의사를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았으나, 남자 청소년들에게서는 그러한 경향이 발견되지 않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factors contributing to adolescents" intention to join delinquent gangs. Based on theoretical social control perspective, this study tests the following two hypotheses. First, adolescents with weak social bonds are more likely to show intentions to become gang members. Second, when adolescents are not members of groups or organizations that are capable of dealing with their problems, they try to solve their problems by gang membership. Regarding female adolescents, this paper also hypothesizes that girls with progressive attitudes on gender roles are more likely to think of gang involvement.<BR>  Using Youth Life in Korea 2003 data, this study finds that all the proposed hypotheses are supported. Regardless of the adolescents" delinquency, those who are attached to family and committed to academic achievement are less likely to think of joining gangs. Adolescents who are victimized by violence and bullying are also found to be more likely to show their intention to join gangs. The same tendency is also found in adolescents who have thought of committing suicide. Girls with progressive views on family and sex are more likely to show their intention to become gang members, while this relationship is not found among boys.

      • KCI등재

        학교폭력문제해결을 위한 학교 차원의 회복적 사법의 적용

        홍봉선 ( Bong Sun Hong ),남미애 ( Mi Ae Nam ) 한국형사정책학회 2014 刑事政策 Vol.26 No.2

        The study is to introduce school social welfare practices adopting restorative justice as an alternative paradigm toward school violence and to suggest their applicable tasks in the future. With an emphasis on literature research, it has surveyed restorative justice and school violence, problems facing school violence adolescents and difficulties of supporting systems for them. It has also examined about why restorative justice at schools should be employed and how it could be applied in a Korean society.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restorative justice approaches have already been widely used as an alternative toward school violence in other countries. The result also shows that restorative justice at school is useful for both repairing the harm on behalf of victims and reinforcing accountability and reintegrating into schools of offenders. Moreover, it helps reinforce community and recover relationships on the basis of respects and trust of victims and offenders built by mediation of family, friends, teachers, and school. And school welfare workers not only directly engaged in various programs Experts from various fields such as school welfare workers and school counselors provided diverse programs and services using a couple of restorative justice models at schools - mediation model, consultation model and circle model - targeting at from regular students to seriously harmed school violent victims, and also indirectly intervened by providing services, matches of resources and post management. To expand restorative justice at schools, it is identified that model development of school social welfare practices based on restorative justice in a Korean society, development of programs and training professionals, development of techniques,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and school welfare workers` positive intervention towards school violence are necessary.

      • KCI등재

        서클 프로세스와 비폭력대화에 기초한 ‘소통 중심 평화.통일교육’

        안지영(Ahn, Ji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한반도 분단과 갈등 문제를 해결해갈 주체로서 소통 역량을 기르는 데 초점을 두고 대학에서의 평화⋅통일교육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업현장에서 대학생들이 소통 및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점을 고려하고, 사람과 과정 중심의 평화⋅통일을 지향하는 교육을 위해 서클 프로세스와 비폭력대화를 교육 원리와 방법의 기초로 삼았다. 2015, 2018-2021년 간 인제대학교에서의 총 8개 학기 강의에 대해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실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소통 중심 평화⋅통일교육’의 원리와 방법을 개발하였다. 결과 ‘소통 중심 평화⋅통일교육’은 ‘개인의 내면으로부터 남북한 상호 이해를 향한 여정’을 뜻한다. 내면의 지혜를 가진 동등한 존재로서 모두가 주인이 되어 안전하고 흥미롭게 배워갈 ‘평화를 만드는 행복놀이터’를 형성하는 것이다. 실행 방안은 첫째, 모두 평등한 서클 구조에서 비폭력대화에 기초한 공감 토론이다. 둘째, 북한/통일 관련 다양한 자료/질문/활동을 통해 자신 및 타인과의 공감 소통을 체득하는 실천적 배움과 함께 창의성, 리더십, 협동심이 발휘되도록 한다. 셋째, 감사와 회복적 성찰로 자존감, 효능감을 키운다. 결론 이를 통해 교수자가 안내자로서 수업내용과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학습자들과 (재)구성해가는 과정에서 평화를 만들고 체험하며 모두 함께 평화시민으로 성장해간다. 본 연구가 남남갈등 및 남북갈등 해결을 위한 미래세대의 소통 역량을 키우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universities with a focus on fostering communication capabilities as a main agent in resolving the division and conflict of the Korean Peninsula. Methods To this end, considering the fact that college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classroom, NVC and circle process were used as the basis of educational principles and methods for people- and process-oriented peace and unification-oriented education. An action stud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8 semesters of lectures at University A in 2015 and 2018-202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practical study,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communication-centered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were developed. Results ‘Communication-oriented education for peace and unification’ means ‘a journey towards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Koreas from within the individual’. As equal beings with inner wisdom, it is to form a “playground of happiness that creates peace” where everyone can become the owner and learn safely and in a fun way. The implementation plan is first, empathic discussion based on nonviolent dialogue in an equal circle structure. Second, through various materials/questions/activities related to North Korea/unification, creativity, leadership, and cooperation are demonstrated along with practical learning to gain empathic communication with oneself and others. Third, it increases self-esteem and sense of efficacy through gratitude and restorative reflection. Conclusions Through this, the instructor presents the class content and direction as a guide, creates and experiences peace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it with the learners, and grows up as a peaceful citizen together.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nurturing communication capabilities of future generations for resolving inter-Korean and inter-Korean conflicts.

      • KCI등재

        탈북이주여성의 회복적 평화교육 사례 연구: 회복적 평화서클 대화모임 참가자를 중심으로

        신난희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4 시민인문학 Vol.46 No.-

        This paper analyzed the results of designing and conducting restorative peace education by reflecting the thirst for new knowledge and communication needs for self-expression among North Korean migrant women who have settled in Korean society for over 10 years. In designing restorative peace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designed together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Restorative peace education was carried out in two stages and was conducted in a circle dialogue format using non-violent dialogue and pivot techniqu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articipants achieved new discoveries and understanding of their self-identity through activities such as learning new communication techniques and discovering, express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ir inner emotions and desire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they performed challenging tasks with the cooperation of their colleagues and family, enjoyed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improved their sense of solidarity and pride among friends. The process of writing my first writer's class storytelling in Phase 2 was completed in the initial phase. Based on a deeper analysis of the second-stage process, it is believed that peace education design that involves a deeper healing process of participants' inner memories should be desig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