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在南宗禪特徵性思想中培養的中國傳統思想考察

        장동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2 불교문예연구 Vol.- No.20

        As we all know, as a part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the formation of Chinese traditional thought is more or less affected by the mainstream religion of China. Among them, as the most influential mainstream religion in China, Buddhism, especially the Southern Zen in Chinese Buddhism,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Chinese traditional thoughts. In a broad sense, Southern Zen refers to the general name of Chinese Zen sects after the Sixth Patriarch Huineng. It is the authentic Zen sect. Since Zen was introduced into China, it has absorbed Chinese traditional thoughts, such as Confucianism and Taoism metaphysics, which are more inclusive of Chinese traditional ideology and culture. Therefore, Chinese Zen has a very strong vitality.From the perspective of practice methods and doctrines, Southern Zen advocates the "  self-directed epiphany ", emphasizing "self-sufficiency in nature". Everyone has Buddha nature, which is more suitable for the religious belief needs of the Chinese people. It has become an irreplaceable representative sect of Buddhism in the hearts of the Chinese people. In the long historical development and evolution, the Southern Zen, together with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nd traditional thought, has shaped the Chinese people's character of "peace is the most precious", inspired the Chinese people's independent self of "Spontaneity and unconcerned", made up for the shortcomings of Chinese traditional thought, affected the Chinese people's thought and aesthetics, and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 Chinese society.Although Southern Zen has a certain foundation of believers, in the current Chinese society, Southern Zen is not paid attention to, and its ideological characteristics have not been well developed, which is extremely unfavorable to Chinese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The rapid development of Chinese society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support of strong spiritual beliefs, and Southern Zen is one of the indispensable spiritual forces.This paper innovatively places the Southern Zen in the traditional Chinese thought for investigation. Based on the spread and influence of Southern Zen in the traditional Chinese social thought, it analyzes the important role that Southern Zen can play in the traditional Chinese thought. Through the way of historical literature research, it seeks to use the characteristic concept of Southern Zen to enhance the connotation of traditional Chinese thought, and explores the path of rapid development of Southern Zen in the new era of China, Make it better serve the spiritual and cultural life of Chinese people. 중국 주류 종교는 중국 전통사상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고 중국 전통 문화 중의 일부분이기도 한다. 그 중에서 중국 가장 영향력이 큰 주류 종교 불교, 특히 중국 불교 중의 남종선(南宗禪)은 중국 전통사상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넓은 의미에서 보면 남종선은 6조혜능(六祖惠能) 이후 중국 선문 종파의 총칭이자 선문의 정종(正宗)이다. 선종이 중국에 전해진 후부터 유가사상과 도가현학 등 중국 본토의 전통사상을 흡수하고 중국 전통 사상문화에 대한 포용성이 강하므로 선종의 생명력이 매우 질기다. 수행 방식과 교의에서 말하자면 남종선은 '명심견성(明心見性, 마음을 맑고 깨끗하게 하여 자기의 본성을 발견하다)'이라는 돈오(頓悟) 수행 방식을 고취하면서 본성으로 자족하(本性自足)고 사람마다 불성이 있는 것을 강조한다. 남종선은 중국 사회 민중의 종교적 신앙 요구에 더욱 적합하여 중국 민중들의 마음속에 대신할 수 없는 불교 대표적인 종파가 됐다. 오랜 역사 발전과 변천 속에서 남종선은 중국 전통문화, 사상과 함께 중국 민중의 '이화위귀(以和為貴, 화목을 으뜸으로 생각하다)'의 성격 특징을 형성시키고, 또한 중국인 마음속의 '수성초연(隨性超然, 편한대로 하는 초연)'한 독립적인 자아를 불러일으키고 중국 전통사상 중의 단점을 보완시키며 중국 민중의 사상과 심미에 영향을 주고 중국 사회의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남종선은 어느 정도 대중적 기반을 가지고 있었지만, 현재 중국 사회에서 남종선은 그다지 중시되지 않았고 그 사상적 특징도 잘 발휘되지 못한다는 것은 중국 전통사상과 문화에 매우 불리하다는 것을 뜻한다. 중국 사회의 급속한 발전은 강력한 정신 신앙의 뒷받침을 떠나서 살아날 수 없고 남종선은 그중에서 불가결한 정신력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창의적으로 남종선을 중국 전통사상에 놓고 고찰하고 중국 사회 전통사상에서 남종선의 전파와 영향에 입각하여 남종선이 중국 전통사상에서 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해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선행문헌 연구 방식을 통해 남종선의 이념 특색에 힘입어 중국 전통사상의 함의를 높이고, 남종선이 중국 신시대에서 급속히 발전할 경로를 모색하여 중국인의 정신문화생활에 더 잘 봉사할 수 있도록 연구할 것이다.

      • KCI등재

        근대 전환기 중국 사상계의 현실 인식과 사회변혁론 ― 위원魏源의 철학 사상을 중심으로

        이철승 동양사회사상학회 2002 사회사상과 문화 Vol.6 No.-

        과학 기술로 무장한 서양의 제국주의가 중국에 진출하던 19세기 중엽, 중국의 사상계는 다양한 가치관이 혼재하고 있었다. 중국의 학자들은 각자의 관점에 따라 전통 사상의 우수성만을 말하거나, 서양의 천주교 사상을 수용하여 새로운 세계를 건설하고자 하거나, 전통의 새로운 변용과 서양의 사상을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등 중국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여러 대안을 제시하였다. 위원은 대안을 강구하는 과정에서 전통 사상과 서양 사상을 경직된 자세로 대하지 않았다. 그는 한편으로 전통 사상 가운데 한대의 훈고학이나 송대의 성리학적 이론 체계가 지나치게 관념적이기 때문에 당시의 중국 상황에 실제로 적용시킬 수 없을 것으로 생각하여 비판했고, 다른 한편으로 전통 사상 가운데 자연에 대한 인간의 능동적 작용을 인정한 ‘인정승천人定勝天’ 사상·‘변화’ 사상·‘행선지후行先知後’ 사상·‘행중지경行重知輕’ 사상 등 실제적이라고 생각한 각종 사상을 계승했다. 또한 그는 서양으로부터 전파된 각종 과학 기술 사상과 민주적인 사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중국의 상황에 실제로 적용시키려 하였다. 이와 같은 위원의 학문적 자세와 생활 태도는 그를 당시의 완고한 수구 세력과 구별되게 하였다. 그는 당면한 현실에 대해 항상 실질적으로 사고하고 실제적으로 접근하고자 했다. 이러한 위원의 실제를 중시하는 사상은 이후의 중국 사상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비록 그의 철학 이론이 시대적인 한계로 인해 곳곳에서 관념적인 부분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그의 ‘전통’에 대한 비판적 계승과 ‘서양’에 대한 방법적 수용은 ‘전통’과 ‘현대’ 및 ‘동양’과 ‘서양’의 가치가 여전히 혼재하고 있는 오늘날의 중국은 물론 우리의 사상계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19世紀中期科學技術發達的西方帝國主義經常侵略了中國. 當時中國思想界混在了多種多樣的價値觀. 有一些學者仍然只談傳統思想的優秀性, 有一些學者吸收西方天主敎思想然后想建設新世界, 另外有一些學者爲了克服中國危機狀況傳統思想的新變形與西方思想有機地結合起來. 這樣當時學者們按照自己觀点提出了多種多樣的方案. 魏源在尋找方案過程中對傳統思想與西方思想不採取頑固態度. 他一方面批評了漢代訓詁學與宋代性理學. 因爲他把漢代訓詁學與宋代性理學的理論系統認爲是非實際理論系統的. 他另一方面繼承了傳統思想中 ‘人定勝天’思想·‘變化’思想·‘行先知后’思想·‘行重知輕’思想. 因爲他把這種思想認爲實際思想. 還有他積極地吸收了從西方傳來的科學技術思想與民主思想. 他把這種西方思想爲實際地運用中國努力工作. 這樣魏源的學問姿勢和生活態度與頑固保守派使他區別開來了. 他面臨現實一直想採取實際思考與實際行動. 這樣魏源的哲學思想對以后的中國思想界産生了很大影響. 雖然他的哲學理論中有一些非實際部分, 但是他對‘傳統’的批判繼承與對‘西方’的方法論性的收容是很有意義的. 我認爲他的這種思想對‘傳統’與‘現代’及‘東方’與‘西方’的思想因素仍然混在的如今中國與韓國思想界具有肯定的意義.

      •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사학(史學)) : 중국 남조의 사찰명 분석을 통해 본 남조불교의 특징 -백제 불교 이해를 위한 전제-

        박윤선 ( Youn Sun Par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6 No.-

        현재 확인 가능한 중국 남조 사찰명을 분석하여 분류를 시도해 보았다. 크게 명칭형과 종교형으로 양대분하고, 명칭형은 다시 지명형과 인명형으로 구분했다. 종교형은 다시 인간의 보편적 기원이나 전통신앙에서 유래된 용어를 쓴 사찰명과 불교적 용어를 채용한 사찰명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동진이전의 사찰 건립 초기에는 지명과 인명 중심의 명칭형이 다수를 차지했는데, 그것이 남조대에 이르면 지명형부터 크게 줄어들기 시작하여, 남제대에는 인명형마저 그 비중이 미미해지니 이제 종교형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리고 양대에는 종교형 가운데에도 불교형 이름의 비중이 가장 높아지게 되었다. 사찰명의 시대적 변화는 중국에서 불교 이해가 점차 깊이를 가지게 되어 가는 양상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지명이나 인명 등을 채용한 사찰명은 과도기적인 양상으로 이러한 이름은 곧 사라질 것이 예견되는 것이었다. 종교형 사찰명 가운데 전통신앙형 역시 순차적으로 불교적 용어에 밀려서 후퇴되었어야 하겠지만, 견고한 역사적·철학사상적 기반을 가지고 있는 중국의 전통 철학 사상은 오히려 불교에게서 변용을 이끌어냈고, 그러한 사정은 사찰명에도 반영되었다. 전통신앙적 성격의 용어가 이후에도 사라지지 않고 계속 사찰명에 채용되었으며 마침내 일반화되기에 이르른 것이다. 남조대는 불교가 중국의 전통사상과 신앙의 기반위에서 이해되는 과정을 거치는데 그와 같은 사실이 사찰 명칭에서도 다시 한 번 확인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불교가 백제에 전해졌다. 백제는 동진으로부터 불교를 수용하였고, 그 이후에도 백제는 주로 남조와 교류하며 정치·외교적으로, 또 문화적으로 남조의 영향을 받은 바가 크다. 백제 불교 역시 남조 불교의 영향이 적다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남조 불교가 중국 전통 사상·철학과 긴밀하게 얽혀 있었다는 사실은 백제 불교의 모습을 추론하는 데 참고할 필요가 있다. 백제에 수용된 불교는 백제에서 또 다시 백제의 전통적인 철학사상·신앙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성장해 갔을 것이다. 수용 초기의 불교와 백제에서 일정한 시간을 지난 불교 사이에는 어느 정도 차이가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백제가 처음 수용한 불교, 그리고 그 이후 백제불교에 영향을 주었을 남조 불교가 여전히 도교 등 전통사상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다는 점, 그리고 불교를 수용한 백제 사상계의 기반이 불교의 그러한 요소와 친연성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수용기뿐 아니라 이후의 불교에서도 전통신앙적 요소는 엄연히 존재하였을 것이다. 즉 백제에서 불교는 도교 등 중국 전통사상·신앙적 요소와 서로 분리되어 존재한 적이 없이 늘 함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I tried the analysis and the categorization of the temple names of the Southern Dynasties in China. First, I categorized them into name type and religion type. Then, I categorized the name type again into region-name type and person-name type. Finally, I categorized the religion type into general religious term type and Buddhist term type. In the early days of building temples, before East Jin Dynasty, many of the names were name type. However, as it reached the Southern Dynasties, name types rapidly decreased, starting with the region-name type. At the NamJae period, the person-name type decreased too, and religion type held a huge proportion. At the Yang Dynasty, the Buddhist term type held the largest proportion. The change of temple names along times reflects the deepening understanding of Buddhism in China. The temple names using the names of people or regions were a transition period, and were deemed to disappear. Out of the religion types, the general (traditional) religious term type must have retreated gradually because of the Buddhistic term type names, but the Chinese traditional religion with its strong historic and philosophical roots actually changed Chinese Buddhism, and it was shown likewise on the names of the temples. The traditional religious term type names didn`t disappear and were constantly used for the temple names and it was gradually generalized. The Southern Dynasties period is when Buddhism is understood on the basis of Chinese traditional philosophy and religion, and it was reflected directly to the temple names. This kind of Buddhism was accepted to Baekjae. Baekjae embraced Buddhism from East Jin, and even after that, Baekjae mainly interchanged with the Southern Dynasties and was influenced very much in political, diplomatic, and cultural ways. The Buddhism of Baekjae also was influenced very much by the Buddhism of the Southern Dynasties. In that point we need to remember that the Southern Dynasties` Buddhism is very much intertwined with traditional Chinese ideas and philosophy when inferring the form of Baekjae`s Buddhism. The Buddhism accepted by Baekjae must have developed while exchanging influence with the traditional philosophy and ideas of Baekjae. The early times of Buddhism in Baekjae and Buddhism in Baekja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should have some difference. However if we think of the fact that Buddhism first accepted in Baekjae, and the Buddhism after some time later still contained some traditional content such as Taoism, and the fact that the base of Baekjae ideas had affinity with such content in Buddhism we can deduce that Buddhism in the accepting times and after still contained elements of traditional religion. Thus it is thought that in Baekjae, Buddhism was never separated from Chinese traditional philosophy and ideas such as Taoism and was always together.

      • KCI등재후보

        동양의 전통사상, 전통음악 그리고 전통공간의 상관성 연구

        이성수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8 조형미디어학 Vol.11 No.4

        동양전통사상의 가치가 재발견되고 있는 현실에서 공간디자인에 있어 적용의 방법을 찾는 것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국제화 시대에 자신의 디자인의 독자성을 갖기 위해 지역의 특수성을 발전시켜 자기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렇다면 “동양적 디자인은 어떠한 것이냐?”하는 의문이 생기게 된다. 그간 이루어진 연구들은 가시적인 측면에서 많이 이루어져 왔는데 이는 디자인에 있어 한계가 있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비가시적 부분에서 디자인 방법을 추출하고자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동양전통사상 가운데 음양설(陰陽說)과 오행설(五行說), 3수 분화 세계관, 유교 그리고 풍류(風流)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동양전통음악과 동양전통공간은 위에서 설정한 동양전통사상과 연관성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동양전통음악은 형식과 미의식과 사상과의 연관성을 찾아보았으며, 동양전통공간의 경우 유교의 정신과 고유의 사상이 잘 반영된 조선의 궁궐 가운데 정궁(正宮)인 경복궁과 이궁인 창덕궁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위의 분석내용을 근거로 동양전통사상과 동양전통음악, 동양전통사상과 동양전통공간의 연관성이 있음을 보이고 사상을 중심으로 동양전통음악과 동양전통공간의 상관성을 밝혀 동양전통음악으로부터 현대공간디자인 방법 추출에 대한 대단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n the present day, the value of Oriental traditional thought has been rediscovered. So, We are requested to find the way of the space design through it. In the globalization of design market, some designer internationalize their local design for making originality. We anxious to know that "what is the space design of Oriental?". It has been studied that Oriental design. But, these studies has focused on visual parts. These have a limit. Design that is based on visual form doesn't transcend basic form. So, I want to extract the design method from invisible part. This study chooses Yin-Yang, Five Elements, 3-Specialization, Confucianism and Pungyu for Oriental traditional though. And It selects those things which are to do with Oriental traditional though from Oriental traditional Music and Space. So It focuses on aesthetic consciousness and Form of Oriental traditional Music. And It analyzes Gyeongbokgung and Changdukgung among Oriental traditional Space. This study finds the relativity of Oriental traditional thought and music to Oriental traditional space through former analysis. And It prove strong possibility that We extract present space design method from Oriental traditional music.

      • KCI등재

        전통사상과 고유양식, 그리고 일본사상

        이희복(Lee Hee-B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4

        본고는 丸山眞男의 일본사상사 방법론을 분석한 논문이다. 마루야마의 사상사학엔 근대화론과 전통문화론이 공존하고 있다. 어떻게 이런 공존이 가능할까? 이 문제를 풀기위해 특히 일본적 원형론에서 고층론을 거쳐 집요저음에 정착하는 연구방법론, 그리고 현대적 과제와 전통사상을 결부시켜 전통사상의 유효성을 주창한 1979년 강연에 주목했다. 그 결과의 논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통사상이란 무엇인가라는 문제다. 이를 마루야마는 주체적 결단의 문제라고 단언했다. 즉 전통사상을 인식하고 사유하는 것은 주체성을 가진 인격체가 내릴 판단이며 그 주체는 바로 일본인 자신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외래사상을 전통사상과 대비시켜 배척하는 것을 지양하고 전통화된 외래사상까지 학습하는 총체적인 역사인식을 확립할 것을 역설했다. 이러한 역사인식이 명확히 묘사된 것이 세계상의 비교다. 십자가로 상징되는 그리스도교의 세계상과 동심원의 세계로 표현되는 중국고대사상, 그리고 두개의 평행선으로 끝내 교차하지 않는 고대인도의 세계상은 모두 이상세계나 유토피아를 설정하고 있다. 이와 대비되는 일본적 세계상에는 유토피아도 없고 이상세계도 없다. 그저 지금이 항상 천지의 시초라는 현재중심의 세계상은 건국신화이래 일본역사를 관통해온 고유양식이며 여기에 일본미래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럼 일본적 고유양식은 어떻게 실체화시킬 수 있는가? 일본사상사에서 주선율은 항상 외래사상이었다. 전근대의 중국문화와 근대이후 서구사상이 그것이다. 하지만 외래사상의 성행이후엔 반드시 반동이 온다. 그 반동은 융기와 잠입을 되풀이하면서 외래사상을 수정 변용시키는데, 이른바 집요저음의 역할이다. 마지막 마루야마의 사상사학을 전환시킨 외유와 문화접촉문제이다. 1963년 귀국한 마루야마는 강의구상 전부를 바꿨다. 세계상의 원형이란 제하에 그의 사상사연구 영역은 확대되었고, 연구방법론의 확립과 더불어 서구문명중심의 발전사관에서도 탈피했다. 1972년 논문을 통해 제시된 일본적 사유양식도 그 결과다. This study analyzes the methodology on Japanese history of thought of Maruyama Masao. Two theories coexist in Masao's theory of history of thought - that of modernization and traditionalism. How is such a coexistence possible? To solve this problem, I paid attention to the 1979 lecture. He advocated the relevance of traditional thought by associating it with problems of modernization. At the same time, he explained a methodology that deals with the theory of Japanese original form, old stratum and finally the basso ostinato of musical worlds.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problem is the definition of traditional thought. Maruyama affirmed that the act of perceiving and thinking about (analyzing) traditional thought is a judgement placed by an individual with a sense of subjectivity. The subject in this case would be the Japanese themselves. He rejected the exclusion of foreign thought and emphasized the need to establish a total historical consciousness that would include the learning of foreign thought. Second problem has to do with the Japanese world-view when compared with other civilizations. The world-view of ancient China, India and that of the Christian culture all specify an ideal world or a Utopia. These are notions that the Japanese world view lacks. The present-focused world-view that claims the present is the start, is an indigenous style that not only persists throughout Japanese history but also hold the future of Japan. The third problem involves the foreign travels that changed Masao's history of thought. In 1963, Maruyama changed his entire plan of lectures after returning from abroad. Under the assumption of the original form of the world, his research field in the history of thought had been expanded and with the establishment of a methodology he discarded the development theories based on Western civilizations. The style of Japanese thought articulated in his 1972 article is also a result of such change of view.

      • KCI등재

        역사와 철학 : 한국사회과학의 자생적 성장: 한국 전통 정치사상의 현재화 모색을 중심으로

        안외순 ( Woe Soon Ahn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1 동방학 Vol.21 No.-

        한국 전통 정치사상을 연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그것을 통해 어떤 형태로든 현재적 메시지를 얻기 위함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 전통 정치사상 연구는 이 점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고 보기 어렵다. 때문에 이 논문은 궁극적으로 한국 사회과학의 자생적 발전을 위해 한국 전통 정치사상의 현재화(現在化, the present orientation)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먼저, 지금까지 진행된 그것의 당대화를 위한 기존의 연구사적 노력들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이전까지의 정치사상 혹은 지적유산들을 당대화하려는 노력으로서 근대 이전의 것으로는 김부식의 『삼국사기』를, 근대로의 이행기의 성과로는 유길준과 안확의 노력을, 현대 이후의 노력에 대해서는 근대 이전의 전통 한국정치사상에 대한 현대적 연구방법론적 고민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어서 현 시점에서 한국 전통 정치사상을 현재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총론과 각론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총론적으로는 현대 정치사상의 보편적 문제의식과 전통 정치사상의 공유 및 소통작업이 필요하다는 점, 그러나 이는 반드시전통 사상의 당대 역사적, 사상사적 맥락에 대한 깊은 이해 위에 가능하다는 점, 전통 정치사상 연구의 결과와 교훈을 보다 적극적으로 현실문제의 대안 혹은 처방으로 제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각론적 논의로는 고금을 통해 정치현상에 보편적인 핵심 개념, 주요 정치사상가들, 군주나 재상 등 주요 정치주체의 인식, 경연과 서연, 향교, 성균관, 서원 등 정치주체들의 정치교육, 유교적 법치와 예치 등 정치수단, 여말선초를 분수령으로 하는 유교와 불교의 정치이념적 위상과 그 역전상황에서의 긴장, 대립, 공존의 논리에 대한 연구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thesis aims to seek measures to bring the Korean traditional politic thoughts into the present ultimately in order for the Korean social science to have self-sustainable development. The eventual purpose of examining the Korean traditional politic thoughts is to obtain a present-oriented message - no matter what form it takes - from the ideas. However, studies on these political thoughts that have been conducted up to now have not shown satisfactory results. To meet the purpose of this paper, I researched the existing historiographic efforts to trace back related studies; for the efforts made in the pre-modern time to trace back the past political thoughts or intellectual heritage,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of Kim Bu-Shik was examined; for the transition era into the modern times, Yoo Gil-Jun and Ahn Hwak`s efforts were studied; and, for the efforts made until today, the modern-style research methodological arguments toward the traditional Korean political thoughts of the pre-modern era were researched. And the measures to apply the Korean traditional political thoughts in the present times were, then, provided into two sections - introduction and itemized discussion. The introduction mainly discussed the necessity of common critical minds toward the modern political thoughts, of sharing and communication works of traditional political ideologies - yet with the point that these should be possible under the profound understanding about the historical and ideological context of the traditional thoughts - and of efforts to offer the results and lessons of the studies on traditional political thoughts as alternatives or measures to solve the problems of reality in a more active way. The itemized discussion provided the necessity of studies on the following matters: core concepts reflected generally in the political phenomena now and then, the main political thinkers, the recognition of main political subjects including kings and prime ministers, their political education through Kyungyon and Seoyon (royal education especially for those soon to be kings), Hyanggyo (national Confucian high schools to teach local student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Sungkyunkwan (the highest-level education organization in the late Koryo and early Joseon Dynasty periods), Seowon (private Confucian high schools to teach local student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etc., political measures such as Confucian governing law and manners, the political ideological statu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with the late Koryo and early Joseon Dynasty periods as turning point, and the logic of tension, conflict, and co-existence during the transition.

      • KCI등재후보

        중국의 가정문화와 효사상

        姜坤 한국효학회 2015 효학연구 Vol.0 No.22

        본고는 가정문화와 효사상의 관계 측면에서 전통적인 효사상의 모습과 현대적인 효사상의 의미 그리고 존재하는 문제점을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중국 전통가정제도의 형성과정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 전통가정문화를 검토하였다. 다음 중국 전통 효사상과 중국 전통가정문화 속의 효사상을 깊이 분석해 보았다. 근대사회에 들어와 중국의 특수한 역사요인과 정책요인으로 인해 중국의 가정문화와 윤리사상이 많이 달라졌다. 본고는 이를 배경으로 현대가정문화 속의 효사상의 실상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전통가정문화와 전통적인 효사상을 재인식하는 것은 중국 현대적인 효사상 중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에 있어서 아주 바람직한 일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n this paper, from the poi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ulture and filial ideas,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s and existing problems in traditional filial ideas and modern filial ideas. First of all, the study examined the forming process of the Chinese traditional family system and then discussed about the Chinese traditional family culture based on the survey. Thereafter, it gives a thorough analysis on filial ideas included in Chinese traditional filial ideas and Chinese traditional family culture. Since the modern times, beacause of the special historical and political reasons, great changes have taken place in Chinese family culture and ethical thoughts. Grounded on that, this paper explores the real facts and situations of the filial ideas in Chinese modern family culture, and points out the existing problems in it. This paper also lays great emphasis on the re-recognition and restudy of the Chinese traditional family culture and traditional filial thoughts, which is really meaningful for the improvement on those problems in modern filial ideas.

      • KCI등재

        연구논문 : 현대(現代) 중국(中國)에 있어서 전통질서(傳統秩序)의 붕괴원인(崩壞原因)과 재편과정(再編過程)

        김기효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5 역사학연구 Vol.58 No.-

        주지하는 바와 같이, 유가사상이 유구한 역사적 과정을 경험하였으며, 그의 우월한 지위 또한 의심할 나위 없다. 특히 명청대 사람들이 공자를 “지성선사”, “만세사표”로 간주한 이후, 유가사상은 독보적 지위를 취득하였으며, 이로 인해 봉건사회 인민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 그러나 근대 이래, “5.4”운동을 거치면서 유가사상의 지위는 크게 하락하였다. 그 후, 문혁 시기의 批孔運動은 공자와 유가에 대한 치명적인 공격이었다. 공자와 유가에 대한 비판과 공격의 근본 원인은 바로 공자와 유가에 대한 모택동의 비판적인 인식과 의견을 전면적으로 반영한 것이었다. 본고는 문혁 기간에 수많은 박해와 자살 사건을 통해 공자와 유가에 대한 비판이 전통질서와 사회질서를 붕괴했다는 사실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이 사건이 발생할 수 있었던 원인은 문화대혁명의 이론과 실천이 중국의 전통질서를 부정하는 것에서 출발한 것이고, 이러한 전통의 부정은 바로 공자와 유가에 대한 반대 혹은 배척을 의미하는 것이며, 전통질서의 붕괴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결과적으로 문혁 기간 동안에 발생한 전통질서의 붕괴는 반인륜적 행위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 대한 과정과 결론을 통해 현대 중국의 변화를 증명할 수 있다. 衆所周知,儒家思想經歷了悠久的歷史過程, 他우越的地位也是不容置疑的. 特別是到明淸時期, 人們開始崇拜孔子幷推崇其爲 “至聖先師,” “万世師表,” 儒家思想的地位得到了進一步提高,逐步成爲封建社會大중的精神支柱. 但是,近代以來, 伴隨着五四運動等新民主運動的開展,儒家思想的地位開始大幅下降. 隨后, 文革時期的“批孔運動”是對孔儒思想的致命打擊. 對孔儒的批判和打擊的根本原因直接表現在毛澤東對孔儒的批判的認신以及見解. 在文革期間,通過大量的迫害和自殺事件,我們可以將其看作是對孔儒的批判造成崩潰傳統秩序和社會秩序的事實。저樣的事情可能會發生的原因是文化大革命的理論和實踐是從否定中國的傳統觀念的出發,저些對傳統的否定就是意味着對孔儒的反對或排斥,저也意味着傳統秩序的崩潰. 綜上所述, 在文革期間發生的傳統秩序的崩潰帶有反人倫的行爲. 在저項硏究中, 通過對저些過程和結果的討論, 見정了現代中國的變化.

      • KCI등재

        중국 남조의 사찰명 분석을 통해 본 남조불교의 특징 ― 백제 불교 이해를 위한 전제 ―

        박윤선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6 No.-

        I tried the analysis and the categorization of the temple names of the Southern Dynasties in China. First, I categorized them into name type and religion type. Then, I categorized the name type again into region-name type and person-name type. Finally, I categorized the religion type into general religious term type and Buddhist term type. In the early days of building temples, before East Jin Dynasty, many of the names were name type. However, as it reached the Southern Dynasties, name types rapidly decreased, starting with the region-name type. At the NamJae period, the person-name type decreased too, and religion type held a huge proportion. At the Yang Dynasty, the Buddhist term type held the largest proportion. The change of temple names along times reflects the deepening understanding of Buddhism in China. The temple names using the names of people or regions were a transition period, and were deemed to disappear. Out of the religion types, the general (traditional) religious term type must have retreated gradually because of the Buddhistic term type names, but the Chinese traditional religion with its strong historic and philosophical roots actually changed Chinese Buddhism, and it was shown likewise on the names of the temples. The traditional religious term type names didn’t disappear and were constantly used for the temple names and it was gradually generalized. The Southern Dynasties period is when Buddhism is understood on the basis of Chinese traditional philosophy and religion, and it was reflected directly to the temple names. This kind of Buddhism was accepted to Baekjae. Baekjae embraced Buddhism from East Jin, and even after that, Baekjae mainly interchanged with the Southern Dynasties and was influenced very much in political, diplomatic, and cultural ways. The Buddhism of Baekjae also was influenced very much by the Buddhism of the Southern Dynasties. In that point we need to remember that the Southern Dynasties’ Buddhism is very much intertwined with traditional Chinese ideas and philosophy when inferring the form of Baekjae’s Buddhism. The Buddhism accepted by Baekjae must have developed while exchanging influence with the traditional philosophy and ideas of Baekjae. The early times of Buddhism in Baekjae and Buddhism in Baekja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should have some difference. However if we think of the fact that Buddhism first accepted in Baekjae, and the Buddhism after some time later still contained some traditional content such as Taoism, and the fact that the base of Baekjae ideas had affinity with such content in Buddhism we can deduce that Buddhism in the accepting times and after still contained elements of traditional religion. Thus it is thought that in Baekjae, Buddhism was never separated from Chinese traditional philosophy and ideas such as Taoism and was always together. 현재 확인 가능한 중국 남조 사찰명을 분석하여 분류를 시도해 보았다. 크게 명칭형과 종교형으로 양대분하고, 명칭형은 다시 지명형과 인명형으로 구분했다. 종교형은 다시 인간의 보편적 기원이나 전통신앙에서 유래된 용어를 쓴 사찰명과 불교적 용어를 채용한 사찰명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동진이전의 사찰 건립 초기에는 지명과 인명 중심의 명칭형이 다수를 차지했는데, 그것이 남조대에 이르면 지명형부터 크게 줄어들기 시작하여, 남제대에는 인명형마저 그 비중이 미미해지니 이제 종교형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리고 양대에는 종교형 가운데에도 불교형 이름의 비중이 가장 높아지게 되었다. 사찰명의 시대적 변화는 중국에서 불교 이해가 점차 깊이를 가지게 되어 가는 양상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지명이나 인명 등을 채용한 사찰명은 과도기적인 양상으로 이러한 이름은 곧 사라질 것이 예견되는 것이었다. 종교형 사찰명 가운데 전통신앙형 역시 순차적으로 불교적 용어에 밀려서 후퇴되었어야 하겠지만, 견고한 역사적⋅철학사상적 기반을 가지고 있는 중국의 전통 철학 사상은 오히려 불교에게서 변용을 이끌어냈고, 그러한 사정은 사찰명에도 반영되었다. 전통신앙적 성격의 용어가 이후에도 사라지지 않고 계속 사찰명에 채용되었으며 마침내 일반화되기에 이르른 것이다. 남조대는 불교가 중국의 전통사상과 신앙의 기반위에서 이해되는 과정을 거치는데 그와 같은 사실이 사찰 명칭에서도 다시 한 번 확인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불교가 백제에 전해졌다. 백제는 동진으로부터 불교를 수용하였고, 그 이후에도 백제는 주로 남조와 교류하며 정치⋅외교적으로, 또 문화적으로 남조의 영향을 받은 바가 크다. 백제 불교 역시 남조 불교의 영향이 적다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남조 불교가 중국 전통 사상⋅철학과 긴밀하게 얽혀 있었다는 사실은 백제 불교의 모습을 추론하는 데 참고할 필요가 있다. 백제에 수용된 불교는 백제에서 또 다시 백제의 전통적인 철학사상⋅신앙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성장해 갔을 것이다. 수용 초기의 불교와 백제에서 일정한 시간을 지난 불교 사이에는 어느 정도 차이가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백제가 처음 수용한 불교, 그리고 그 이후 백제불교에 영향을 주었을 남조 불교가 여전히 도교 등 전통사상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다는 점, 그리고 불교를 수용한 백제 사상계의 기반이 불교의 그러한 요소와 친연성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수용기뿐 아니라 이후의 불교에서도 전통신앙적 요소는 엄연히 존재하였을 것이다. 즉 백제에서 불교는 도교 등 중국 전통사상⋅신앙적 요소와 서로 분리되어 존재한 적이 없이 늘 함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 KCI등재후보

        明代 白話 公案小說에 나타난 「淸官現象」의 문화적 특징

        박명진 한국중국소설학회 2004 中國小說論叢 Vol.19 No.-

        明代産生了大量的白話公案小說, 表現了廣大群衆對淸官的渴望和愛戴, 在各種社會原因之下, 在白話小說的領域里形成了「淸官現象」。 在文學領域里出現大量的淸官, 他們便成爲民衆社會理想的體現者。 這種「淸官現象」包含着比較복雜的文化內涵。 明代白話公案小說繼承前代白話小說、 元雜劇以及說唱詞話等通俗文學的寫作方式, 表現民衆的理想和愿望, 因而, 「淸官現象」包含着强烈的通俗文化內涵。 同時, 明代白話公案小說的作者所選擇的淸官又是維護封建社會秩序的朝廷的官吏, 因此, 「淸官現象」也在一定程度上表現出封建社會的文化內涵, 特別是封建社會司法文化的特征。 因此, 本論文將分爲三個方面討論明代白話公案小說中「淸官現象」的文化內涵:第一, 箭타式淸官人物的創造 ; 第二, 淸官崇拜思想 ; 第三, 傳統的法律觀念--「人治」 觀、 「人主法輔」。 第一, 明代白話公案小說創造了箭타式淸官人物。 這是「淸官現象」的重要特点, 包含着較爲强烈的通俗文化的內涵。 明代白話公案小說在塑造嚴格執法、 鐵面无私的淸官人物時, 首先在歷史中 조個堪稱模范的原型人物, 然后把所有理想的品格、 才能賦予其一身。 箭타式淸官人物的代表无疑是包公。 這種箭타式淸官人物的創造所包含的通俗文化內涵主要體現爲民衆的喜聞樂見、 借歷史創造民衆英雄等特点。 第二, 明代白話公案小說的「淸官現象」包含着淸官崇拜思想。 民衆樂于創造一個英雄, 把自己的理想寄托于他的身上, 幷崇拜這個偶像, 以排泄自己的不滿和苦悶, 得到精神上的滿足。 這是通俗文化的一個重要特征。 淸官崇拜思想與民間信仰等迷信思想直接相關。 因爲淸官故事在民間流傳的過程中吸收了民間的思想感情, 所以「淸官現象」所包含的宗敎迷信思想, 反映了古代民衆的思想觀念。 第三, 明代白話公案小說的「淸官現象」體現了傳統的法律觀念。 從中國古代社會的法律觀念的角度看, 「淸官現象」與中國古代法律的「人治」 觀、 「人主法輔」的觀点有密切的關系。 在「人治」觀、 「人主法輔」等傳統法律觀念的背景之下, 明代白話公案小說的作者, 更加關注淸官人物, 創作出大量的以淸官爲中心人物的公案故事, 推動了「淸官現象」的形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