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빙 포스터 디자인 개발 사례연구 - 2019년 부산월드뮤직페스타의 무빙 포스터 중심으로 -

        김성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2 No.-

        본 연구는 2019년 부산월드뮤직페스타의 무빙 포스터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2019년 5월 16일 ~ 2019년 5월 17일 양일간 진행되었던 2019년 부산월드뮤직페스타의 무빙 포스터 디자인개발 사례를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특히 포스터 디자 인은 기존의 전통적인 인쇄물 매체의 방식에서 다양한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특히 다양한 인터넷 채널(웹사이트, SNS 등)을 통해 수신자에게 전달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에서 기존의 전통적인 인쇄포스터와 더불어 무빙 포스터와 함께 다양한 채널을 통해 수신자에게 공연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무빙 포스터 디자인의 기능과 표현방법에 대해 확인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19년 부산월드뮤직페스타의 무빙 포스터 디자인의 최종 결과물을 제작한 후 무빙 포스터의 효과 (주목도, 호의도, 참여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2019년 부산월드뮤직페스타의 무빙 포스터 디자인의 경우 무빙 포스터의 주목도, 호의도 순으로 수신자에게 더욱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참여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 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무빙 포스터 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연구가 진행되길 바라며, 무빙 포스터 디자인 의 개발 방향 모색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is study is about the design development of Busan world music festa moving poster in 2019 and based on the cases of Busan world music festa moving poster design development, which was conducted for two days from May 16 2019 to May 17 2019. In particular, the poster design is being delivered to recipients through various Internet channels (web sites, SNS, etc.) especially with the emergence of various new media from the traditional method of print media. In this new media platform, we would like to confirm the function and expression methods of moving poster design by providing performance information to the receiver through various channels along with the existing traditional printing poster. In response,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moving poster (attention, goodwill, and participation) after producing the final product of the moving poster design of Busan world music festa in 2019. As a result, the moving poster design of Busan world music festa in 2019 was seen more positive to the receiver in order ofattention and goodwill ,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ll be conduct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nd that it will help to fi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moving poster design.

      • KCI등재

        현대 영화포스터의 실태분석과 디자이너의 역할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종원 ( Kim Joung W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9 No.-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여 영화수요자들의 영화정보 인지경로 방법과 매체가 크게 변화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영화 홍보와 마케팅 전략에 직접적인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영화포스터 디자인과 디자이너에게 다양한 표현기술과 제작의 새로운 과정과 환경을 요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현대 영화포스터 디자인의 실태와 트랜드를 다음과 같이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여 관찰, 분석하였다. 첫 번째로는, 고정적인 이미지 형식의 포스터에서 탈피하여, 스토리, 음악, 움직임 등의 표현 기술 등을 사용하여 디자인하는 모션포스터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사례들을 바탕으로 기능과 다양한 효과에 대하여 관찰하였으며, 모션포스터를 통한 영화포스터 디자인의 개념 확대와 그에 따른 디자이너의 역할 변화, 영화포스터 디자인 영역의 확대에 대하여 관찰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는, 영화작품의 내용에 대한 수입국가의 문화와 정서를 분석하여 국가별로 맞춤형 포스터 디자인을 제작하는 것에 대하여 조사 연구하였다. 세 번째로는,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 시트를 이용한 입체적인 포스터 디자인의 원리와 기능, 특징과 효과, 실제 사례들을 연구하였다. 네 번째로는, 케이블 방송과 DVD 시장의 확대로 인하여 영상 콘텐츠에 대한 공급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서 고전영화의 포스터와 홍보물을 현대 감각에 맞게 새롭게 디자인하는 재생디자인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결론부분에서는 이러한 관찰과 분석연구를 바탕으로 첫 번째, 영화포스터 디자인의 표현 및 기술 발전과 전시 영역의 확장에 따른 디자이너의 역할 변화와 제작 시스템의 체계적인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두 번째로는, 영화 내용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작품에 대한 관찰과 분석 등 영화포스터 디자인 창작에 필요한 정보와 제작시간과 여건 등이 충분히 주어져야 한다는 것을 발전지표로 제시하게 되었다. The digital age has changed the landscape on how the audience and viewers of movies can receive information. These effects are most noticeable in the advertisement and marketing of the movie poster. The research found four major trends in the way movie posters are currently being created. First, the movie poster has evolved from of the `static` or traditional movie poster to the current motion poster through its inclusion of story, sound, and motion. The research found specific characteristics in motion posters not found in traditional posters, which changes the capacity of the movie poster as well as the role of the designer. Second, global markets for movies has changed the dynamics for advertising and marketing of movies. The research found that because of language and cultural differences movie posters are being created specific to each country and market. Third, there is a return to the use of lenticular technology. The research found that advancements in the lenticular technology has provided innovative ways to create `3D` posters for the marketing of movies. Fourth, there have been many redesigns of classic movie posters. This research found that because of the digital film market via internet, cable, and DVD, the resurgence and interest into older movies has risen. This in turn has created a need to recreate the movie posters for a new generation of viewers. In order to address these current trends there is a need to empower the role of designer and a need for a new creative production system. Furthermore, there is a need for the designer`s role to be increased and imbued into the total advertising and marketing process.

      • KCI등재

        롤랑바르트의 신화론을 통한 포스터디자인의 의미작용 분석 -「20세기 세계의 포스터 100년」전시 작품을 중심으로 -

        노만섭,남호정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대중민주주의와 상업주의의 발달이라는 환경 속에서 사회적 이슈에 대한 의미전달의 목적으로 제 작되어진 20세기 포스터 디자인 의미작용을 롤랑바르트의 신화적 모델로써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2002년 두성종이(주)의 주최로 열린 「20세기 세계의 포스터 100년」전에 전시되었던 120점의 포 스터 디자인이다. 연구대상으로 제시한 20세기 포스터디자인 120 작품에 대하여 연대별, 국가별로 구분하되 연대별 포스터는 초반․중반․후반의 연대 안에서 작품 수가 가장 많은 3개국, 9작품을 선정하고 국가별 포스터 는 국가별로 작품 수가 가장 많은 3개국 3작품을 선별한다. 롤랑바르트의 신화론적 모형을 토대로 전개된 본 연구는 언어이론에 관한 문헌을 고찰한 후 롤랑바르트 기호학에서 핵심을 이루는 기호모형, 신화론에 대하여 알아본다. 사례분석은 각각의 포스터를 시각적․언어적 요소의 두 기표로 분류한 후 외시적 의미로써 시각요소 인 사진, 일러스트, 타이포, 여백활용, 주조색의 사용현황을 분석한다. 또한 의미작용에 관한 분석은 1차 의미 작용의 표현요소와 표현내용, 2차 의미작용의 공시적 의미로 신화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시사점을 밝혀 결 론으로 도출한다. 포스터 사례를 분석한 결과 스위스, 미국, 일본 순으로 작품 수가 많았고 표현기법은 일러스트 기법이 75% 이 상을 차지하였다. 헤드라인 포지션은 초반, 중반기에 하단가로쓰기가 많았지만 후반기에 와서 디자인 레이아 웃에 따라 자유로운 포지션이 많아졌다. 여백의 표현방법은 초반․중반․후반기 모두 컬러를 적용한 여백을 적용 하였다. 주조색채도 다색계열을 모두 적용하였다. 의미작용의 분석결과는 전쟁과 관련된 내용을 포스터에 직 접 표출시키지는 않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자본주의 경제 위력의 정당성’, ‘소비활동 패턴의 조장’, ‘전 람회 포스터를 통해 아트와 디자인의 상업적 접근시도’와 같은 주제들을 다룸으로써 사회적 이데올로기를 정 당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동안 롤랑바르트의 신화론을 활용한 연구는 신문광고나 TV광고 중심의 공시성 위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20세기 포스터디자인에 함의된 신화론을 통시성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분석의 소재와 방법 을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mis to analyze the 20th century poster designs made for the purpose of conveying meaning of the social issues in the environment of mass democracy and commercialism, by using a mythical model of Roland Barthes. The targets of analysis are 120 poster designs displayed in “100 Years of 20C World Posters” hosted by Doosung Paper co., ltd. in 2002. The 120 poster designs of the 20th century suggested as the targe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by period and by country: they were divided into 1870s-1930s, 1940s-1960s and 1970s-2000s; in each period 3 countries that had the most number of works and 9 works were selected; by country 3 countries that had the most number of works and 3 works were sorted. After reviewing literature of the language theory, this study developed based on the mythical model of Roland Barthes will investigate the semiotic model and mythologies that are the key points in Roland Barthes’ semiotics. Case analysis classifies each poster into two signifiers―visual element and linguistic element―and then analyzes the present conditions of using the significant visual elements as denotation―photo, illustration, typography, utilization of blank space and dominant color. According to Barthes’ mythologies, the analysis of signification of poster designs is to analyze through the mythical model meanings of mythologies as the expressional element and content of the first signification and the synchronic meaning of the second signification, to find implications and to draw conclus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s of applying visual elements of the posters, Switzerland, America and Japan, in order, had more works, and the illustration technique accounted for 75% of the expressive techniques. Horizontal writing in the bottom was used a lot in the headline position in the early and middle phases, but in the latter, free position was used a lot depending on the design layout. As for the expressive technique for blank space, in all of the early, middle and latter phases blank space applied by colors was applied. All dominant colors also applied many colors. As a result of analyzing mythical signification, visual elements and meanings related to war were not expressed directly as the common characteristics in poster designs by period and by country. This shows that they justify ideology implicit in posters by dealing with themes such as ‘justification of the economic power of capitalism’, ‘promotion of consuming patterns of mass’, and ‘commercial approach to art and design through the exhibition guide.’So far, the studies using Roland Barthes’ mythologies have been carried out focused on synchrony mainly in the newspaper and TV advertisements. This study, however, has a significance that it expanded materials of analysis by analyzing mythologies implicit in the 20th century poster designs focusing on diachrony.

      • KCI등재

        퍼스 기호학 유형분류를 기반으로 환경포스터 디자인 사례 분석 -국제 공모전에서 수상한 환경포스터를 중심으로-

        혜군정 ( Ji Qun-jing ),한석원 ( Han Seok-w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8 No.-

        포스터 디자인 작품들의 광범위한 공모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주로 사회, 인권, 환경을 주제로 한 사회계몽 포스터이다. 특히 환경문제가 심각해지면서 환경문제는 이미 현대 사회의 보편적인 관심사가 된 글로벌 이슈다. 포스터는 공공성을 갖는 정보를 전달하고 설득하려는 기능과 목적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환경 문제의식을 전달할 때 효과적인 표현 수단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포스터에 담긴 모든 정보가 효과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이 기호학 이론으로 접근한 것은 포스터가 전달하는 메시지와 의미를 효과적으로 이해시키고 포스터가 수용자에게 주는 계몽작용의 지속성을 유지하는지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호는 정보를 전달하고 소통하는 데 필요한 방식으로 시각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필요한 디자인 언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세계적인 「타이완 국제 그래픽 디자인상」 공모전에서 수상한 환경포스터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했으며, 퍼스(Charles Sanders Peirce)의 기호학을 바탕으로 기호의 세 가지 유형인 도상(Icon), 지표(Index), 상징(Symbol)을 통해 분석한다. 선정된 포스터에 기호를 적용하는 방식에 따라 환경포스터의 시각적 표현 방법에 대한 연구는 '도상 기호의 시각화' '지표 기호의 시각화' '상징 기호의 시각화' 세 부분으로 나눠 검토한다. 본 연구는 단지 시각화에 중점을 둔 분석을 통해 기호학과 관련된 요소들이 어떻게 적절히 사용되고 상호작용하는지를 고찰한다. 본 연구는 환경포스터 디자인이 단순히 시각적 표현에 그치지 않고 기호를 이용한 미학적 표현으로 환경포스터 디자인의 가치를 높인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를 보면, 기호학적 관점에서 기호를 매개로 환경포스터는 주제를 직접 전달하는 정보(일차적 도상 기호), 간접적으로 해석하는 다른 정보(이차적 지표 기호), 새로운 시각 표현(삼차적 상징 기호)으로 주제의식을 창조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The extensive collection of poster design works is showing an increasing trend around the world, mainly social enlightenment posters with the themes of society, human rights, and the environment. Especially with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environmental problems have become a global issue of general concern in modern society. Posters have the function and purpose of conveying and persuading public information, so it can be said to be an effective means of expression when conveying awareness of environmental issues to people.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e that all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poster is effective. Therefore, the reason why this paper is close to semiotic theory is to effectively understand the information and meaning conveyed by posters, and to study whether posters maintain the continuity of the enlightenment effect on the audience. Signs were a necessary design language in the field of visual communication in a way necessary to convey and communicate information. Accordingly, this thesis was selected as a research subject for environmental poster works that won the prestigious “Taiwan International Graphic Design Award” contest, and based on Peirce's semiotics, it is analyzed through three types of symbols: Icon, Index, and Symbol. According to the method of applying symbols to the selected poster, the study on the visual expression method of environmental posters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visualization of icon signs,’ ‘the visualization of index signs,’ and ‘the visualization of symbol signs.’ This study shows that environmental poster design is not just a visual expression, but also an aesthetic expression using symbols to increase the value of environmental poster design. From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paper, it can be seen that from the point of view of semiotics, with signs as the medium, environmental posters use information that directly conveys the theme (primary icon signs) and other information that is indirectly explained (secondary index signs), new visual expression (tertiary symbol signs), creative use of theme awareness.

      • KCI등재

        모션 포스터 디자인(Motion Poster Design)의 리듬(Rhythm) 활용에 관한 연구

        마총 ( Ma Cong ),정원준 ( Chung Won-j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8 No.-

        전자기기와 디지털스크린의 보급, SNS미디어의 쇼트클립 영상 콘텐츠 지원 등으로 디자이너는 이번보다 훨씬 더 다양한 창작 수단 및 공간을 누리게 되었다. 한편, 이러한 뉴미디어의 발전은 포스터 디자인의 형식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최근 몇 년 동안 기존의 평면 형식 포스터가 아닌 모션디자인을 도입한 포스터디자인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정적인 지면 포스터에 비해 모션포스터는 사람들의 시선을 끄는 데 더 효과적이며 연구자 역시 포스터 디자인의 ‘모션디자인화’의 발전 가능성이 크다고 사료된다. 기존 연구를 보면, 모션 포스터 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며 ‘모션 포스터’의 개념에 대한 명확한 정의 역시 부재하다. 그러나, 현재 비즈니스 및 SNS미디어 상에서는 모션 포스터가 널리 유행하고 있으며 그 효과와 미디어 역시 각양각색이다. 이에 본 연구는 내용분석법과 사례분석법을 통해 시간성을 지닌 시각적 요소인 리듬(Rhythm)이 모션디자인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자료를 통해 리듬의 표현 형식을 분류 및 정리한 다음, 모션디자인(Motion Design)의 표현 기법을 분석함으로써 무빙 포스터(Moving posters)의 정의와 표현 형식에 관하여 논의한다. With the popular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and digital screens, social media supports short video functions, allowing designers to generate more creative space.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has changed the type of poster design. In recent years, many graphic posters have been added to dynamic design, so that the poster is not just a static presentation. Compared with static flat posters, dynamic posters can attract the attention of viewers. The author sees the possibility of dynamic poster design. So far, there are few researches on dynamic poster design, and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of terms. However, dynamic posters are very popular in business and social media, with various effects and media. This research uses content analysis and case analysis to analyze Rhythm (Rhythm). Because Rhythm is a time-based visual element, it is possible to introduce dynamic design. Firstly, it discusses the manifestation of rhythm through literature and conducts classification and induction. Secondly, it analyzes the performance methods of Motion Design, and then discusses the definition and manifestation of moving posters.

      • KCI등재

        메타포 포스터의 내러티브 디자인 연구

        한문박 ( Han Wenbo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2 No.-

        최근 몇 년 동안 인류사회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지구의 생태환경과 동식물에 큰 위협을 받고 있으며, 세계자연기금(WWF)은 세계 최대의 비영리 환경보호 기구로서 1961년부터 환경보호사업에 전념하고 있다. 해당 단체는 창의적이고 영향력 있는 공익 포스터를 선보임으로써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는 메타포와 내러티브를 통해 포스터를 분석하고, 디자이너들에게 공익 포스터의 디자인 방법 및 제안을 제공하며, 공익 포스터의 디자인 효과 및 사회적 가치를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시에 메타포 및 내러티브에 대한 이론적 틀을 구축하고 후속 관련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및 분석적 기반을 제공한다. 메타포와 내러티브는 언어학 분야의 개념으로 시작돼 현재 다양한 분야에 보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포와 내러티브에 대한 이론적 조사를 통해 포스터 디자인 차원에서 메타포의 두 가지 특징(유사성과 대립성)과 세 가지 유형을 요약하였다. 이 중 유사성을 보이는 포스터는 융합형, 대립성을 띠는 포스터는 대조형 또는 병치형이다. 내러티브 개념을 통해 포스터를 1인칭 내러티브와 3인칭 내러티브로 나누고, 이상의 이론적 개념을 바탕으로 분석의 틀을 만들었다. 분석의 객관성을 위해 수집한 포스터에 대한 FGI 조사를 진행하고 사례를 분석한 결과, 1인칭 내러티브 공익 포스터는 유사성이, 3인칭 내러티브 공익 포스터는 대립성이 많았다. 또한 1인칭 내러티브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다양하며, 3인칭 내러티브는 이에 반해 단순하다. 마지막으로 1인칭 내러티브 포스터는 은유적인 측면에서 보면 융합형 위주이며, 대조형과 병치형으로 보조된다. 3인칭 내러티브 포스터는 대조형을 위주로 하며, 융합형과 병치형으로 보조된다. 종합하면 WWF 메타포 포스터 중 대립성 포스터가 가장 널리 사용되며 대조형 표현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1인칭 내러티브의 포스터는 모두 유사성과 대립성을 겸비하고 있어 표현 기법이 더욱 다양하다. In recent years, the rapid development of human society, it has caused a huge threat to the earth’s ecological environment, animals and plants. As the world’s largest independent non-governmental environmental protection organization, WWF has been committed to environmental protection.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WWF posters through metaphor and narrative, provide designers with design methods and suggestions for public welfare posters, and promote the design effect and social value of public welfare posters. At the same time, it establish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metaphor and narrative, providing a theoretical and analytical basis for subsequent related research. Through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metaphor and narrative, this study summarizes two characteristics and three types of metaphor in poster design. Among them, posters with similarity are fusion type, and posters with oppositeness are contrast or juxtaposition type. Through the narrative concept, posters are divided into first-person narrative and third-person narrative, and an analysis framework is established 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concepts. In order to analyze the objectivity, FGI survey and case analysis were carried out on the collected posters, and it was concluded that the public welfare posters with first-person narration are mostly similar, while those with third-person narration are mostly opposite. Second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person narrative are more diverse and rich, while the third-person narrative is relatively single. Overall, WWF is the most widely used as the most widely used for the poster of the U.S. poster is the most widely used. The poster of the first personality of the introduction of similarity and confrontation technology is more diverse.

      • KCI등재

        ‘프랙탈’ 시각 디자인의 시각적 주의력에 관한 연구 -자동자 포스터 디자인을 중심으로-

        맹남(Meng, Nan),양재범(Yang, Jae Bu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3

        프랙탈 디자인은 프랙탈 예술적 특징을 바탕으로 시각적인 영향이 강한 시각적 표현의 일종으로 점차 자동차 포스터 디자인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동차포스터 디자인을 연구대상으로 ‘프랙탈’ 포스터 디자인의 시각적 주의력의 특징을 분석한다. 연구 목적은 ‘프랙탈’ 포스터 디자인이 소비자의 시각적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 중 시각 주의력에 관한 연구는 시각 주의력의 합리성, 시각 주의력의 일치도, 시각 주의력의 피로도를 주로 연구를 진행한다. 본 연구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3가지 유형의 자동차 포스터 디자인에 대한 조사분석을 시행하고, 잠재적인 자동차 소비자 30명을 대상으로 안구 운동 측정기를 이용해 안구 운동 추적기술 실험을 분석한다. 동일한 쇼핑환경과 마케팅 장면을 통해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효과의 합리성 측면에서는 ‘프랙탈’ 유형의 자동차 포스터 디자인의 시각적 주의력의 시선 고정순서가 더 합리적이다. 둘째, 시각적 효과의 부합도에서 ‘프랙탈’ 유형의 자동차 포스터 디자인의 시각적 주의력 배분 비율이 더 잘 맞아떨어진다. 셋째, 시각 효과의 피로도는 ‘프랙탈’ 유형의 자동차 포스터의 시각적 주의 피로도가 더 낮게 디자인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동차 판매 포스터를 디자인할 때 ‘프랙탈(fractal)’ 시각 효과를 사용하면 소비자의 시각적 관심을 유도하고 소비자를 설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어 실제 광고 전략에 큰 도움이 된다. Fractal Design is an ingenious visual design for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fractal art and has a very strong visual impact. Fractal design is increasingly being applied to car poster design as a form of new visual design.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attention of ‘fractal’ poster design with the automobile poster design as the research o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effect of ‘fractal’ poster design on consumers’ visual attention. Among them, research on visual attention mainly studies the rationality of visual attention, the degree of concordance of visual attention, and the degree of visual attention fatigu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nalysis of three types of car poster designs targeting consumers, and analyzed eye movement tracking technology experiments using an eye movement meter for 30 potential car consumers. The research results that appeared through the same shopping environment and marketing scene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rationality of visual effects, the order of gaze fixation of visual attention in ‘fractal’ type car poster design is more reasonable. Second, the visual attention distribution ratio of the ‘fractal’ type car poster design fits better in the degree of visual effect conformity. Third, as for the fatigue of visual effects, the visual attention fatigue of the ‘fractal’ type car poster was designed to be lower. Research has shown that designers are encouraged to use the visual effects of ‘fractals’ when designing car posters. Such a design effect is a great help to the actual advertising strategy by inducing the consumer’s visual interest and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persuading the consumer.

      • KCI등재

        소셜 미디어시대에서 바이췌링 브랜드 인지도 향상을 위한 홍보 포스터 디자인 연구

        궁민,김응화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1 No.4

        중국 화장품 시장 빠르게 성장하면서 기업 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브랜드 홍보 포스터 디자인은 기업 브랜드 인지도 경쟁력의 요소 중 하나로, 소셜 미디어시대에 중국 브랜드 바이췌링의 인지도 향상을 위한 홍보 포스터 디자인을 제안한다. 연구 범위는 브랜드 컨설팅 업체 브랜드 파이낸스가 발표한 2023년 화장품 50대 순위에서 국내외 총 9개 브랜드의 홍보 포스터와 소셜 미디어에서 사용하는 바이췌링 브랜드 홍보 포스터 디자인을 연구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 조사와 화장품 브랜드 홍보 포스터 디자인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바이췌링 홍보 포스터 디자인 전략을 세웠다. 9개의 디자인 스케치를 하였으며, 그 중 두 방안을 제시하였다. 5개 평가 기준을 가지고, 144명을 대상으로 디자인 선호도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최종 디자인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최종 포스터 시안이 설문조사에서 평균 3.93점의 가장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이는 바이췌링 브랜드의 인지도 향상을 위해 소비자의 요구를 이해하고, 소셜 미디어 시대에 맞는 홍보 포스터 트렌드이다. 바이췌링 포스터 디자인을 개선하는 이러한 접근 방식은 브랜드 인지도를 향상하여, 브랜드 홍보 포스터 통해 시장 진출을 촉진하고, 각 기업의 브랜드 전략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As the Chinese cosmetics market is growing rapidly, competition among companies is becoming more intense. Brand promotional poster design is one of the elements of brand awareness competitiveness of promotional companies, and we propose a promotional poster design to improve awareness of the Chinese brand Baichering in the social media era. The scope of the study is to study the promotional posters of a total of 9 domestic and foreign brands in the top 50 cosmetics rankings for 2023 announced by brand consulting company Brand Finance, as well as the design of promotional posters for the Bychering brand used on social media. Methods, The research method was to establish a Baichering promotional poster design strategy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sis of cosmetic brand promotional poster design cases. Nine design sketches were made, and two of them were presented. A design preference survey was conducted on 144 people using five evaluation criteria, and the final design was selected. Result,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final poster design received the best response in the survey, with an average of 3.93 points. This is a promotional poster trend that understands consumer needs and fits the social media era in order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Bychering brand. Conclusion, This approach to improving the design of buy-and-run posters is expected to improve brand awareness, promote market entry through brand promotional posters, and provide a reference for each company's brand strategy.

      • KCI등재

        공익 포스터 디자인의 공감 작용 연구

        송림선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1 No.-

        공감 디자인은 제품 디자인에서 가장 먼저 제시되었지만, 다른 예술 창작에서는 전통적인 회화, 서예, 혹은 현대의 포스터디자인 등에 이미 공감 콘셉트가 적용되었다. ‘공감’이라는 디자인 전략을 공익 포스터 디자인에 적용하는 것이 가장 핵심적이고 중요한 것은 일반 사회의 대중적 정서를 긴밀히 연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공익 포스터의 발전현황을 고찰하고, 공감 이론, 감정화 디자인을 통해 공감 디자인을 연구하며, 또한 공감 디자인의 사상 관념을 디자이너의창작 과정으로 논고한다. 또한 공익 포스터의 도형, 색채 및 분위기의 공감 디자인을 통해 법칙을 제시하여 공익 포스터와관람자의 생각과 감정의 상호이동을 유도한다. 또한 대중에게 잘 알려진 사물, 그리고 사람들의 사회생활에 대한 체험과감각을 활용하여 도형, 화면, 색채, 문자 등을 요소로 하여 연구자가 전하는 정신을 포스터에 적용하므로서 관람자들이 포스터에 표출된 감정과 상호 작용하고 정서적 동질감을 형성하여 궁극적으로 공익 포스터 디자인의 가치와 목표에 다가 설수 있어야 한다.

      • 애니메이션 영화 포스터의 색채 비교 연구 - 중국과 미국의 모험 애니메이션 영화 포스터를 중심으로

        위붕(Wei, Peng),이승헌(Lee, SeungHeon),김기수(Kim, KieSu) 한국해양디자인학회 2023 JMDR 해양디자인학연구 Vol.1 No.1

        영화 포스터는 영화와 대중을 연결하는 중요한 홍보 도구로 사용되며, 포스터의 컬러 디자인은 이러한 홍보에 있어서 빠질 수 없는 요소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중국과 미국의 모험 애니메이션 영화 포스터의 색상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양국의 문화적 차이가 포스터의 색상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영화 홍보에서 색채의 역할과 영화 주제가 포스터의 색상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최근 2년간 중국과 미국의 대표적인 모험 애니메이션 영화 포스터를 데이터로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양국의 문화 및 영화 주제 배경을 종합하여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중국과 미국의 문화적 차이가 애니메이션 영화 포스터의 색상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치고, 영화 주제가 포스터의 색상 디자인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의 주요 기여는 문화적 차이가 애니메이션 영화 포스터의 색상 디자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깊이 있게 조사하고, 영화 포스터 제작에 유용한 참조 및 권장 사항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영화 제작자들은 다른 문화와 관객을 대상으로 하는 포스터를 제작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파악할 수 있게 되며, 보다 효과적인 영화 홍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