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교과목의 개발 및 효과

        한미희 한국진로교육학회 2011 진로교육연구 Vol.24 No.2

        The study is to develop a career educational program, which is run as regular courses in the college in order to efficiently educate colleg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career educational program was developed to focus on that the college students is to decide their own career paths based upon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s, which were performed for college students with career development models published in Korea, and their results and to prepare them. The career educational program has an objective for ‘career plan and efficient design for college life’ in order to pursue desirable social being. It consists of four main categories, which are understanding on oneself, understanding on job fields, career choice and decision, and career plan and strategy, and details to carry out the four main categorie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189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took a class titled ‘Design for college life’ offered at the college of liberal arts in 4-year ‘N’ university in Choongchungnam-do were sampled to form a experiment group. And 189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took the other liberal art courses were sampled to form a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 group, the period of this study was performed 2 hours once a week for total 15 weeks including the orientation session. In the control group, the period of other course was also performed 2 hours once a week for 15 weeks. In order to verify the experimental effect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data processing in performing this study utilized the 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with the self identity, the maturity of career behavior,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the level of decision making on career paths as the criteria, which are extracted considering education contents among career studies for the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at developing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the college students provides good effect, was supported, and each criterion of the experiment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lso, it can be seen that the developed career education program provided good effects on the career development for the college students. When considering the youth unemployment and the numerical growth in the accumulated college graduates, there was a limit of accepting many students with only the career consulting programs or the group consulting programs for existing college students. Therefore, developing the career education course will provide effects on expansion of the career education, and it also indicates that the career education course has to be activat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지도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일환으로 대학 내 정규교육과정으로 운영되는 진로교육 교과목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진로교육 교과목은 국내에 발표된 진로교육 모형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 및 연구들을 토대로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고 준비할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두고 개발되었다. 그 내용으로는 바람직한 사회인으로서의 이행을 위한「진로를 위한 효율적인 대학생활 설계」를 목적으로 네 가지 주요영역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세부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으로는 충남에 위치한 N대학교의 교양과정 수업 중 ‘대학생활의 설계’라는 교과목으로 남녀학생 189명의 실험집단과 동일한 인원으로 다른 교양강좌를 수강하는 남녀학생 189명을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오리엔테이션 회기를 포함하여 총 15주(주 1회, 2시간)의 본 진로교육 교과목을 처치하였으며, 통제집단은 학생들 지도를 위한 다른 교양수업을 처치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자료의 처리는 실험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연구 중 교과내용을 고려하여 추출된 자아정체성, 진로태도성숙, 진로결정수준 척도를 일반선형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교과목의 개발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본 연구의 가설은 지지되었으며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각 척도가 의미있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개발된 진로교육 교과목이 대학생들의 진로지도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정규교육과정으로의 진로교육 교과목의 개발은 진로교육의 확대화,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해본다.

      • KCI등재

        대학생 진로개발역량을 위한 진로교과목 교육내용 개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강경연,강혜영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4

        This study aimed to create a career course contents list for develop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 undergraduates. To this end, the draft of the career course contents list was created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on colleg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Next, exper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between August 10 and September 14, 2018.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Delphi, analyzed the content validity ratio(CVR) of composition and clarity of expression; this helped in determining the final list of the proposed career course content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The finalized college career course contents regard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consisted of 43 components across 9 categories. There were 6 in self-understanding and the establishment of a positive self-identity; 4 in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positive interactions with others; 4 in the building of vocational consciousness and attitudes; 4 in the understanding of vocation and industry trends; 6 in career information search and use; 4 in career decision; 4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and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5 in the establishment,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of career plans; and 6 in the cultivation of employment competency.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f college career course contents and suggestions for follow - up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진로개발역량을 위한 진로교과목 교육내용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진로개발역량 관련 문헌분석을 통해 교육내용 초안을 도출하고, 이에 대해 진로교과목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2018년 8월 10일∼9월 14일 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구성의 적절성, 표현의 명료성에 대한 내용타당도(CVR) 값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 진로개발역량을 위한 진로교과목의 교육내용은 9개 영역 43개 하위내용으로 최종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자기이해 및 긍정적 자아정체감 확립 영역(하위 6개 교육내용), 타인과의 긍정적 상호작용 이해 및 실천 영역(하위 4개 교육내용), 직업생활에 필요한 직업의식과 태도 고취 영역(하위 4개 교육내용), 직업 및 산업동향의 이해 영역(하위 4개 교육내용), 진로정보 탐색과 활용 영역(하위 6개 교육내용), 진로의사결정 영역(하위 4개 교육내용), 평생학습 중요성 인식 및 참여 영역(하위 4개 교육내용), 진로계획 수립․실천 및 관리 영역(하위 5개 교육내용), 구직역량 함양 영역(하위 6개 교육내용)’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진로개발역량을 위한 진로교과목 교육내용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超)불확실성 시대의 대학 진로교육 교과목 개발 및 효과

        김수란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3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ore adaptive career education subject in an era of uncertainty as it is now and to verify the effect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as selected from 4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university in A city and participated in the class for one semester by developing subjects in consideration of alternative career theory(career construction, planned happenstance, career theory of chaos) and psychological factors (growth mindset, grit, resilience) in addition to the common theme of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the job world, career planing, and career preparation through prior research, needs for university students, and opinion of experts. 41 students who did not take the class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in effect between the groups was analyzed through ANCOVA.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eer education subject developed in this stud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useful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career education plan that can increase the confidence and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career and employment in a situation where uncertainty is high. 본 연구는 현재처럼 불확실성이 만연한 시대에 보다 적응적인 진로교육 교과목을 개발하여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 문헌조사 및 요구조사, 전문가 자문을 통해 '자기이해, 직업세계 이해, 진로계획, 진로준비'의 공통적인 주제 외에 대안적 진로 이론(진로 구성주의, 계획된 우연 이론, 진로 카오스 이론)과 긍정심리 요소(성장 마인드셋, 그릿, 회복탄력성)를 고려하여 교과목을 개발하여 A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서 진로교육 교과목(교양선택)을 한 학기 동안 수강한 40명의 학생들을 실험집단으로, 이 기간 동안 진로와 관련된 교과목을 수강하지 않은 41명의 학생들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통해 집단 간 효과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진로교육 교과목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처럼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진로 및 취업을준비하는 대학생들에게 자신감과 적응성을 높일 수 있는 진로교육 정책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대학생 학생선수를 위한 진로교육 교과목 개발의 필요성 및 교과내용 제안

        권형일 ( Hyungil Kwon ),최미화 ( Mihwa Choi ) 한국체육학회 2020 한국체육학회지 Vol.59 No.2

        일반 대학생을 위한 진로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이에 대한 많은 정책과 연구가 생성되고 있는 반면 대학생 학생선수를 위한 진로교육에 대한 대책은 딱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대학생 학생 선수들에 대한 진로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될 수 있는 것은 대학생 학생선수라는 특수한 모집단의 진로교육에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콘텐츠가 충분히 개발되어있지 않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학생선수의 진로교육 교과목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교과목에 어떠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는 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는 대학 스포츠 전문가, 스포츠 심리학자와 진로교육 전문가들의 전문가회의를 통해 생성되었으며 6차에 걸친 전문가 회의를 통해 현실적으로 대학생 학생선수들에게 적용가능한 수업의 구조를 결정하고 대학생 학생선수들에게 필요한 내용의 진로교육 내용을 결정한 후, 그 내용들을 16주의 교과과정으로 설계하였다. Recently policies and studies on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have attracted policy makers’ and scholars’ attention. However, no specific policy is there for college student-athletes in Korea. There are several reasons why such career education do not exist. Among those, the biggest reason seems to be the fact that there is no specific career education contents for the population of college student-athletes.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identity the needs of career education contents for college student-athletes and to come up with educational contents for 16-week one-hour credit class. The data for the study were generated from six experts in college sport, sport psychology, and career education. The experts participated three meetings from which they generated the structure of the career education classes, the contents of the classes and 16-week class curriculum.

      • KCI등재

        대학생 진로개발을 위한 진로교과목 효과성 검증 연구: S대학 핵심역량 중심으로

        채희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8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areer subjects and test their effectiveness for career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nducted in 13 weeks of 60 minutes per session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2 for second graders at S University in Seoul. The career adaptation after the program pre-school career adaptation. For the study analysi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 corresponding sample t-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s responsibility (t=-5.135, p<0.001), goal consciousness (t=-7.225, p<0.001), creativity (t=-6.735, p<0.001), openness (t=-11.146, p<0.001), initiative (t=-5.16, p<0.251, p<0.001) were statistically increased.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Conclusions The experimental group of career subjects was verified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ub-factors of career adapt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what are the main factors of career design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career subjects in designing careers by college students themsel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