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생교육법 영문 번역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조순옥 한국평생교육학회 2022 평생교육학연구 Vol.28 No.3

        이 연구는 국내외에 거주하는 외국인 연구자와 실무자에게 우리나라 「평생교육법」을 정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며, 통일성을 확보한 영문 번역을 제공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법의 영문 번역의 적절성을 분석하고 개선사항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법령정보센터에서 제공하고 있는 「평생교육법」의 영문 번역을 대상으로 번역어의 적절성, 번역의 통일성, 번역의 불완전성 여부를 기준으로 번역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첫째, 번역어의 올바른 선택 측면에서 ‘학습’, ‘평생학습도시’, ‘평생학습센터’, ‘학습휴가’, ‘학습계좌’, ‘평생교육사’의 번역 등에 대한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일적 용어 사용과 관련해서는 ‘평가인정’, ‘평생교육 과정’, ‘평생교육 상담’을 조항에 따라 다르게 번역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번역어의 통일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함께「평생교육법」원문에 포함되지 않는 표현의 표현 등의 불완전한 번역 문제 역시 나타나 이의 수정이 필요함을 밝혔다. 「평생교육법」의 영문 번역의 적절성을 검토한 초기 연구인 이 연구에서 복수의 개선안이 제안된 조항에 대해서는 최선의 번역어 선택을 위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후속 연구에서는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조항을 포함한 평생교육법 전 조항을 대상으로 언어적 측면에서의 번역 오류까지 검토한다면 더 완전한 평생교육법의 영문 번역이 제안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평생교육 참여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고영상(Ko Young Sa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09 평생교육학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평생교육 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소, 그 중에서도 특히 환경적 요소와 그 효과를 탐색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서 2008년에 평생교육진흥원이 수행한 「평생학습도시 주민만족도 조사」과정에서 수집된 전국 76개 평생학습도시의 20세 이상 주민 10,060명과 10개 일반 시군구의 20세 이상 주민 600명의 자료 중 일부를 재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평생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 총 37개 변인 중 17개를 제외한 20개의 변인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이들 변인이 지닌 평생교육 참여 여부에 대한 설명량은 58.7%였고, 평생교육 환경과 관련한 변인들의 설명량은 6.8%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 자료를 평생학습도시와 일반 시군구 자료로 분할하여 별도로 분석한 결과, 평생교육 참여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평생학습도시와 일반 시군구 사이에 대립적인 패턴을 보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평생교육 참여를 설명하는 변인의 개발이 여전히 많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중에서도 특히 평생교육 환경과 관련한 변인의 개발에 대한 우선적 고려가 필요하다. This study purposes to explore the elements effecting on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nd is especially interested in environmental elements. For the purpose, this study uses the results of analysis from some of the data which is developed for survey on residents' satisfaction in lifelong learning cities. The data includes the responses from 10,660 people, who are over twenty years old from 86 local governments on a level of borough(76 lifelong learning cities and 10 general local governments). The analysis is completed through binary logistic regression in SPSS ver 13. The study results are 1) Among 37 independent variables, Just 20 variables can explain the participation with statistical meaning. 2) These variables can explain total 58.7% of the variance on the participation. 3) Environmental variables are able to explain just 6.8% of the variance on the participation. 4) Between lifelong learning city and general local government, opposite patterns are observed in the way of explaining the participation. The study results suggest to refine critical variables explaining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Especially, variables in a relation to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 should be developed as soon as possible. Otherwise the efforts providing lifelong education could not be recognized properly.

      • 장애인 평생교육 관계자의 요구분석을 통한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방향 탐색

        정동영,정동일,정인숙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3 특수교육 Vol.2 No.1

        본 연구는 장애인의 삶의 질 제고를 도모하기 위해 장애인 평생교육의 지원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8개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의 관계자 72명과의 면담을 통해 그들의 요구를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체계 확립,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확충, 장애인 평생교육 내용 확대 및 장애인 평생교육 방법 개선의 네 개 범주별로 구분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장애인 평생교육은 생애단계별로 간격이 없이 공적인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지원체계를 확립하고, 장애인 전담 평생교육기관 외에 일반인 평생교육기관 등 지역사회 내의 다양한 기관과 시설을 활용하여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을 확충하며, 장애인의 생애단계별로 적절한 교육내용을 다양하게 확대 제공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장애인 평생 교육기관들이 상호 협력하여 장애인을 지원하되, 각각의 기관이 제공하는 지원을 조정하는 인력을 배치한 가운데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 평생교육의 효율화와 활성화를 위해서는 행 · 재정적 지원의 확충은 물론, 현행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의 운영체제 개편이 이루어져야 하며, 운영에 관여하는 관계자의 인식도 개선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search support direction for lifelong educ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to the effectiv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present-day society called the knowledge-based society and raising the quality of their lif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the demands on establishment of supporting system for lifelong educ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magnification of lifelong education agencie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magnification of contents of lifelong educ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development of supporting method for lifelong educ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rough interviews with persons concerned with lifelong education agencies. With this method and process, this study analyzed the demands of persons concerned with lifelong educ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at lifelong educ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as to be constructed with the system which supports the individual with disabilities to receive an appropriate contents of education with continuously as to the life phases without an gap, to magnify an agencies in community and content of lifelong education, to establish an interagency collaboration system for lifelong education of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o plate a case manager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refore after the birth of individual with disabilities, that is, the detection of disability, to be provided with educational supports needed in a lifetime in whenever and wherever, the supporting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of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reveal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pports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as to established a Public supports system without gap between life stages. Second, agencies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as to magnified a lifelong education agenci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community. Third, contents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as to magnified an appropriate contents each life stage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Fourth, supports method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as to established an interagency collaboration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placed a case-manager that charge of control of support each agencies. To support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ach lifelong education agency has to reform their management system and awareness of related persons as well as magnify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 UNESCO와 OECD의 평생교육전략 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평생여가교육의 가능성

        김성길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4 연세 교육연구 Vol.17 No.1

        평생교육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이렇게 평생교육이 필수요소가 되는 데는 UNESCO와 OECD의 역할이 켰다. UNESCO는 '모든 이를 위한 교육'을 주장하면서, 개인의 자아실현을 평생교육의 기본으로 삼고, 이를 위해 기존 교육제도의 통합과 지역사회의 학습도시로의 전환을 실천하였다. 이에 비해, OECD는 개인의 발달과 사회적 결속, 그리고 경제적 성장을 위한 학습지역 형성을 주장하면서, 인적 자본과 사회적자본의 중요성 강화와 전 생애에 걸친 직업능력의 개발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는 평생교육 이론수립과 실천의 양대 산맥인 UNESCO와 OECD의 평생교육전략 비교를 통해 우리 평생교육에 적응 가능한 시사점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의 평생교육 현실을 짚어보았고, 그 다음으로 UNESCO와 OECD의 평생교육이론을 비교하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평생교육 증진을 위한 평생교육전략, 특히 평생여가교육 전략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some applications to lifelong leisure education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is paper, first of all, reviewed the lifelong education situation of Korea in terms of philosophical, administrative, and legitimative aspects. Secondly, this study used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lifelong education strategies of UNESCO and OECD, who are the two mainstreams of the theory-building on and practicing for international lifelong education. And finally, this paper showed the strategies for lifelong leisure education in Korea under the conclusion of the exploring the UNESCO and OECD lifelong education strategies.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 시장분석을 위한 이론적 모형에 대한 연구

        박응희(Park, Eung-Hee),이병준(Yi, Byung-Ju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7 敎育思想硏究 Vol.21 No.1

        평생학습도시사업의 도입으로 지역차원에서의 평생교육 기본계획의 수립과 지역시민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고 파악하는 일은 매우 기초적인 작업이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평생학습도시로 선정된 지역마다 이루어지고 있는 많은 요구조사는 거의 대동소이하게 지역의 학습자 층과 교육시장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아닌 인구학적․사회경제적 통계로만 이루어지고 있어 조사방법론적 혁신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사회적 환경이론을 평생교육의 학습자와 시장 분석에 활용한 학습자 층과 시장분석에 대한 연구가 독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사회과학의 연구 성과를 활용한 것으로 독일의 사회학계에서는 전통적인 사회계층분석모델에 일상생활양식과 취향 등 문화적 요소들을 가미한 문화사회학적 환경이론을 도출하였다. 사회적 환경이론에 기초할 경우 평생교육의 학습자와 시장은 다양한 여려 형태의 유형으로 구획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론적 개선은 평생교육의 시장분석, 요구분석과 프로그램개발, 그리고 마케팅에 시사하는 점이 클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통해 평생교육기관은 다양한 성인학습자층이 원하는, 그들의 성향과 취향에 맞는 그리고 그들의 생애사적 특성과 주관적 가치성향을 겨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프로그램마케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With the introduction of Lifelong learning in the field of city business and the establishment of basic Lifelong education plans on a local level, the analysis of demands for Lifelong education from local citizens has become a very influential field of work. Yet many demand surveys conducted in the areas selected as Lifelong learning cities are mostly performed through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statistics rather than in-depth examination of prospective learners and markets in the areas; thus methodological innovation is required. Recently, studies employing social environment theorie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analysis of learners and markets of Lifelong education in Germany and other countries. These studies are taking advantage of the research results of social sciences and the sociology field of Germany has created a cultural-sociological environment theory in which daily lifestyles and tastes are added to traditional social class analysis models. When based on social environment theory, the learners and markets of Lifelong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environmental models of various types. Such methodological improvement may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market analysis, demand analysis and program development, as well as marketing of Lifelong education. With the help of such new methods,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can enhance the efficiency of program marketing by developing programs that are wanted by various learners. These programs are suited to the inclination and tastes of learners and aimed at Lifelong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values of learners.

      • KCI등재

        대학평생교육 연구동향 분석 : 1982∼2012년 학위논문 및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곽삼근,박현옥,김현주 한국평생교육학회 2014 평생교육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고등교육의 전통적 패러다임에 대한 변화 요구가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서 대학평생교육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이제까지 국내에 발표된 대학평생교육 연구물의 동향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주요 내용은 첫째, 대학평생교육의 개념과 한국 대학평생교육의 발전과정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둘째, 연구동향 파악을 위해 대학평생교육을 다룬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논문을 시기와 주제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셋째, 이를 바탕으로 한국 대학평생교육 연구의 특징과 문제점을 도출하고 발전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동향 분석을 위해 문헌조사와 연구물 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1982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위논문과 학술논문 총 250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주제를 총 7개 영역으로 유형화하여 분석한 결과,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 관련'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제도 및 정책', '성인학습자', '직무담당자'를 다룬 연구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특정 프로그램을 분석하는 미시적 접근과 함께 거시적 안목으로 대학평생교육 연구권역 전반을 분석하는 도전적 연구의 필요성, 대학평생교육의 개념적 합의 및 역할과 발전과제에 대한 학계의 심도 있는 논의에 대한 요구, 대학평생교육의 주체인 '성인학습자'에 대한 연구의 확충을 과제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found in the publications in Korea on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analysis contribute for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 for a paradigm shift in higher education. The notion of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and preceding studies were reviewed. The these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in Kore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themes, and characteristics of those publications were found. 134 theses and 116 dissertations published in Korea from 1982 to 2012 were analyzed through methods of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analysis. Categorized into seven research themes, the publications showed that most of them focused on 'program-related' studies, while those on 'system and policy', 'adult learners', and 'the person in charge' were relatively scarce. The suggestions are the followings; more challenging research on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as a whole with broader perspective, along with microscopic approach to specific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carried out. A clear agreement on the notion of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made. Finally, more researches on 'adult learners' as the subjects should be done.

      • KCI등재

        장애성인의 평생교육 참여 실태 및 요구 분석 : 장애인복지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조창빈,김두영,이상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1

        This study is designed to research on the situation of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and the demand for the operation of future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for the disabled adults using the nationwid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adults. For the research, 390 disabled adults having the experience of using the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supplied by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were selected and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 of the 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showed that most of them participated in the lifelong education of 'instructor lecture' in the form of educatio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as the program participating organization and "academic ability supplementation education" in the number of participation for scope of program. In addition, the main objectives of participating in the lifelong program was "euphoria" and most of responses to the degree of achievement were "very helpful". Seco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demand for the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the disabled adults showed that most of them showed that they "want to participate" in terms of the intention of participating in the future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preferred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as the participating organization and most of them wanted to participated in the "culture-art education". Next, for the activ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most of them wanted "expansion of support in budge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bove, some methods of activating the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전국의 장애인복지관 이용 장애성인을 대상으로 평생교육 참여 실태와 향후 참여할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고, 장애성인의 생애주기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장애인복지관에서 공급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이용 경험이 있는 장애성인 39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성인의 평생교육 참여 실태를 분석한 결과, 평생교육 참여경험은 ‘강사강좌’가 가장 많았으며,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기관은 ‘장애인복지관’이 가장 많았고, 프로그램 영역별 참여 개수는 ‘학력보완교육’이 가장 많았다. 또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목적은 ‘행복감’이 가장 우선순위였고, 이에 대한 달성정도는 ‘매우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장애성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를 분석한 결과, 향후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의사는 ‘참여하고 싶다.’가 가장 높았으며, 참여 희망기관은 ‘장애인복지관’을 가장 선호하였고, 참여희망 영역은 ‘문화예술교육’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하여 ‘예산 지원 확대’를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몇 가지 논의하였다.

      • KCI등재

        우리나라 평생교육제도에 관한 질적 연구

        신명신(Shin Myung Shi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9 No.3

        우리나라의 평생교육제도는 2007년 새롭게 개정 공포된 평생교육법에 의거하여 평생학습사회 구현을 위한 평생교육정책의 실시에 따라 평생교육의 안정적인 기틀이 마련되어 왔다. 그 후 우리나라의 평생교육은 그 체계를 갖추어 가면서 발전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시점에서 이 연구에서는 이론적인 측면에서 우리나라 평생교육과 관련하여 평생교육제도의 연혁, 평생교육법의 내용, 그리고 현재 우리나라 평생교육제도에 대한 개괄적인 논의를 전개하였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이 연구는 우리나라 평생교육에 대하여 포괄적인 차원에서 논의가 이루어졌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in Korea has given the stable groundwork of lifelo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enforcement of the lifelong education policy for the embodiment of the lifelong education society by Lifelong Education Act newly revised and promulgated in 2007. After that, the lifelong education in Korea has developed, getting the system. Therefore, in this point, this study theoretically provided the history of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the content of Lifelong Education Act, and the current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Above all,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it discussed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in Korea in the comprehensive level.

      • KCI등재후보

        R. H. Dave의 평생교육개념 특성에 의거한 교회평생교육의 성립가능성 탐색

        신성훈(Shin-Seung Hoo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0 No.1

        UNESCO가 제시한 평생교육개념은 삶(Life), 평생(Lifelong), 교육(Education)을 중심으로 형성된다. 이들 용어에 부가된 의미와 해석은 평생교육의 범위와 의미를 결정한다. 이 연구는 Dave의 평생교육 개념 특성에 터하여 한국교회의 교회교육이 평생교육으로 성립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ave의 평생교육 개념 특성과 고용수의 ‘교회와 신학’을 대비시켜 분석했으며, 이어서 우리나라에 기독교가 전래된 이래 현재까지의 교회교육을 한국사회교육사에 의한 시대구분을 참조하여 한국의 기독교교회의 교회교육의 문헌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의 초기 기독교교육은 수직적으로는 영아교육, 유년교육, 청소년교육, 장년교육, 노년교육의 교육으로 통합되고, 수평적으로는 교회교육, 학교교육, 사회교육 등의 교육으로 통합된 것으로 나타나 평생교육의 전략인 수직적 통합과 수평적 통합 전략을 구현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기독교교육 학자의 선행연구를 Dave의 평생교육개념특성에 비추어 분석하여 얻은 결과와 이와 관련된 교회의 모범사례로 실증해 본 결과, 상당부분 일치하여 한국의 교회교육의 평생교육 성립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의 교회교육의 사례들은 사실상 평생교육 형식으로 진행되었음을 보여준다. 기독교교회의 대사회적 역할 영역인 평생교육에 대한 연구와 접근은 기독교교육의 평생교육 개념적 교육영역을 넓힌다는 의미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proposed by UNESCO is formed around Life, Lifelong, and Education. The scope and meaning of lifelong education are to a degree determined by meaning and interpretation attached to these three term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show that South Korea church education can be approached in a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on the basis of Dave's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To this end, first, a conceptual framework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elaborated by R. H. Dave. Second, this study tried to interpret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typical church education proposed by Go-youngsu in terms of Dave's conceptual framework. Third, a focus was upon analyzing a case of church education. As a result, infant, childhood, youth, mature, senior education appear to be integrated vertically and church, school, community education appear to be integrated horizontally. Therefore it is interpreted that lifelong education strategy is oriented toward both vertical horizontal integration. The result obtained by comparing a leading study of Christian education scholars with lifelong education conceptual characteristics by Dave showed that both match to a considerable degree. So it is possible to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 church lifelong education as a part of lifelong education.

      • KCI등재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동향의 분류와 지식구조의 탐색

        김진화(Kim Jin Hwa),신다은(Shin Da Eu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6 평생교육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동향의 분석을 통해 분류체제의 형성과 객관적인 지식구조의 이해를 위해서 탐색-분류-유형화-분류체제의 원리를 적용하여 다음의 연구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학문적 위치와 비중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의 동향을 탐색하였다.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분류체제의 형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연구주제를 거시적으로 분류하고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셋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객관적인 지식구조를 명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연구영역 및 주제에 대한 동향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평생교육학의 하위 학문영역으로서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야의 관련 연구의 현황과 실태는 124편 논문과 5.08% 비율을 점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연구주제는 프로그램전문가, 프로그램개발과정, 프로그램분류, 프로그램 내용 및 성격, 프로그램 원리 및 이론 등 5개 영역의 연구동향이 확인되었다. 셋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상세한 분류체제의 8개 영역에 대한 연구주제에 대한 동향과 실태가 시기별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국내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야의 학문적 위치와 비중을 확인할 수 있는 실증적 근거로서 가치가 있고,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과 성장을 위한 이론 및 분류체제, 지식구조를 형성하는데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cademical knowledge structure o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rough classification and taxonomy of research trends.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exploration-classification-typology-taxonomy and abductive reasoning approach,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sis the academic locus and focu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classify knowledge taxonomy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discuss on the knowledge structure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s a sub academic area of the lifelong learning, was revealed to have 124 dissertations at 5.08%. Second, for the research subject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ive areas of research trends such as program expert, development process, classification,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 and theory were identified. Third, the trends and status of eight research subjects on detailed taxonomy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were investigated by time. The results of the study had significance as empirical grounds that show academic status and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Korea. Also, it has value in that the study can pave the foundation for creating theory and taxonomy for the academic identity and growth of the lifelong learning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