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정부 유학생 교육정책의 계보와 과제

        김성은,이교일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5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정부의 유학생 유치 및 관리를 위한 교육정책의 변화를 계보학적으로 성찰함으로써 유학생교육정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문제는 1967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 정부 유학생 교육정책의 배경과내용이 무엇이며, 그 시행결과는 어떠하였는지 분석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주요문헌은 교육부 유학생 정책보고서, 교육통계, 언론 기사 등이다. 연구결과, 한국 정부의 유학생 교육정책은 한국의위상을 높이기 위한 외교정책, 무역수지 개선을 위한 경제 논리, 우수 유학생 유치를 위한 정책에 따라 변화하였음을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 정부의 정책이 유학생 유치확대와 관리 강화 사이에서 딜레마를 겪어왔으며, 유학생 정책의시기별 변화가 외국인 유학생의 증가율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한국 정부의 유학생교육정책이 더 많은 유학생을 유치하는 데 그치지 않고, 고등교육 국제화의 일환으로서 외국인 유학생에게 높은수준의 유학경험과 교육자본 축적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ways to advance education policies to recruit and manage international students through genealogical research on the changes in the Korean government’s policies. It traces the changes in backgrounds, contents, and outcomes of the government’s policies on international students since 1967 based on archival research on news media, government policy reports, and relevant official statistics. This article reveals that the policies on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have been transformed based on the changes in policy rationales — from diplomatic reason to raise Korea’s global status to economic reason for trade balance and for recruiting elite students. Furthermore, the changes in education policies of the Korean government not only shape the shift in numbers of international students but also university policies to manage international students. Eventually, this article claims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map out its policies on international students by situating them within the concept of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 KCI등재

        한ㆍ중ㆍ일 3국의 정부지원 유학생정책 비교 분석

        남수경(Nam, Soo-Kyo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2 比較敎育硏究 Vol.22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compare with each other the global scholarship policy of Korea, China, and Japan, which is supported by government,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of the Global Korea Scholarship(GKS) program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comparison study with Chinese and Japanese policies, the implications for GKS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GKS program needs to be redesigned according to the boundaries of in-bound and out-bound countries. Especially, the GKS program for neighboring countries’ focusing on East Asian countries, could be developed as the Union of East Asian Nations. Second,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GKS, the government needs to cooperate more actively and systematically among related departments through all the steps as a national foreign policy, that is, from establishing goals to evaluating performance. Third, the perspectives on GKS must be expanded, not just as a kind of scholarship, but as a policy for developing Korean culture and language. Fourth, out-bound GKS programs must be greatly expanded in relation to short-term programs as well as the quality of in-bound GKS programs. Finally, out-bound GKS programs for the Asian developing countries need to be redesigned and operated under the focus of ODA, to support the invited Parties beyond the foreign resource policy. 이 연구는 한ㆍ중ㆍ일 3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부지원 유학생정책의 주요 특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국 및 일본과 국제교육 교류 분야에서 앞으로 어떻게 경쟁하고 협동하여 갈 것인가에 대해서 시사점을 찾고 장차 우리나라 정책의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ㆍ중ㆍ일 3국 정책의 비교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Global Korea Scholarship(GKS)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GKS의 초정 및 파견사업에서 선발 대상국가에 ‘주변국’을 별도의 범주로 구분하여 접근함으로써 동아시아 국가 협력의 기반으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GKS를 장학금이라는 재정지원정책에서 한걸음 나아가 자국의 문화와 언어에 대한 사전 이해와 전파정책으로 이해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내국인 파견 GKS는 단기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획기적으로 확대 운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아시아 개도국을 위한 GKS 외국인 초청사업은 자원외교의 관점을 넘어서 초정 당사국의 발전을 지원한다는 교육 ODA의 관점에서 설계, 운영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정책의 변천과정에 대한 소고

        이상률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0 한국어문화교육 Vol.4 No.1

        본고는 외국인 유학생 유치와 관련된 정부정책의 변천과정 및 내용을 살펴보고 외국인 유학생을 직접 선발하고 가르친 경험을 토대로 정책의 효율성을 비판적 시각에서 조망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정부정책을 크게 교육과학기술부와 법무부 그리고 문화관광부의 정책으로 구분 정리하여 각 정책의 변화와 정책간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살펴본 결과 외국인 유학생 유치정책 수립과 개선방안 마련에 있어서 교육과학기술부와 법무부 그리고 대학간의 정보공유 및 의사소통 미비로 인해 정책의 효과를 최대화시키지 못했음을 알 수 있었다. Since 1999, Korean government has tried to improve several policies connected with recruitment of foreign students. However, there was not information-sharing and suf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Ministry of Justice and Universities. Especially the lack of information about how to choose and care for foreign students in Universities caused many kinds of social problems such as illegal employment and leaving the university. In this paper, I proposed that Universities should more carefully check the economic and scholastic ability of foreign students when they are recruiting foreign students. And after forming a foreign student recruiting alliance between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Ministry of Justice and Universities, they have to share information and improve relevant policies.

      • KCI등재

        이민현상에 대한 지방정부의 자율적 대응 - 제3차 대전광역시 외국인정책을 중심으로 -

        최선영,김율희 한국도시지리학회 2023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는 이민현상에 대한 지방정부의 정책적 대응으로서 지방정부가 자율성을 가지고 추진하는 외국인정책을 분석하여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상호보완적인 이민정책 모색에 갖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는 제3 차 대전광역시 외국인정책시행계획(2018-2022)의 유학생 대상 정책을 중심으로 정책예산, 정책내용, 정책체계에대한 텍스트분석을 통해 지자체의 자율성, 중점 분야, 정책적 지향성 및 지역사회 거버넌스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대전시는 관내 핵심이 되는 유학생 집단에 대한 정책적 지원 및 잠재적 유학생 확보에 자율적·선제적으로 대응해 왔음을 알 수 있다. 더불어, 대전시 외국인정책은 수직적 거버넌스에 의해 추진되고 있는데, 추후 지역중심 정책의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지역 내 보다 다양한 주체들과의 협력체계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향후 지역기반 이민정책에 대한 실증 연구들이 지방정부의 자율적 대응방식을 살펴보는 데 구체적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ddresses local government autonomy in immigration matters by examining foreign resident policy as developed at the discretion of the local government in order to improve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in immigration policy. Focusing on policy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Third Foreign Resident Policy Implementation Plan (2018-2022)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we conduct a textual analysis of the policy’s budget, content, and structure, and examine the degree of local government autonomy, its various foci, policy orientation, and local governance structures. Our findings indicate that Daejeon has been autonomous and proactive in attracting and providing policy support for its international student population, as the city’s core foreign demographic group. While Daejeon’s current immigration policy governance is primarily vertical, it is advisable to partner with more diverse regional actors to organize a collaborative system for locally-based policy sustainabil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concrete methodology for examining local government autonomy for future empirical studies of locally-based immigration policy.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정부초청 장학제도 비교연구

        박지우,김신의 한국비교교육학회 2023 比較敎育硏究 Vol.33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정부초청 장학제도인 GKS사업과 풀브라이트 장학제도를 중심으로, 두 제도의 운영방식이나 변화양상을 분석하여 이에 적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비교 분석을 통해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가비교연구와 문헌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분석의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비교준거를 도출하였으며, 정부초청 장학제도의 운영방식, 장학요건, 효과성이라는 수정 보완한 기준을 최종적으로 채택했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한국의 GKS 사업과 미국의 풀브라이트 사업은 공공성을 강조한다는 면에서는 공통점을 가졌지만 예산의 규모와 대상 국가 구성에 있어서는 분명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GKS 사업이 정량적이고 획일적인 지표로 학업의 우수성을 평가한 데 반해 풀브라이트 사업은 다양한 기준으로 학생이 선발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셋째, 두 사업 모두 장학생들이 본국으로 돌아갔을 때의 소프트파워를 위해 장학생들의 네트워크를 강조하며 활용했다. [결론] 한국은 정부 차원에서 유학생을 지원하는 사업을 좀 더 지속가능하고 확장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국제 사회에 발맞춘 변화를 도모해야 한다. 이는 대상 국가를 확대하고 장학요건들의 다각화를 통해 다양한 인재들의 선발을 통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의 GKS 사업은 이미 형성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활발한 국제교류를 끌어냄으로써 국제 사회에서 영향력 확장을 목표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ddress implications and strategie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Global Korea Scholarship (GKS), a government-sponsored international scholarship program in Korea by investigating management styles and trend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Fulbright Program. [Methods]This study selected cross-national study and literature review as research methods. The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produce criteria for comparison. After modifying and supplementing criteria suggested by former research, management, selection, and influence were adopted as criteria. [Results]As the main result of the research, firstly, the purpose of the GKS Program of Korea and the Fulbright Program of the United States are similar as they both emphasize public interest and diplomatic aspect. However, they show a substantial gap in the size of the budget and the composition of target nations. Next, while the GKS Program evaluated academic excellence based on quantitative and standardized indicators. the Fulbright Program affirmed that students may be selected based on multifaceted indicators. The third result is that both programs highlighted and utilized the network among scholars for the soft power that can be exercised after returning to their own countries. [Conclusion]Korea needs to promote change that can lead GKS to keep pace with global society at the government level by focusing on making it more sustainable. This change would be possible by expanding the range of target nations and diversifying the selection criteria, which will ultimately lead to attracting more quality students with diversity. Furthermore, the GKS Program should expand its influence in the global society by utilizing the existing network platform to encourage international cooperation.

      • KCI등재

        한국 정부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정책의 통시적 고찰

        이상일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history of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to attract foreign students and to discuss its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at this time when attracting foreign students becomes important.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is analizing academic articles and policy research papers of Korean govern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to attract foreign students began with supporting for overseas Koreans learning in their home country(Korea) and expanded to attract foreign students. And it was systematized over time and achieved great results.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limitations such as a lack of diversification strategies and a lack of cooperation among government ministries in the field of attracting foreign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