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공공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연구 경향 분석 - 2008년부터 2018년까지의 커뮤니케이션 분야 학술지를 중심으로

        차경심,최윤슬,김지윤,강경희,이상록,신경아 한국광고PR실학회 2020 광고PR실학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국내 공공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연구의 동향과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2008년부터 2018년까지 10년에 걸쳐 커뮤니케이션 분야 전문 학술 지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했다. 총 6개의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66편의 논문이 분석되었으며, 학술지별, 연구영역, 연구주제, 연구 시기, 연구방 법, 연구자 특성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공공커뮤니케 이션 캠페인에 관한 연구는 주로 건강 이슈를 중심으로 하는 헬스커뮤니케 이션 영역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PR학 분야의 학자들을 중심으 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개인의 행동 변화를 목표로 하여 수용자의 특성을 파악하거나 메시지나 캠페인 전략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분석하는 상호작용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법론적인 측면에서도 메시지나 전략적 특성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는 차원의 실험/유사실험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뒤를 이어 서베이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이론적 측면에서는 사회심 리학 분야의 이론들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가운데 프레이밍 이론, 제3자효과, 건강신념모형, 해석수준이론 등이 상대적으로 많이 활용되었 다. 한편, 공공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연구는 2인 공동 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주로 학계에 소속된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 어 학제 간 또는 산학 연계를 통한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specialized in communication field for 10 years from 2008 to 2018 to examine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domestic public communication campaign research. 66 articles published in 6 major journals were analyzed in terms of journal, research area, research topic, research period, research method, and researcher's characteristics. The result shows that the research on the public communication campaigns is focused on the health communication area centered on health issues, and the researches are actively being conducted by scholars in the field of Public Relations. In addition, interaction studies aimed at changing the behavior of individuals are found to be the mainstream and these studies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dience or analyze the communic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message or campaign strategy. In terms of methodological aspect, the experiment/quasi-experimental method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 according to the message or strategic characteristics, followed by survey. On the theoretical side, Framing/Priming Theories, Third-person Effects, Health Belief Models, and Construal Level Theory have been widely used. On the other hand, public communication campaign research showed the highest share of two-person joint research, and research was conducted mainly by researchers belonging to academia and relatively lacked joint research of academicians and practitioners.

      • KCI등재

        한국군 전략커뮤니케이션 연구 경향분석 및 제언 : 한국군 도입시기인 2008년부터 2023년을 중심으로

        이정훈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9

        2001년 9.11 테러사태이후 미군은 자신들의 선한 의도와 활동이 세계인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전략커뮤니케이션(Strategic Communiction:SC)이라는 개념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우리 한국군에게는 2008년에 도입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최초 도입된지 16년이 지난 지금 우리 한국군의 SC는 제대로 자리잡고 있는지 변화되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있는지 확인해보고 나아갈 방향 제시를 하는데 본 연구의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전략커뮤니케이션 관련 연구산물을 중심으로 RISS, 스콜라 등 총 5개의 학술정보 DB를 활용하여 경향성을 살펴보았다. 연도별, 분야별, 연구 방법별 현황을 살펴본 결과SC관련 논문의 부족한 현실을 체감할 수 있었고 개념이 도입되어 연구가 활발하던 초기에만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뿐만 아니라 연구 분야 또한 개념설명과 국방부 수준의 SC에 한정되어 있어 변화하는 SC 환경에 대한 고려와 정부차원의 SC로 통합시의 효과성과 파급력을 고려할 때 국가수준의 SC에 대한 연구 등 더욱 다양한 분야로확대될 필요성을 확인했다. 마지막 연구방법면에서는 문헌연구가 대부분이어서 전문가 인터뷰, 설문,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양적연구 등의 필요성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정책적 제언이 SC의 향후 연구방향설정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길 바란다. After the September 11 attacks in 2001, the U.S. military began to emphasize the concept of Strategic Communication (SC) in a sense of problem that their good intentions and activities were not properly communicated to the people of the world. It was introduced in 2008 to our ROK military and is still the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whether the SC of the Korean military is properly located or actively responding to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to suggest a direction to move forward. This study examined trends using a total of five academic information DBs, including RISS and Scholar, focusing on research products related to strategic communication published from 2008 to 2023.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by year, field, and research method, the lack of SC-related papers was felt, and the concept was introduced and concentrated only in the early stages of active research. Furthermore, considering the changing SC environment and the effectiveness and impact of integrating into SC at the government level, the research field is limited to conceptual explanations and SC a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level. In terms of the last research method, most of them were literature research, so the need for quantitative research using expert interviews, surveys, and big data was also known. I hope that the policy suggestions presented in this paper will positively contribute to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SC.

      • KCI등재

        국내 IMC 연구의 현황과 미래의 연구방향

        강경수(Kyoung Soo Ka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1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2 No.2

        본 논문은 국내 IMC 연구의 동향과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1998년부터 2009년까지의 전국 규모 학회나 유관기관이 발간하는 전문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했다. 전문학술지 19종에 게재된 43편의 논문을 학술지별, 연구주제, 연구시기, 연구방법, 통계기법, 연구자 특성 등의 측면에서 분석했다. 분석결과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IMC 논문은 총 43편으로 그 중 70%에 가까운 30편의 논문이 2004년도 이후에 발표된 것으로 나타나 국내 IMC 연구가 비교적 최근에 활성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IMC 논문은 광고 및 홍보 관련 저널에 많이 게재되어 왔으며, 1998년에 최초로 『광고학연구』에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서베이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연구 주제는 해외 연구동향과 동일하게(강경수, 2009, 183) `IMC의 개념 및 실행에 대한 인식`에 관한 논문이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냈다. 그 밖에도 `IMC와 브랜드 자산`, `IMC와 브랜드접점`, `IMC 실행의 효과` 등에 관한 논문이 다른 주제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증연구에 사용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최근에 와서는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등과 같은 고급통계기법도 IMC 논문 분석에 사용됨으로써 국내 IMC 연구가 보다 과학적 분석과 평가를 위한 기초를 다졌다고 분석했다. 나아가 IMC 연구가 기존의 광고 및 홍보 분야에서 디자인, 관광, 패션, 부동산 관련 분야로 확대되고 있어 향후 국내 IMC 연구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 IMC 연구가 지금까지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에 대한 역사적 관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의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C literature to determine how IMC research has evolved in terms of quantity, content, and publication outlets. In addition, the paper identifies important trends in the IMC literature and provides a view of the research gaps and expected topical areas of interest. A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on 43 IMC articles appearing in 19 major journals in advertising, public relations, communication, marketing, Tourism, and design between 1998 and 2009. Variables examined include IMC topics researched, publication period, research methods used, statistical techniques employed, characteristics of authors, and sample type.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a diverse pattern of increase in topical area of IMC research, a need for a more explicit theoretical framework, and a need for better methodological rigors in IMC research. The study also identified important trends in the IMC research to provide future direction, particularly in terms of research gaps and expected topical areas of interest. The study provides both academics and practitioners with an updated review of the IMC literature along with a sense of how IMC research is evolv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