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셀러브리티 페미니즘 확산 요인 연구

        김동수(Kim Dong Su)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한국문화융합학회 전국학술대회 Vol.2018 No.6

        이 연구에서는 제 3차 페미니즘의 새로운 갈래로 등장한 셀러브리티 페미니즘의 현황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중문화에 있어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셀러브리티들의 페미니즘 운동 참여로 인해 대중에게 직접적인 참여를 권유하고, 대중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것뿐만이 아니라 그에 따른 대중문화 내 콘텐츠 제작·유통에 있어 페미니즘에 반하는 요소를 제거하는 것에 다양한 초점이 맞추어지는 등, 사회·문화적 변화를 촉구하는 흐름이 만들어지고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셀러브리티 페미니즘의 확산 요인을 해외의 구체적인 사례와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성의 권리와 평등만을 주장하던 초기 페미니즘과 달리 다양한 계층에서 이루어지는 불평등과 차별을 철폐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3차 페미니즘 물결의 영향으로 셀러브리티들의 페미니즘 운동 유입이 자연스러워졌고, 이에 따라 그동안 대중문화계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던 다양한 성차별적 요소와 사회·정치 분야의 이슈등과 맞물려 셀러브리티 페미니즘이 폭발적인 확산을 이루게 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has analyzed present situation of Celebrity Feminism which came out as a new part of the Third Feminism. Celebrities who exert powerful effect on pop culture have participated in Feminism movement, recommended direct engagement of the public, changed public perception of Feminism, and eliminated factors which are against Feminism in producing and distributing pop-cult contents. These trends that demand change of society and culture continue. In addition, this study has analyzed the factors of the spread of Celebrity Feminism by using concrete foreign cases and statistical data. As a result, the Feminism movement of celebrities happens naturally by the influence of the Third Feminism focusing on fighting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from various classes, unlike the early Feminism that only claims women s rights and sexual equalities. For this reason, this study has found that Celebrity Feminism has been spread rapidly with gender discriminative issues in pop culture and socio-political issues.

      • KCI등재

        무용예술에서의 페미니즘

        하혜석,한아람 한국체육철학회 2018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6 No.1

        Under the circumstances of implicit sexual discrimination many women have joined the feminist movement to seek their justified rights. While there are different approaches to the history of feminism, feminism is usually classified as ‘liberal feminism,’ which is centered o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and ‘radical feminism,’ which is centered mainly o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1960s. During its progression, cultural feminism in relation with the art of dance and post-modern feminism came into being. Cultural feminism applied to the art of dance altered the sexual stereotype images reflected on female dancers. During this process, male chauvinism in the male-dominated western dance culture has been torn down. On top of that, representative female modern dancers in the early 20thcentury, such as Isadora Duncan, Loie Fuller, Mary Wigman, and Martha Graham, suggested that dance is for women only. They stressed that female dancers should lead more active and aggressive lives, which eventually led to greater rights and benefits for female dancers. In the Korean scene of the art of dance, various dance performances, which reflect feministic views, have been created and performed on stages. Consequently, the social status of female dancers has greatly improved compared to the past. However, a lot of dance performances are still projecting the image that male dancers are the “lead” and female dancers the “followers.” Moreover, female dancers are under intolerable pressure in taking good care of their appearance, compared to their male counterparts. This study suggests that female dancers’ utmost efforts are greatly needed to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field, and they are urged to raise awareness of feminism by seriously contemplating the meaning and value of feminism. Female dancers are also strongly advised to strive in taking leading roles as central figures by enhancing their professional capabilities as dancers. 암묵적으로 행해진 성차별에 대해 여성들은 그들의 권리를 찾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었고 이러한 움직임은 일반적으로 여권주의라 알려져 있는 페미니즘 운동이라 볼 수 있다. 페미니즘의 역사에 대한 접근은 학자마다 다양하나 통상적으로 볼 때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진행된 자유주의 페미니즘과 1960년대 미국을 중심으로 진행된 급진주의 페미니즘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페미니즘이 진행되는 과정 속에서 무용예술과 관련된 문화적 페미니즘 및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시각도 발생하였다. 무용예술에 페미니즘이 적용됨으로써 오랫동안 남성 위주의 문화가 이루어져 왔던 서양무용에서는 여성 무용수에 대한 성적 이미지가 파괴되고, 남성 우월주의가 해체되었다. 또 무엇보다 20세기 초 현대무용을 대표하는 이사도라 던컨, 로이 풀러, 마리 뷔그만, 마샤 그라함 등이 여성만을 무용을 제시하고, 여성 무용수들에게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삶을 살 것을 강조하면서 여성 무용수의 권익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우리나라 무용예술 분야에도 페미니즘의 흐름이 영향을 미쳐 페미니즘이 반영된 작품이 제작 및 공연되고 있고, 여성 무용수의 지위도 과거에 비해서는 크게 향상되고 있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많은 작품에서 남성 무용수는 ‘리드’, 여성 무용수는 ‘팔로우’라는 이미지가 반영되고 있고, 남성 무용수에 비해 여성 무용수에게는 혹독한 외모 관리가 강요되고 있다. 무용예술계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여성 무용수들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볼 것이므로, 여성 무용수들은 스스로 페미니즘의 의미와 가치를 고찰하여 페미니즘에 대한 인식수준을 향상시키고, 무용가로서 갖추어야 할 전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작품 속에서 중심인물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현대 프랑스 페미니즘이 직면한 현실 (1) -미국산 프랑스 페미니즘의 탄생과 확산을 중심으로

        강초롱 ( Cho Rong Ka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3 No.3

        페미니즘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프랑스 페미니즘은 거의 언제나 중요한 위상을 차지해 왔다. 그런데 흥미로운 점은, 프랑스 페미니즘 이론이 현대 페미니즘 비평계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 오늘날의 현실을, 프랑스 페미니즘계가 결코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심지어 이들은 현대 페미니즘 담론에 등장하고 있는 프랑스 페미니즘은 진정한 프랑스 페미니즘이 아니라고 주장하기까지 한다. 이들에 따르면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프랑스 페미니즘은 프랑스 내에서 발전해 온 페미니즘의 본질과는 무관한, 미국을 중심으로 한 영미권 여성학 학자들에 의해 새롭게 ‘가공’된 인위적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들은 프랑스 페미니스트들이 실제로 발전시켜 온 ‘프랑스 페미니즘’과, 미국 여성학계의 손을 거쳐 새롭게 탄생한 ‘프렌치 페미니즘’을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프랑스 페미니스트들의 이러한 문제의식에 대한 동의로부터 시작된 본 연구는 어떠한 과정을 거쳐 프랑스 페미니즘이 ‘프렌치 페미니즘’으로 왜곡되기에 이르렀는지, 그리고 그러한 왜곡이 이루어지게 된 원인에는 무엇이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현대 프랑스 페미니즘이 직면하고 있는 외적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도모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자는 특히 프랑스 페미니즘에 대한 미국 여성학계의 ‘접근 및 재현 방식’상에서 드러난 문제를 중심으로 우리의 논의를 전개하고자 했다. 프랑스 페미니즘이 왜곡되기에 이른 최초의 계기는 바로 70년대 프랑스 사회를 강타했던 여성해방 운동, 일명 MLF의 내적 갈등으로부터 비롯되었다. 68혁명을 기점으로 1970년대를 수놓았던 MLF는 이전부터 계속되어 왔던 프랑스 여성운동의 계보를 잇는 동시에, 그것이 지닌 한계를 인식하고 그것을 뛰어넘고자 했던 집단적 흐름이었다. 우선 MLF에 참여했던 여성들은 프랑스 여성운동의 계보를 잇는 차원에서 여성의 남성과 동등한 공적 영역에 대한 참여권을 요구하며 선배들이 전개해 왔던 투쟁을 계속해서 이어나갔다. 하지만 동시에 이들은 선배들이 취했던 주체 및 사회를 바라보는 기존의 관점이 지닌 한계를 비판하면서 가부장제의 근본적인 해체로 요약될 수 있는, 보다 급진적인 투쟁을 전개해 나가기도 했다. MLF가 선택한 급진적인 투쟁 방식의 면모를 보여주는 특징들로는 남성들과의 분리주의 노선을 채택했다는 점을 비롯하여, 집단 혹은 체제 중심이 아닌 개개인이 주도하는 정치를 추구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가부장제의 철폐라는 공동의 목표 아래 연대 투쟁을 중시했던 70년대 초반과 달리 70년대 중반에 이르러서는, MLF 내에 점차 분열과 갈등의 분위기가 강하게 자리 잡기 시작한다. 이들 가운데에서도 사회 체제를 실질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실천 투쟁을 우선시했던 이들과, 가부장적 상징 체계의 구조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해체할 수 있는 이론적 도구의 정립을 우선시했던 이들 간의 대립이 가장 주목할 만하다. MLF에 참여했던 대다수의 여성들이 전자의 입장을 취했던 반면, 후자의 입장은 ≪정신분석과 정치≫라는 하나의 집단에 의해만 적극적으로 옹호되었다. 이 두 가지 입장 사이의 충돌이 가시화된 시점은 1974년으로, 이 시기를 기점으로 MLF는 본격적으로 분열의 시기에 들어서게 된다. 그리고 이들 간의 분열은 앙투와네트 푸크라는 강력한 리더를 중심으로 체계적인 조직력을 갖추었던 ≪정신분석과 정치≫가 막강한 자본력을 앞세워 출판 시장을 장악하고 그와 동시에 MLF의 발언권 역시 독점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이 단체의 승리로 막을 내리게 된다. 문제는 이러한 내적 사태가 미국 여성학계의 필요와 맞물리면서 프랑스 페미니즘의 왜곡 및 그것의 왜곡된 버전의 국제적 확산이라는 결과로 이어지게 되었다는 점이다. 197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약 10년 동안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미국 여성학계에 의한 프랑스 페미니즘에 대한 왜곡 내용은 이론보다는 행동을 중시하는 동시에, 라캉 및 후기구조주의를 여성 조건의 유물론적 탐구보다 우선하고, 문학과 철학적 담론을 사회 및 역사적 담론보다 중요하게 간주하는 경향의 페미니즘이라는 틀 속에 프랑스 페미니즘을 가두는 과정으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태의 발생 원인의 일부를 미국 여성학계의 무지에서도 찾을 수 있지만, 상당히 정형화된 방식으로 현대 프랑스 페미니즘에 왜곡을 가해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왜곡 사태는 의도적 결과물로 간주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이러한 사태를 초래한 미국 여성학계의 의도로 우리는 우선 크게 두 가지에 주목할 수 있을 것이다. 진정한 의미에서의 학제간 연구가 80년대의 미국 내에서 자리 잡지 못했었다는 점, 둘째, 미국 학계가 외국 학문을 대할 때마다 일관되게 제국주의적 태도를 견지해왔다는 점, 이 두 지점이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이에 덧붙여 세 번째 원인으로 우리는 현대 페미니즘이 직면할 수밖에 없었던 역설 앞에서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택한 일종의 자기방어적 전략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즉 미국 여성학계는 단순한 무지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자신들이 택한 페미니즘 노선의 정당성을 주장하기 위해 프랑스 페미니즘의 실체와 너무나 다른 ‘프렌치 페미니즘’이라는 새로운 담론을 만들어 냈던 것이다. 그리고 국제 사회에서 미국이 발휘하고 있는 커다란 영향력으로 말미암아, 오늘날 국제 여성학 연구자들 중 상당수가 미국 여성학계가 자신들의 필요에 의해 자의적으로 탄생시킨 ‘프렌치 페미니즘’을 프랑스 페미니즘의 전부로 인식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In the history of feminism, french feminism takes an important status. What is interesting however is that, for most french feminists, this reality can not be accepted uncritically. Moreover, they do not hesitate to affirm that the french feminism, which deals with importance in the feminist discourse today is not their own feminism. According to them, the concept of french feminism, which is recognized everywhere in the world, is only a result produced by the anglophone feminists, which does not take at all into account the full context of feminism in France. In this context, they claim forcefully the need to distinguish the french feminism developed by themselves of the feminism invented by the anglophone feminist, that is to say, of the ``french feminism``. Our study, based on the basic agreement with questioning of this reality of french feminists, is primarily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the french feminism came to deform, revive and spread by anglophone feminists, and, moreover, to understand the reasons for this situation. It is for us to question how they ``represent`` the french feminism; well, we will suspend the judgment on the rightness of their perspective on feminism or concrete context of their discourse. The first occasion of this situation is given by an internal crisis of the french feminist society: the conflict between the participants in the MLF, which refers to the collective political struggle of french women in 1970 whose claim is truly to deconstruct the patriarchal system. The conflict stemmed from the fundamental difference in the positions about the priority to lead the struggle, between a group called ≪Psych and Po≫ and other participants of MLF. ≪Psych and Po≫ differs mainly clear from other participants in his major way to struggle against patriarchal system : for the latter, the women`s movement must concentrate in a struggle against the social system, because the subordination of women is essentially the result of social condition. On the other side, ≪Psych and Po≫ claimed that the symbolic system must be subverted first, since it is the most responsible for the oppression of woman. In this position, the group developed the necessary theories for discourses on the subversion of symbolic system of patriarchy. However, it is not this difference itself that caused the conflict in MLF; one can find the determining factor in the mistaken ambition of this group, who wanted to present itself as the political and intellectual center of the MLF by appropriating the history and struggles of MLF. Indeed, he put this ambition into practice by appropriating the right to speak of MLF through his organizational strength and influence on publishing market. Finally, this attempt has arrived with the result that the groupe has succeeded to legally gain the exclusive property on the name MLF in 1979. The alteration of french feminism, started by this inner conflict, arrives to worsen in the process where it was introduced in the United States. The american feminist academy, interested in the new french feminism since 1968, began to introduce it to american readers, but under the perspective of ≪Psych and Po≫. Therefore, in the United States, the prospect that the new french feminism is not anything other than the idea of ?this group was installed. It was defined as an idea that prefers the theory to practice, the Lacan`s psychoanalysis to materialism, literary and philosophical discourses to the social and historical. And in this context, they confered the title of representative of the french feminism on ≪Psych et Po≫ and the trio, Julia Kristeva, Helene Cixous and Luce Irigaray, who in that time in France, were not even considered as feminist. When we consider that they knew already the conflict between french feminists and that a certain regularity was revealed in their way to deform the french feminism, this situation must be considered as a result produced by their intention to remake the french feminism according their own need. If it was, why did they invent the french feminism? We can answer this question according to three factors. First, the hegemony of literature who took the lead in american women`s studies, second, the imperialism of american feminists who wanted to appropriate a part of french culture for their purpose, and, finally, their desire to escape criticism on their choice for a return to essentialism by using the french feminism. And today, through this process, the diversity of discourses developed by french feminist happens to hardly be noticed in the international intellectual society.

      • KCI등재

        빅토리아 시대 출판시장과 페미니즘

        장정희(Chang, Jung-Hee) 한국여성연구소 2015 페미니즘 연구 Vol.15 No.2

        출판 산업이 가장 활성화되었던 빅토리아 시대에 여성작가들의 출판시장 진입과 저널리스트로서의 활동은 근자에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주요한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이 논문은 여성작가가 출판매체를 이용해서 어떻게 빅토리아 시대 페미니즘의 토대를 마련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즉, 당시 여성작가가 정기간행물에 기고한 여성론을 중심으로 페미니즘의 발전 과정을 고찰해보았다. 구체적인 사례로 해리엇 마티노와 조지 엘리어트의 당시 여성문제나 여성작가에 대한 글을 검토한 결과 이들은 남성작가들과 차별화된 다양한 서술책략을 통해서 젠더 상투형에 저항하고 정치·사회·문화에 대한 다양한 담론 형성에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의 저널리스트로서의 활동과 작가로서의 활동은 남성지배적인 문화 매체에서 여성작가가 어떻게 독자적 공간을 구축하여 나갔으며 정체성을 형성해나갔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마티노는 익명적 글쓰기의 책략을 통해 객관적이고 공평한 입장에서 여성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공하였다. 마티노는 독자들이 당대 여성이 처한 상황과 개선에 관해 생각하도록 유도하였으며 사회진보를 여성의 직업적 · 교육적 상황의 개선과 연관시키는 데 중점을 두었다. 엘리어트는 문화비평의 방법론과 주제들을 더 높은 단계로 격상시켰는데 특히 엘리어트의 ‘교양있는 여성’ 개념은 여성의 글쓰기가 정전에 포함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고급문화 개념이 주로 남성적 영역에 속했던 시기에 엘리어트는 이러한 범주에 여성의 글이 포함되도록 문화 개념을 확장했다고 볼 수 있다. 여성 저널리스트겸 작가로서 이들은 정치적·문화적 입지를 구축한 가운데 빅토리아 시대 출판문화뿐만 아니라 페미니즘의 발전에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들은 남성이 주필진인 정기간행물들에 여성문제에 대한 글들을 게재함으로써 당시 중산계급 독자들이 여성의 경제적 · 법적 · 사회적 위치에 대해 재고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였다. 아울러 여성작가가 사회, 정치, 문화 영역의 담론 형성에도 참여하는 비평가의 역할도 아우를 수 있다는 인식은 페미니즘적 성과로 볼 수 있으며 당시 독자층의 확대와 출판문화의 형성에도 기여하는 성과로 이어졌다. 궁극적으로 이들이 구축한 페미니즘의 기반은 여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일깨우고 페미니즘의 방향 형성에 기여하여 세기말 신여성 중심의 페미니즘 운동으로 이어지는 성과를 이룩하였다. 이러한 빅토리아시대 출판시장에서 여성문인들의 활동과 페미니즘의 성과는 현대의 출판매체와 대중문화, 여성작가의 관계에까지 이어진다는 점에서 매우 귀중한 성과로 평가된다. This paper examines how Victorian women writers deal with contemporary woman question focusing on Harriet Martineau and George Eliot’s formation of literary career in the Victorian publishing market. They invaded the realm of the male-dominated publishing market and managed the various personal and professional dilemmas by using the media of journalism. Especially, the feminist concerns and narrative strategies in their writings on woman question laid foundation of the following feminist movements in Victorian Age. Located within the context of anonymous journalism, Martineau’s activities as the contributor to Monthly Repository or People’s Journal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xerting influence on the feminist issues of contemporary society as well as developing her authorial identity. Martineau’s writings on women’s issues are connected with her redefinition and complication of the domestic novel and travel narrative to include discussions of women’s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roles. The construction of Eliot’s complex literary persona shows how the relation of gender and authorship changed within the Victorian publishing market. Especially, her activities as a reviwer and assistant editor for the Westminster Review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debates on status of women and women writers in Victorian society. Eliot’s emphasis on the ‘cultured woman’ had important implications for her literary career and for the canonization of women’s writing. Futhermore, she contributed to improving middle-class self-culture and literary taste. Martineau and Eliot’s literary careers show that women writers’ activities in the Victorian publishing market contributed to awakening feminist consciousness as well as developing the Victorian print culture.

      • 사이버페미니즘과 Net-Utopia

        손경미 한국사회학회 2007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Vol.- No.-

        정보사회로의 급격한 사회변동은 페미니즘의 이론과 실천에서도 새로운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18세기부터 시작된 페미니즘은 여성들에게 많은 변화를 가져왔지만, 20세기 중ㆍ후반기부터, 여러 가지 차원에서 침체기를 맞고 있다. 따라서 정보사회에 진입하면서 페미니즘은 정보통신기술과 인터넷에 기반을 두는 새로운 사회적 조건에 적합한 이론과 실천을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페미니즘이 전통적인 페미니즘이 추구하였던 이론과 실천전략을 온라인상에서 지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가능성과 과학, 기술발달이 만든 새로운 인간/기계인 사이보그에 대하여 고찰하는데 있다. 기존 페미니즘의 보편적 주장에 의하면, 남녀역할은 문화적으로 결정되었고, 모든 사회구조로부터 여성은 억압받고, 성적대상화된 것에 대하여 저항과 투쟁을 통하여 여성해방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페미니즘이 추구하고 있는 이론과 실천이 한계를 맞이하고 있는 시점에, 사이버공간을 통해서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여 보다 많은 여성이 연대와 참여를 모색하는 것이 사이버페미니즘이다. 사이버페미니즘은 사이버공간에서 여전히 남성문화가 지배적이지만, 여성해방의 유토피아를 꿈꾸며, 사이버공간에서 육체이탈을 희망한다. 그리고 사이보그를 통해서 남성도 여성도 아니 새로운 합성물로 여성해방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 KCI등재

        포스트페미니즘과 그 불만

        조선정(Sonjeong Cho) 한국여성학회 2014 한국여성학 Vol.30 No.4

        이 논문은 영미권의 포스트페미니즘 논쟁의 궤적을 추적하면서 주요 쟁점과 문제점을 되짚어봄으로써 현재 페미니즘의 이론 지형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포스트페미니즘에 대한 대략적인 정리를 시도하겠지만, 최종적인 정의를 제출하기보다는 포스트페미니즘을 페미니즘과의 긴장관계라는 맥락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서 궁극적으로 포스트페미니즘을 페미니즘의 끊임없는 의미화과정으로 파악하기에 초점을 맞춘다. 논문의 전반부에서 포스트페미니즘의 기원과 역사적 맥락을 설명하면서 대략 다섯 가지 정의를 제시한다. 그리고 포스트페미니즘의 대안으로 부상한 세 번째 물결 페미니즘이 그것과 경합하고 교차하는 지점을 분석한다. 후반부에서는 포스트페미니즘의 두 가지 면모에 집중한다. 포스트페미니즘이 치열하게 문제를 제기하는 부분이 여성주체 범주인데 그것을 세대라는 단위로 재구성한다는 점, 그리고 포스트페미니즘이 페미니즘의 역사를 쓰는 한 방식으로 작동한다는 점이다. 즉, 포스트페미니즘을 세대 패러다임에 기반을 둔 여성주체 담론이자 역사쓰기 기획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세대 패러다임의 쓸모와 적실성과 한계를 포괄적으로 재평가하는 데에 이 논문의 목적이 있다. 포스트페미니즘 담론이 여성주체에 얽힌 복잡한 문제를 세대 모델로 단순화함으로써 페미니즘 담론의 빈곤을 초래한다고 지적하고, 또 페미니즘의 역사를 단일한 연대기로 재현함으로써 페미니즘의 역동성을 억압한다고 비판한다. This essay, presenting a critical reflection upon the discourse of postfeminism mainly unfolded in the US and partly in UK during the past three decades, attempt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formation of the contemporary feminist agendas and contribute to expand the feminist knowledge. Firstly, this study examines multiple contexts of postfeminism and their surrounding controversies to offer roughly five major definitions of it. Secondly, the Third Wave feminism is discussed in detail in terms of its theoretical reaction against the prevalent postfeminist drive and also its unwitting complicity with it. Next, two notable characteristics of postfeminism are recognized: postfeminism invokes a new young generation of girls, and postfeminism manifests a mode of historiography. Postfeminism, in short, functions as a discursive technology in which a generational unit of female subjectivity is constituted and also a linear and unified model of feminist history is facilitated. Postfeminism, I argue, becomes to be porous and unpersuasive both as a generation-based subject theory and a mode of historiography and, due to its oversimplification, ends up impoverishing radical potential of feminism.

      • KCI등재

        페미니즘 정치학, 역사적 시간, 그리고 인종적 차이

        김보명(Kim, Bo-Myung) 한국여성학회 2016 한국여성학 Vol.32 No.4

        이 논문의 목적은 페미니즘 정치학과 역사적 시간성 그리고 인종적 차이 간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배경으로 하여 미국 제2물결 페미니즘에서 형성된 여성의 "진보" 및 "해방"의 정치학을 현재적으로 재독해하는데 있다. 먼저 그 첫 번째 장에서는 페미니즘 정치학과 서구근대의 역사적 시간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줄리아 크리스테바와 가야트리 스피박을 통해 전개한다. 크리스테바의 성적 차이의 정치학은 서구 근대의 역사적 시간성에 대항하는 급진적 이질성을 담지하지만 중국여성이라는 비서구 주체와의 대면에서는 인종주의적 한계를 노출하게 된다. 이러한 사례는 서구 제2물결 페미니즘 정치학이 인종정치학과 맺는 어렵과 복잡한 관계를 보여준다. 첫 번째 장에서는 논의를 기반으로 하여 두 번째 장에서는 미국 제2물결 페미니즘 정치학에서 나타나는 인종정치학의 위상을 각각 자유주의 페미니즘, 급진주의 페미니즘, 그리고 문화주의 페미니즘의 대표적인 텍스트들인 베티 프리단의 『여성의 신비』, 슐라미스 파이어스톤의 『성의 변증법』, 그리고 문화주의 페미니스트 선언문 "제4세계선언"을 통해 탐색한다. 이상의 이론적 작업과 페미니즘의 고전 다시 읽기를 통해 연구자는 페미니즘 정치학이 역사적 시간성과 맺는 관계를 탐색하는 한편, 이를 인종정치학적 입장에서 비판적으로 문제화한다. 궁극적으로 연구자는 이 논문을 통하여 페미니즘 정치학의 시간성이 젠더정치학에 의해 완전히 소진될 수 없으며, 인종정치학과 계급정치학 등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구성된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The essay brings critical attention to the difficult relations among feminist politics, historical time, and racial differences. As I examine the case of Julia Kristeva and her theory of sexual difference through and with the help of postcolonial feminist scholar Gayatri Spivak, I came to argue that U.S. Second Wave feminist politics of women"s liberation and progress encounters their epistemic limits when they are applied to non-western subject such as the Chinese women. Building upon this critical reading of Kristeva"s radical feminist politics, I carry out a critical reading of those classic U.S. Second Wave feminist writings such as The Feminine Mystique by Betty Friedan, The Dialectic of Sex by Shulamith Firestone and "The Fourth World Manifesto" written by a local cultural feminist group that critically responded to the call for the Indo-Chinese Women"s Conference of 1971. Each text, I show, constructs and utilizes narratives of women"s progress and liberation as they explain the cause of women"s oppression and the paths to alternative futures. In so doing, they also make critical intervention with the discourse of western modernity and its linear and totalistic temporality. And yet, liberal feminism, radical feminism, and cultural feminism from U.S. Second Wave Feminism all fall short of the intersectional politics which argues for mutually constitutive and simultaneous constitution for racial politics and gender politics. Liberal feminist adoption of race-sex analogy renders race and gender in alternate and exchangeable terms and in so doing suppresses the qualitative differences between race and gender. Radical feminism treats racism and colonialism as an extension of sexism. Cultural feminism moves to claim that women are colonized by male culture. Radical feminism and cultural feminism, accordingly, renders, national and cultural differences irrelevant to feminist politics. In conclusion, I suggest that intersectional politics helps us to critically deconstruct the temporal politics of U.S. Second Wave Feminist narratives of women"s liberation and progress, as it problematizes the linear unity of "women" and "feminist history."

      • KCI등재

        춤 교육을 위한 페미니즘 이해와 실천 탐구

        이찬주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1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7 No.2

        페미니즘(feminism)은 여성과 남성의 성 차이(gender difference) 때문에 생겨나는 불평등과 억압에서 벗어나고자 시작된 움직임이다. 페미니즘은 남성 중심사회에서 여성의 억압이 야기된다고 주장한다. 또한, 페미니즘 이론은 남녀의 성 차이와 역할이 원래부터 정해진 것이 아닌 사회적 인식과 관습으로 이뤄진 것으로 파악하며 남녀의 성에 따른 역할 구분이 변화할 수 있다고 말한다. 춤 교육에서도 페미니즘 이론의 도입이 가능하다. 이러한 페미니즘을 통한 춤 교육의 변화 가능한 실천 탐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페미니즘 춤 교육에서 차이(difference)는 교실 안의 획일적인 가르침 즉, 권위주의적인 구조에 주시하였다. 학생들에게는 수업 중 나타난 복종관계의 획일적인 움직임을 벗어나 차이를 인정하는 사고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학생들은 페미니즘을 통해 차이를 인정하고 기존의 권위적인 교육론이 낳은 지배계급에 저항하는 이데올로기 속에서 자신만의 창조적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다. 이러한 역량은 학생들의 몸에 대한 경험에 있다. 이것은 삶의 경험으로써 춤이 학생들 자신의 몸과 관련성을 상기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몸에 대한 기억 속에서 춤이 지닌 상상력을 갖고 창조력으로 이어진다. 춤 교육에 있어 자기 삶의 경험을 소중히 여기고 춤을 통해 그들의 삶을 주저 없이 춤 예술로 꺼내 보이고 이를 통해 극복해 나가는 것은 스스로 희망적인 미래로 나아갈 수 있는 일이다. 페미니즘 춤 교육의 진정한 실천은 태어날 때부터 몸에 밴 문화의 가치를 이해하고 이러한 교육적 바탕 속에서 학생들이 삶의 경험을 통해 인간 본성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둘째, 페미니즘의 실천적 귀결이 되는 교육은 여성적인 사고의 표현이다. 페미니즘은 남성중심주의를 해체하고 타자에 대한 시대 상황에서 어머니의 이미지를 통한 교육적 가치를 요구한다. 드넓은 포용력 속에 강조되는 이러한 사고는 여성뿐 아니라 남녀 모두가 지향하는 좀 더 성숙한 사고로서 인지함과 동시에 우리 인격 안에 통합되어야 한다. 페미니즘 춤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창작력은 그들을 믿는 어머니의 끝없는 포용력으로 자신의 색깔 드러내기에 무한한 힘을 얻는다. 이러한 힘으로 학생 자신이 권력에 의한 강제적인 복종의 구조를 극복하고 획일화된 모순을 끄집어내어 교실에서 주체가 자신이 될 수 있도록 변화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이 페미니즘 춤 교육의 힘이다. 또한, 이것은 자신의 삶에 대한 궁극적 목표 설정과 타자를 배려한다는 교육적 회복에 중점을 둔다. 페미니즘 춤 교육사상은 그동안 교육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여성뿐만 아니라 타자의 주체성(subjectivity)을 교육 체제의 중심으로 가져가는 저항 담론을 형성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준다. 이는 모든 인간이 겪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억압으로부터 인간이 해방될 수 있는 중요한 원천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페미니즘 춤 교육은 문화에 반영되어 관객과 교감하여 우리가 함께 나누는 세상을 연결하며 결과적으로 자신을 이해하고 타자를 포함한 온 세상에 모두를 포함해 그 속에서 자신을 형성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eminism through dance. Feminism is an organized movement for the attainment of rights for women to be equal to those of men. This movement argues that society is male-dominated and this causes oppression. Originally men were on a higher social level because of gender roles between the two sexes. Through understanding traditional customs, we can see that these gender roles no longer limit women and ultimately change is possible. This paper discusses understanding feminism and the role of feminism in dance, and then later explains to students the division of authoritarianism teaching and difference, weaker meaning students can form their own opinions about the subj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explains the uniformity of the feminist classroom teaching in dance education as an authoritarian structure, to teach the techniques. Then the teacher focuses on the freedom to develop these techniques in their own ways using emotion and thoughts. In addition, the students will learn to resist the standard techniques and develop their own structure, and will breed creativity. These capabilities will increase the body’s experiences with dance and with their life. This ignites memories of the body’s skin, shape, and even the roots of their ancestors, such as racial differences. This leads to creativity and imagination. The dancer can show their life’s experiences through dance as well as determine their life path without reservations and express cultural differences through dance, using the body to explain these differences and human nature. Secondly, a practical consequence of feminism is expressing women’s thoughts and ideals. Feminism uses the image of ones mother as the warm educator, and breaks male-centered ideals. It increases the student’s confidence and creativity through dance, education, feminism, their mother’s endless generosity. Each student can achieve infinite power and generosity and find their own “color” or aura. Therefore feminism is power in dance. When the dancer’s color is revealed, education can begin in setting the ultimate goal for their life. Women have been marginalized in most cultures and are labeled as the weaker sex and their identity has suffered because of this. In dance they can release this oppression with creativity and subjectivity. The audience can sympathize with the dancer and be connected to their culture with sympathy and understanding. With discussing feminism comes the pressure to create values and education through dance. The importance of feminism dance education is important with two aspects to understand the dancers’ human release of emotions and form a new identity through human nature.

      • KCI등재

        페미니즘 난국(feminism crisis)의 도발적 변곡점

        윤지영(Yun, Ji-Yeong) 한국여성학회 2017 한국여성학 Vol.33 No.3

        진짜 페미니즘/가짜 페미니즘, 올바른 페미니즘/올바르지 못한 페미니즘이라는 판단과 처단논리가 현재 한국 페미니즘 판을 달구고 있다. 이러한 페미니즘 위기는 가장 격렬한 이론적 생산지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위기는 해석의 장이자 미래의 비전이 육박해 들어오는 도전적 사유의 도면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현재 한국 페미니즘이 직면한 대립을 이론적, 실천적 진전들을 강제하는 계기로 변환해내고자, 퀴어 VS 비퀴어, 교차성을 고려한 진영 VS 일체의 교차성을 고려하지 않는 진영이라는 이분법적 대립각에 기반한 인식 프레임의 오류를 입증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퀴어의 보편성을 통해, 퀴어를 특정 성지향성의 본질이나 주변화된 것으로 국소화하는 논리를 부술 것이다. 이로써 이성애규범성의 핵심을 꿰뚫고 구조화하는 근간원리로 퀴어성을 재정초함으로써 다각적 퀴어들 간의 차이와 사이, 이로 인한 갈등과 연대 가능성도 모색할 것이다. 두 번째로 여성의 문제가 단 한 번도 여성‘만’의 문제라는 부분적 문제였던 적이 없으며 이미 이것이 타자와 세계와의 교직을 통한 중층적 문제임을 드러낼 것이다. 이로써, 여성이라는 정체성의 복합성은 물론 여성억압의 중층적 기제들을 낱낱이 드러낼 것이며 현재 한국사회에서 오용되고 있는 교차성 개념에 대한 문제제기와 더불어 크랜쇼가 제안한 교차성 개념의 한계 역시 해부할 것이다. 세 번째로, 페미니즘 난국의 새로운 사상지류로서 급진퀴어페미니즘을 제안해봄으로써, 현재 대립형국의 대안이자 실천적, 이론적 방향전환을 시도할 것이다. The field of feminism in South Korea is crossed by the logic of the dichotomy between good feminism and bad feminism, true feminism and false feminism. This kind of conflictuality is the site in which the theoretical productivity is at its peak. First, I argue the universality of the queer which cracks and structures the heteronormativity. Thus the myth of heteronormativity as the pivotal axis of the human and the normal is upset by this thesis. Secondly, the problem of the female condition is never a partial problem, but is intertwined with others and the world. Focusing on the status of women is the site of the intersectionality whereby the complexity of women’s identities and the intrication of the modalities of power are the component of the feminist problematic. Third, I deploy the intellectual audacity to develop a new current of feminism that is the alternative of this aggravating situation. The radical queer feminism that i propose is the revolutionary turning point in the field of feminism.

      • KCI등재

        힐러리 로댐 클린턴과 (포스트) 페미니즘

        김보명(Bo-Myung Kim) 한국여성연구소 2017 페미니즘 연구 Vol.17 No.1

        지난 2016년에 치러진 미국 대선 결과는 미국은 물론 세계를 놀라게 하였으며, 향후 도래할 혐오와 폭력의 시대에 대한 긴장과 우려를 낳았다. 이어진 워싱턴 여성행진은 페미니즘 정치학이 현재적 위치와 미래의 방향에 대해 많은 시사점을 던졌다. 힐러리 클린턴이 ‘여성’정치인으로서 담지하는 페미니즘적 의미는 복합적이다. 베이비붐 세대로 태어나 미국 역사상 최초로 주류 정당의 여성 대통령 후보가 된 클린턴의 생애사적 궤적은 제2물결 페미니즘, 특히 자유주의 페미니즘의 역사적 승리를 약속하는 듯 보였다. 이를 반영 혹은 활용하듯, 지난 대선과 이후의 행보에서 클린턴은 스스로를 ‘유리천장을 깨는 사람’이라 부르며 자신의 정치적 성공을 페미니즘의 역사적 소명으로 제시하였다. 클린턴은 또한 자신의 1995년 베이징 여성대회에서의 연설을 상기시키며 여성인권 옹호자로서의 자신의 면모를 부각하였다. 힐러리 클린턴의 이러한 ‘페미니즘’적 면모는 동시에 그녀가 월-스트리트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국무장관으로서 미국의 군사적, 경제적, 문화적 패권을 유지 및 강화하는 데 기여하였다는 점과 모순되면서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자유주의적이고 제국주의적인 ‘여성’이 페미니즘의 역사적 소명으로 동일시되는 이러한 현상은 포스트 페미니스트 정치학의 풍경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문제의식과 맥락에서 이 논문에서는‘힐러리 로댐 클린턴’이라는 공적 인물을 통해 나타난 다층적인 미국 페미니즘 정치학의 역사성을 자유주의 페미니즘의 백인 중산층 중심성, 국제 여성인권 담론이 미국의 군사주의적 패권과 맺는 관계, 그리고 지난 대선에서 나타난 포스트 페미니즘 정치학의 풍경이라는 측면에서 각각 살펴본다. In this essay, I explore the relevance of Clinton’s loss in the 2016 U.S. presidential election to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U.S. feminist politics. As I explore the feminist meaning and relevance of Clinton’s election loss, I look closely into three particular aspects of Clinton’s political career. First, Clinton makes an iconic figure of liberal feminism as she was born in the time of explicit sexism but eventually rose to the top-rank political career. That she presents herself to the public as “a glass-ceiling braker” also tells of the particular liberal kind of feminism to which she binds her political persona. Second, Clinton played both an important and troubling role in the scene of international feminism. As a First Lady, she delivered a charged and moving speech on women’s human rights at the 1995 Beijing Women’s Conference, making herself a champion of women’s rights. As a Secretary of State during Obama’s first term, she successfully protected and managed the economic and military interests of U.S. while also speaking for the human rights of women and children in the non-western world. Third, during the election, she presented herself as feminist cause by conjuring up the historical legacies of feminist politics such as the Suffrage Movement, and reminding the public of her gender. In my analysis and critiques, I point to the rather ambiguous and yet ultimately white and middle class liberal feminist politics of Clinton that suggests her election los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 defeat of feminism or women. Rather, it urges us to move forward a coalitional and intersectional politics across the races, classes, genders, sexualities, and n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