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생활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편의점도시락 이용 현황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 경기 및 충청지역 성인을 대상으로

        김현정( Hyun-Jung Kim),이심열(Sim-Yeol Lee)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5 No.1

        본 연구는 편의점 도시락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성인 817명을 대상으로 식생활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편의점 도시락 이용현황과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고 편의점 도시락 시장에 효율적인 메뉴 구성과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식생활 라이프 스타일 유형을 군집분석한 결과는 미각추구 집단, 경제추구 집단, 편의추구 집단, 건강추구 집단 등의 4가지 집단으로 군집화되었다. 도시락 이용현황을 살펴보면 도시락 제품 구매가격은 3,500~4,000원이었고, 도시락은 주로 점심 식사용으로, 혼자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점 도시락에 대한 정보를 얻는 곳으로는 편의점 매장, 인터넷 SNS 순이었다(p<0.05). 도시락은 영양성분을 고려하여 구매하였고(p<0.001) 중요한 영양소는 단백질, 열량, 나트륨이라고 하였다. 도시락의 용기는 위생적이고 청결해야 하며 용기 표면에 제품에 대한 정보를 부착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p<0.01). 4개의 군집 중 경제추구 집단은 도시락의 맛(3.66점)과 양(3.60점)에서 가장 만족도가 높았고(p<0.001), 다음은 가격(3.49점), 열량(3.43점)순이었다(p<0.01). 건강추구 집단은 메뉴의 다양성(3.76점)에서 만족도가 높은 반면 편의추구 집단은 메뉴의 다양성(3.47점)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고(p<0.05), 모든 집단에서 도시락 구매의 편리성(p<0.001)과 제품브랜드의 신뢰성, 다양한 할인제공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음식의 영양과 조미료의 첨가 여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도시락의 밥종류로는 백미밥을 선호하였고(p<0.001) 좋아하는 식재료는 육류인 것으로 나타났다(p<0.01). 모든 집단에서 밥과 찬으로 구성된 도시락을 좋아하였고 저염식과 고단백식을 지향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앞으로도 편의점 도시락은 계속 이용할 것이며(p<0.01), 주변인에게 구매의 편리함과, 저렴한 가격, 신선한 재료, 풍부한 영양 등으로 도시락 이용을 추천하겠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 모든 집단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맛으로 나타났으며, 편리성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지만 음식의 영양과 조미료의 첨가 여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편의점 도시락 시장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도시락의 품질개선과 다양한 메뉴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lunchboxes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A sample of 819 adults who regularly purchased lunchboxes were studied.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menu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a ‘taste-seeking group’, an ‘economy-seeking group’, ‘a convenience-seeking group’, and a ‘health-seeking group’. The purchase price of lunchboxes was in the range of 3,500 to 4,000 won. The ‘health-seeking group’ was shown to spend the highest amount on lunchboxes, over 5,100 won. Information about lunchboxes was obtained primarily through convenience stores followed by Internet SNS (p<0.05). Most participants considered nutritional value when purchasing a lunchbox (p<0.001), of which protein, caloric, and sodium content were perceived as important. Moreover, lunchboxes with clean and hygienic aesthetics were preferred amongst the ‘health-seeking group’ (p<0.01). The ‘economy-seeking group’ had a higher satisfaction linked with taste (3.66) and quantity (3.60, p<0.001). Furthermore, in terms of the satisfaction with a menu variety the ‘health-seeking group’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with a score of 3.76, while the ‘convenience-seeking group’ ranked the lowest satisfaction with a score of 3.46 (p<0.05). All groups were satisfied with the convenience for purchasing lunchbox (p<0.001). Additionally, most participants preferred white rice (p<0.001) and meat (p<0.01) with cooked by fried and grilled. Lastly, in the content of the lunchbox use in the future, most participants indicated the intent for continuous use (p<0.01) and recommendation to others with the reason for the low price (19.2%) in the ‘economy-seeking group’, fresh ingredients (16.2%) in the ‘convenience-seeking group’, and nutritive (17.3%) in the ‘health-seeking group’, as well as for the convenience of purchase in the overall groups. Taken together, ‘taste’ and ‘convenience’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all groups, while ‘nutrition of food’ and ‘addition of condiments’ scored relatively low on the satisfaction in all groups. Therefore, we recommend for the growth of the convenience store lunchbox market,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lunchbox by developing various menus based on lifestyle group and fortifying nutrition.

      • KCI등재

        푸드스타일링 속성을 활용한 한국 편의점도시락 특성

        류무희 한국식공간학회 2018 식공간연구 Vol.13 No.1

        도시락 시장이 성장하면서 편의점도시락은 물리적 환경인 푸드스타일링 연출이라는 판매 전략이 필요한 상품이 되었다. 음식의 색채와 조형 디자인은 음식을 만든 공급자가 수요자에게 주는 정보로 상품개발과도 이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락의 푸드스타일링 속성을 소비욕구를 자극하는 요소로 보고 현재 판매 되고 있는 편의점도시락 이미지를 분석하여 푸드스타일링 특성을 파악하였다. 조사대상은 편의점 브랜드 인지도 상위 4개의 홈페이지에서 2018년 2월 표본을 CU-13, 7-일레븐-21, MINI STOP-7, GS 25-22개 추출하였다. 이는 연구시점에 판매되는 편의점도시락의 대부분으로서 표본이기도 하지만 모집단에 근접하는 훌륭한 표본이다. 질적연구기법을 통해 전체적인 색채와 조형적인 푸드스타일링 빈도와 내용을 분석하였고, 도시락 용기의 색채와 조형성도 함께 살펴보았다. 편의점도시락의 색채스타일링은 단색, 유사색, 대비조화, 컬러악센트가 골고루 나타났다. 조형스타일링에서는 담음새중심형, 겹침중심형, 디자인원리중심형과 고명·가니쉬중심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식기의 역할을 하는 도시락 용기는 거의 모두 어두운 색조인 검정색 중심의 무채색을 사용하여 음식에 주목할 수 있게 서포팅 하였고, 내부 분리대는 디자인원리의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편의점도시락 푸드스타일링 특성 연구는 판매자와 소비자 간의 소통역할과 소비자를 위한 홍보 도구개발 측면에서 활용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편의점 도시락 소비자의 가치구조: 수단-목적 이론의 적용

        박지호 ( Ji-ho Park ),우윤혜 ( Yun-hae Woo ),김다빈 ( Da-bin Kim ),이혜영 ( Hye-young Lee ),조혜정 ( Hye-jeung Cho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6 유라시아연구 Vol.13 No.3

        1인 가구와 맞벌이 가정의 증가 및 편리성과 효율성을 추구하는 소비문화를 배경으로 우리나라의 가정간편식(HMR)과 유통업체브랜드(PB) 식품시장의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특히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한국의 편의점 PB도시락 시장의 변화에 주목하면서 이 시장의 주요 고객층인 20대 소비자의 구매 심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수단-목적 사슬 이론(Means-End Chain Theory)을 바탕으로 편의점 PB도시락 소비와 관련된 소비자의 가치체계, 즉 ‘제품 속성-결과-가치’의 연결 구조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구조적 래더링 기법(laddering technique) 중의 하나인 APT(association pattern technique)를 이용하여 편의점 도시락을 이용하는 20대 남녀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응답자 98명(남성 48명, 여성 50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편의점 도시락 이용과 관련한 속성, 결과, 가치 관계의 함축매트릭스(implication matrix)와 가치단계도(hierarchical value map)를 도출하였다. 우선 전체 응답자를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 소비자들은 편의점 도시락 제품을 비교, 선택할 때 맛, 메뉴, 가격, 양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속성들은 기호 반영, 호기심, 만족감, 포만감, 절약의 결과를 통해 즐거움, 자극, 편안함, 경제적 안정, 자기 주도성의 가치로 연결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맛-기호 반영-자극’, ‘맛-기호 반영-즐거움’, ‘메뉴-기호 반영-자극’, ‘메뉴-기호 반영-즐거움’, ‘맛-만족감-편안함’, 그리고 ‘가격-절약-경제적 안정’이 중요한 래더로 발견되었다. 성별에 따른 소비자세분 집단의 가치단계도를 도출하여 비교했을 때는 남성과 여성 소비자 사이에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공통점과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우선 ‘가격-절약-경제적 안정’의 래더는 남녀 모두의 가치단계도에서 중요한 래더 중의 하나로 나타나 편의점 PB도시락의 저렴한 가격이 주는 경제성의 장점이 남녀 소비자 모두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런데 이 경제성의 사슬은 여성보다 남성 소비자의 가치단계도에서 더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남성의 경우 맛과 가격의 두 속성이 모두 만족감을 통해 경제적 안정의 가치로 연결되는 구조가 나타나 20대 남성 소비자에게는 맛과 가격의 측면에서 가성비가 높은 제품이 주는 경제성이 특히 중요한 소비 동기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였다. 한편 여성 소비자의 가치단계도에서는 메뉴와 맛의 두 속성이 기호 반영을 통해 즐거움의 가치로 이어지는 구조가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편의점 도시락의 가성비 혹은 경제성보다는 궁극적으로 즐거움을 느낄 수있도록 하는 개인의 기호가 잘 반영된 메뉴 구성과 종류, 그리고 음식의 맛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남성과 여성 소비자의 가치단계도에서는 포만감과 관련된 래더 구조에서도 차이점이 발견되었는데, 남성의 경우에는 음식의 양이 포만감을 통해 편안함의 가치로 이어지는 래더를 형성한 반면여성의 경우에는 양이 아니라 도시락 제품의 맛과 메뉴 속성이 포만감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보였다. 또한 남성 소비자의 가치단계도에서 나타난 ‘메뉴와 맛-호기심-자극’의 래더 구조가 여성 소비자의 가치단계도에서는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편의점 도시락을 이용하는 20대 남녀 소비자의 심층적인 소비 동기의 구조에 대한분석을 통해 소비자의 만족과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제품 개발 및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성별에 따른 세분 시장의 차별화 전략에 있어서 남성 소비자의 경우에는 만족스러운 맛과 합리적인 가격을 통해 가성비를 높이고 충분한 음식의 양을 제공하며 호기심을 자극,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맛과 메뉴를 개발하는 전략이, 여성 소비자의 경우에는 다양한 메뉴 종류 및 구성과 맛을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기호성 충족을 강조하고 음식의 전체적인 양보다는 메뉴, 맛과 관련된 속성(e.g., 식재료, 조리법, 메뉴의 종류와 구성)을 통해 만족스러운 포만감을 제공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차별화 전략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최근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한국의 편의점 도시락 시장에서 매스 마케팅(mass marketing) 전략을 추구하는 경우와 성별에 따른 세분 시장을 중심으로 타겟 마케팅(target marketing) 전략을 추구하는 경우에 상대적인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할 제품 속성들을 밝히고, 동일한 속성일지라도 그것이 소비자의 인지적 동기 구조에서 연결되는 결과 및 궁극적 가치의 내용이 세분 시장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보임으로써 소비자가 추구하는 주요 가치와 부합되는 방향으로 제품을 개발,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제품 인식과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는 것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몇 가지 한계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을 논의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and understand Korean young consumers` cognitive structure of product attribute-consequence-value associations concerning convenience store lunch box (dosirak) consumption. Based on the means-end chain theory and using APT survey technique, we asked 98 consumers (48 men and 50 women in their 20s) about the associations between sets of important product attributes, consequences, and life values to produce a hierarchical value map (HVM).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ost important product attributes consumers consider in comparing and choosing convenience store lunch box meals are taste, menu, price, and amount. These important attributes were linked to pleasure, stimulati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mfort, financial security, and self-direction via preference, curiosity, satisfaction, satiety, and saving money. In specific, the primary ladders were ‘taste.preference-stimulation’, ‘taste.preference-pleasure’, ‘menu.preference-stimulation’, ‘menu.preference- pleasure’, ‘taste-satisfaction-comfort’, and ‘price-saving money-security’. When we developed an additional HVM for each gender group, the results further revealed a few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male consumers` and female consumers` value structure. First, the ladder of ‘price-saving money- financial security` appeared in both men`s and women`s HVM. This indicates that the benefit of low price is very important to them because it helps them pursue and obtain economic security. However, this economy ladder occupied a more important part in men`s HVM than in women`s. The economy ladder structure involved not only the low price attribute but also the food taste attribute suggesting that, for men, the cost(price)-to-benefit(taste) ratio is very important in choosing a dosirak and pursuing economic security. In the case of women, we found that both menu and taste were very strongly associated with personal preference which then led to pleasure. Other important differences also include ‘menu-curiosity- stimulation’, ‘taste-curiosity-stimulation’, and ‘food amount-satiety-comfort’ ladders that were found only in men`s HVM. For women, satiety was not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food amount. Instead, menu and taste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satiety, indicating that women may prefer a dosirak meal that gives a satisfactory feeling of fullness which does not come from the actual food amount but rather from ingredients, cooking methods, and the kind of taste.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us better understand consumers` motivational structure behind their purchase of convenience store dosirak. The study also provides important managerial insights into improving current product offerings, developing new products, and designing effective marketing communication campaigns when the firms in the rapidly developing Korean convenience store dosirak market pursue a mass market strategy or a target market strategy. For example, in the male consumer segment, improving the price-quality(taste) ratio, increasing the amount of food, and developing new tastes and menu items that can stimulate consumers` curiosity would be an effective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On the other hand, offering a large variety of menu items and tastes that can better satisfy consumers` individual preferences and developing a meal that can give a satisfactory feeling of fullness through its ingredients, cooking methods, and the kind of taste (rather than the food amount) would be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in the female consumer segment. Lastly, som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편의점 도시락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편의점 도시락의 지각된 품질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이명철 한국외식경영학회 2024 외식경영연구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편의점 도시락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와 지각된 품질의 매개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4년 2월 19일부터 2월 25일까지 서울, 경기, 대전, 광주 지역에서 편의점 도시락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 방법에 의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251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으며, SPSS 23.0 패키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중 건강추구형이 편의점 도시락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편의추구형은 편의점 도시락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품질은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중 건강추구형과 편의점 도시락 구매의도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소비자들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함으로써 편의점 도시락 제품 개발 및 매출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We examined the impact of dietary lifestyle on purchase intention of convenience store lunch boxes and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qualit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argeting consumers who had experience purchasing convenience store lunch boxes in Seoul, Gyeonggi, Daejeon, and Gwangju from February 19 to February 25, 2024. We used 251 copies of the questionnaire as final analysis data, an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3.0 package program. The analysi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ealth-seeking type of dietary lifestyl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convenience store lunch boxes. On the other hand, the convenience-seeking typ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convenience store lunch boxes. Second, perceived quality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health-seeking dietary lifestyle and purchase intention of convenience store lunch box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nvenience store lunch box products and increase sales by understanding consumers' dietary lifestyles.

      • KCI등재

        편의점 PB 도시락 선택속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지수(Ji-Soo Han) 한국외식경영학회 2023 외식경영연구 Vol.2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편의점 PB 도시락 선택속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 브랜드 가치의 편의점 PB 도시락 선택속성과 충성도 간의 매개효과를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편의점 PB 도시락 선택속성 중 가격, 맛이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편의점 PB 도시락의 선택속성 중 맛과 가격이 브랜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편의점 PB 도시락의 선택속성 중 맛과 가격이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가치가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편의점 PB 도시락의 선택속성 중 물리적 환경과 충성도 간에, 포장과 충성도 간에 브랜드 가치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convenience store PB lunch box selection attributes on loyalty based on prior research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brand value's PB lunch box selection attributes and loyalty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rice and taste among the convenience store PB lunch box selection attribut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oyalty. Second, it was found that taste and price among the selection attributes of convenience store PB lunch box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value. Next, it was found that taste and price among the selection attributes of convenience store PB lunch box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oyalty. Finally, it was found that brand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oyalty. On the other hand, among the selection attributes of convenience store PB lunch boxes, brand value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loyalty, and between packaging and loyalty were found to have no mediating effect.

      • KCI등재

        가정간편식(HMR) 선택속성에 대한 소비자 신념과 구매편향 연구

        박정아(Park Jeong A),장영수(Jang Young Soo) 한국외식경영학회 2017 외식경영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주관적 확률모형과 공분산모델을 통해 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 HMR) 제품 중에서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편의점도시락 시장을 대상으로 20대 소비자들의 도시락 제품 선택속성에 대한 신념과 구매의도 수준을 조사했다. 더불어 사전에 소비자가 가지고 있는 제품 선택속성에 대한 신념을 유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도시락 제품에 대한 편향된 구매의도를 형성하는 구매편향성이 발생하는지 그리고 구매편향성이 높은 소비자들의 실제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나는지 검증했다. 연구결과 20대 편의점도시락 소비자들은 도시락 제품에 대한 편리성과 깔끔한 포장에 가장 높은 신뢰를 보이고 있지만 실제 구매에서는 위생적인 생산과 맛을 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했다. 또한 위생과 맛에 대한 소비자의 신념이 증가할수록 편의점도시락의 구매를 긍정적으로 편향되게 고려하고 이를 통해 실제 구매의도 역시 높아졌다. 한편 편의점의 브랜드인지도는 소비자 신념이 높을수록 편의점도시락의 구매편향성을 긍정적으로 발생시키지만 이러한 구매편향성이 실제 편의점도시락 구매로 연결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HMR 관련업계의 20대 소비자 소비 동기 분석 및 마케팅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level of the 20’s consumers beliefs and purchasing intention biases about the selection attributes of the instant lunchboxes sold at convenience stores which is one of the most popular items of Home Meal Replacement(HMR) products in Korea by a subjective probability model and a covariance model. The study also examines the effects of consumers beliefs for the attributes on the purchasing intention biases as well as the effects of the biases to the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s. The current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Consumers have the highest level of beliefs on the ‘convenience’ and ‘neat and tempting packaging’ among the eight selection attributes of the lunchboxes. However, ‘hygienic production’ and ‘taste’ were considered as more important attributes than the two by the consumers in their actual purchasing. Consumers beliefs in ‘hygienic production’ and ‘taste’, particularly, generate high positive purchasing intention biases for the lunchboxes. Also,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s have grown by the biases.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20’s consumers motivations to buy the HMR products and suggests how to successfully conduct marketing for them.

      • KCI우수등재

        가상 당 조절 편의점 도시락의 소비 가치, 선택 속성 중요도 및 구매의도 연구

        최다솜,김은지,이현주,임보미,서선희 한국관광학회 2019 관광학연구 Vol.43 No.4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consumers’ perceptions and purchase intention of diabetic lunch boxes from convenience stores. The research was divided into two studies. Study 1 dealt with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lunch boxes for consumers who had eaten convenience store lunch boxes. Study 2 focused on the diabetic lunch boxes, especially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election attributes of imaginary diabetic lunch boxes, and it compared perceptions between normal consumers and diabetics. The results found that 70% of diabetics had difficulties eating outside meals. The "quality" and "controllability of sugar" influenced the purchase intention of imaginary diabetic lunch boxes. Considering the number of insufficient studies on consumer perceptions of diabetic lunch boxes, the results could be applied to develop new lunch boxes in convenience stores and to marketing strategies in the healthy food industry. 본 연구는 당 조절 편의점 도시락에 대한 소비자 인식, 구매의도를 파악하고, 당 조절식 제품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 1에서 편의점 도시락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 235명(당뇨환자 83명 포함)을 대상으로 편의점 도시락 구매 시 선택속성 중요도,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연구 2에서는 소비자 312명 (당뇨환자 112명 포함)을 대상으로 가상 당 조절 편의점 도시락에 대한 가치인식, 선택속성 중요도와 구매의도를 조사하였다. 당뇨환자 중 69.7%가 외부 식사 시 어려움을 느낀다고 응답하였으며, 당뇨환자와 일반인 모두 당 조절 편의점 도시락에 대한 긍정적 가치인식과 구매의도가 있었다. 가상 당 조절식의 품질, 당 조절 여부 선택속성이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당뇨환자를 대상으로 HMR 선택속성 연구를 실행하였고, 편의점이라는 판매 채널을 특정하고 도시락 형태를 이용하여 당뇨식의 판매 형태 다양화를 꾀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그동안 HMR 당뇨식에 대한 소비자 인식 연구가 미비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본 연구의 결과는 건강식 관련 외식산업체에서 제품 개발과 마케팅 전략 수립 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편의점 도시락의 추구 혜택이 소비자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를 중심으로 -

        양동휘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3 산업혁신연구 Vol.39 No.4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증가와 함께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편의점 도시락을 이용해본 성인 MZ세대들을 중심으로 편의점 도시락의 추구혜택 이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최근 3개월 이내에 편의점 도시락을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성인 MZ세대로 설정하였으며, 예비조사를 통해 완성된 설문지는 온라인 설문조사방법을 이용하여 총 350부를 배포하고 이중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297명의 응답을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인구통계적 특성과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요인들에 대한 신뢰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연구가설검증을 위해 AMOS 20.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편의점 도시락의 추구혜택 중 건강영양요인과 맛추구요인이 소비자태도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체험성 요인과 맛추구요인이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비자태도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편의점 도시락 시장을 위한 다양하고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how the benefits sought of convenience store meal boxes affect consumers'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focusing on the adult MZ generation who have used convenience store meal box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adult MZ generation who had experience using convenience store meal boxes within the past 3 months. A total of 350 questionnaires complete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were distributed using an online survey method, and 297, excluding insincere respondents, were select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analysis method was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20.0 to analyze demographic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of measurement factors was performed. Next,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MOS 20.0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As a result of the study, among the benefits sought for convenience store meal boxes, health and nutrition factor and taste factor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consumer attitude, and experiential factor and taste fact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Lastly, consumer attitude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resent study can able to suggest various an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convenience store business and companies.

      • KCI등재

        편의점 도시락의 라벨 디자인 이미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은영,김승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visual element of the label design image of premium lunch boxes and general lunch boxes on purchasing intention. As a method of research, the label design images and purchase intentions of premium lunch boxes and general lunch boxes from the nation's leading convenience store brands, Seven Eleven, GS25, and CU, were investigated through a survey, T-verific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measured average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was completed after analysis with SPSS 21.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label design of premium lunch boxes was recognized by consumers as a premium image that was a point of differentiation from general lunch boxes, and that the proportion of “quality” and “menu composition” was high, This indicates that convenience store premium lunch boxes could also offer consumers a competitive edge in value that is considered premium other than “price.” 본 연구는 프리미엄 도시락과 일반 도시락의 라벨 디자인 시각요소 이미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국내 대표 편의점 브랜드인 세븐일레븐, GS25, CU의 프리미엄 도시락과 일반 도시락의 라벨 디자인 이미지와 구매 의도를 설문 조사하고, SPSS 21 통계로 분석한 뒤 측정된 평균값과 표준편차들을 기준으로 T-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프리미엄 도시락의 라벨 디자인은 일반 도시락과 차별화된 프리미엄 이미지로 소비자에게 인식되고 있으며 ‘품질’과 ‘메뉴구성’의 구매요소 비중이 높게 나타나 편의점 프리미엄 도시락도 ‘가격’보다 프리미엄 제품다운 가치 경쟁력을 소비자들에게 제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본 연구를 기점으로 편의점의 프리미엄 도시락 라벨 디자인 기획 전략에 기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상권별 편의점 도시락 판매 전략에 관한 연구

        최성욱,신용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6

        본 연구는 편의점 도시락 판매 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 4개의 상권에 위치한 편의점에서 획득된 POS 자료를 바탕으로 연관성규칙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에 사용된 자료를 도시락이 가장 많이 판매되는 시간대인 오전 6시부터 8시까지와 오후 17시부터 19시까지의 시간대별로 그리고 상권별편의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적으로 도시락과 함께 판매되는 상품들을 유음료, 음료 그리고 면과 같이 도시락과 함께 식사할 수 있는 제품들이 주를 이루었고 이것들은 상권이나 시간대에 차이가 없이 판매되고 있었다. 반면, 이외의 상품들을 오전 시간대와 오후 시간대 그리고 편의점이 위치한 상권별로 도시락과 함께 판매되는 상품의 종류와 개수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와 접근 방법은 편의점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적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수요를 특성을 발견하고 이에 대응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order to establish a sales strategy for convenience store lunches,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using association rules based on POS data obtained from convenience stores located in four commercial districts. For this purpose,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were divided into the time zones from 6:00 am to 8:00 pm, 17:00 pm to 19:00 pm, and the convenience stores according to the commercial area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products that were sold together with a lunch box were mainly made of products that could be eaten together with lunch such as milk, beverage, and cotton.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ypes and numbers of the products that were sold together with the lunch boxes of the morning time and the afternoon hours for the other products. These results and approache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finding and responding to the needs for goods and services that change as well as convenience stores as well as sociocultural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