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의 최초 비행 발생시점에 대한 영향요인 검증

        지영섭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2 학교사회복지 Vol.- No.60

        This study was to verify and determine the onset of delinquency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leading factors contributing to delinquency, and those which promote and suppress the delinquency.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in South Korea since 2011 was analyzed along with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targeting 1,136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7th grade of 4th wave and 12th grade of 9th wave. It eventually turned out the onset time for status delinquency increased as the adolescents advanced into higher grade; and male showed highest status delinquency in the phas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while the female did during high school years, rather than middle school. Serious delinquency in male adolescents was highest in the early stage of middle school and latter part in high school while the female adolescents were more likely to show serious delinquency in the phas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and during the latter part in high school. Secondly, their first experience of status delinquency was affected by physical satisfaction while the serious delinquency was by academic satisfaction when it came to the personal and family background factors. Third, all general strain theory, social bond theory, acculturation theory, and social learning theory influenced the first status delinquency and serious delinquency experiences. Therefore, this study systematically explored various factors in the first delinquency experiences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claimed it’s necessary to take multilateral approach in intervening and preventing adolescents delinquency at the school and society level in future.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최초 비행을 일으키는 시점이 어떠하고, 비행이 일어날 때 그 주된 원인이 무엇이며, 비행을 촉발시키거나 억제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11년부터 실시한 다문화청소년패널(MAPS)을 사용하였으며, 4차년도(중학교 1학년)에서 9차년도(고등학교 3학년) 자료의 다문화청소년 1,136명 데이터를 대상으로 비연속시간 생존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최초 지위비행 발생시점은 학년에 따라 점차 높아졌으며, 남자청소년은 중학교에서 고등학교 넘어가는 시기, 여자청소년은 중학교보다 고등학교 시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비행은 남자청소년의 경우 중학교 초기, 고등학교 후기에 여자청소년은 중학교에서 고등학교 넘어가는 시기, 고등학교 후기에 발생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 및 가정환경요인에서 지위비행 최초 경험에는 신체 만족도, 중비행에는 학업 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긴장이론, 사회유대이론, 문화변용이론, 사회학습이론 모두 최초 지위비행, 중비행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다문화청소년 최초 비행경험의 다양한 원인을 체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학교 및 사회적 차원에서 비행 개입과 예방에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비행친구: 청소년 비행의 원인인가, 아니면 결과인가?

        정기원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1

        Previous studies on juvenile delinquency have found that the adolescents with more delinquent friends engaged in more delinquent behaviors than those with less delinquent friends. But there appears to be little consensus on the direction of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linquent friends and delinquency.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curs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linquent friends and juvenile delinquency. Delinquent friend was hypothesized as predictor of delinquency by socialization model, and hypothesized as consequence of delinquency by selection model. The recurs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linquent friends and juvenile delinquency was hypothesized by enhancement model. A cross-lag panel design was used to analyze three annual waves of data for 3,017 adolescents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 The major finding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delinquent friend at Time 1 and delinquency at Time 2 and Time 3, and between delinquent friend at Time 2 and delinquency at Time 3. The relationships between delinquency at Time 1 and delinquent friend at Time 2 and Time 3, and between delinquency at Time 2 and delinquent friend at Time 3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indings suggested that association with delinquent friends was both predictor and consequence of engagement in delinquency, and that there was recurs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linquent friend and delinquenc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with reference to the direction of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linquent friend and delinquency. 청소년은 많은 시간을 친구와 함께 보내며, 친구에게 많은 의미를 부여하고, 그리고 친구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친구관계는 청소년 비행 연구에 있어서의 핵심 주제 중의 하나가 된다. 특히 비행친구와 청소년 비행의 관계에서 그 인과관계의 방향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어 왔다. 그러나 국내의 연구에서는 비행친구와 청소년 비행의 인과관계에 관한 실증분석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종단자료를 이용해 비행친구와 청소년 비행 간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비행을 비행친구와의 교류에서 나타나는 사회학습과정의 결과로 보는 사회화 모형과 비행친구와의 교류는 비행을 저지른 청소년이 비슷한 유형의 친구를 선택한 결과라고 주장하는 선택 모형, 그리고 영향가설과 선택가설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는 강화 모형을 이론적 틀로 삼았다. 교차-시차 패널연구의 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중2 패널 1차년도(2003년)부터 3차년도(2005년)까지의 조사에 모두 응답한 3,01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에서는 비행친구와 비행 간의 패널계수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비행친구와 청소년 비행 사이에는 순환적 인과관계가 존재함을 보여 주고 있다. 이는 비행친구와의 교류는 청소년 비행의 원인이 되면서도 비행의 결과가 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영향가설과 선택가설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는 강화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이 연구는 비행친구와 청소년 비행 간에 나타나는 인과관계의 방향에 대한 두 대립가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이론적 의의와 청소년 비행의 예방을 위한 대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실천적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청소년 비행행동의 판별요인 분석

        김헌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3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비행·범죄행동을 사전에 예측, 파악할 수 있는 판별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비행·범죄행동의 가능성이 있는 청소년을 조기에 선별·중재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설문지법과 면담을 통한 조사연구로서 연구자가 직접 전국의 학교, 소년원, 분류 심사원을 방문하여 비행청소년의 소년원, 분류심사원의 재소기록과 학생청소년의 학교생활기록부를 참조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 구성은 국내외의 관련자료수집과 문헌고찰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제작한 정신건강실태조사 설문서 중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해당하는 문항을 발췌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표집대상은 비례층화 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서울과 지방의 12개 중학교와 12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청소년 1,254명과 6개 소년원, 2개 분류심사원에 재원중인 비행청소년 1,121명을 연구대상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처리는 불충분한 자료는 제거한 후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에 이용된 통계방법은 χ²검정, t 검정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법 등이다. 연구결과 :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행청소년들은 학생청소년들 보다 성적확대(t=17.8, p=0.0001)와 가정폭력(t=14.2, p=0.0001)에 더 많이 노출되었다. 2) 비행청소년들이 학생청소년들 보다 흡연(χ²=1,338.36, df=1, p=0.0001), 음주(χ²=976.91, df=1, p=0.0001) 및 약물사용(χ²=396.52, df=1, p=0.001)빈도가 더 높았다. 3) 비행청소년과 학생청소년을 판별해주는 판별요인으로는 흡연(odds ratio : 32.32)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음주(odds ratio : 10.38), 약물사용(odds ratio : 2.95), 폭력물 시청시간(odds ratio : 1.78)등의 순으로 나왔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 흡연이 가장 강한 비행청소년 판별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즉 흡연청소년은 비흡연청소년보다 비행·범죄행동빈도가 보다 높았다. 그러나 이러한 흡연과 비행간의 상관관계에는 다른 많은 변수가 개입되어 있을 것으로 추론되며, 따라서 비행청소년 개인의 심리적, 가정환경적 및 사회문화적 상황요인에 대한 고려 또한 신중히 검토되어야 한다. Objective :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analyse discriminative factors between student adolescents and delinquent adolescents in Korea, and to develop therapeutic and preventive strategies for preventing juvenile delinquent behavior. Methods : 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survey with individual interviews and reference of the record materials of the school and corrective institutions. Subjects served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375 adolescents(1,254 student adolescents and 1,121 delinquent adolescents) in Korea, sampled from Korean student population and adolescent delinquent population confined in 6 juvenile corrective institutions and 2 classification judging institutions, using the proportional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Their age range was between 12 and 21. The actual number of cases put into the analyses was 2,167 including 1,196 student adolescents and 971 delinquent adolescent. Data were analysed by the SAS program. Statistical method employed were Chi-square,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etc. Results : The discriminative factors between student adolescents and delinquent adolescents were smoking, alcohol use, drug use, viewing time of media violence such as murder and violence scenes on TV etc, sexual abuse and viewing time of pornography. Among these discriminative factors, the strongest factor was smoking. Delinquent adolescents showed a higher rate of smoking than students adolescents. That is, smoking adolescents showed 32.32 of odds ratio comparing with the non-smoking adolescents group. The other discriminative factors were alcohol use(10.38 of odds ratio), drug use(2,95 of odds ratio), viewing time of violent media(1,78 of odds ratio), sexual abuse(1.68 of odds ratio) and viewing time of pornography(1.25 of odds ratio). Conclusion :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smoking served as the strongest discriminative factor between student adolescents and delinquent adolescents. That is, smoking adolescents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delinquent behavior than non-smoking adolescents. However, the author recommended that a strong, reliable correlation between smoking and juvenile crime is probably not a simple causal one. Rather, a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juvenile criminal behavior results from the probable effects of multiple interactive physiological, psychological, environmental, situational, social and cultural factors.

      • KCI등재

        비행청소년의 유형에 따른 전두엽 실행기능의 차이 -평생지속형과 청소년기 제한형을 중심으로-

        정혜진,박지선,현명호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differences in frontal lobe executive function of delinquency juveniles. In order to find out fundamental factors of the delinquency, this study divided the group into Adolescence- Limited and Life-Course-Persistent Delinquency juveniles with the use of delinquent classification scale. Then, this study was executed by three main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scales(Wisconsin Card Sorting Test, Tower of Hanoi, go-no-go and the like)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the executive function between sub-domain groups. The participants are normal juvenile group(n=28), Adolescence-Limited Delinquency juveniles(n=23), and Life-Course-Persistent Delinquency juveniles(n=27). The Results indicate that first, in the course of using WCST(Wisconsin Card Sorting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flexibility between normal juveniles and Adolescence-Limited and Life-Course-Persistent Delinquency juvenile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normal and delinquent juveniles on the Tower of Hanoi Test which is assessed the planning and organizing ability, but no outstanding differences between the sub-domain delinquent groups at the first operation except the concept of the planning time. Third, through the Stroop Task, the study was also able to focus on differences of self-control and inhibition between Adolescence-Limited and Life-Course-Persistent Delinquency juveniles. These result suggested that by indicating the hypothesis about the defect of the executive function of the delinquent juveniles and shedding light on the differences between sub-group of them, it is possible to hypothesize that there was defect or developmental immaturity on the frontal lobe of the delinquent juveniles. This study is important in that it is proved that there was neurological defect only in Life-Course-Persistent Delinquency juveniles with the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scales. Moreover, the more effective measures for the proper guidance and education can be put into effect by reasoning the causes of juvenile delinquency.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의 유형에 따른 전두엽 실행기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실행기능을 측정하는 신경심리검사인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 하노이타워 검사, 그리고 스트룹 검사를 청소년 비행의 두 하위 유형인 평생지속형 비행청소년과 제한형 비행청소년, 그리고 일반청소년 집단에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에서는 일반청소년, 평생지속형 비행청소년, 제한형 비행청소년 간 인지적 유연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하노이타워 검사를 이용한 계획 및 조직화 수행에서는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 간은 차이가 있었으나 비행집단 간에는 첫 번째 수행에서의 계획시간을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스트룹 검사에서는 일반청소년, 평생지속형 비행청소년, 제한형 비행청소년 간 억제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행청소년의 실행기능 결함에 대한 가설을 지지함과 동시에 비행청소년의 하위 집단 간 차이를 밝혀냄으로써 평생지속형 비행청소년의 전두엽의 결함 혹은 발달상의 미숙함을 추측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는 신경심리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평생지속형 비행청소년만이 신경학적 결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비행 원인을 추론해 봄으로써 비행청소년의 효과적인 선도 및 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스토리맵(Story Map)을 통한 청소년 탈비행 유형 분석 연구

        이상인 한국사회안전범죄정보학회 2019 한국사회안전범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2

        비슷한 처벌을 경험한 청소년들 중에서 처벌 후 일정 기간이 지났음에도 계속 비행 단계에 머무르는 청소년들과 조금씩 탈비행의 단계로 이행되는 청소년들이 있다. 이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면서 비행 후 처벌경험이 있는 12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였 다. 연구방법은 스토리 맵을 이용한 연구로 청소년별 생애과정을 스토리 맵을 통해 나타내고, 비행 및 탈비행과 관련되는 각 전환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유형화하여 최종적으로 탈비행 촉진 요인은 발견하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비행청소년들은 ‘탈비행 시작’ 시점과 ‘탈비행 강화’ 시점에 ‘선배, 교사, 친인척 등 기성세대와의 소통을 통해 필요한 조언과 정보 습득’ 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탈비행을 하고자하는 청소년에게는 부모나 선배, 교사 등과 사회적 유대를 통한 조언과 정보습득이 반드 시 필요한 이유가 된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탈비행을 위한 청소년 정책은 검정고시 지도, 직능지도, 경제적 지원 등 기존 정책들을 백화점식 나열하여 우선순위 없이 시행하기 보다는, 먼저 청소년동반자 제도 등을 더욱 활성화하여 부모를 포함한 교사, 선배, 관계기관 종사자, 지역사회등과 청소년들이 유대 감을 형성하게 하고, 그들에게 개별적으로 필요한 조언과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out triggering effect of Juvenile Delinquency in the life of punished and released youth. This study compare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between teenagers who remain at Juvenile Delinquency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eenagers who find a turning point to normal. We want to find a turning point from Juvenile Delinquency to normal and find environmental and internal factors that affect that point. The study was conducted on 12 teenagers who lived in Seoul and experienced Juvenile punishment. Research uses story map to present the life process of young people through whole life and sort out the factors that affect each conversion point associated with Juvenile Delinquency and finally discover the Juvenile Delinquency promotion factor. Studies have shown that delinquents have a time for advice and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older generations including seniors, teachers, and relatives at the time of starting and enhancing Juvenile Delinquency. In other words advice and information acquisition through social ties with parents, seniors and teachers are essential to adolescents who want to escape from Juvenile Delinquency. According to these studies, the youth policy for Juvenile to Desistance from Delinquency should activate the youth cohabitation system that encourage teachers, seniors, related agencies, communities and teenagers including parents forming a bond and provide them with the advice and information that they need personally instead of department store list of existing policies such as supervision, vocational guidance, and economic support which implement it without priority

      • KCI등재

        저소득 가정 아동 및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대한 환경적 요인의 영향구조 비교

        김희수,양혜원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1

        This study examined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delinquent behaviors, the effects of family, friends, and school systems on the delinquency, and how those systems affected the delinquent behaviors differently between children and adolesc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326 children and 165 adolescents who were from low-income families residing in low-income district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the prevalences of the delinquency were not much different between children and adolescents except the status delinquency such as drinking and smoking, (2) for the children, the family factor had negative influences on the relationship with delinquent friends and the delinquent behaviors, the relationship with delinquent friend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delinquent behaviors, and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did not affect delinquent behaviors, (3) for the adolescents, only the relationship with delinquent friend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delinquent behavior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ith regard to preventing and reducing the childhood and adolescent delinquenc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의 저소득 가정 아동 326명과 청소년 165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을 둘러싼 가족체계, 또래체계, 학교체계가 아동 및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밝히고, 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상기한 요인들이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발달단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지위비행을 제외하고는 아동과 청소년의 비행행동 발생률에 차이가 없었으며, 아동의 경우 가족요인은 부정적 또래관계와 비행행동에 대하여 부적인 영향을, 교사와의 관계에 대하여 정적인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또래관계는 비행행동에 대하여 정적인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와의 관계는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에 비해 저소득 청소년의 경우에는 부정적 또래관계만이 비행행동에 대하여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아동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즉, 발달단계에 따라 개인을 둘러싼 환경 요인들이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구조가 달라지는데, 청소년기에는 가족이 더 이상 비행행동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 반면, 위험요인이라 할 수 있는 부정적 또래관계는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여전히 중요하게 남아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청소년 뿐 아니라 아동의 비행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예방과 개입 노력을 기울일 것과 대상의 발달단계에 따라 차별화된 비행예방 및 개입전략을 수립할 것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 자아통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혜진,백진아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13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10 No.-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두 변인 사이에서 자아통제가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청소년 비행과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전에 부모의 양육태도를 애착적․감독적․부정적 양육태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고, 청소년 비행과 부모의 양육태도 간 의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Baron과 Kenny의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부모의 애착적․감독적 양육은 청소년 비행과 부(-)적 상관관계를,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 비행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부모의 애착적이고 감독적인 양육태도는 청소년 비행을 감소시키는 보호요인이었고, 부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 비행을 유발하는 위험요인으로 밝혀졌다. 최종적으로 청소년 비행과 부모의 애착적․감독적․부정적 양육태도 사이에서 자아통제는 모두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심리적인 특성인 자아통제가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고,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청소년 비행 감소를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s' raising attitude on adolescent’s delinquent behaviors, and prove whether the self-control had a mediation effect between the two variables. To fulfill this purpose, parents' raising attitud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attachment-, directed-, and negative raising attitude, and their individual effect on adolescent’s delinquent behaviors was analyzed respectively. The results founded by using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the Baron and Kenny's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 while parents' attached- and directed raising attitud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dolescent’s delinquent behaviors, parents' negative attitud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it. Second, Parents' attachment- and directed raising attitudes were protective factors that reduced adolescents' delinquency, and the negative raising attitude was revealed as a dangerous factor which caused it.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delinquency and three types of parents' raising attitude was partly mediated by self-control. The results verified that parents' raising attitude and adolescents' self-control were the important factors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d on adolescents' delinquent behaviors.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스마트폰 관련 비행과 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신동업 한국범죄심리학회 2013 한국범죄심리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최근 그 심각성으로 인하여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관련 비행 및 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보고, 이 변인들이 스마트폰 관련 비행 및 범죄를 설명하는 정도와 상대적 영향력에 있어서 성별, 교급별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스마트폰관련비행 및 범죄예방에 효과적인 실천방안과 정책결정의 이론적인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인터넷 중독, 스마트폰 폐해에 따른 비행과 범죄 등 선행연구 이론을 고찰 하였다. 다음으로 k광역시에 소재한 7개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중에서 스마트폰을 소유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총419명(남214명·여205명)을 본 연구 대상으로 표집 하였다. 종속변인인 스마트폰 관련비행 및 범죄의 경험여부 10문항, 독립변인인 스트레스 8문항, 스마트폰 중독 10문항, 충동성 10문항, 하위변인인 자아존중감 10문항, 가족지지 10문항, 학교애착 5문항 등 전체 63문항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통계 프로그램 SPSSWIN 16.0을 이용하여 각 문항별로 반응빈도를 집계한 이후 백분율로 환산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증을 실시하였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비행 및 범죄경험에 대한 성별, 교급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청소년의 스마트폰 비행 및 범죄와 관련 독립변수인 스트레스, 스마트폰중독, 충동성 변인과 하위변인들(자아존중감, 가족지지, 학교애착)이 전체 집단에서 스마트폰 비행 및 범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성별, 교급별로 분류하여 각각 알아보고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관련변인을 상대로 분석해보면 성별, 교급별 스마트폰 비행 및 범죄경험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비행 경험 수준이 높고, 중학생, 고교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전체 집단에서 청소년스마트폰 비행 및 범죄 관련 변인들이 스마트폰 비행 및 범죄경험에 미치는 영향력은 약 42%정도로 매우 중요하게 검증되었다. 셋째, 스마트폰 비행과 범죄 관련 변인들인 스트레스, 스마트폰중독, 충동성,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학교애착간의 상관분석 결과, 청소년의 스마트폰과 관련된 비행 및 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 간에 대부분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variables that would affect the juvenile delinquency and crime related to smartphone, which has become a social problem due to its seriousness, and conducted a multi-faceted analysis to find any difference based on gender and school class in relation to the explanatory extent of such variables towards the delinquency and crime related to smartphone and relative influence of those variables in order to present the theoretical basis and data necessary to map out the effective measures and policy for the prevention of delinquency and crime related to smartphone. For that, the theories of the preceding studies were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delinquency and crime arising from the misuse of internet addiction and smartphone. 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419 students(214 male students, 205 female students) by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designed for adolescents who possessed the smartphones among the adolescents attending the 7 high schools located at K Metropolitan Cit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0 questions related to the experience/non-experience with delinquency and crime related to smartphones which is the dependent variable, 8 questions related to the stress which is the independent variable, 10 questions related to the smartphone addiction, 10 questions related to impulsiveness, 10 questions related to self-respect which is the sub-variable, 10 questions related to the family support, and 5 questions associated with attachment to the school, and other questions.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test, technical statistics, and t-test after the estimation of response frequency for each question and the conversion to percentage using the SPSSWIN 16.0, a statistical program. The cross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y gender and school class in relation to the juvenile delinquency and crime related to smartphone. Moreover,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variables, along with the regression analysis by gender and school class,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that the stress, which is the independent variable associated with juvenile delinquency and crime related to smartphone, smartphone addiction, impulsiveness variables, and sub-variables(self-respect, family support, attachment to the school) would have on the delinquency and crime related to smartphone in the entire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had higher degree of experience with delinquency whil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in relation to the experience with juvenile delinquency and crime related to smartphone based on gender and school class when the related variables were analyzed. Second,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juvenile delinquency and crime related to smartphone had a significant effect as high as approximately 42% on the experience with delinquency and crime related to smartphone. Third, the stress, smartphone addiction, impulsiveness, self-respect, family support, and attachment to the school -- which were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delinquency and crime related to smartphone --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most variables that would affect the juvenile delinquency and crime related to smartphone.

      • KCI등재

        청소년비행 관련 요인들에 관한 메타경로분석

        진혜민 ( Jin Hye-min ),배성우 ( Bae Sung-woo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7 학교사회복지 Vol.0 No.38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경로분석을 활용하여 청소년비행이론에서 청소년비행의 주요 변수로 거론되고 있는 자기통제력, 부모애착, 비행친구, 우울, 공격성이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청소년비행에 이르게 되는지의 경로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5년부터 2016년까지 학술지 및 석·박사 학위논문에 게재된 청소년비행과 관련된 주제의 232개 연구물을 메타분석하였으며, 메타분석된 상관행렬을 경로분석에 적용하여 본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기통제력, 부모애착, 비행친구, 우울, 공격성 모두 청소년비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통제력, 부모애착은 우울을 통해, 자기통제력, 부모애착, 비행친구는 공격성을 통해 비행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통제력, 부모애착이 청소년비행에 이르는 경로에서 우울과 공격성을 매개효과가, 비행친구는 공격성을 매개로 청소년비행에 이르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ta-analytic paths among variables including self-control, parental attachment, delinquent peers, depression, aggression and their impact on juvenile delinquency.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purpose, 232 existing studies investigating juvenile delinquency were analyzed by a meta-analysis technique. For data analysis, journals, these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between January, 1995 and December, 2016 were reviewed systematically. Correlations of these variables were calculated from the data and then the obtained correlation matrice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path analysis to test the appropriateness of the hypothesized model.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Meta-Analysis software 2.0 and AMOS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elf-control, parental attachment, delinquent peers, depression, and aggression had a direct effect on juvenile delinquency. In addition, depression and aggression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parental attachment and delinquency. Also, aggression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nquent peers and delinquency in adolescence. Finally, the research and practic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 비행 관련 요인의 성별 및 발달적 비교 연구

        김원경 ( Kim Wonkyung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7 학교사회복지 Vol.0 No.39

        청소년 비행 경험의 영향요인을 개인의 심리적, 사회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고 청소년의 성별 및 초기, 중기, 후기 청소년기의 발달시기별로 영향요인이 어떻게 달리 나타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실시한 2013 한국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에서 사용한 전국 16개 시·도의 초(4~6학년), 중, 고등학생 총 9,755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독립변인으로 심리적 요인(우울, 불안, 게임중독, 스트레스, 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서조절, 낙관주의적 성격요인)과 사회환경적 요인(부모지원, 가족유대감, 사회적지지, 교사와의 유대감, 친구관계)을 투입하고 청소년의 비행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심리적 변인이 사회환경적 변인보다 비행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과 스트레스는 남녀 청소년의 모든 청소년기에 걸쳐 비행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이었다. 초기와 중기 여자 청소년의 경우 생활만족도와 자존감의 긍정적 심리요인이 비행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영향요인이었으며 초기 남자 청소년은 게임중독이 비행에 대한 가장 유의미한 심리적 영향요인이었다. 사회환경적 요인 중 가족유대는 남녀 청소년 모두에게 전체 청소년기에 걸쳐 비행에 대한 매우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진 변인이며 비행의 보호요인으로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성별과 발달시기별로 심리적, 사회환경적 변인이 청소년 비행의 설명에 각각 달리 적용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에 따른 비행의 예방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대안을 마련함에 있어서 청소년의 성별과 발달시기별로 달리 적용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psychological and ecological factors affect juvenile delinquency in early-, mid-, and late-adolescence, according to gender. The data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came from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administered to a sample of 9,755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Both psychological factors (depression, anxiety, stress, life-satisfaction, self-esteem, self-efficacy, emotion-regulation, and optimism) and ecological factors (family relations, peer relations,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social support) were entered as independent variables, while a total score of delinquency was entered as a dependent variabl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psychological factors were relatively more effective predictors than ecological factors on juvenile delinquency. Specifically, anxiety and stress were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s of delinquency across the gender and the developmental stages of Korean youth. Among psychological factors,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delinquency in female youth of early- and mid- stages, while game addic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in male youth of early stage. Among ecological factors, family relationship was a crucial predictor of delinquency across the gender and all the developmental stages of Korean youth. Results implied the existence of gender differences in predictors of juvenile delinquency. Future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into this area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delinquency we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