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다문화시대 동아시아 전통에 기초한 공존 가치

        안외순 ( Ahn Woe Soon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8 동방학 Vol.38 No.-

        이 연구는 현대 한국 다문화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 가운데 하나로 한국의 주류문화에 다문화인들이 일방적으로 적응하게 하는 일방적 동화주의 경향을 극복하기 위해서 동아시아 전통사상인 유교사상과 역사현실과 그 정책을 살펴보았다. 한국의 다문화사회 일방주의의 피해자들이 대부분 아시아 출신이라는 점, 그리고 문화적 갈등 혹은 충돌의 당사자들이 대부분 시부모와 이주결혼여성이라는 점 등 전통적 가치관에 보다 익숙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이 연구는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 2장에서는 유교의 핵심 가치관인 인(仁)과 서(恕)의 다문화주의적 성격을 검토하였다. 공자에 의해 인과 서는 기본적으로 자신과 타인을 동일한 기준으로 바라보는 이른바 ‘동일률의 원칙’에 입각한 배려의 가치로 천명되었다. 조선의 다산 정약용은 이를 ‘사람과 사람이 더불어 함께 사는 법’으로 정의하면서, 가정과 국가의 평화를 도모하고 세계평화를 구현하는 가치로 평가하였다. 3장에서는 ‘다름’에 대한 유교사상의 구체적인 대응은 무엇이었는지에 대해 특히 ‘화이부동(和而不同)’의 전통을 통해 살펴보았다. ‘군자는 다른 사람과 조화하되 뇌동하지 않는다. 소인은 다른 사람과 뇌동하되 화합하지 못 한다’는 공자의 언명 이래 화이부동은 유교문명권에서 다양하고도 상이한 의사표현의 자유와 그 수용의 정치공동체의 상징이자 인간다운 삶을 실천하는 하나의 독트린이 되었다. 4장에서는 동아시아권에서도 대표적인 유교국가였던 조선에서의 다문화 역사와 현실을 살펴보았다. 조선시대 다문화인은 ‘향화인(向化人)’과 ‘황조인(皇朝人)’ 두 종류였다. 조선 정부는 기본적으로 이들에게 혜택 중심의 정책을 취하여 기본적인 의식주는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관직과 작위를 내리기도 하였다. 이러한 전통을 고려할 때 더 이상 전통가치와 역사의 이름으로 다문화인을 배척하거나 그 문화를 부정하는 왜곡은 불가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East Asian traditional idea of Confucianism, historical reality and policies in order to overcome the inclination of one-sided assimilation that forces people from multiple cultures to one-sidedly adapt to Korean mainstream culture, which is one of issues that should be settled to make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as a desirable one. This study has sufficient significance in that victims of unilateralism of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are mostly from Asia and those who are in cultural conflicts or dissonance mostly are in relationships between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parents-in-law who are relatively more habituated to traditional values. Chapter 2 reviews multicultural aspects in Confucian core values of benevolence (仁) and tolerance (恕). Confucius clarified both benevolence and tolerance as values of consideration based on so-called ‘the principle of identity’ that treats the self and others with the same standard. Dasan Jeong Yakyong in Joseon Dynasty defined it as ‘ways that a person and another one live together’ and evaluated as values that seek for peace in family and nation and realize world peace. Chapter 3 examines concrete response to ‘differentness’ in Confucianism particularly through the tradition of ‘harmonious with one’s thought(和而不同).’ Since Confucius’ statement that ‘A noble man makes harmony with others but does not blindly follow them but a mean man blindly follows others but cannot be harmonized with them,’ the concept of being harmonious with one’s thought has been a doctrine that symbolizes political community with freedom of expressing diverse and distinctive opinions in Confucian world and embracing them and that practices humane life. Chapter 4 looks into history of multiculturalism and reality in Joseon, a representative Confucian state in East Asia. People from multiple cultures in Joseon period were categorized either as ‘migrants who assimilated into Joseon society(向化人)’ or ‘migrants who moved from Ming Dynasty(皇朝人).’ Joseon government basically applied benefit-oriented policies for them and not only provided them with food, clothing and shelter but in some occasions, granted office positions and peerage. Considering this tradition, it is unacceptable to exclude people from multiple cultures or to distortedly deny their cultures in the name of traditional values and history.

      • KCI등재

        기획논문 : 진주와 남명학의 세계 ; "처사(處士)"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정치참여 방식

        안외순 ( Woe Soon Ahn ) 온지학회 2011 溫知論叢 Vol.0 No.29

        유교사회에서 군자의 ``처사(處士)``는 ``출사(出仕)``와 마찬가지로 해당 정치권력의 정당성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척도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조선시대 ``처사``의 대표인물인 남명(南冥) 조식(曺植, 1501-1572)에 대해 그의 ``처사``적 위상이 지니는 정치적 의의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미흡했다. 이에 본 논문은 남명의 ``처사적 정치참여의 위상``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유교사상사에서 차지하는 ``처사``의 개념사적 논의를 행하였다. 이를 통해 적어도 유교사상사에서 ``처사``는 정치적 은둔자가 아니라 본질적으로 강력한 정치적 저항 내지 비판으로서의 정치참여 행위였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다음으로 남명의 처사적 삶은 이러한 유교적 교의의 충실한 실천이었음을 논증하였다. 즉 남명의 처사로서의 삶은 자신과 정치적인 소신을 함께 하지 못하는 정권, 곧 겸선(兼善)하지 못하는 정권에 대한 정치적 비판 및 저항의 의사표현이자 저항의지의 실천이었다. 그것은 정치적 은둔이 아니었다. 올바른 정치 구현을 위해 그는, 재야에서, 평생토록 정치적 비판과 제안을 행하였으며, 정치적 후진 양성을 위해 일생을 바쳤다. 그는 ``처사``로서의 ``적극적인 정치적 삶``을 살았다. In a Confucianism based society, Cheosa (處士: not serving the power) of the Great Man is an important criterion to judge the legitimacy of the power of the relevant age like Chulsa (出仕: serving the power). Till today, however, it has not been positive enough to review the political meaning of the position of Cheosa of Nam-myeong Cho Sik (1501-1572) living in Chosun Dynasty. In this study, therefore, I reviewed the position of his involvement in politics as a Cheosa. For this objective, I first looked into the conceptional history of Cheosa in the ideological history of Confucianism. As a result, I recognized that Cheosa in the ideological history of Confucianism was not a hermit but a behavior of political involvement as a strong political resistance and criticism essentially. Then, I recognized that his life as a Cheosa was the expression of his intention for political criticism and resistance against the power that did not go with his political idea, which meant the power did not make the others good as well as the power itself. It was not a political eremitism. In order to realize a righteous politics, he had made political criticism and suggestion through all his life and devoted his life to bringing up his political successors. That is, he lived a positive political life as a Cheosa.

      • KCI등재후보

        『논어(論語)』에 나타난 정치 관념

        안외순 ( Ahn Woe-soon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6 동양문화연구 Vol.24 No.-

        공자(孔子)가 도덕을 중시하였다는 이유로 그가 정치보다는 도덕을 중시하였다는 식의 오해가 불식되지 않는 편견 중의 하나로 여전히 남아있다. 여기에는 정명론(正名論)에 대한 오해도 한 몫 한다. 하지만 공자의 정명론은 정당성을 확보한 정치성의 회복을 말한 것이고, 또 이를 위해서는 도덕성 회복도 필수적이라는 것이지 정치보다 도덕을 우위에 놓거나 정치가 곧 도덕이라는 주장은 아니었다. 이 논문은 일각의 오해를 극복하려는 시도로 『논어』에 나타난 공자의 정치사상을 재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공자는 당대 지식인 누구보다 정치를 중시하였고, 스스로 자임의식도 강력했음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정치의 개념과 함께 공자의 정치적 이상을 살펴보았는데, 그것은 법적 분쟁이 없는 사회, 이를 위해 덕치(德治)/예치(禮治)가 우선되고 법치(法治)/형치(刑治)는 보조수단인 사회였음을 주장하였다. 또 이를 위한 정치목표는 정명(正名)과 인서(仁恕)가 구현되는 사회이고, 이때 군주의 정명과 인서의 구체적인 실천대상이 바로 혁명적인 민(民) 관념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래서 구체적인 실천내용도 부민(富民), 교민(敎民), 균민(均民)으로 집약될 수 있었다는 사실을 살펴보았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공자의 이상 및 실천과는 달리 삼가(三家)는 정명을 어긴 채 부민, 교민, 성균의 정치적 실천과는 거리가 먼 자신의 사적이익을 앞세우는 현실과 이에 대한 끊임없는 공자의 비판과 저항을 논하였다. 결국 『논어』에 나타난 공자의 정명론과 인서론은 정치에서 도덕으로의 경도가 아니라 정치의 정당성 회복을 주장한 것으로, 그것은 곧 위민, 민본의 정치를 주장한 것이었다. One of the prejudices that have yet to be dispelled is that Confucius put more emphasis on morals than politics just because he thought highly of the former. The basis of this argument is his emphasis on the rectification of names. Confucius` rectification of names, however, underlines the restored legitimacy of politics, rather than politics outweighed by ethics. In an attempt to overcome this prejudice, this study reviews Confucius` theory of politics as presented in The Analects, mainly based on the concept of the rectification of names. As a result, it is observed that Confucius emphasized politics more than any other scholars at the time and was highly aware of it himself. Ideally, he argued for a society, in which legal disputes were not necessary: in reality, he prioritized the rule of virtue and decorum governed by voluntary motives; here, the rule of law and justice forcefully implemented was supplementary. As a principle to realize it, he maintained the concept of magnanimity. His practical goals of politics, the study continues to argue, were to enrich the people, educate the people, and achieve harmony(balancing people). As a means to accomplish them, the rectification of names was presented: in particular, Confucius` view on the people was also examined by observing the essence of a ruler, namely an ideal ruler. In conclusion, Confucius` rectification of names was aimed at restoring the legitimacy of politics, not disregarding politics in favor of morals.

      • KCI등재

        동양정치사상에서의 정의(justice) 개념의 재고찰 : 『논어(論語)』를 중심으로

        안외순 ( Ahn¸ Woe Soon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1 동방학 Vol.0 No.44

        이 논문은 『논어(論語)』에 나타난 정의(正義 justice) 관념에 대해 분배적 속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기존의 경우 공자(孔子)나 유교(儒敎)의 정의관에 대해 도덕주의적 혹은 완전주의적 성격이 강한 반면 분배주의적 성격이나 이익 관련 성격은 약하거나 부재한 것으로 간주해온 경향이 강하였다. 이와 달리, 이 논문에서는 적어도 『논어』에 나타난 정의관은 도덕적 성격이 강한 것은 물론이고 분배적 성격도 마찬가지로 강하게 강조되고 있으며, 나아가 공정한 분배적 정의가 제대로 구현될 때 정치의 도덕적 정의도 구현되는 것으로 인식하는 논리임을 설명하였다. 이를 위해 서론에서 기존연구 검토와 더불어 공자 사상의 속성상 ‘정의’ 개념이 강조될 수밖에 없음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의(義)’로 표현된 ‘정의’의 자의(字意)를 통해, 공자 이전에 이미 유교문명권의 정치공동체에 존재하던 분배적/도덕적/법제적 정의의 관념이 있었음을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논어』에 나타난 ‘의(義: 정의)’는 ‘인(仁)’과 더불어 공자의 정치사상 및 정치가의 최고 가치로 간주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아울러 치자의 정의 구현은 ‘피치자의 분배적 정의’를 실현하는 것으로 간주하였음을 설명하였다. 곧 ‘분배적 정의’의 관건인 ‘이익[利]’ 관념에 대해 공자나 『논어』는 ‘정의’와 서로 짝하는 관계로 인식하되, ‘이익을 직접 추구하는 자는 생산자인 피치자 민(民)이고, 치자인 군신(君臣)은 민의 이익 추구를 공정하게 관리’하는 것이 ‘국가의 이익’이라고 관점이었음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각자의 몫을 공정하게 보장하는 일’이 정의의 출발이라는 보편적 분배의 정의관이 공자에게서도 예외가 아님을 확인하는 과정이었다. 아울러 공자의 분배적 정의관은 민에게 재화만이 아니라 교육도 분배할 것을 요구하였으며 나아가 균형적(均衡的), 도덕적(道德的), 부민적(富民的) 특징도 지님을 확인하였다. Confucius's existing view of justice mainly emphasized its moral character and denied its distributive character. In contrast, this paper argued that the concept of Confucius's 'justice' had the nature of today's justice as well as the distributive justice. In addition, this paper explained that for his distributive justice it was related to a different approach to rulers and people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interest and justice. Confucius called for rulers and people to play different roles within the state, the rulers to be in charge of state management by receiving positions tailored to their qualities and abilities, and the people to exercise their rights and duties in their profit-produces. It was very important for both rulers and people to abide by the "justice in broad sense" and that was the view that it was the "interest in broad sense" at the entire national level. For this to be possible, the people were required to engage in "interest in narrow sense" that directly generated goods, and the ruler was required to devote himself to "justice in narrow sense" activities that protected/guaranteed these interestseeking activities of the people. This is 'profit-seeking with justice'. When this is possible, Confucius's ‘distributive justice’ is established. And it had ‘balanced’, ‘moral’ and ‘wealthy people’ characteristics.

      • KCI우수등재

        유가적 군주정과 서구 민주정에 대한 조선 실학자의 인식

        안외순(Woe-Soon Ahn) 한국정치학회 2002 한국정치학회보 Vol.35 No.4

        한국 민주주의 담론의 기원에 관해서 지금까지는 주로 1880년대를 상정해 왔다. 그러나 한국에서 서구근대 민주정에 대한 지성사적 논의는 개항 훨씬 전인 1850년대까지 그 시기를 소급할 필요가 있다. 조선의 마지막 실학자라고 할 수 있는 惠岡 崔漢綺(1803~1877)가 세계 각국의 정치체제를 조선에 소개하는 과정에서 서구 근대 민주정에 대해 체계적이고도 방대한 내용을 다루었을 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평가까지 행한 바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이 한국정치사상사 최초로 서구 민주정을 인식하고 호의적으로 평가하여, 이를 조선의 유가적 군주정과 평화적으로 공존시키고자 했던 최한기의 정치사상을 그의 주저 『地?典要』와 『人政』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Ⅱ에서는 최한기 당대의 시대적 배경과 시대를 앞서가는 그의 문명관을 고찰하였다. Ⅲ에서는 서구 민주정에 대한 그의 인식 내용과 긍정적인 평가에 대해 설명하였다. Ⅳ에서는 서구 민주정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에도 불구하고 ‘유가적’ 군주정을 조선의 대안으로 제시하는 그의 논리를 규명해 보았다. Ⅴ에서는 군주정과 민주정이라는 상이한 정치체제의 공존을 인정했던 그가 ‘오륜의 세계화’라는 유가적 논리를 국제질서의 평화적 공존의 대안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을 밝히고, 아울러 그 논거를 분석하였다. Up until now, it has been thought that the introduction and understanding of democracy in Korea started in the 1880s. However, the intellectual discussion of the Western democracy must be traced far back to 1850s before Choson's opening to the Japanese and Western powers in 1876. In fact, Hyegang Choi Han-kee (1803-1877), Choson's last scholar of Confucian practical learning, discussed Western democracy in a systematic and macroscopic way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history. Thu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political thought of Choi Han-Kee, focusing primarily on his major works Jigujeonyo(An Outline for World Geopolitics) and Injeong(A Considerations on Personnel Affairs in the Government), and to show that he recognized and even appreciated the Western democracy very positively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various political systems of the world to Korea. He also tried to envisage the world where Confucian monarchies and Western democracies coexist peacefully. To do thi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Choi Han-Kee's political thought and his progressive view of civilization are examined in the second chapter. In the third chapter, his introduction and positive evaluation of Western democracy are discussed. In the fourth chapter, his logic for still recommending the Confucian monarchy to Choson despite his positive attitude towards democracy is analyzed. In the fifth chapter, the author investigated the Confucian reasoning in which he suggested the 'Globalization of Confucian Five Ethical Principles' as a vision for the peaceful coexistence of all nations despite his positive appreciation for the Western democracy.

      • KCI등재

        추사 김정희와 윤상도 옥사, 그리고 정치권력

        안외순 ( Woe Soon Ahn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3 동방학 Vol.28 No.-

        이 논문은 추사 김정희(1786~1856) 및 추사일가를 정치세계에서 추방시켰던 일련의 탄핵과정과 그 성격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추사가 濟州道로 유배 가게 되는 계기는 ‘윤상도 옥사에 연루’된 것이라는 사실은 주지하는 바이지만, 정작 지금까지 ‘윤상도 옥사’ 자체에 연구는 없다. 따라서 이 논문의 또 하나의 목적은 ‘윤상도 옥사’의 전말에 관해 규명하는 것이다. 그런데 ‘윤상도 옥사’는 독립적인 사건이 아니라 19세기 前半 조선의 勢道政治體制 속에서 전개되었던 일련의 권력투쟁적 사건들의 연속선상에서 나타났던 것이고, 또 추사만이 아니라 秋史一家 전체의 家禍와 연결된 사건이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윤상도 옥사’를 조명하되 이를 추사 및 추사 일가 전체의 정치적 盛衰과정과 관련하여 그 정치적 탄핵주체는 누구이고, 탄핵의 내용은 무엇이며, 성격이 어떠한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추사 및 추사 일가의 정치적 가화를 3차에 걸친 것으로 구분, 각각 그 정치권력적 배경과 탄핵의 전개과정을 검토하였고, 이어서 왜 하필이면 추사 및 추사일가가 당시 탄핵의 주요 대상이 되었는지 그 요인에 대해 규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이를 통해 드러나는 세도정치기 조선의 정치사적 성격에 대해 논하였다.

      • KCI등재

        맹자와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비교 이해 - 『맹자』와 『군주론』를 중심으로-

        안외순 ( Woe Soon Ahn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3 동방학 Vol.29 No.-

        마키아벨리(Niccolo Machiavelli, 1469-1527)를 동양사상과 비교할 경우 대개 한비자(韓非子)에 비견해왔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맹자』(孟子, B.C.372-289)의 『군주론』을 비교, 이해하였다. 흔히 동/서양의 대비는 그것이 각각 전근대와 근대의 표상으로 인식되고, 이 경우 특히 후자는 마키아벨리를, 전자는 법가가 아니라 유가의 공맹(孔孟)을 떠올리는데, 때문에 유교정치사상을 체계화한 『맹자』의 정치사상을 비교하고자 한 것이다. 『군주론』 과 『맹자』를 중심으로 그 『군주론』을 비교분석한 결과 인간본성론에 대해서는 상이한 인식을 보였음에도 불구 나머지 ‘현실’, ‘물리적 폭력’, 이상적인 군주의 정치, 인민과 군주의 관계, 운명과 정치의 관계, 비루트와 덕 및 정치의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을 같이한다는 사실을 논증하였다. 이는 기존의 인식, 곧 마키아벨리는 정치와 도덕을 분리하였고,『맹자』는 윤리주의 중심의 정치를 바라보았다는 인식과는 상반되는 것이다. 종합적으로 말하면 마키아벨리는 ‘중세도덕’과 ‘정치’를 ‘분리’시킨 반면 나름의 ‘정치도덕’ 내지 ‘정치윤리’를 ‘중시’하였다.『맹자』역시 ‘초월적 존재’의 ‘주재’나 그에 기초한 윤리관이 ‘아니라’ 인간의 정치적 행위의 중요성, 그리고 이를 통한 민생의 구현과 이에 기초한 윤리나 도덕질서 구현을 주창하였다는 점에서 양자는 유사하다. 다만『군주론』에만국할 경우, 마키아벨리의 그것보다『맹자』의 논의가 훨씬 더 위민(爲民)과 민본(民本)의 성격이 강했다. 건국과 치국, 전쟁의 모든 명분에 있어서『맹자』는 강하게 민생, 위민, 민의를 중시한 반면 마키아벨리는 군주의 판단과 선택에 위임된 성격이 더 강하였다고 하겠다. of Confucius. To accomplish this end, we critically examine a perspective for

      • KCI등재

        원 간섭기 고려 국왕 충선왕의 정치적 딜레마

        안외순 ( Woe Soon Ahn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5

        고려 충선왕(1275-1325)의 재위 전후 시기는 元干涉期로 한국역사에서는 일제강점기 다음으로 국가주권이 심각하게 제약받던 시기였다. 이러한 구조적 제약조건 속에서 충선왕은 강력한 고려 재건을 위한 개혁/자주 정책을 추진하여 反元정책을 취했다고 평가받는가 하면 다른 한편으로는 원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넘어 원의 간섭 자체를 더 강화시킨 親元主義者로 평가받기도 하였으며, 국왕 자리 고수를 위해 부자간의 권력투쟁도 서슴지 않는가 하면 재위시는 물론 스스로 퇴임한 후 죽을 때까지 元에 머물렀다. 일견 모순적일 수 있는 충선왕의 행보를 이해하기 위해 이 연구는 그의 정치적 딜레마를 살펴보되, 군주로서, 대원관계에서, 권력구조상의, 정치이념 차원의 딜레마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The period of King Chungseon(1275-1325)` reign in Koryeo Dynasty was subject to Yuan( Mongolia China)`s intervention and it was when the national sovereignty was severely constrained in the second place follow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roughout the Korean history. With this structural constraint, King Chungseon promoted reform/independent policies for reconstruction of strong Koryeo Dynasty, which gives him an assessment that he adopted anti-Yuan policies. On the other hand, he is also judged to have pro-Yuan attitude that he strengthened Yuan`s intervention beyond his aggressive acceptance of Yuan`s culture. He did not hesitate even to have power struggle against his sons to stick to the throne. He stayed in Yuan both during the reign and after his abdication to the death. To understand the seemingly contradictory King Chungseon`s life, this study investigates his political dilemma with focusing on dimensions of his position as a king, relations with Yuan, power structure and political ideologies.

      • KCI등재

        역사와 철학 : 한국사회과학의 자생적 성장: 한국 전통 정치사상의 현재화 모색을 중심으로

        안외순 ( Woe Soon Ahn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1 동방학 Vol.21 No.-

        한국 전통 정치사상을 연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그것을 통해 어떤 형태로든 현재적 메시지를 얻기 위함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 전통 정치사상 연구는 이 점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고 보기 어렵다. 때문에 이 논문은 궁극적으로 한국 사회과학의 자생적 발전을 위해 한국 전통 정치사상의 현재화(現在化, the present orientation)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먼저, 지금까지 진행된 그것의 당대화를 위한 기존의 연구사적 노력들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이전까지의 정치사상 혹은 지적유산들을 당대화하려는 노력으로서 근대 이전의 것으로는 김부식의 『삼국사기』를, 근대로의 이행기의 성과로는 유길준과 안확의 노력을, 현대 이후의 노력에 대해서는 근대 이전의 전통 한국정치사상에 대한 현대적 연구방법론적 고민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어서 현 시점에서 한국 전통 정치사상을 현재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총론과 각론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총론적으로는 현대 정치사상의 보편적 문제의식과 전통 정치사상의 공유 및 소통작업이 필요하다는 점, 그러나 이는 반드시전통 사상의 당대 역사적, 사상사적 맥락에 대한 깊은 이해 위에 가능하다는 점, 전통 정치사상 연구의 결과와 교훈을 보다 적극적으로 현실문제의 대안 혹은 처방으로 제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각론적 논의로는 고금을 통해 정치현상에 보편적인 핵심 개념, 주요 정치사상가들, 군주나 재상 등 주요 정치주체의 인식, 경연과 서연, 향교, 성균관, 서원 등 정치주체들의 정치교육, 유교적 법치와 예치 등 정치수단, 여말선초를 분수령으로 하는 유교와 불교의 정치이념적 위상과 그 역전상황에서의 긴장, 대립, 공존의 논리에 대한 연구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thesis aims to seek measures to bring the Korean traditional politic thoughts into the present ultimately in order for the Korean social science to have self-sustainable development. The eventual purpose of examining the Korean traditional politic thoughts is to obtain a present-oriented message - no matter what form it takes - from the ideas. However, studies on these political thoughts that have been conducted up to now have not shown satisfactory results. To meet the purpose of this paper, I researched the existing historiographic efforts to trace back related studies; for the efforts made in the pre-modern time to trace back the past political thoughts or intellectual heritage,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of Kim Bu-Shik was examined; for the transition era into the modern times, Yoo Gil-Jun and Ahn Hwak`s efforts were studied; and, for the efforts made until today, the modern-style research methodological arguments toward the traditional Korean political thoughts of the pre-modern era were researched. And the measures to apply the Korean traditional political thoughts in the present times were, then, provided into two sections - introduction and itemized discussion. The introduction mainly discussed the necessity of common critical minds toward the modern political thoughts, of sharing and communication works of traditional political ideologies - yet with the point that these should be possible under the profound understanding about the historical and ideological context of the traditional thoughts - and of efforts to offer the results and lessons of the studies on traditional political thoughts as alternatives or measures to solve the problems of reality in a more active way. The itemized discussion provided the necessity of studies on the following matters: core concepts reflected generally in the political phenomena now and then, the main political thinkers, the recognition of main political subjects including kings and prime ministers, their political education through Kyungyon and Seoyon (royal education especially for those soon to be kings), Hyanggyo (national Confucian high schools to teach local student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Sungkyunkwan (the highest-level education organization in the late Koryo and early Joseon Dynasty periods), Seowon (private Confucian high schools to teach local student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etc., political measures such as Confucian governing law and manners, the political ideological statu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with the late Koryo and early Joseon Dynasty periods as turning point, and the logic of tension, conflict, and co-existence during the tran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