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중화세계관의 궤적-배우성, 『조선과 중화』(돌베개, 2014) 서평-

        강석화 ( Kang Seok Hwa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7

        이 글은 배우성, 「조선과 중화」(돌베개, 2014)의 내용을 정리하고 몇 가지 논점을 제시한 것이다. 저자는 텍스트 비교 연구에 입각하여 지리 인식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중화세계관의 실체를 규명하려 하였다. 조선은 현실적으로 청의 군사력에 굴복하였으나 조선의 지식인들은 자신만이 중화문명을 보전하는 주체라 생각하였고, 그러한 생각은 지리서와 지도에 잘 나타나 있다. 중국과 조선은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었으므로 중화문화의 계승자로 자처하기 위해서는 이 문제가 먼저 해결되어야 한다. 송시열은 문화적 중화관을 내세우면서 조선이 스스로의 노력으로 지리적 한계를 극복하여 중화를 이루었다고 하였고, 홍대용은 이미 지리적으로 구분되어 있는 중화와 이적이 하나일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풍토동일론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것이다. 국제질서가 변하면서 만주 지역의 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 과정에서 유입된 정보는 조선 북방 지역과 두만강, 압록강 건너편 지역의 지리를 확인하고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는데 이용되었다. 중화사상은 지구가 둥글다는 지리 관념과 서구식 세계지도가 들어온 이후에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중앙 대륙과 바다, 다시 대륙과 바다가 반복되는 형식으로 그려진 천하도가 유행했던 것이다. 대한제국이 일본에 합병되고 만주에 망명한 조선의 지식인들은 중화세계를 지키기 위해 일본의 반성을 전제로 일본까지 포함한 유교적 동양을 세워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조선시대 중화의식의 궤적을 정리한 본서의 학술적 가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극단적인 명분론 중심의 화이관이 형성된 결정적 계기에 대한 설명은 충분하지 않다. 또 중화관의 문화적인 부분을 특히 강조하였으나,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인지 명확하지 않다. 즉, 지리나 풍토, 지맥, 역사적인 노력 등은 모두 조선이 중화일 수 있는 가능성의 근거일 뿐 필연성으로 귀결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조선후기 지식인들이 중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했는지, 어떤 관점을 가지고 있었는지 그 궤적을 추적하는 일은 지금까지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던 중요한 작업이다. 저자는 그 어려운 일을 시작하였고 상당 부분 실체에 접근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밝혀진 실체는 어떻게 해석되고 이해되어야 하며 그것을 바탕으로 어떤 전망을 가져야 하는지에 대한 저자의 입장이 보다 명확히 제시되어야 한다. This article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e Path of Sinocentrism in Joseon Dynasty(조선과 중화)』(Dolbegae, 2014) written by Prof. Baeo Woo Sung suggesting some issues. The author, focusing on perception of geography by text-comparing method, tried to inquire the true nature of Sinocentrism in Joseon dynasty. In reality, Joseon surrendered to the Qing’s military force but intellectuals of Joseon considered themselves were the only people conserving Sinocentric Culture. Those thoughts appeared well in geography books and maps. Joseon was away from China, so the fact should be managed before calling itself the successor of Sinocentrism. Song Si Yeol, referring cultural sinocentrism, told that Joseon tried best to overcome geographic limitations to achieve sinocentric culture. However, Hong Dae Yong claimed that China and the Outlander could not be considered one since they were geographically remote. To resolve the issues, some intellectuals thought that the natural environment of Joseon and China was equal. As the international order changes, the interests about the geography of Manchurian region have become high and the information from them was used to confirm the geography of northern part of Joseon and the other side of the Tumen river and the Yalu river and correct the wrong information. The Sinocentrism had not changed much even the western style world map showing the Earth is round came in. Cheonhado(the map of the whole world) which shows the sea next to central continent and the sea again was still popular. Joseon’s intellectuals who defected to Manchuria as Korean Empire was merged to Japan thought that Confucian Orient should be set up including Japan in premise of its self-examination to preserve the Sinocentric World. This book arranged the path of Sinocentrism in Joseon time, so it means important. However, it lacks crucial reason why the tendentious-justification- centered china centric view was organized. Also, though it emphasized cultural parts of Sinocentrism much, detailed substances are obscure. Therefore, geography, natural characteristics, the vein and the historical effort are just evidences of a possibility that Joseon might be the country of sinocentric culture, but it doesn’t mean it should have been. It has been unapproached but important work to track down how the intellectuals considered sinocentrism and what their perspectives were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The author seems to have started this hard work and almost reached the truth. However, it should be more obvious what the meaning is, how the truth should be interpreted and what prospect we need based on that.

      • KCI등재

        철학부(哲學部) : 중화주의의 원형 재구(再構)와 당대 이데올로기의 조명

        강진석 ( Jin Seok Kang ) 한국중국학회 2011 중국학보 Vol.63 No.-

        中華的``結構``現示中華原型構成爲血緣的親疏原理,地區的遠近原理和以朝貢巡狩爲代表的相互關係.中華的``槪念``現示古代中華的槪念,卽``中國``所區別于夷狄世界來源于文明與野蠻及被侵略與侵略的區分.中華的``標準``顯示文化的層次更高于古代社會最有權威的血緣和地域成分.中華的範疇現示在中國古代社會裏天下觀念比所謂一國的國家槪念或是明顯的地區認同更普遍.後來這``天下``從秦漢代以後發展爲``大一統``面貌.中華的``影響``現示最終能決定中華的條件幷不是用武力所取得的領土,而是``敎化``的問題.中華的``秩序``在隋唐時期成爲所謂``東亞世界``,這時期是文化圈與政治圈合爲統一的時期,現示中華秩序提高爲最高水平.當代中國的思想思潮有中國社會主義意識形態的題材,近代意識形態的遺産以及最近流行的傳統文化,歷史工程,軟實力,中華文明等意識形態的重疊.這些現象可以從``中華``再討論.

      • KCI등재후보

        중화주의는 과연 패권적인가?

        유희성(Yoo Hee-sung)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6 사회와 철학 Vol.0 No.11

        본 논문의 목적은 중화주의(中華主義)의 본질을 밝히는데 있다. 나는 먼저 중화주의가 이중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고, 우리가 패권주의로 인식하는 것은 바로 한대에 변질된 현실적 중화주의라는 것을 밝히려 한다. 중화주의는 공자와 맹자의 유가 철학에 근거하여 합리적이고 이상적인 중화주의의 형태로 나타나지만, 한대에 이르러 법가의 이질적인 요소가 뒤섞여 이상적이며 화해적인 측면과 함께 배타적이며 패권적인 특성을 지니게 된다. 바로 이런 까닭에 중화주의는 역사적으로 개방적·보편적 세계질서로 작용하는 동시에 배타적·패권적 중국질서로 작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그렇게 이중적 의미를 갖게 된 철학적 근거를 밝히고, 중화주의의 본질은 공자와 맹자가 확립한 이상적 중화주의라는 점을 지적하는 동시에 패권적 중화주의를 비판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nature of the so-called Sino-centrism. I first point out that the Sino-centrism has double meanings and then try to show that the Sino-centrism which we view as hegemonialism, in fact, refer to the realistic Sino-centrism which became deteriorated during the Han dynasty. Sino-centrism first appeared as rationalistic and harmonious one which was based on Confucian philosophy of Confucius and Mencius, but in Han dynasty it also came to have exclusive and hegemonical character due to its combination with the extraneous Legalism. This is why Sino-centrism, historically, has been viewed as suggesting not only open and universal world order, but also exclusive and hegemonical world order. In this paper, we try to illuminate the philosophical ground of how the Sinocentrism has come to have such double meanings and then criticize the hegemonical Sino-centrism by claiming that real Sino-centrism was nothing but the idealistic Sino-centrism established by Confucius and Mencius.

      • KCI등재

        중국철학 : 中和中心主義(중화중심주의)를 통해 본 氣質論(기질론)

        조민환 ( Min Hwan Jo ) 동양철학연구회 2014 東洋哲學硏究 Vol.80 No.-

        儒家가 誌向하는 美意識과 상관된 人物의 性情氣質論에서 가장 重視하는 것은 中和, 中庸, 中行이다. 儒家는 이런 中和와 中行을 중심으로 삼아 그것을 벗어나는 ‘偏’ 즉 過와 不及(혹은 不逮)을 批判하는데, 유가의 性情氣質論에서 中和와 對比되는 次元에서 말해지는 代表的인 것은 狂과 견이다. 儒家는 狂과 견처럼 ‘有偏有倚’한 것을 흔히 ‘偏’이라는 用語를 통해 規定한다. 孔子는 기본적으로 狂과 견을 배척하지 않는다. ‘六言六蔽’를 말하는 공자는 學과 不學의 유무에 따라 인간 性情氣質의 偏을 論하면서 아울러 學을 통한 氣質變化의 可能性을 열어놓는다. 공자의 이런 思惟는 以後에 주로 유학자들이 인간기질을 평가할 때 有效하게 作用한다. 劉초는 『人物誌』에서 인간의 性情과 氣質을 다양한 觀點에서 논하면서 平淡無味의 中和를 이상적인 것으로 규정한다. 劉초가 中和와 대비하여 말하는 성정기질론의 대표적인 개념은 抗과 拘인데, 過로서의 抗과 不逮(=不及)로서의 拘는 狂과 견의 다른 표현이다. 中國의 書畵藝術은 예술이란 작가의 마음과 기질을 표현하는 것으로 규정한다. 서예를 ‘心畵’라고 규정하는 것은 대표적 예에 속한다. 예술이 心을 표현한 것이라면 유가의 中和中心主義와 관련된 인간기질에 대한 이해는 예술창작의 결과물에 대한 비평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즉 中和를 담아내 작품은 이상적인 작품이고, 中和를 벗어난 작품은 어느 한 경향성(=偏)을 담고 있는 것으로 보고 문제시한다는 것이다. 이런 점은 孫過庭이나 項穆의 中和를 통한 서예인식에 잘 나타난다. 특히 項穆은 『書法雅言』의 「中和」, 「心相」을 비롯한 여러 편에서 中和中心主義를 강조하면서 狂견에서 中行으로 나아가야 함을 말한다. 모든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多洋한 기질을 가지고 태어나며, 다양한 기질은 다양한 예술작품으로 나타난다. 儒家의 中和中心主義입장에서 각각의 개성에 따른 예술창작의 結果物을 한쪽에 치우친 것으로 여기는 편향성은 일정 정도 문제가 있다. The Pre-Qin Confucian poets concept ``Beauty of Neutralization and Harmony`` and ``neutralization-centrism``, with its profound philosophical foundation and fervent human care, has made a profound and extensive impact on many areas of chinese culture. It has become on the most important chinese classical aesthetics proposition, and become a indispensible construction. This trend greatly influenced the Chinese calligraphy. Evolving into a kind of beauty, KuangJuan have experienced transformation from the philosophy category to aesthetics category. The KuangJuan beauty is a kind unique aesthetics formation, especially formed on the Wei - Jin period. But KuangJuan beauty was regarded as a heresy and ostracised by confucian scholar and ``neutralization-centrism`` Liu Shao``s Jen Wu Chih is a monograph on talented person research in Wei - Jin period. He explored classification, recognition, application of talented person in detail. The rule of individual``s nature has nine characteristics. If only one of characteristics emerged, the one would be called prominent characteristic. th this analysis above, Liu Shao classified different types of talented person and tried to construct supported theory. Restoration of classic calligraphy Neutralization by Xiang Mu. Xiang Mu was he author of Shu Fa Ya Yan. Shu Fa Yu Yan came from the standpoint of confucianism, also revealed the calligraphy was product of the time and society. Xiang Mu the classic calligrapher combined the classic theory of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the beauty of neutralization``. He applied the confucian school of idealist philosophy of ethics into the calligraphy that is the restoration of ancient neutralization. At present the situation of calligraphy is the trend of neutralization of old style based on harmony neutralization.

      • KCI등재

        中和美의 繪畵的 表現硏究

        김지현(Kim, Ji-Hyun) 동서미술문화학회 2015 미술문화연구 Vol.7 No.7

        인간 삶 속에서 예술은 생명적 감동을 느끼게 하고 정서적으로 안정되게 하여 인생을 보다 윤택하게 만들며 긍정적 영향력을 끼친다. 이러한 예술범주 가운데 회화는 외부 사물들과의 감정 교류에서 감성이 풍부하게 작용할 때 내재된 정감(情感)들을 화면에 표현하는 장르인데, 그 때에 드러내는 미적가치를 중화미(中和美)로 드러내는 회화적 표현을 연구해 보려는 것이다. 이 중화미를 이루려면 우선 내재적 형상으로서 집중(執中)해야 하고, 집중을 회화적으로 구현하는 치화(致和)의 단계를 거치면 다음단계는 저절로 회화적 완성단계로 치중화(致中和)에 이르러 중화(中和)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기에 본 연구는 중화미에 관한 예술적 근거를 유가(儒家)의 중화이론(中和理論)을 통해 연구하여 중화의 사상적 배경이나 미학적 측면을 고찰한 후, 예술작품과 관련하여 그 예술적 근거를 찾아 치중화로서의 회화표현을 이론적으로 구축하고자 하는 논문이다. 중화미의 회화적 표현에 관하여 연구해 본 결과 회화표현을 하는데 있어 중화가 집중, 치화, 치중화의 과정을 거쳐 즉, 작가의 내재적 형상이 균형 잡힌 형식과 내용으로 구현되었을 때 중화미의 가치를 드러내는 회화작품을 창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로써 현대인과 미술 분야에도 중화적 아름다움이 긍정적 영향을 끼쳐 보다 바람직한 예술활동을 하는데 적용되어 회화표현에 있어 이상적 아름다움이 현시되게 함으로써 현대미술에 기여하였으면 한다. Ar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life by letting people feel live impression and emotional stability, and by making life richer. Among these categories of art, painting is a genre that expressing inherent emotions, when the artist is influenced by emotional exchanges between himself or herself and external objects, to the screen. I am going to study picturesque expression that discloses aesthetic value through the beauty of Supreme harmony at this moment. To reach the beauty of Supreme harmony, first the author needs to holding fast mean and emotion (執中) as an inherent form. After the stage of attainment of harmony(致和)which realize this holding fast mean and emotion to a pictoral form, next step is a completion phase that naturally complete Supreme harmony by reaching attainment of the supreme harmony to the fullest(致中和). Considering this phases, this study will focus on theoretical establish of picturesque expression as a attainment of the supreme harmony to the fullestby reviewing artistic base of the beauty of Supreme harmony from Supreme harmony theory of Confucianism(儒家), studying ideological background and aspect of esthetics of Supreme harmony, and finding artistic basis regarding specific art works. As a result of the study regarding picturesque expression of beauty of Supreme harmony, I found author can create an art work that reveals the value of Supreme harmony when Supreme harmony is expressed through holding fast mean and emotion, attainment of harmony, and attainment of the supreme harmony to the fullest stage-in other words, author’s inherent shape is expressed to balanced form and content. I hop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contemporary art by the beauty of Supreme harmony influencingour contemporaries and field of art positively, by being applied to desirable art works, and by showing ideal beauty from picturesque expression.

      • KCI등재

        17,18세기 중화담론의 주체성 반성

        이진경 ( Jin Kyung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79

        17,18세기의 조선중화는 청의 야만적 패권에 대항해서 생겨난 산물이다. 조선중화는 중화문화에 대한 문화적 자신감을 가지고 붕괴된 중화를 계승하는 주체로 자임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조선중화는 부조리한 세계 속에서 중화의 이상과 주체의 욕망을 재구성해낸 관념 속의 존재였다. 현실에서 조선은 중화문화의 주체도 될 수 없었고, 능동적으로 중화문화를 활용해서 자신을 실현해 나가는 주체성도 가지지 못하였다. 중화가 붕괴된 뒤에도 조선은 여전히 중화의 문화와 질서를 고수하였고 그것을 의리라고 생각하였다. 존주론과 대명의리론이 근거하는 춘추대의(春秋大義)는 존주양이(尊周攘夷)의 배타성과 위계성을 정명(正名)의 윤리로 보편화한 도덕논리였다. 조선중화주의는 중화를 절대적 표준으로 추종하면서 조선의 고유성이나 특수성을 억압하였고, 관념 속의 주(周)와 명(明)의 중화에 종속되었다. 조선중화는 중화문화를 수용한 조선을 의미한다기보다, 자신의 고유성마저 극복해야 할 이적의 흔적으로 여겨서 완전한 중화가 되기를 바랐던 기만적 주체였다. 사라진 중화에 대한 의리는 관념 속의중화에 충성하도록 하였고, 기만적 주체성은 현실에서 자기 자신과 주변 세계로부터 스스로를 소외시켰다. 조선중화 담론을 주도한 주체는 현실 속에 있는 권력이었다. 왕실과 노론은 정통성과 권력을 강화하는데 존주양이와 대명의리의 도덕의리를 활용하였다. The Sinocentrism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is a product of opposition to the barbaric hegemony of the Qing Dynasty. With cultural pride in the Chinese culture, ideologists of Sinocentrism in Joseon boasted that it inherited the collapsed the Chinese empire. But in actuality, Sinocentrism in Joseon was merely a concept that reconstituted the ideals of Sinocentrism and the desire of the subject in an irrational world. In reality, Joseon could not be a subject of Sinocentrism and did not possess the subjectivity factor to achieve self-realization by actively engaging in Sinocentrism. Even after the collapse of Sinocentrism, Joseon adhered to the former``s culture and order, and regarded this as loyalty. Chunchudaei(the confucian thought of righteousness), on which Jonjuron (respect for the Zhou Dynasty) and Daemyeongeuiri (loyalty to the Ming Dynasty) are based, was a moral logic that generalized the exclusivism and hierarchy of Jonjuyangi (the ideology that demands admiration to the Zhou Dynasty and ostracism of the barbarians) with the principle of Jeongmyeong (rectification of names). Sinocentrism in Joseon treated Sinocentric ideology as the absolute standard, suppressed the originality or the uniqueness of Joseon, and was subordinate to the Sinocentrism of the Zhou and Ming Dynasties. Sinocentrism in the Joseon Dynasty did not indicate Joseon embracing Sinocentric culture, but rather, implied that it was a deceptive subject that overthrew its own uniqueness and wished to be part of China. The loyalty to the disappeared Chinese empire made Joseon faithful to the notional China, and the deceptive subjectivity isolated Joseon from the actual Joseon and its neighboring world. It was the authorities in reality that led the Sinocentrism discourse. The royal family and Noron (ruling elites) used Jonjuyangi and Daemyeongeuiri to consolidate its power and legitimacy.

      • KCI등재

        한국에서 대중국관념의 변화:중화주의, 소중화주의, 탈중화주의

        장현근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1 아태연구 Vol.18 No.2

        This article point to examine closely the essence of Sino-Barbarian(華夷) dichotomy and Sino-centrism. This article also ask the origin of Korean Small-Sinocentrism, and explain the process what the Sino-centrism has spread to Chosun intelligentsia as a Little China(小中華) or Korean Sinocentrism, and the Silhak(實學) scholars’s solution as a Post-Sinocentrism. Originally the concept of Han nationality(華夏) and Yi nationality(夷狄) are quite distinct from each other, not use to cultural superiority. But in the Zhou(周) dynasty, Sino-Barbarian dichotomy has passed from a mere local problem to a contempt for all Barbarians in some regards. Sinocentrism is closely associated with cultural discrimination. Korea as a surrounding nations is influenced by the Sinocentrism, and then neo-Confucian scholars in the Chosun dynasty is simply following in the path of the Sinocentric cultural superiority, named as Korean small-Sinocentrism. But Chosun people's cultural superiority over Qing(淸) dynasty, overcome traditional Sino-Barbarian dichotomy by Silhak scholars, and an agitation of toadyism in Chosun follows penetration of Western powers. As a result, post-Sinocentrism at the end of Chosun wasn't based on internal introspection but formed blindly, the Korea of today fell into universalism of Western culture. And there is an establishment of an intellectual independence as an alternative idea. We need Korean identity in the real meaning. 이 글은 중화주의의 본질은 무엇이며, 우리나라 소중화주의는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언제 어떤 계기로 우리가 탈중화주의의 길에 들어서게 되었는가에 관한 연구이다. 지성사적 관점에서 우리의 대중국관념 전환을 살펴보고, 앞으로 중국의 문화우월주의적 중화주의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생각해보고자 한다. 원래 단순한 민족구분에 쓰였던 화하(華夏)와 이적(夷狄) 개념은 주나라 성립시기 문화적 우열을 가르는 개념으로 변질되었고, 화이론은 더욱 왜곡되어 이민족에 대한 천시와 멸시로 이어지게 되었다. 중화주의는 본질적으로 문화우월주의의 산물이며, 중국 중심 세계관의 압축적 표현이며 불평등 의식의 산물이다. 중화주의의 깊은 영향을 받은 조선시대 주자학자들은 불평등한 중화문화 우월주의를 답습하면서 소중화주의로 발전을 하였다. 그러나 조선 후기 북학론의 등장은 기존의 소중화 문화의식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문화와 중국문화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을 하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시작된 탈중화주의의 싹은 내부문화의 발전을 통한 주체적 전환이 아니라, 제국주의 침탈이란 외적 환경과 맞물리면서 친서학으로방향전환을 하였다. 지성 내부의 비판과 대안 모색의 과정을 생략한 체 친서양적 관념이 중화주의를 대체하게 된 것이다. 서구중심주의와 중화주의의 질곡에서 벗어나 한국적 정체성을 확립하려면 한국 사상사의 독자적 맥락을 확립해야 할 것이고, 그 길을 통해서만 진정한 의미의 탈중화주의가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麗末名儒牧隱李穡的中華思想探析

        범영총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3 嶺南學 Vol.0 No.23

        本文旨在探討高麗 (公元918∼1392年) 末年名儒牧隱先生李穡 (公元1328∼1396年) 的中華思想. 作爲麗末名儒之一, 李穡於宋代 (公元960∼1279年)性理學在朝鮮半島上的傳承與發揚實有大功, 朝鮮王朝 (公元1392∼1910年)初年的著名性理學者之中, 權近 (號陽村, 公元1352∼1409年) 及鄭道傳 (號三峰, 公元1342∼1398年) 堪稱 “雙璧”, 均曾受學於他; 而李穡對於宋代性理學建基於儒釋道 “三敎合流” 此一事實的認識, 以至其對 “援佛入儒” 的提倡, 更爲麗末群儒中之少數, 足見其對華夏文化的深刻理解與不凡見識. 李穡曾經長期留居中國, 致力學習朱子 (朱熹, 號晦庵, 公元1130∼1200年)性理學, 又參加元朝 (公元1271∼1368年) 科擧, 與元朝官員及學者多有交往,對蒙元政權之本質, 尤其元室對高麗的長久剝削與欺壓, 認識甚深, 頗感不滿. 李穡的詩文作品中, 也曾提及宋朝賜贈高麗 “小中華” 的稱號, 以及宋室將高麗使館命名爲 “小中華館” 等往事; 在其詩作『我昔』中, 更有 “已恥爲小人, 祗願爲君子; 及游學中華, 益勵前日志” 一句, 足見其慕華之情; 也隱然反映他對蒙元出於夷狄的묘視. 李穡的中華思想, 以及他對 “小中華” 的追述, 可說是朝鮮王朝時代“小中華” 意識的起源, 影響至爲深遠. 至於麗鮮易代以後, 李穡恪守 “不事二君”的傳統儒學大義名分思想, 拒絶爲朝鮮王朝效力, 更見其對宋代性理學精神與原則的堅持. 由是, 透過考察李穡的一生言行, 不僅能探究其中華思想, 更能進而察見麗末鮮初改朝換代期間的文化發展圖景, 頗具學術價値. 본문은 고려(A.D.918-1392)말 名儒 牧隱 李穡 선생(A.D.1328-1396)의 중화 사상을 탐구한 논문이다. 고려 말 名儒의 한 사람으로서 李穡은 송대(A.D.960-1279) 性理學이 한반도에 전승, 발양되는데 실로 큰 역할을 하였으며, 조선왕조(A.D.1392-1910) 초기의 저명한 성리학자 중 “雙璧”이라 할 수 있는 권근(호 陽村, A.D.1352-1409) 및 정도전(호 三峰, A.D.1342-1398)이 모두 그에게 수학하였다. 또한 이색은 송대 성리학이 유·불·도의 “三敎合流”에 기반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에서, “援佛入儒”의 제창에까지 이르러, 고려 말 여러 유학자 중에서 드물게, 그의 華夏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와 비범한 식견을 충분히 알 수 있다. 이색은 일찍이 중국에 장기간 거류하며, 朱子(朱熹, 호 晦庵, A.D.1130-1200) 성리학 학습에 진력하였으며, 元朝(A.D.1271-1368)의 과거에도 참가하여 元朝의 관원 및 학자들과 많은 교류를 하였고, 蒙元정권의 본질에 대해, 특히 원 황실의 고려에 대한 장기간 착취와 압박에 대해 깊이 인식하고 자못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이색의 시문 작품 중에서도 일찍이 宋朝가 고려에 “小中華”라는 칭호를 내린 일과, 송 황실이 고려의 使館을 “小中華館”으로 명명한 일 등을 언급하였다. 더욱이 그의 詩作 <我昔>중에는 “已恥爲小人, 祗願爲君子; 及游學中華, 益勵前日志”의 구절이 있어, 그의 ‘華’에 대한 사모의 정을 충분히 알 수 있으며, 그가 蒙元을 夷狄으로 경시한 것도 은연중 반영 되어 있다. 이색의 중화사상 및 그의 “小中華”에 대한 술회는 조선왕조 시대 “小中華”의식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영향이 지극히 컸다. 고려-조선 교체 이후에도 이색은 “不事二君”의 전통유학 대의명분 사상을 엄격히 지켜 조선왕조의 노력을 거절하였는데, 그의 송대 성리학 정신과 원칙에 대한 견지를 잘 보여준다. 따라서 이색 일생의 언행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그 중화사상을 탐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고려 말 조선 초 왕조 교체 기간의 문화발전 모습을 살필 수 있는데, 이는 학술적 가치가 있는 것이다.

      • KCI등재

        표현재료의 중화(中和)작용을 통한 한국화 연구

        김지현(Kim, Ji-Hyun) 동서미술문화학회 2020 미술문화연구 Vol.16 No.16

        본 연구는 예술로서의 회화적 의미를 부여하기 위하여 표현 재료 간의 中和作用을 어떤 방법으로 구현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中和에 관한 예술이론은 孔子(B.C. 551~479)가 집대성한 中庸思想에서 착안된 이론인데, 그 中和는 최고로 조화로운 상태를 의미한다. 이 중화작용은 예술적으로 표현하는 繪畵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작품 제작을 할 때 표현 재료를 중화작용 되도록 하여 실제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한국화의 예술적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첫째의 바탕 화면인 천을 중화시켜 표현하는 정감세계에서는 면직물이 가진 물성적 특징에 의해 스며든 얼룩과 흔적들의 자취가 과거의 체험으로 인해 축적된 연구자의 자연 정감들을 자극해 회화적 화면을 만들게 되는 도화선 역할을 하고 있기에 중화적 표현이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둘째의 색들을 융합하여 드러내는 회화세계에서는 수묵과 채색의 재료 특성상 두 매체 간에도 중화작용을 하고 있음은 물론 한국화 표현 기법을 활용하여 확장되는 중화적 회화 표현 방법을 연구하였다. 셋째의 중화된 재료와 내적 정감의 표현에서는 재료와 내면의 중화작용을 활용하여 예술적 의미부여 형식을 표현하는 방법을 고찰하고, 이 의미 부여의 형식이 중화적 표현들로 인해 공감의 내용이 되는 것임을 발견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논문은 한국화의 재료나 매체의 전통적인 연구보다 이 표현재료들의 물성적 특성과 함께 중화작용에 의한 내적 정감을 표현하는 한국화 기법을 연구하였다. This research is on how to embody the action of supreme harmony between the expressive materials in order to attribute the pictorial meaning as art. The art theory on the supreme harmony was based on the moderation ideology gathered by Confucius(B.C. 551-479), and the supreme harmony means to be the best harmony status. This action of supreme harmony is made in the pictorial process that express artistically. Therefore, the researcher attributes the artistic meaning of Korean painting by making the expressive materials be supremely harmonized and producing the real work when making a work. In the world of sentiment that expresses the cotton, the first screen, supremely harmonized, the trace of strains absorbed by characteristics of materiality, such as the absorptiveness and durability, of cotton displays a role of the fuse by stimulating the natural feelings of researcher accumulated by the past experience and making the pictorial screen so the researcher found that it is possible to make the supremely harmonized expression. In the pictorial world that demonstrates the second colors fused, the action of supreme harmony is not only made even between two media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k and coloring materials, but also it is possible to use the application method of Jeokmuk, Balmuk, Seonyeom, Baechae, Jungchae so the researcher could find the action of supreme harmony extended. In the third material supremely harmonized and expression of internal feeling, the researcher studied that the expressive method as well as form of assigning artistic meaning becomes contents of sympathy by intended supremely harmonized expressions, utilizing material and internal action of supreme harmony. Based on this, this research explores characteristics of materiality of expressive materials and techniques of Korean paintings representing internal feeling through the action of supreme harmony, rather than conventional studies of material or medium from Korean paintings.

      • KCI등재

        18~19세기 조선 중화론과 일본 국체론 비교연구

        이미림(Lee Mi rim) 동양사회사상학회 2016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1

        18~19세기의 동아시아는 서세동점으로 인한 서구문물의 도입이 본격화되는 시기였다. 따라서 서구 문화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전통적 가치는 점점 그 빛을 잃어가고 있었기 때문에 고유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노력 또한 어느 때보다 절실한 일이었다. 서구 문물이 들어오기 시작하던 시기에 타자(서구)와의 관계성 설정의 문제는 매우 민감한 사안이었다. 정치·경제적 측면에서 타자가 ‘나’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신중하게 고려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급격한 사회변동으로 인해 동양과 서양의 대립은 가치관에 혼란을 가져왔고, 그로 인해 많은 부분들에 변화가 시작된 시기였다. 동양에 있어서는 기존 가치 체계의 무너짐을 경험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사상적 체계가 급속도로 바뀌어갔다. 주로 자존의식을 강조하는 입장에서는 기존의 가치체계를 굳건하게 지키려 하였고, 한편으로는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여 변화를 도모해야 한다는 입장이 대립되었다. 일본의 ‘국체’개념은 18세기 국학파의 모토오리노리나가(本居宣長)로부터 체계화 된다. 서구문물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종래의 중화관(中華觀)을 무너뜨리고 그들만의 새로운 ‘중화(中華)’의 개념을 만들어낸다. 일본형 화이의식에서는 일본이 ‘화’가 되는 근거를 무위(武威)이외에 천황이 존재하는 ‘신국(神國)’이라는 점에서 찾았다. 진짜 중화는 천황을 정통으로 계속해서 이어온 일본이야말로 중화라는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중화’개념은 서구의 충격에 따른 이데올로기의 재무장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일본은 초창기에 중국의 중화주의를 그대로 받아들였지만 일본적 중화주의를 찾는 과정에서 천황 정통론 등을 주장하면서 일본적인 것의 힘을 ‘무국(武國)’개념에서 찾고 기존의 중화주의와 차별화를 시도한다. 화·이(華·夷)를 엄격히 구분하는 전통적 중화주의를 기반으로 ‘신국’관념과 결부되어 민족주의적 요소를 포함하는 국체론의 개념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조선중화주의는 조선의 문화적 자존의식을 기반으로 화·이의 분별을 통해 화(華)인 주체의 입장에서 이(夷)를 상대화시켜 중국의 전통적 중화주의에서 이탈하는 특징이 있다. 근세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시기의 일본은 조선·중국과는 달리 현실적 힘의 관계를 인정했으며 그것을 보다 넓은 시야에서 본다면 근대 유럽의 국제관계와 충돌하기 시작했던 시기에 중국방식의 화이관념을 부정하고 벗어나는 것을 용이하게 만들었다. 바꾸어 말하면 동아시아지역의 보편적인 가치이념으로부터 떨어져서 근대 유럽의 제국주의의 길을 걷는 것, 결국 탈아입구(脫亞入歐)가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조선의 입장에서 본다면 그것은 왜양일체로서의 왜이(倭夷)로 전락하는 것이기도 했다. During the 18~19th centuries Western culture started to move in East Asia. Therefore, it was more important than ever to make efforts in order to protect the eastern cultural identity from the growing influence of the Western culture. In fact, the traditional values were gradually starting to fade away at that time.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with another party (the West) was a very sensitive issue when the Western Civilization had just started to move in. It was important to consider political and economic influence. A sudden changes resulted in the conflict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which caused confusion in values. It was a period of tremendous change in many areas. most of all, the way people think has rapidly changed existing value system started to fall and didn t work any more People who emphasized the sense of cultural independence tried to firmly maintain the existing value system, while there were other people who argued for the change by accepting the Western culture. These two parties confronted each other. The Japanese concept ‘National Polity’ was systemized in 18th century by MOTOORI NORINAGA ( ) who belongs to the school of national learning. It destroyed the traditional Sino-centrism point of 中華(Zhōnghuá) and built a new ‘Cultural Imperialism 中華(Zhōnghuá)’ concept of their own. The Japanese idea of Centralism has its basis of ‘culture (huá)’ on the military prestige(武威) as well as the ‘divine land (神國)’ where the Japanese emperor reigns. According to them, the Japanese Cultural Imperialism is a true cultural imperialism 中華(Zhōnghuá) as they have succeeded the authentic and divine Emperor (天皇) system continuously. Such new concept of ‘cultural imperialism Zhōnghuá(中華)’ have significance because it is an ideological rearmament caused by the Western cultural impact. Although Japan has accepted the idea of following chinese culture just as it is at the begining they started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 existing concept by defining the power of Japanese culture with the concept of ‘Warrior Nation (武國) at the same time insisting the theory of Authentic Lineages of the Divine Emperors. Together with the traditional Sino-centrism which strictly distinguishes Chinese 華(huá) from the barbarians 夷(yí), the idea of ‘Divine land(神國)’ has developed the idea of Japanese National Polity which includes the elements of nationalism. In contrast, Joseon s 中華主義 (Zhōnghuázhǔyì) has its basis on the sense of cultural independence of Joseon from china and it is different from Japan sin they divided 화 and 이 and consider themselves as part of 華(huá) not 夷(yí) It is a breakaway from the traditional Sino-centrism.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premodern and modern era, Japan was interested in gaining practical power, unlike Joseon and China. From a wider point of view, it made easier for Japan to be sperated from Chinese idea of 華夷(huáyí) idea when they had started to conflict with the modern European international relations In other words, it is leaving asia to enter westenworld (an argument for leaving Asia / 脫亞入歐), which is away from general value and ideology of the Eastern Asia but follows the modern European imperialism. however, from Joseon’s point of view, it only meant the degradation of Japan to 倭夷 (japan-barbarian) by being in the same sade with the Western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