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강릉 정동진 지역 단구 고토양층의 특징과 퇴적 환경

        이선복,이용일,임현수,Yi, Seon-Bok,Lee, Yong-Il,Lim, Hyun-Soo 한국제4기학회 2009 제사기학회지 Vol.23 No.1

        정동진 지역 단구를 피복하고 있는 고토양층은 배수가 잘 되지만 주기적으로 물에 잠기는 환경에서 형성되었다고 추정된다. 4.5m에 달하는 퇴적단면에서는 모두 6개의 층이 관찰된다. 고토양의 입자는 주로 점토 및 실트 크기이나 부분적으로 모래 크기 입자의 우점 구간이 있다. 주요 구성 광물은 석영, 장석, 운모와 녹니석이다. 고토양의 지화학적 조성은 전 층에 걸쳐 큰 차이가 없으나 화학적 풍화지수는 깊이에 따른 변화를 보여준다. 대자율의 변화는 토양층의 변화와 일치하는 양상이다. 고토양층의 상부 50cm에는 토양쐐기 층이 발달해 있고, 이 층준에서는 약 25,000년 전 분출한 AT 화산재 입자가 집중적으로 발견된다. 고토양층 하부의 사력층에서는 약 11만년의 OSL 연대가 얻어졌다. Paleosol layers lying on top of the terrace in Jeongdongjin area appear to have been deposited under generally well-drained condition with periodic waterlogging. From a 4.5m-long profile observed, a total of 6 stratigraphic units were identified. Grain-size analysis indicates the dominance of silty and clay materials with some portions with high sand content. Major mineralogical elements are quartz, feldspar, mica and chlorite. Geo-chemical composition shows little change throughout the stratigraphy with some fluctuation in chemical weathering index. Marked increase in magnetic susceptibility is recognizable where stratigraphic unit changes. Soil- wedge layer is developed around 50cm below the surface with concentration of grains of AT tephra (c. 25,000 BP). An OSL date of c. 110,000 BP was obtained from a sand layer lying below the paleosol.

      • 무안 피서리구석기유적의 지질.고고학적 특성

        이헌종,정철환,박성탄,Lee, Heon-Jong,Chung, Chull-Hwan,Park, Sung-Tan 한국제4기학회 2010 제사기학회지 Vol.24 No.2

        무안 피서리유적은 최근 서남해안 일대에서 확인되고 있는 구석기시대 유적들에 대한 의미 있는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다. 무안 피서리유적에 대한 층위 및 지질학적 분석결과는 토양쐐기의 특성이 토양의 굳기나 토양내부의 성분 함량 및 고지표면의 기복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해주고 있다. 피서리유적에서 중기 구석기 늦은 단계 또는 후기 구석기 이른 단계의 석기들이 함께 출토되었는데 이는 이들 석기가 산출되는 문화층이 최대 빙하 발달시기 이후에 형성되었다는 것을 고려해 볼 때 활발한 침식과 재퇴적에 의해 여러 시기의 유물이 함께 재퇴적된 결과일 가능성을 지시해 주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구석기 유물의 분포와 토양쐐기와 같은 토양층의 특성은 고지표면의 기복 및 기후환경과 같은 자연환경적 조건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The Piseo-ri site in Muan provides significant data in investigation on the Paleolithic sites i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Stratigraphic and geological analysis indicates that the characteristic of soil wedge can vary in accordance with soil property and relief of paleo-surface. Considering that the cultural layer was deposited after the Last Glacial Maximum, co-occurrence of the late Middle to early Upper Paleolithic stone tools suggests a possibility of redeposition of different ages resulted from active eros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Paleolithic tools and the property of soil wedge could be controll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relief of paleo-surface and climate.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하안단구에 입지한 구석기유적의 층위와 문화층의 연대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김남호(Namho Kim) 한국구석기학회 2020 한국구석기학보 Vol.- No.42

        In the study of the paleolithic the study of layers is the most basic work and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is background, not only the analysis of paleolithic artifacts, but also the study of sedimentary layers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The paradigm formed in the survey of the early Paleolithic period in Korea helped a lot in understanding the formation process of sedimentary layers. However, compared to the paleolithic sitess that have increased exponentially since then, this interpretation has not progressed any further. This article is based on recent research results on the formation period of river terrace. The period of formation of the paleolithic sites located in river terrace centered on the Yeongnam area was reviewed. A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was conducted for the river terrace and the paleosol, and proposed a new period. According to this, if river terrace was formed at the similar time, it is not necessarily the same time period. Also, the time zone of the paleosol formed on the river terrace cannot be the same. In the lower2 terraces, a similar layered structure was viewed, and it seems to have experienced a similar time period. The cause of this is that the lower2 terraces have not undergone significant deformation after formation, it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continuous influence of erosion and sedimentation in the low1 and middle terraces. The periods of the cultural layer could be suggested through the absolute age value measured at the sites and the change of magnetic susceptibility, but It was hard to say that it was consistent with MIS. It is expected that the layered structure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where the sites are located. 구석기시대 연구에 있어서 층위에 대한 연구는 가장 기초적인 작업이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구석기 유물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퇴적층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한국의 초기 구석기시대의 조사에 있어서 형성된 패러다임은 퇴적층의 형성과정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이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 구석기시대 유적에 비해, 이러한 해석은 더 이상 진전되지 않고 있다. 이 글은 하안단구의 형성시기에 대한 최근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기존의 하안단구에 입지한 구석기유적의 형성시기를 재검토하였다. 하안단구와 고토양층에 대해 기존의 연구성과와 비교를 진행하였고, 새로운 연대폭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르면 하안단구가 비슷한 시기에 형성되었다 하더라도 꼭 동일한 시간대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단구층 위에 형성된 고토양층의 시간대 역시 동일할 수 없다. 저위2면에서는 유사한 층위구조가 확인되었고 비슷한 시간대를 경험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저위1면과 중위면에서는 보다 복잡한 층위구조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원인은 저위2면은 형성 이후 커다란 변형을 겪지 않았지만, 저위1면과 중위면에서는 침식과 퇴적작용에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은 것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유적에서 측정된 절대연대값과 대자율변화를 통해 볼 때 문화층의 시간대를 제시할 수 있었다. 유적에서 확인되는 층위구조는 유적이 입지한 지형적 환경변수에 따라 다양해 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곡성 오지리유적과 후기구석기 후기의 돌날석기문화 연구

        이헌종 호남사학회 2008 역사학연구 Vol.33 No.-

        Blade Tool Culture had been started since 30,000 B.C. and had been continuing to 'Microblade Culture'(25,000 B.C.~20,000 B.C.) centering around blade tool making technique and tanged point in Korea. In addition, this culture had made an effect on the culture of Pebble Tool Tradition which had opened the existed Upper Paleolithic As the result, this Pebble Tool Tradition had been reached to make blade-flake applying an elaborate blade tool making technique with heavy weight tools made of quartz pebbles. In Ojiri Site which was recently excavated, it was figured out to amount of typical blade stone tools at a light brownish clay layer,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soil wedge. The kinds of stone tools in this site not only contain blade cores, stone blades and technical flake, also contain amount of small tools like notch, burin on the small blade or flake, diagonal burin and small retouched flake tools which had been in the late Upper Paleolithic. Especially, bifacial leaf shaped tanged arrow head is an important stone tools to designate its time. According to AMS estimated in this site, it turns out that the age of this site is younger than that of Jingnul Site and Jangheung Sinbuk Site. However, the site's tools could be evaluated as data to be able to arrange 20~15ka in a chronological order. The tools of Ojiri Site are considered as one of blade stone tool culture which had coexisted with microblade culture in the late Upper Paleolithic, and considered to be related with the cultural layer 4 of Juknaeri Site where is in the same water system of the Seomjin river. 30,000년 전후로 시작된 우리나라의 돌날석기문화는 돌날석기제작기법과 슴베찌르개라는 지표석기를 중심으로 25,000~20,000년 전 세형돌날문화로 이어져갔다. 한편 이 석기문화는 기존의 후기구석기시대를 개시하였던 자갈돌석기전통의 문화에 영향을 주어 석영제자갈돌로 제작된 중량석기들과 함께 정교한 돌날석기제작기법을 적용하여 종장격지를 제작하기에 이르렀다. 최근 발굴된 오지리 유적에서는 토양쐐기 상부에 위치한 명갈색찰흙층에서 전형적인 돌날석기군이 확인되었다. 이 유적 석기의 종류는 돌날몸돌, 돌날, 기술격지 뿐 아니라 후기구석기시대 후기에 나타나는 대각선새기개, 소형돌날이나 소형격지상의 새기개류와 홈날석기와 같은 소형석기군이 있다. 특히 양면박리된 유엽형 유경화살촉은 이 시기를 지칭해 주는 중요한 석기이다. 이 유적에서 잰 절대연대 값(AMS)은 진그늘유적과 장흥 신북유적에 대한 최근 연구 결과와 대비하여 젊게 나왔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이 유적의 석기군은 그 20~ 15ka로 편년할 수 있는 자료로 평가할 수 있다. 오지리유적의 석기군은 후기구석기시대의 후기에 세형돌날문화와 병존한 돌날석기문화의 하나로서 편년 상 선후 차이가 있지만 동일한 섬진강 수계에 있는 죽내리유적 4문화층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