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교육에서의 지식과 이해교육

        박상돈 한국조형교육학회 2024 造形敎育 Vol.- No.90

        본고에서는 우리 미술교육에서의 지식과 이해교육의 맥락과 내용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지식은 다양한 대상과 현상, 사건 등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인간의 명확한 의식이며, 이해는 이 같은 지식을 유연하게 생각하고 수행하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지식교육은 지식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습득하게 하는 것이며, 이해교육은 패턴화된 지식의 내용과 의미에서의 연관성에서 일반화와 원리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우리 미술교육에서의 지식과 이해교육은 서구 미술교육의 변화와 여러학문의 발달, 교육과정 체계의 변화와 제안들 속에서 그 관점과 내용을 형성하고 변화해 왔다. 그리고 이렇게 제시된 여러 내용들은 오랜 기간 동안의 우리 미술교육학자들의 학문적 탐구의 결과이며, 미술교육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제시된 지식의 구조이자 핵심 내용이다. 특히 교육과정에 제시된 각 영역별, 범주별 내용 요소는 미술과 학습을 통해서 학습자가 명확히 알아야 하는 지식이나 개념, 이해를 위한 필수 학습 요소라 할 수 있는데, 이는 각 영역에서의 지식과 이해교육을 위한 전제가 된다. 오늘날 미술교육에서 지식과 이해교육은 학습자에게 새로운 정보와 경험을 제공하고, 미술 교과의 정체성 확립과 교과 목표 달성을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우리 미술교육에서는 사회와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새로운 지식을 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이를 학습자의 심화된 이해로 연계하기 위한 교육 방안에 대해 끊임없이 탐구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has tried to identify the context and content of teaching knowledge and understanding in art education. Knowledge is defined as human's clear consciousness based on experience about various objects, phenomena, events, etc. and understanding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think and perform such knowledge flexibly. Teaching knowledge is to acquire the meaning of knowledge specifically, while teaching understanding focuses on grasping generalizations and principles from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tent and meaning of patterned knowledge. Teaching knowledge and understanding in art education has been shaped and changed in its perspective and content by the changes in western art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disciplines, and the changes and proposals in the curriculum system. The various contents presented here are the result of the academic exploration of art educators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are the structure and core content of the knowledge presented for application in art education. In particular, the content elements of each area and category presented in the curriculum can be said to be essential learning elements for knowledge, concepts, and understandings that learners should clearly know through art and learning, which are the prerequisites for teaching knowledge and understanding in each area. Today, teaching knowledge and understanding is actively required in art education to provide learners with new information and experience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art department and to fulfill the curriculum goals. In art education, we should strive to construct new knowledge that society and learners need, and we should constantly explore teaching methods to connect it to learners' deepened understanding.

      • KCI등재

        지리 지식의 유형별 교수학적 변환 방법

        조성욱 ( Sung Wook Cho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내용 교수 지식과 교수학적 변환의 의미와 차이점을 살펴보고, 지리 지식을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별 교수학적 변환 방법을 제시했다. 첫째, 내용 교수 지식은 교과 내용과 학습자의 이해, 교수 방법의 이해에 관한 지식을 포괄하는 개념이고, 교사의 특수성이 반영되기 때문에 명시적이고 구체화하기 어렵다. 이에 반하여 교수학적 변환은 내용 교수 지식과 기반을 같이 하면서도 특히 교육 내용의 분석과 재구성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일반화가 가능하다. 둘째, 교과서의 교육내용 제시 방법을 기준으로 지리 지식을 분류하면 이해형 지식, 경험형 지식, 적용형 지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해형 지식은 사회 현상 중에서 지리적 현상을 인식하고, 분류 및 용어를 부여하는 과정에 관련된 지식이다. 경험형 지식은 이해한 지식을 확인하는 과정에 관련된 지식으로 외부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이해된 지식을 자신의 지식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에 관련된 지식이다. 적용형 지식은 자신이 이해하고 경험하여 자신의 지식으로 만든 지리 지식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서 확인하고 해석하여 변화를 예측하는 것과 관련된 지식이다. 셋째, 각 유형별 지리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방법으로, 이해형 지식은 지리적 현상의 인식 ⇒ 차이점 발견 ⇒ 원인 및 요인 파악 ⇒ 분류 및 용어 부여 ⇒ 용어 및 개념 이해의 순서로 내용을 전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경험형 지식은 사례의 도입 ⇒ 사례 분석 ⇒ 인식 결과 확인의 전개 방법을 제시하였다. 적용형 지식은 사례의 도입 ⇒ 해석 과정 ⇒ 가치 판단 ⇒ 적용 및 예측의 전개 방법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look into the meaning and differenc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didactic transposition`. And examine didactic transposition method of geography knowledge which is classified 3 typ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s comprehensive concept include the understanding of subject contents and learner and teaching method. It is difficult to generalization because of include teach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But `didactic transposition` is focus on analysis and reconstruction of subject contents, therefore it is more simple to find the common and generalization tha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econdary, this study is classify the geography knowledge as understanding knowledge, experience knowledge, application knowledge by presentation method of subject contents in curriculum and textbook. Understanding knowledge is that the cognition the geographical phenomena among social phenomena, find the cause and factor, classify and grant the name. Experience knowledge is that the understand knowledge transpose into reconstruction through analysis and experience by himself. Application knowledge is that reconfirm and interpretation and prediction through various example. Thirdly, didactic transposition of each type is as follows; understanding knowledge is cognition of geography phenomena ⇒ find the difference ⇒ select the cause and factor ⇒ classify and grant name ⇒ understanding of name and concept. Experience knowledge is introduce the example ⇒ analysis and experience ⇒ confirm the result of cognition. Application knowledge is introduce the example ⇒ interpretation process ⇒ value judgement ⇒ application and prediction.

      • KCI등재

        문법 지식의 개념적 이해를 위한 설계

        고춘화(Ko, Chun-hwa) 국어교육학회 2020 국어교육연구 Vol.- No.74

        이 연구는 문법 지식의 개념적 이해를 설계하여 정통적 문법 지식의 교육적 가치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법 지식의 개념적 렌즈(변이, 전형성 등)를 추출한 후 교육내용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개념적 이해를 촉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법 지식은 국어에 대한 탐구와 해석이 녹아있는 개념의 구조체이다. 이해 중심문법 교육의 가능성을 문법 지식과 개념에 대한 기존 논의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문법지식을 깊이 있게 이해함으로써 학습자는 언어에 대한 사실적 정보들을 서로 연결하고 일정한 틀을 파악하여 스스로 앎을 구성할 수 있다. 문법 지식의 본원적 가치는 학습자의 개념적 이해에서 실현된다. 문법 개념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전이가 높은 지식으로 변환하기 위해 개념기반 교육과정의 ‘개념적 렌즈’를 활용하여 문법의 개념적 렌즈를 추출, 적용하였다. ‘변이’와 ‘전형성’은 인간이 언어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문법 현상에 대해 통찰할 수 있게 하는 추상적 개념이다. ‘변이’를 통해 형태소의미 관련 지식을, ‘전형성’을 통해 본용언과 보조용언의 관련 지식을 개념적으로 접근해 보았다. 문법 지식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는 고차적인 사고와 함께 이루어진다. 마치 드릴로 땅을 깊게 파는 것이 넓게 파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듯 문법 지식의 제대로 된 이해는 학습자의 지적 능력을 강화하고 확장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게 할 것이다. This study seeks to design conceptual grammar education by utilizing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grammar knowledge. Through this study, we aim to increase the educational value of traditional grammar knowledge. Grammar knowledge is a structure of concepts that contains explor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language. It is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oriented grammar education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on grammar knowledge. By having an in-depth understanding of grammar knowledge, learners can connect factual information about language to each other, grasp a specific framework, and organize knowledge on their own. The original value of grammar knowledge is realized in the learner’s conceptual understanding. To enhance the learner’s deep understanding of grammar knowledge and transfer price, concept lens of grammar was extracted using the conceptual lens of concept-based curriculum and organized into contents of education . Variety and Typical are abstract concepts that enable humans to gain insight in to the grammatical phenomena that arise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world through language. A deep understanding of grammar knowledge accompanies high-level thinking. Just as drilling deep in to the ground naturally leads to making the ground dig widespread, a proper understanding of grammatical knowledge will strengthen, expand and sustain the learner’s intellectual ability.

      • KCI등재

        리쾨르의 “미메시스(Mimesis) 이론”에 함의된 자기 지식의 개념 연구

        홍윤경(Hong, Yun-Ky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7 敎育思想硏究 Vol.31 No.2

        본 논문의 목적은 리쾨르의 ‘미메시스론’에 의거하여 이야기의 학습을 통하여 획득하는 자기지식의 성격을 고찰하는 것에 있다. 리쾨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메시스의 개념을 계승하면서도 그것을 창작의 이론에 국한시키지 않고, 이야기 속에 들어있는 타인의 행동을 이해함으로써 자기 지식을 획득하는 과정으로 재개념화한다. 리쾨르가 전개하는 ‘삼중의 미메시스론’에 의 하면 미메시스 Ⅰ은 타인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갖추는 과정이며, 미메시스 Ⅱ는 이야기 속에 들어 있는 사고, 즉 ‘가지적 전체’가 무엇인지를 질문하는 일을 가능케 한다. 마지막으로 미메시스 Ⅲ은 ‘가지적 전체’에 관한 질문에 대한 답을 스스로 발견하는 과정이다. 리쾨르에 의하면 타인의 행동을 이해하는 것은 그것을 규범에 비추어 평가하는 것이며, 이 과정 에서 타인의 행동에 관한 이해는 추상성을 띤 규범을 구체적인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이야기 학습을 통하여 타인의 행동을 이해함으로써 독자는 자신이 따르는 현실의 규범에 관한 지식을 보다 구체화할 수 있다. 그리고 규범과 관련하여 독자가 갖게 된 구체적 지식은 다시 독자 자신의 행동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규범에 관한 구체적인 지식 은 독자 자신의 행동에 관한 자기 지식으로 연결된다. 자기 지식은 소크라테스 식의 검토를 통하여 획득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타인의 행동을 구체적인 수준에서 이해함으로써 규범에 관한 지식을 확장시키고, 그것에 비추어 자신의 행동을 이해할 때도 획득될 수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n the concept of self-knolwedge acquired by story learning. Ricoeur, succeeding to Aristotle’s theory of Mimesis, does not confine Aristotle’s to the theory of story creating, but reconceptualize it as the process of acquiring self-knowledge by understanding of other’s action in the story. According to Ricoeur’s theory on “triple Mimesis”, the first Mimesis, that is, MimesisⅠ is to have the pre-understanding which is necessary to understand other’s action. Secondly, MimesisⅡ makes possible for the reader to have the question on “the intelligible whole”, which is the “thought” in the story. Lastly, Mimesis Ⅲ is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 answer to the question on “the intelligible whole” for oneself. Understanding of other’s action is to evaluate it in the light of the norms. As the understanding of other’s action expands, the knolwedge of norms is to be concretized. The concretized knowledge of norms makes the reader understand his or her action better than before. The concrete knowledge of norms leads to self-knowledge on reader’s own action. Self-knowledge is to be acquired not only by Socrates’ examination on ones’ beliefs and opinions, but also by understanding of other’s action by story learning. Understanding of other’s action facilitates to develop the knowledge of norms, which makes possible to reflect on one’s own action.

      • KCI등재

        조세 및 재정에 대한 납세자들의 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강민조 ( Min-jo Kang ),허광복 ( Kwang-bok Hue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1 유라시아연구 Vol.18 No.3

        조세시스템의 특성을 적절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조세법과 조세정책에 대한 상당 수준의 관심과 지식이 요구된다. 조세제도에 대한 납세자들의 주관적 인식과 신념을 조사하는 경우 직면하게 되는 의문점은 설문 응답자들이 과연 현행 조세시스템에 대하여 적절한 판단할 수 있을 만큼 조세 및 재정에 관한 배경지식을 갖추고 있는지는 여부이다. 조세제도에 대한 사전지식과 경험의 차이는 조세제도에 대한 납세자들의 신념 및 태도의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납세자들의 조세이해력(tax literacy)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는 자료수집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제대로 수행되지 않았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조세지식의 대용변수로서 대부분 납세자들이 스스로 보고한 조세이해력 수준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접근법은 납세자들이 자신의 이해수준을 적절하게 판단할 수 있다는 전제가 필요하므로 만약 이러한 가정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 심각한 측정오차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인 조세지식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조세 및 재정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한 구체적인 설문항목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납세자들의 조세이해력에 체계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납세자들의 조세지식 수준의 현황 및 조세이해력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증거를 바탕으로 납세자 교육 및 홍보 전략 수립에 유용한 정책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재정패널조사 자료인 10차 재정패널데이터에 신설된 조세 및 세정에 관한 납세자들의 인식 항목 중 조세제도에 대한 납세자들의 이해도를 직접 측정하는 항목인 정답 및 모름 응답을 조세이해력의 대용변수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납세자들의 행동에 관한 주요 경제·인구통계적 변수들이 조세이해력에 미치는 체계적인 영향을 다변량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정패널데이터의 가구원 의식조사 중 조세 및 재정에 대한 이해도 항목을 조세이해력의 대용변수로 활용하여 실증분석한 결과 납세자들의 경제적·인구통계적 특성의 차이가 조세이해력의 수준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소득수준, 최종학력 수준, 총자산 규모가 높을수록, 남성인 경우, 배우자가 있는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 또는 연말정산 대상의 경우, 서울에 거주하는 경우에 조세 및 재정에 대한 올바른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납세자의 경제·인구통계적 특성이 조세에 대한 올바른 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조세에 대한 무관심에 미치는 영향과 상반된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조세지식의 객관적인 측정치를 활용하여 조세 및 재정에 대한 납세자들의 이해도에 체계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최초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의 차별점 및 학술적인 공헌점을 가진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조세제도에 대한 납세자들의 이해도를 증진하는데 필요한 교육 및 홍보 프로그램의 수립과 실행에 대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Proper deter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ax system requires a significant level of interest and knowledge in tax laws and tax policies. The question facing taxpayer’s subjective perceptions and beliefs about tax system is whether survey respondents have enough background on tax and finance to make appropriate judgments about current tax system. Differences in prior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ax system can have a decis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taxpayer’s beliefs and attitudes toward the tax system. However, despite its importance, empirical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the tax literacy of Korean taxpayers have not been properly conducted due to the difficulty of collecting data. Existing prior studies use mostly self reported tax comprehension level by taxpayers as a proxy for tax knowledge. This research approach requires the premise that taxpayers can appropriately judge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and if this assumption does not hold, serious measurement errors may occur.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systematically affect the tax literacy of Korean taxpayers by using specific questionnaire items that measure their understanding of tax and finance in order to grasp the level of objective tax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useful policy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taxpayer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strategies based on empirical evidence on the current status of taxpayers’ tax knowledge level and the determinants of tax literacy in Korea. Using the correct answer and unknown answer which are the items that directly measure taxpayers’ tax and taxation of representative data from the 10th finance panel survey conducted by Korean Institute of Public Finance, we investigate the impact of Korean taxpayers’ economic and demographic traits on their tax literacy. In particular, the study attempts to discover Korean taxpayers’ economic and demographic traits such as age, gender, education, marital statu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 their tax literacy regarding value-added tax rate, individual as well as corporate income tax rate, etc. The followings 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tax literacy items, it is found that differences in economic and demographic traits of taxpaye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tax literacy. The regression results reveal that higher level of education, higher income, marital status, reporting status, house ownership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degree of un-informed tax knowledge. However, older taxpayers are more likely to be indifferent to the tax system. These results show that 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axpayers have an effect opposite to the effect on the correct perception of tax and the effect on the unknown perception to tax. In this study, we explore traditional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gender, education, marital statu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ax literacy.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and has academic contributions in that it is the first to analyze factors that systematically affect taxpayers’ understanding of tax and finances using objective measures of tax knowledg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useful implication of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 programs necessary to enhance taxpayers’ understanding of the tax system.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shedding new lights on the determinants of tax literacy towards the current Korean tax and fiscal system.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분석론 후서』에 나타난 지식(epistēmē)의 문제

        노희천 범한철학회 2008 汎韓哲學 Vol.51 No.4

        I think it does not seem that Aristotle intends any distinction between nous and indemonstrable knowledge. In order to show this, I consider the passages in problem. In A2 and A3, the first priciples of demonstration are the immediated premisses and these must be indemonstrable. Aristotle holds that not all knowledge is demonstrative; the knowledge of immediated is not by demonstration. He also asserts that there is not only scientific understanding but also some principle of scientific understanding by which we get to know the definitions. It is impossible to reach scientific understanding through demonstration unless one apprehends the immediate first principles. It is plain that we must get to know the primitive premisses by induction; for this is the way in which perception instills universals. By the term nous, in B19 of Posterior Analytics, Aristotle showed the state of having grasped indemonstrable knowledge of the universal. This nous, therefore, must mean the actuality of nous. There can be no scientific understanding of the first principles. It must be nous that apprehends the first principles. By nous Aristotle means the first principles of scientific understanding. Indemonstrable knowledge is the apprehension of an immediated premiss. The first principles are immediate premisses. It does not seem that Aristotle distinguishes between nous, by which he says he means the principle of scientific understanding, and indemonstrable knowledge. 아리스토텔레스의 『분석론 후서』에서 지식과 관련하여, 제1원리들의 지식인 nous가 ‘학적 연역이 불가능한 지식’과 구별된다는 입장과 구별되지 않는다는 입장이 있다. 전자의 입장은 느슨한 의미의 지식을 학적 이해와 ‘학적 연역이 불가능한 지식’으로 분류하고, 이 느슨한 지식에 nous를 대립시킴으로써, nous가 ‘학적 연역이 불가능한 지식’과 구별된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후자의 입장은 학적 이해와 nous가 대립되며 nous가 ‘학적 연역이 불가능한 지식’이라고 주장한다. 논자는 후자의 입장을 지지하며 그 근거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론 후서』 A2장, A3장, 그리고 B19장의 문제 구절들을 검토해보면, 학적 이해와 이것의 제1원리가 대립되며, 따라서 제1원리의 지식과 학적 이해가 대립된다. 둘째, 학적 이해의 제1원리는 보편적・직접적인 전제들이며, 이 전제들은 학적 연역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제1원리는 학적 연역이 불가능하다. 셋째, 학적 연역이 불가능한 제1원리의 지식이 nous이며, 이 nous는 제1원리 즉 보편에 대한 ‘학적 연역이 불가능한 지식’을 파악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nous와 ‘학적 연역이 불가능한 지식’이 구별되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 요양보호사의 필수지식요인이 서비스 연계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를 매개변수로

        장선아 ( Jang Sun Ah ),김광호 ( Kim Kwang Ho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8 사회복지경영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필수 지식요인이 서비스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고, 요양보호사의 필수지식요인이 서비스연계에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검증으로 서비스연계를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론적 근거와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수도권 요양원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총 450부를 배포하여 그 중 연구 목적에 맞지 않는 35부를 제외한 415부를 PASW(SPSS)18.0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대부분 여성요양보호사이며, 50대~60대 이상 연령이 가장 많고, 고등학교졸업이 대부분이며, 근무형태는 2교대 ~ 3교대가 대부분이었다. 근속년수는 주로 1년~4년 미만 근속자가 많으며, 이들 요양보호사들은 1회 이상 이직경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필수지식 요인은 서비스연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수지식 요인을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대상자 이해지식, 실무기초지식,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요양보호사의 필수 지식 요인이 조직 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수지식 요인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대상자 이해지식, 실무기초지식은 조직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요양보호 행정과 특수 일상생활지원은 조직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문화는 요양보호사의 필수지식요인이 서비스 연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의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의 필수지식요인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조직문화는 대상자 이해지식, 실무기초지식, 요양보호 행정 그리고 특수 일상생활지원이 서비스 연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모두 매개 역활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 of care worker's essential knowledge about the person subject to care on the service link and to prepare the measures to increase the service link utiliz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lf-respect on the service link. First,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are workers, all the respondents were the female, the age was mostly from 40s to 60s, and were mostly graduated the high school working double or triple shift. The continuous service years were mostly 1 -4 years and had worked in the nursing home and home-based service institutions. It was represented that these care workers had turnover experience more than once.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essential knowledge of the care worker has significant impact on the service link, In the sublevel factors of the factor of essential knowledge, the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n the person subject to care, basic working knowledge, care administration have the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but the special daily life support does not have significant impact. Third, it was shown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has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impact of care worker's essential knowledge on the service link In the sublevel factors of the factor of essential knowledge, it was shown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has mediating effect on the impact of the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n the person subject to care, basic working knowledge, care administration and the special daily life support on the service link.

      • KCI등재

        교수내용지식의 메타적 이해를 통한 사회과교사의 정체성 탐색

        한광웅(Han, Kwang W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2 사회과교육 Vol.51 No.4

        이 글은 교수내용지식의 메타적 이해를 통해 수업전문성 담론의 균열선을 가로질러 사회과교사 정체성의 상을 발견하려 하였다. 교수내용지식 담론은 사회과교사 정체성을 세 가지로 규정한다. 우선, 교수내용지식 개념에서 사회과교사의 정체성은 사회과학의 내용지식을 교실수업에서 표상하는 역할로 규정된다. 이것은 교수내용지식 개념이 사회과학의 내용지식을 이미 주어진 모종의 무엇으로 가정한다는 점과 맞물려 있다. 둘째, 사회과 교사에 관한 기술적 관점은 궁극적으로 내용지식과 교수행위를 분리하고, 사회과교사의 정체성을 내용지식을 교수학적으로 변환하는 기법적 지식을 소유한 교수기계로 축소한다. 이 시각은 각 영역의 세분화된 항목과 잣대란 규준으로 사회과교사의 상을 코드화하고, 기법적 지식을 소유하였는가 여부에 따라 ‘바람직한 사회과교사’와 ‘바람직하지 않은 사회과교사’의 상을 제도화한다. 셋째, 사회과교사는 다양한 지식기반들을 교실수업의 맥락에서 교수학적 변환행위로 재구성하고 이해하는 실천가이다. 이 시각은 교수학적 변환행위의 재구성과 이해의 역동성에 주목하여 적극적 의미를 부여한다. 이렇게 교수내용지식 담론은 사회과교사 정체성을 규정하는 세 가지 시각들을 내재적으로 함축하고 있다. 사회과교사 정체성을 규정하는 세 가지 시각들은 서로 상이하나, 중첩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수내용지식 담론의 복합적 성격을 나타낸다. This research must discover social studies teacher identity by meta underst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rescribe social studies teacher identity to three image. Firs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rescribe social studies teacher identity to representation of social science’s content knowledge. This suppose social science’s content knowledge for anything. Second, technical view separate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act. And this reduce social studies teacher identity teaching machine that own technical knowledge transform pedagogically social science’s content knowledge. This is coding social studies teacher identity by detail item and standard. Third, social studies teacher is practitioner reconstruct and understand diverse knowledge base by pedagogical transformation act. This give positive meaning for pedagogical transformation act. So,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trinsically implicit three view prescribe social studies teacher identity. This views are different mutually, but represent compositive character at the point of overlaping each other.

      • KCI등재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초점을 둔 수학 수업평가 요소 탐색

        황혜정 한국학교수학회 2010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3 No.4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의 일환으로, 교사 전문성의 핵심 영역인 수업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에 대하여 수업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이러한 취지하에, 좋은 수업, 교사 지식, 수업평가, 수업컨설팅 등에 관한 연구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을 통해 지난 십년간 꾸준히 수행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 결과 중, 교사 지식의 핵심 요소로 ‘교과 내용 지식’, ‘학습자 이해’,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수업 상황’ 등의 지식이 제안된 바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초점을 두고 이에 관한 수학 수업에서의 평가 요소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관한 의미를 재탐색하고, 또한 학습자 이해와 관련된 몇몇 수업평가에 관한 선행 연구 결과들을 분석하여, 학습자 인지 수준, 학습자 오개념, 학습 동기, 수학적 태도, 학습 방법 등의 5개 영역에 따른 수업평가 요소(안)를 마련하였다.

      • KCI등재

        초등 저학년과 고학년의 읽기이해 예측 요인 연구

        윤효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등 저학년과 고학년에서 읽기이해를 예측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첫째, 저학년과 고학년 간에 낱말해독과 언어능력의 읽기이해 설명력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언어능력을 어휘지식과 구문지식으로 나누어 각 언어영역이 학년집단에 따라 다르게 읽기이해를 설명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방법: 초등학교 1-3학년 108명과 4-6학년 68명으로 총 176명의 아동이 참여하였다. 모든 아동은 비구어성 지능지수가 70점 이상인 아동이다. 종속변인으로 읽기이해, 읽기이해를 예측하는 독립변인으로 낱말해독, 수용어휘, 문장따라말하기, 음운인식, 빠른이름대기를 검사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저학년 아동은 낱말해독과 수용어휘, 빠른이름대기가 읽기이해를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고학년에서는 문장따라말하기, 음운인식, 빠른이름대기능력이 읽기이해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라 읽기이해를 설명하는 언어영역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저학년에서는 의미지식인 수용어휘가 읽기이해를 설명하는 변인이었으며, 고학년에서는 구문지식인 문장따라말하기가 읽기이해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저학년에서는 낱말해독능력이 읽기이해능력에 중요한 변인이 되는 반면에 학년이 올라갈수록 낱말해독능력보다는 읽은 내용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언어능력이 읽기이해에 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학년에서는 개별적인 어휘에 대한 지식이 읽기이해에 더 영향을 주는 반면에, 고학년에서는 문장 내에서, 그리고 문장과 문장 간의 구문구조를 파악하는 능력이 읽기이해에 더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낱말해독 정확도뿐 아니라 읽기속도가 읽기이해에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