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항바다국제연극제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도정님,백진기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1995년 지방자치제 이후 급속하게 발전하게 된 지역 축제에 있어 예술간의 상호작용을 활 발히 할 수 있는 예술축제 중 포항바다국제연극제에 대하여 연구해보고자 한다. 포항은 철강중심의 산업 도시이기도 하지만 천혜한 자연환경인 바다, 산, 계곡 등을 보유한 도시이기도 하며 관광자원이 많은 도 시이기도 하다. 이러한 특성을 통해 포항바다국제연극제는 포항이라는 도시의 특수성 및 지역적 특성을 중심으로 개최된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예술축제인 동시에 예술축제로서 예술이 가지고 있는 기능과 의 미들을 잘 살린 축제라고 할 수 있다. 지역의 공연예술제는 공연예술제만의 특색과 지역적 특수성이 가 미가 되어 예술로서의 전문성을 극대화 하고, 지역적 특수성을 제고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이렇게 볼 때, 특정지역의 공연예술제가 성공할 수 있도록 진행되고 있는 내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그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지난 2001년부터 동해바다의 천혜의 수려한 자연환경과 포항의 지역적 특수성을 살려 지금까지 매년 개최되고 있는 포항바다국제연극제를 중심으로 어떠한 지역적 특수성과 인프라를 중심으로 본 연극제가 개최되고 있는지, 연극제에 대한 어떠 한 정체성이 있는지에 대한 포항바다국제연극제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미래전망과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특히 올해로 20회를 맞는 포항바다국제연극제는 지역적 특수성뿐만 아니라 공 연예술제의 특성에 있어 다양한 시도를 했다고 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의 선정, 축제의 컨셉에 대한 전 반적인 변모 등 여러 가지 시도를 통해 축제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포항바다국제연극제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발전 방안과 미래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포항바다국제연극제가 포항뿐 만 아니라 세계적인 연극축제로서 발돋움하길 바란다. This study is to study Pohang Sea International Theater Festival among art festivals that can actively interact with each other in local festivals that have developed rapidly since the local government in 1995. Pohang is a steel-oriented industrial city, but it is also a city with a natural environment such as the sea, mountains, and valleys, and a city with many tourist resources. Through these characteristics, the Pohang Sea International Theater Festival can be said to be a cultural and arts festival that represents the region held centering on the peculiarity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ity of Pohang, and a festival that utilizes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art as an arts festival. In particular, it can be said that the Pohang Sea International Theater Festival, which marks its 20th anniversary this year, has made various attempts in terms of regional specialty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ing arts festival. The festival was held through various attempts such as selecting various topics and changing the overall concept of the festival. Therefore, in this paper, the current status of the Pohang Sea International Theater Festival, which has been held since 2001, will be reviewed and the development plans and future strategies will be presented. Through this, I hope the Pohang Sea International Theater Festival will emerge as a global theater festival as well as Pohang.

      • KCI등재

        포항분지 해상 중소규모 CO<sub>2</sub> 지중저장 실증연구 안전성 평가

        권이균 ( Yi Kyun Kwon ),장찬동 ( Chandong Chang ),신영재 ( Youngjae Shinn ) 대한지질공학회 2018 지질공학 Vol.28 No.2

        포항분지 해상 중소규모 CO<sub>2</sub> 지중저장 실증 연구사업은 저장소 선정 및 저장소 특성화 연구 과정에서 CO<sub>2</sub> 지중저장 실증의 지진 유발 가능성과 누출 가능성에 대하여 진지하게 검토하고 CO<sub>2</sub> 지중저장 실증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경주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7년 11월 15일 발생한 규모 5.4의 포항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은 포항시와 시민들은 CO<sub>2</sub> 지중저장 실증의 지진 유발 가능성에 대하여 큰 우려를 가지고 있는 상황이다. 포항분지 해상 CO<sub>2</sub> 지중저장 실증 연구팀은 2017년 포항 지진 이후 포항 영일만 CO<sub>2</sub> 지중저장 실증의 안전성에 대하여 자체 조사를 수행하여, 2017년 포항 지진과 포항분지 영일만 해상 CO<sub>2</sub> 지중저장 실증의 관련성과 향후 본격적인 CO<sub>2</sub> 지중저장 실증이 수행될 경우 지진 유발 가능성이나 누출 가능성에 대하여 면밀하게 평가하였다. 자체 조사 결과, 포항분지 해상 중소규모 CO<sub>2</sub> 지중저장 실증 연구사업은 2017년 포항지진의 진앙과 약 10 km 떨어진 영일만 해역에 저장소가 위치하며, CO<sub>2</sub> 저장층의 심도도 해저면 아래 약 750-800 m 정도로서 포항 지진의 심도와 큰 차이를 보인다. 또한 포항분지 해상 중소규모 CO<sub>2</sub> 지중저장 실증 연구사업은 2017년 1월 12일부터 3월 12일까지 약 3개월간 CO<sub>2</sub> 시험 주입을 수행한 이후 수송체계 구축과 주입공 격상을 위해 CO<sub>2</sub> 주입 행위가 중지된 상황으로 2017년 11월 15일에 발생한 포항 지진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찾기 어렵다. 무엇보다도 CO<sub>2</sub> 지중저장 기술의 개념이 지층을 파쇄하는 것이 아니라 염수와 같은 유체로 채워진 다공질 퇴적층에서 염수를 천천히 밀어내면서 초임계상의 CO<sub>2</sub>를 주입한다는 측면에서 대용량의 CO<sub>2</sub>를 장기간 주입하여 저장층의 압력이 크게 상승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인간 사회에 피해를 가져오는 일정 규모 이상의 지진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게다가 포항분지 해상 중소규모 CO<sub>2</sub> 지중저장 실증 연구사업의 CO<sub>2</sub> 시험 주입 규모가 약 100톤 정도로서 규모 5.0 이상의 지진을 유발할 수 있는 대규모 주입 행위가 없었기 때문에 2017년 포항 지진과의 연관성을 가정하는 것이 무리가 있다. 포항분지 해상 중소규모 CO<sub>2</sub> 지중저장 실증 연구사업의 연구팀은 자체 조사를 통해 향후 포항분지 해상 CO<sub>2</sub> 지중저장 실증 연구사업이 장기적으로 수행될 경우 지진 유발 가능성과 누출 가능성에 대하여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자체 평가 결과에 따르면, 저장층 상부의 덮개층이 파쇄되거나 주변 단층의 재활성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해진 범위에서 압력을 조절하면서 CO<sub>2</sub> 스트림을 주입할 경우 지진 유발이나 단층 재활성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매우 희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불어, 포항분지 해상 중소규모 CO<sub>2</sub> 지중저장 실증 연구사업은 CO<sub>2</sub> 지중저장 실증 과정에서 주입된 CO<sub>2</sub> 스트림의 누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저장소 인근 지층의 파쇄 압력, 저장소 인근 단층의 재활성화 압력, 주입공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완결 공정, 주입된 CO<sub>2</sub> 스트림의 누출 경로 파악과 거동 및 누출 모니터링, 안전한 CO<sub>2</sub> 저장을 위한 저장소 운영과 관련된 연구를 충실하게 수행하고 있으며, 연구팀의 자체 조사 결과 주입된 CO<sub>2</sub> 스트림이 인간 사회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규모로 누출될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포항분지 해상 중소규모 CO<sub>2</sub> 지중저장 실증 연구사업은 인간이 감지할 정도의 지진 유발 및 주입된 CO<sub>2</sub> 스트림의 누출을 발생시 킬 가능성이 크지 않으며, 비록 적은 가능성이지만, 지진이나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을 최우선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During the sel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arget formations in the Small-scale Offshore CO<sub>2</sub> Storage Demonstration Project in the Pohang Basin, we have carefull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induced earthquakes and leakage of CO<sub>2</sub> during the injection, and have designed the storage processes to minimize these effects. However, people in Pohang city have a great concern on CO<sub>2</sub>-injection-intrigued seismicity, since they have greatly suffered from the 5.4 magnitude earthquake on Nov. 15, 2017. The research team of the project performed an extensive self-investigation on the safety issues, especially on the possible CO<sub>2</sub> leakage from the target formation and induced earthquakes. The target formation is 10 km apart from the epicenter of the Pohang earthquake and the depth is also quite shallow, only 750 to 800 m from the sea bottom. The project performed a pilot injection in the target formation from Jan. 12 to Mar. 12, 2017, which implies that there are no direct correlation of the Pohang earthquake on Nov. 15, 2017. In addition, the CO<sub>2</sub> injection of the storage project does not fracture rock formations, instead, the supercritical CO<sub>2</sub> fluid replaces formation water in the pore space gradually. The self-investigation results show that there is almost no chance for the injection to induce significant earthquakes unless injection lasts for a very long time to build a very high pore pressure, which can be easily monitored. The amount of injected CO<sub>2</sub> in the project was around 100 metric-tonne that is irrelevant to the Pohang earthquake. The investigation result on long-term safety also shows that the induced earthquakes or the reactivation of existing faults can be prevented successfully when the injection pressure is controlled not to demage cap-rock formation nor exceed Coulomb stresses of existing faults. The project has been performing extensive studies on critical stress for fracturing neighboring formations, reactivation stress of existing faults, well-completion processes to minimize possible leakage, transport/leakage monitoring of injected CO<sub>2</sub>, and operation procedures for ensuring the storage safety. These extensive studies showed that there will be little chance in CO<sub>2</sub> leakage that affects human life. In conclusion, the Small-scale Offshore CO<sub>2</sub> Storage Demonstration Project in the Pohang Basin would not cause any induced earthquakes nor signifiant CO<sub>2</sub> leakage that people can sense. The research team will give every effort to secure the safety of the storage site.

      • KCI우수등재

        포항 흥해지역에서 포항분지의 변형작용사와 2017 포항지진(Mw 5.4) 동시성 지표변형 특성 고찰

        강지훈 한국광물학회 2022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35 No.4

        2017년 11월 15일 Mw 5.4의 포항지진은 흥해지역 지하 약 4 km의 진원 깊이에서 발생하여 포항시에 막대한 피해를 끼쳤다. 포항분지의 중부에 해당하는 흥해지역은 백악기 경상누층군과 백악기 말~고신생기 초 불국사 화성암류를 기반암으로 하여 포항분지 충전물인 신신생기 연일층군이 분포한다. 이 논문에서는 포항분지에서 지각변형물(습곡, 단층, 절리)과 포항지진 동시성 지표변형물(모래화산, 지표균열, 팝업구조)에 대한 구조지질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포항분지의 변형작용사와 포항지진 동시성 지표변형의 특성을 고찰해 보았다. 연구지역의 지각변형물은 제4기 단층운동 이전까지 적어도 5회의 변형단계를 거쳐 형성되었다: (북)북동 주향에 고각 경사하는 정이동(곡강단층) 단층 형성단계, 연일층군에 광역적으로 인지되는 동-서 방향의 고각 절리와 이에 (준)평행한 단층 형성단계, 동-서 주향에 중각 내지 저각 경사하는 공액상 정이동 단층(흥해단층과 형산단층)과 이에 수반된 동-서 계열의 습곡 형성단계, (역이동성) 좌수향 주향이동의 (북)북서 방향 단층조와 우수향 주향이동의 동-서(북동) 방향 단층조가 고각으로 경사하는 공액상 주향이동 단층 형성단계, 북북동과 북북서 주향에 중각 경사하는 공액상 역이동 단층과 이에 수반된 남-북 계열의 습곡 형성단계. 포항지진 동시성 지표변형물에서 모래화산은 종종 지표균열과 (준)평행한 선상배열을 보인다. 남-북 내지 (북)북동 방향의 팝업구조와 지표균열, 동-서 내지 서북서 방향의 지표균열 등은 포항지진 발생 응력원의 최대수평응력에 의한 지진원 단층의 역이동성 운동과 이에 수반된 상반지괴의 좌굴습곡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러한 구조적 활동은 지진원 단층의 상반지괴에 해당하는 포항시 흥해읍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발생하여 이곳에 막대한 재산 피해를 끼쳤다.

      • KCI등재

        4~6세기 포항·울진 지역의 고분 문화

        이인숙(Yi, In-Suk) 한국고대사학회 201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3

        이 글은 신라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비석인 울진 봉평리 신라비, 포항의 냉수리 신라비와 중성리 신라비의 연구 성과를 본격적으로 논의하기에 앞서 이 비석들이 발견된 포항과 울진 지역의 고고학적 성과를 짚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 3개 비석들은 5~6세기 신라 지방에서 발생한 사건 또는 갈등에 신라 중앙이 개입하여 이를 해결한 기록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신라고고학에서는 4~6세기, 경주와 그 외 영남지방에서 보이는 물질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주로 신라 중앙의 영역 확장 과정과 지방 지배 방식의 변화로 설명하고 있다. 신라 중앙의 물질문화는 묘제(신라식목곽묘 → 적석목곽분 → 횡혈식석실분), 신라토기, 금공품 등으로 대표되는데 이것이 지방에서는 출현 또는 확산, 소멸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에 여기서는 발굴조사된 4~6세기 포항과 울진 지역의 묘제와 그 출토품을 대상으로 중앙과 지방 간의 관계를 규명해 온 기왕의 고고학적 연구 성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았다. 포항 지역에서는 3세기대부터 신라 중앙인 경주와 유사한 무기류가 다량 부장되지만 5세기대에는 다른 지역과는 달리 고총이 조성되지 않는다. 이는 5세기대에 중앙의 영향력이 직접 지배에 가까울 정도로 컸음을 반영한다 하겠다. 그러나 6세기에는 오히려 대형의 횡혈식석실묘가 축조되고 심엽형의 세환이식, 유리제 목걸이 등 신라 위세품이 부장된다. 이 시기까지도 포항은 여전히 중앙에서 관심을 기울인 지역임을 알 수 있다. 울진 지역에서는 읍남리나 덕천리에 고총을 조성하고 위세품을 부장하는 등 신라 중앙의 관심이 컸던 곳임은 분명하다. 경주로부터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하는 울진 지역은 5세기 이후에야 신라의 간접지배를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덕천리고분군에서 수장급 피장자임을 드러내는 금동관 편이 5세기 말부터 7세기 후엽까지 3차례에 걸쳐서 부장된 점, 읍남리고분군에서 금동 삼엽환두대도 장식과 함께 황남대총 북분 출토품과 유사한 금동 태환이식이 부장된 점을 통해 방증된다. 4~6세기 포항, 울진 지역은 신라와 고구려와의 대치 관계 속에서 지리적으로 신라 중앙에서 중시하였던 지역임에는 틀림없다. 중앙의 지배방식은 포항에서는 중앙의 영향력이 강한 직접 지배, 울진에서는 상대적으로 중앙의 영향력이 약한 간접지배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rcheological results of Pohang and Uljin areas before discussing the research results of Silla steles found in Bongpyeong-ri, Uljin and in Naengsu-ri and Jungseong-ri, Pohang, which are important monuments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Silla. What these three monuments have in common is that they are records indicating how the central Silla intervened and resolved incidents or conflicts that occurred in the provincial Silla during the 5<SUP>th</SUP> and the 6<SUP>th</SUP> centuries of the Silla Kingdom. Archeological literature of Silla explai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material culture between Gyeongju and other Yeongnam provinces in the 4<SUP>th</SUP> to the 6th centurie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and the province and mainly as the process of territorial expansion and change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province. This is grounded in the phenomena of representative material culture of Silla such as the burial system (Silla-style wooden coffin tomb → tomb with wooden coffin covered with stone → corridor- style stone chamber tomb), pottery and gilt bronzed artifacts appearing and disappearing or proliferating in the provinces. Accordingly, this study summarizes the results of existing archaeological studies that m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and provincial Silla in reference to the 4<SUP>th</SUP> to the 6<SUP>th</SUP> centuries tombs in Pohang and Uljin areas and their artifacts that have been excavated and investigated. In the Pohang area, a lot of weapons similar to those found in Gyeongju, the center of Silla, were buried along with the body from the 3<SUP>rd</SUP> century. However, unlike other regions, huge mound tombs were not built in Pohang in the 5<SUP>th</SUP> century. This is probably because the influence the central Silla exerted over the provincial Silla in the 5<SUP>th</SUP> century was close to direct control. While the corridor-style stone chamber tomb from the 6<SUP>th</SUP> century in this area is large and shows elements different from that in the central Silla, it is believed that Pohang was considered important even during this period, because Silla grave goods such as glass necklaces and leaf-shaped hoop earrings were buried along with the body. In the Uljin area, huge mound tombs were built in Eupnam-ri and Deokcheon-ri and grave goods were buried along with the body, indicating that these areas were places of interest for the central Silla. Uljin, which is relatively far from Gyeongju, seems to have been indirectly controlled by the central Silla only after the 5<SUP>th</SUP> century. This is evidenced by the inscription on the stele, which refers to the royal family of Silla directly intervening and punishing the people involved in an incident in Uljin, as well as the artifacts found in tombs such as the gilt bronzed crowns buried three times from the 5<SUP>th</SUP> to the 7<SUP>th</SUP> centuries in the Deokcheon-ri tombs and the gilt bronzed hoop earrings and Silla-style gilt bronzed ring pommel sword decorated with three leaves buried in the Eupnam-ri tombs. The artifacts found in Eupnam-ri tombs, in particular, are similar to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north mound of Gyeungju Hwangnam Daechong (grand mound tomb). Based on the archeological evidences, it is surmised that Pohang and Uljin were geographically important areas for the central Silla from the 4<SUP>th</SUP> to the 6<SUP>th</SUP> centuries considering the confrontational relation between Silla and Goguryeo at the time. It is also presumed that the method of control over the provinces opted by the central Silla differed for Pohang and Uljin: with control over Pohang more direct, while control over Uljin more indirect.

      • KCI등재후보

        문화융합을 위한 지방학의 가능성-포항의 경우

        김윤규(Kim, Yun-k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3

        이 연구는 문화융합을 위한 다양한 준거 가운데 지역적 특성의 융합이 어떤 방식으로 가능할 것인지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문화가 생산된 지역적 배경은 그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으며, 동일한 소재에 대한 지역적 변화 역시 문화 연구에 불가결한 요소가 될 수 있다. 한국문화는 비교적 좁은 국토에서 민족적으로 큰 차이 없이 생산되었지만, 지역을 나누는 산과 강으로 인해 비교적 특수성이 살아 있는 상태로 향유되고 있다. 지난 역사에서는 지방의 면적과 인구분포가 균등하게 이루어져 있었고, 각 지방마다 우수한 지식인들이 자리잡고 있어서 지방 문화가 전국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산업화시대로 접어들면서 인구의 편중이 심해지고, 현대에 들어와서는 정치적 경제적 이익을 따라 인구가 수도권으로 집중되면서 문화의 편중도 심해지고 있다. 이렇게 편중된 문화는 한국문화 전체를 빈곤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 다양성과 생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현상은, 국토의 균형 발전과 원활한 소통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지방학은 한국문화를 풍성하게 하는 유용한 통로가 될 수 있다. 더욱이 이미 전 세계에 흩어져 살고 있는 한민족 전체를 아우르는 문화로 융합되기 위해서는 전래의 지방학과 함께 세계적 한국학이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지방학의 한 사례로서의 포항연구는 아직 시작단계에 있다. 포항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하여, 외래 지식인과 이주 산업인력의 교감을 연구하고 이로 인한 사회변동과 발전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은, 포항이라는 한 지방의 사례를 넘어 한국사회 전체를 조망하는 창구가 될 수 있다. 포항은 전통적인 농어업 사회에서 철강 산업을 중심으로 하는 공업 사회로 이행해가는 과정에서 급속한 인구팽창을 경험한 바 있다. 그러나 지금 철강 산업이 퇴조하면서 향후 포항사회의 재편성이 요청되는 상황을 맞았다. 이러한 포항을 세밀히 들여다보는 것이 한국사회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전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문화를 서울 중심으로 일원화하고 한두 가지 성격으로 특화하는 것은 한국문화를 잘 이해하는 방법이 아니다. 각 지방이 각 특성에 따른 문화적 발전을 이루고 그것을 기술하고 특화하여 다양한 문화현상을 가지게 되는 것이 한국문화를 진정으로 발전시키는 길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convergence of local characteristics, among various criteria of culture convergence, is possible. Regional background of a culture is an important factor in understanding that culture, and regional change of the same matter is also an essential factor in culture studies. Although Korean culture was created without much diversity in relatively small territory, because of mountains and rivers that divide regions, Korean culture passed down with comparative regional specificity. In the past, area and population of all the regions were even and each region evenly had excellent intellects, so local culture of provinces played important role in national culture. However, as industrialization began,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tensified, and today, concentration of culture is also intensifying as population crowded around the capital city, following political and economic profits. Such intensely concentrated culture might impoverish the whole Korean culture. Cultural phenomena that bases on diversity and vitality can only be gained through balanced development of territory and harmonious communication. In that aspect, local studies can be a valuable method to make Korean culture more abundant. Moreover, to converge Korean culture to embrace all the Korean people who are already spread out in the world, international Korean studies should be done along with traditional local studies. Study of Pohang, as a case of local studies, is still in beginning stage. Based on Pohang s identity, studying development potential and social changes caused by communion with foreign intellects and immigrant industrial manpower can further be a window to view the whole Korean society, beyond mere province. Pohang experienced drastic population increase in the process of society change from traditional farming and fishing society to industrial society centered by steel industry. However, as steel industry is declining nowadays, Pohang is facing demand to reorganize its society. Carefully looking into this situation Pohang is at will help understand and prospect the whole Korean society thoroughly. Unifying or classifying Korean culture into one or two characteristics with Seoul being the core is not a great way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well. A true way to develop Korean culture is to maintain various cultural phenomena by developing, recording and specializing each region s local cultural characteristics.

      • 일제강점기 포항의 도시화 과정

        최성원 경주사학회 2013 경주사학 Vol.38 No.38

        도시사 연구에서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일제가 식민도시건설에 미친 영향력, 기반시설정비, 일본인 인구의 증가가 서로 어떻게 얽혀서 작용하는가 하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성격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관점에서 본고는 일제시대 조선제일의 어항으로 발전한 경북 포항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포항은 조선시대 ‘포항창진’이라 불리기 시작해서 근세까지만 해도 영일현 북면에 속했던 작은 마을에서 일본의 보호 및 식민지 정책에 의해 조선제일의 어항도시로 발전하고 경북 제일의 도시로 성장한 대표적인 식민도시이다. 1901년에 일본인의 이주가 시작되어 1908년 오카야마현의 어촌인들의 이주어촌 건설을 통해 본격적인 일본인의 이주가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포항으로 이주하는 일본인의 이주 양상과 인구증가가 식민도시 건설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이는 인구증가를 통해서 포항이 경북 유수의 도시를 제치고 지정면으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이 됨으로써 식민도시로 포항이 발전할 수 있는 전기가 마련되었다. 포항은 동해중부선 건설을 계기로 배후지역인 경북내지의 상품작물을 집산하여 수송하기 위한 항구로서 급속하게 성장한 대표적인 어항도시였다. 또한 많은 일본인 수산업자들의 이주로 인하여 포항은 수산물유통의 중심지가 되었고 도시화 초기에 이미 중요 식민도시로 성장할 수 있었다. 동해중부선 건설이 식민도시 형성의 기초가 되었다면 포항항의 건설과 남빈동매립은 식민도시 포항이 형성되는데 커다란 역할을 담당했다. 이러한 포항항의 건설과 남빈동 매립 공사과정에서 나타난 일본인들의 로비는 포항에 있는 조선인들을 위한 것이 아니라 포항에 있는 일본인들을 위한 것으로 그들은 적극적으로 일본정부를 비롯하여 조선총독부·경북도청 등에 다양하고 지속적으로 로비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후 시가지의 확대를 통해서 포항의 발전은 가속도가 붙었고, 해상수송량의 증가로 인하여 큰 어항으로 발달을 가져왔으며 포항의 도시화를 급격하게 진행되는 요인이 되었다.

      • KCI등재

        인류세 맥락화하기: 포항 '촉발지진'의 사회적 구성

        김기흥 한국과학기술학회 2019 과학기술학연구 Vol.19 No.3

        On 15th November 2017, the coastal city of Pohang, locat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South Korea was shaken by a magnitude 5.4 earthquake. The earthquake displaced more than 1,700 residents and caused more than $300 million dollars of economic loss. It was the second most damaging earthquake in the history of Korea. Soon after the earthquake, a group of scientists raised a possible link between the first Enhanced Geothermal System (EGS) project and the earthquake. At the same time, another group of scientists put forward a different hypothesis of the causation of the earthquake claiming that it was caused by the geological movements that were initiated by the Great Tohoku Earthquake in 2011. Since then, there were scientific debates between the two different groups of scientists. The scientific debate on the causation of the earthquake has been concluded temporarily by the Research Investigatory Committee on the Pohang Earthquake in 2019. The research committee concluded that the earthquake was caused by the Pohang EGS system: this means that the earthquake can be defined not as a natural earthquake, but as an artificially triggered earthquake.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hang earthquake can be defined as an Anthropocenic event. The newly suggested concept, the Anthropocene is a relatively novel term to classify the earthly strata and their relationship to geological time. The current geological period should be defined by human activities and man-made earthly environment. Although the term is basically related to geological classification, the Anthropocene has been widely debated amongst humanist and social science scholars. The current disastrous situation of our planet also implies with the Anthropocene. This paper is to discuss how to understand anthropogenic events. In particular, the paper pays attention to two different scholarly positions on the Anthropocene: Isabelle Stenger’s Gaia theory and Barbara Herrnstein Smith’s relativist theory. The former focuses on the earthly inevitable catastrophe of Anthropocene while the latter suggests to situate and contextualise anthropogenic events.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positions, the article is to analyse how the Pohang earthquake can be located and situated. 본 논문은 2017년 11월 15일에 발생했던 포항지진의 원인을 둘러싼 과학자 사회의 논쟁을과학기술학적으로 분석하며 이 현상이 인류세의 현상인가에 대해서 논의한다. 2017년 포항지진은 엄청난 경제적 손실과 정신적인 트라우마를 남겼다. 포항지진의 원인을 둘러싸고과학자 사회는 크게 두 가지 입장으로 분화되었다. 포항지진이 보여준 특이성과 비정상성으로 인해 일부 과학자들은 이 지진이 북부 포항지역에서 진행 중이었던 지열발전소의액체주입이 그 원인이 되었다고 주장하는 지열발전소에 의한 ‘유발지진론’의 관점이 제기되었다. 다른 연구자들은 2011년 3월에 발생했던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지각변동과 이로 인해 생성된 응력에서 찾으면서 ‘자연발생론’을 주장했다. 이 두 관점은 주요한 논쟁의대상이 되었으며 2019년 3월 20일 정부조사연구단의 최종연구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치열하게 경쟁했다. 정부조사연구단은 포항지진의 원인이 당시 불안정성이 증가하던 상황에서 지열 발전소의 액체주입이 ‘촉발’이 되었다는 “촉발지진”으로 규정하게 된다. 즉, 포항지진은 과거에 유례를 찾기 힘들었던 인간의 지층에 대한 직접적 기술적 개입으로 발생한 재난이었다. 포항지진이 보여준 재난의 성격과 인간이 만들어낸 자연적 재난은 최근 지질학계뿐 아니라 사회과학 분야에서도 확산되고 있는 새로운 개념인 “인류세”의 개념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포항지진이 과연 인류세적 현상인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 답을 하면서 인류세의 문제를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의 핵심쟁점은 인류세의 재난적상황이 전 지구적으로 확산되는 단일한 거대담론적 현상으로 이해할 것인가 아니면 상황에 따라 변동하고 구성되는 현상인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될 것이다. 특히 인류세의 개념을과학기술학 분야에 적용하여 재난적 상황에 대해 다루고 있는 브뤼노 라투르와 이자벨스텡거스의 가이아 이론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의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인류세적 현상은불가피하게 특정 맥락에서 상황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보이게 될 것이다.

      • KCI등재

        포항중성리신라비의 발견경위와 고대의 포항과 흥해

        배용일(Bae Yong-Il)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6

        2009년 5월 11일 흥해읍 중성리에서 ‘포항 중성리신라비’가 김헌도에 의해 발견되었다. 냉수리신라비보다 연대가 앞서는 중성리신라비는 신라의 형성ㆍ발전에 대한 영일만 흥해지역의 역사적 역할을 구명할 수 있는 귀중한 사료로 판명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비의 발견경위를 살핀 후 고대 포항의 흥해지역이 신라에서 갖는 역사적 위치를 통일신라기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실증적인 역사여건을 통해 고대로 소급 유추하는 연구방법으로 시고하였다. 진한시대 포항지역 남쪽에는 근기국(勤耆國)이 있었으나 북쪽의 소국 형성지역으로 추단되는 흥해에는 국명이 밝혀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흥해지역은 청동기시대의 지석묘와 암각화의 밀집분포지역이라는 사실, 신라 국가 祭場인 中祀 海祭와 독제(瀆祭)를 지낸 고대국가 형성의 중추적인 직할 배후지역의 관방요해처(關防要害處)로서 지증왕 때 彌實城(미실성 또는 미질부성)을 쌓아 근기국의 고현성(古縣城)과 함께 포항 最古의 성이 된 사실, 통일신라시대에 육현(六縣)을 관할했던 큰 고을 義昌郡(구 흥해고을 명칭)의 郡勢 그리고 曲江川을 중심으로 한 비옥한 넓은 농토와 인구가 많은 고을로 성장하여 국가의 조세(租稅)ㆍ공납(貢納)ㆍ역역(力役)을 공급한 최대의 접경 배후지역이 되었던 사실 등으로 小國 형성의 실마리를 유추할 수 있게 된다. 이 점은 비록 후대이지만 고대 흥해 고을세의 전통이 조선초기 『慶尙道地理志』에도 이어져 흥해의 인구가 포항지역에서 가장 많았고, 농토는 『慶尙道續撰地理誌』에서 경주와 포항지역에서 가장 넓은 농지를 보유하고 있었던 사실(현재도 같음) 등의 역사환경을 통해서도 추정할 수 있다. The Joongsung-ri Shilla tombstone(中城里新羅碑) was found by Kim Hun-do at the small village of Joongsung-ri in pohang(浦項) on May 11th, 2009. It turned out that this tombstone which antedates the Youngil Naengsu-ri Shilla tombstone(迎日冷水里新羅碑) is a very precious historical artifact for the role played by the Heunghae(興海) community and the Youngil Bay area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Shilla Dynasty. This treatise has tried to ascertain the way that this tombstone was found and then analogize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the Heunghae community in the ancient pohang area from the unified Shilla period until today through the factual history. In the southern part of the pohang area during the Jinhan(辰韓) period there was a ‘Keunki’(勤耆) tribal state. On its northern part of Heunghae there was an untold tribal state too. However, the following facts prove that actually there existed a tribal state: First, the Heunghae district was the area where a lot of dolmens and petroglyphs were heavily dispersed. Second, the fact that ‘Mishil’(彌實) castle together with ‘Kohyun’(古縣) castle is the oldest castle as the key military fortress during the King Jijeung(智證) period where important national religious services were performed. Third, the name and puissance of the county which dominated six ‘hyuns’(縣) during the unified Shilla period. Last, the fact that this was the area which had a vast fertile rice field with a large population and therefore became the biggest tax provider for the country. The Heunghae community was the community whose population and whose size of rice field was the largest in the early period of Chosun(朝鮮) Dynasty among the neighboring communities. This was written in ‘the Kyungsangdo Geography Book’( 『慶尙道地理志』) and its attachment book.

      • KCI등재

        재난법(Disaster Law)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 : 사회적 자연재난으로서 포항지진과 앞으로의 과제

        정채연 법과사회이론학회 2020 법과 사회 Vol.0 No.63

        The Pohang earthquake, which occurred on November 15, 2017,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ocal/regional community and involves complex and multi-layered issues surrounding the disaster. Several aspects of the Pohang earthquake as a ‘socio-natural disaster’ suggest that a comprehensive approach is required to analyze the legal issues of disasters. The field of interdisciplinary disaster studies has grown in social sciences based on the shared awareness of research problems that are hard to be addressed within a discipline alone; however,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 disaster law has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major issues of disaster studies, which should be reflected in legal research on disasters to legitimately and efficiently regulate disaster-related matters in contemporary societies. The article firs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disasters and analys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of disaster resilience, which has become a key concept in the recent disaster management paradigm. It also discusses the components of disaster resilience, including i) disaster governance; ii) disaster citizenship; iii) disaster vulnerability; iv) disaster trauma. Furthermore, the article suggests the notion of ‘transitional justice’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appropriately understand the recovery and restoration process after a disaster. Moreover, it outlines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the Hebei Spirit oil spill accident as a representative case to address the issues mentioned above. Based on the previous discussion, the author reviews the Special Act on the Pohang earthquake and concludes with the insights from the historic nature of disasters and civic identity in a post-disaster local community. 지난 2017년 11월 15일 발생한 포항지진은 지역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재난을 둘러싼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쟁점들을 함축하고 있다. 사회적 자연재난이라는 포항지진의 독자성, 국가의 책임 및 책무에 대한 포항시민사회의 요청, 그리고 지진으로 인한 포항사회의 재난피해 양상은 재난에 대한 연구가 지역공동체 차원의 총체적인 접근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개별 학문 영역 내에서의 재난연구가 직면하는 난제에 대한 공통적인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재난에 대한 학제 간 연구로서 재난학이 성장해 왔고, 그 연구성과가 사회학, 심리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등을 중심으로 축적되어 왔으나, 재난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재난법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재난으로서 포항지진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의 필요성을 주된 문제의식으로 삼아, 현대사회의 재난을 규율하는 데 있어서 재난법이 수용하여야 할 성찰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현대사회에서 재난의 속성을 살펴보고, 재난관리에 있어서 핵심적인 개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재난 복원력의 이론적・실천적 의의를 검토한다. 또한 재난 복원력을 구성하는 요소들로서 i) 협력적 네트워크에 기반한 재난 거버넌스와 이를 뒷받침하는 ii) 재난 시민성, 그리고 iii) 재난 취약성 및 iv) 재난 트라우마를 제안한다. 나아가 재난의 복원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이행기 정의’가 이론적 틀로서 갖는 의미를 고찰한다. 특히 재난의 사회적 양상에 있어서 포항지진과 유사할 뿐만 아니라, 위에서 논한 일련의 쟁점들을 종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대표사례로서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사고에 대한 다학제적 연구성과들을 정리해본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포항지진 특별법을 논평하면서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한 후, 재난 복원력을 제고하는 긍정의 계기로서 재난이 갖는 역사성과 포스트-재난공동체로서 포항시민 및 지역사회의 정체성을 언급하면서 논의를 마친다.

      • KCI등재

        포항·훈춘·하산 3각 협력과 환동해 물류·관광중심도시-포항

        강명수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19 외국학연구 Vol.- No.47

        Recently, there has been big changes in the environment around the northern axis of the Hwan-Dong-Hae. The future development strategy of pohang will be considered through the analysis of Pohang-Hunchun-Hassan economic cooperation projects of the Hwan-Dong-Hae. Pohang should foster Pohang-Hunchun-Hassan triangular cooperation. For Pohang's Future, the hardware(Pohang Youngilman Port, Youngilman Port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Youngilman large bridge) and software(Logistic touristic networks, The opening of Northern sea route) must be prepared simultaneously. Pohang Youngilman Port should develop logistic touristic networks with Hunchun and Hassan's Jaruvino Port in the Hwan-Dong-Ha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