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어(論語)』의 인(仁): 개념분석과 행정학적 함의

        이병갑 한국정부학회 2010 한국행정논집 Vol.22 No.3

        『논어』는 고대 중국 춘추시대의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논리였지만 현대에도 시사하는 바가 많다고 생각된다. 『논어』의 핵심사상인 `인(仁)`의 개념을 종합하여 행정학적 측면에서 정의해 볼 때 자기규제와 상대방에 대한 배려를 통한 합리적이고 조화로운 관계 형성 및 문제해결의 논리로 파악하여 볼 수 있다. 『논어』의 `인`을 분석하여 볼 때, 이론적 함의의 경우 행정철학 분야에서 `인`은 국가의 행정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목표달성에 있어서 수단의 정당성을 강조하고 있다. 조직관리분야에서는 조직에 있어서 구성원의 역할을 중요시하며 지도자의 도덕성에 기초를 둔 지도력을 강조하고 있다. 인사행정분야에서는 도덕적이고 봉사적인 공무원상 정립. 재무행정분야에서는 합리적인 재정수입과 지출을 강조하고 있다. 정책학분야에서는 도덕국가 내지 문화국가로의 지향을 정책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절차적 함의의 경우, 자기규제를 통한 타인에 대한 배려가 행정과정에서 구현되어야 국민을 설득할 수 있고 원활한 정책집행이 가능하다. 정책적 함의의 경우. `인`은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자를 배려하는 사회복지정책의 기본정신과 관련되어 있다.

      • KCI등재

        論語의 仁:개념분석과 행정학적 함의

        이병갑 한국정부학회 2010 한국행정논집 Vol.22 No.3

        Though the Analects of Confucius, a record of the words and acts, are logical solutions of the social problems of the Chronicles of Lu(722-484 BC) in ancient China, the author thinks that it gives some valuable information about modern knowledge-based society. The main ideas of Analects of Confucius are defined as perfect virtue(Humaneness) in building of harmonious relationships and the logic of rational problem solving. Analyzing the perfect virtue of Analects of Confuciu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of implication. First, for the theoretical implication, it is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philosophy of public administration, organization management,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financial administration and policy science. In the field of philosophy of public administration, it gives some suggestions on the guidelines of public administration which emphasizes the legitimacy of means. For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area, it emphasizes the role of the members in the organization and leadership based on the morality. For the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it emphasizes trustworthy civil servants. In the field of financial administration, it emphasizes equilibrium of revenue and expenditure. In the case of policy science, it suggests the policy orientation to institute the State with morally strong and culturally affluent. Second, in the case of procedural implications, it is necessary to realize the consideration of other people in the administration process, and then it is able to influence people and perform harmonious public policy. Third, in the case of policy implications, perfect virtue is related to consideration of the lower stratum in society and alienated people with the mission of the social welfare policy. 『논어』는 고대 중국 춘추시대의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논리였지만 현대에도 시사하는 바가 많다고 생각된다.『논어』의 핵심사상인 ‘인(仁)’의 개념을 종합하여 행정학적 측면에서 정의해 볼 때 자기규제와 상대방에 대한 배려를 통한 합리적이고 조화로운 관계 형성 및 문제해결의 논리로 파악하여 볼 수 있다. 『논어』의 ‘인’을 분석하여 볼 때, 이론적 함의의 경우 행정철학 분야에서 ‘인’은 국가의 행정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목표달성에 있어서 수단의 정당성을 강조하고 있다. 조직관리분야에서는 조직에 있어서 구성원의 역할을 중요시하며 지도자의 도덕성에 기초를 둔 지도력을 강조하고 있다. 인사행정분야에서는 도덕적이고 봉사적인 공무원상 정립. 재무행정분야에서는 합리적인 재정수입과 지출을 강조하고 있다. 정책학분야에서는 도덕국가 내지 문화국가로의 지향을 정책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절차적 함의의 경우, 자기규제를 통한 타인에 대한 배려가 행정과정에서 구현되어야 국민을 설득할 수 있고 원활한 정책집행이 가능하다. 정책적 함의의 경우. ‘인’은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자를 배려하는 사회복지정책의 기본정신과 관련되어 있다.

      • KCI등재

        『中庸』九經의 분석과 현대행정학적 함의

        이병갑(Byung Kap Lee) 한국정부학회 2008 한국행정논집 Vol.20 No.1

        『中庸』은 유가의 문헌 가운데 철학적 탐색을 강조한 문헌으로서 조선시대 경연의 주요교재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중용』가운데 정치·행정 사상을 함축적으로 표현한 부분이 구경이다. 『중용』의 구경은 공자가 노나라 애공(哀公)에게 천하국가를 구성하는 여러 사회계층을 다스리는 원리를 자신의 인격수양인 수신(修身)에서 시작하여 존현(尊賢), 친친(親親), 경대신(敬大臣), 체군신(體群臣), 자서민(子庶民), 내백공(來百工), 유원인(柔遠人), 회제후(懷諸侯)까지 단계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중용』구경은 정치행정의 기본원칙을 제시한 것으로 현대 행정학 연구와 관련이 깊다. 『중용』구경은 이론적인 측면에서 행정철학 분야, 조직관리론 분야, 인사행정 분야, 재무행정 분야, 정책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절차적인 측면에서 정치·행정과정의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은 수신으로서 사회윤리확립의 전제가 된다. 정책적인 측면에서 『중용』구경이 추구하는 사회는 대동사회로 이의 구현을 위해서 인사정책이 중요하다. 『중용』구경에서 천하를 다스리기 위해 먼저 자신에 대한 성찰을 강조한 면은 『대학』과 동일하지만 그것에 접근하는 방법은 상이하다. 즉, 『대학』에서는 ``자신→가정→국가→천하``의 순으로 공간적 개념을 확장해 가는 데 비해, 『중용』구경에서는 다양한 사회 구성원에 대해 집단별로 접근하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이는 사회의 다양한 이익집단이 서로 잘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현대 정치의 중요한 과제인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Jungyung(中庸: Doctrine of Mean), Confucian literature on philosophical investigation, was used as the main text book of Kungyeon[經筵] at meetings for academic discussion and the application of politics in Chosun Dynasty. The 9 principles of Jungyung implicitly expressed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thoughts. Confucius suggested these principles to the Duke Ai [(Governor of Lu(魯)] in China at that time. This province of Lu is located in the eastern part of China. This means that the principles of governing of the world consists of various hierarchies. For example, the development of one`s own character(修身), recognition of those who are worthy(尊賢), expressing due affection for one`s relatives(親親), having complete confidence in one`s most responsible officials(敬大臣), taking a personal interest in the problems of all other public officials(體群臣), paternal treatment of the common people(子庶民), the fostering of manufactures and tradesmen(來百工), gracious entertainment of foreigners(柔遠人), and appreciating the services of political leaders(懷諸候). The application of the 9 principles of Jungyung(中庸) are associated with the study of modern public administration, giving basic principles of politics and public administration. He discussed the 9 principles of Jungyung in three fields. Based on consideration of theoretical aspects, the 9 principles of Jungyung were applied to the field of philosophy of public administration, organization management, personnel administration, financial administration and policy science. In the case of precedual aspects, the 9 principles of Jungyung were based on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processes,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one`s own character was the preposition of establishment of social ethics. In the case of policy aspects, the 9 principles of Jungyung were the realization of an utopian society, so personnel policy was important to attend the governance of the world. The 9 principles of Jungyung and (Ta Hsueh: Great Learning 大學) emphasized the reflection of self. It differs from the way of governing the world. Great Learning focused on the enlargement of the conception of space, but the 9 principles of Jungyung approached the unit of groups. It is the essential factor in modern politics that the harmony of interest groups between the government. From this point of view, the 9 principles of Jungyung are similar to modern politics and public administration.

      • KCI등재

        『중용』구경 분석과 현대 행정학적 함의

        이병갑 한국정부학회 2008 한국행정논집 Vol.20 No.1

        『中庸』은 유가의 문헌 가운데 철학적 탐색을 강조한 문헌으로서 조선시대 경연의 주요교재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중용』가운데 정치·행정 사상을 함축적으로 표현한 부분이 구경이다. 『중용』의 구경은 공자가 노나라 애공(哀公)에게 천하국가를 구성하는 여러 사회계층을 다스리는 원리를 자신의 인격수양인 수신(修身)에서 시작하여 존현(尊賢), 친친(親親), 경대신(敬大臣), 체군신(體群臣), 자서민(子庶民), 내백공(來百工), 유원인(柔遠人), 회제후(懷諸侯)까지 단계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중용』구경은 정치행정의 기본원칙을 제시한 것으로 현대 행정학 연구와 관련이 깊다. 『중용』구경은 이론적인 측면에서 행정철학 분야, 조직관리론 분야, 인사행정 분야, 재무행정 분야, 정책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절차적인 측면에서 정치·행정과정의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은 수신으로서 사회윤리확립의 전제가 된다. 정책적인 측면에서 『중용』구경이 추구하는 사회는 대동사회로 이의 구현을 위해서 인사정책이 중요하다. 『중용』구경에서 천하를 다스리기 위해 먼저 자신에 대한 성찰을 강조한 면은 『대학』과 동일하지만 그것에 접근하는 방법은 상이하다. 즉, 『대학』에서는 ʻ자신 → 가정 → 국가 → 천하ʼ의 순으로 공간적 개념을 확장해 가는 데 비해,『중용』구경에서는 다양한 사회 구성원에 대해 집단별로 접근하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이는 사회의 다양한 이익집단이 서로 잘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현대 정치의 중요한 과제인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