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진남조(魏晉南朝)의 장군제(將軍制)와 "녕동대장군(寧東大將軍)"

        이주현 ( Ju Hyeon Lee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2 백제문화 Vol.1 No.46

        後漢末이래로 魏晉南朝를 거치면서 발달한 將軍制度는 분열과 혼란의 시대상을 집약적으로 대변해준다. 이 시대 역대 왕조는 군사적으로 매우 취약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將軍號의 수는 폭증을 거듭하였으며, 그 결과 관직체계에서도 수많은 장군과 그 軍府의 屬官職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특히 군사 정변을 통해 대권을 장악한 장군이 국정을 전단하다가 새로운 왕조를 창업하는 사례가 수십 년마다 되풀이된 것은, 장군제의 전개에 따른 불가피한 결과였다. 지방에서도 장군호의 폭증에 비례하여 州와 郡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그 행정이 군부에 예속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都督·將軍의 군사관할 범위 안에서 州·郡은 그 일부로 예속되었으며, 군부의 속관들이 郡縣의 守令을 겸하는 것이 상례가 되었다. 중앙과 지방이 장군의 군사관할권에 의한 統屬체계로 새롭게 개편되면서, 국제관계에도 기존의 爵制的질서를 벗어나 장군호를 매개로 한 새로운 질서가 형성되었다. 東晉末이후 南朝에서는 이미 유명무실해진 封爵을 보완하는 수단으로 장군호를 주변국 군주에게 除授함으로써, 새로이 군사관할권에 입각한 統屬관계를 형성한 것이다. 주변국 군주의 사절이 그 군부의 속관 직함(長史·司馬·參軍)을 지니고 중국에 使行한 것은, 새로이 형성된 관계의 틀이 국제관계의 표준이 되었기 때문이다. 중국 측의 이러한 의도가 실제로 관철되었는지 단언할 수는 없지만, 宋代이후 동아시아 국제질서가 안정을 회복하는 단계에 들어섬으로써 중국과 정치 문화적 교류를 희망하는 주변국에 장군제의 수용이 점차 국제적인 관례로 굳어져갔으리라 생각된다. 이러한 관례는 비단 중국과 주변국 사이에서 뿐만 아니라 주변국들 사이에서도 적용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6세기에 百濟가 倭에 보낸 사절의 직함으로 장군이 종종 등장하는 것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武寧王이 실제로 국내에서 寧東大將軍의 軍府를 개설 운용했는지 단언할 수는 없지만, 그의 묘지명에서 보듯 장군호를 공식적인 직함으로 사용한 사실은 확인할 수 있다. 무령왕은 중국과의 교섭에서도 장군호를 포함한 공식 직함을 칭하고, 그가 보낸 외교사절도 당연히 군부 고유의 직함(즉 長史?司馬?參軍)을 사용했을 것이다. 다만 干支표기나 ``崩``의 용례는 무령왕이 백제에서 배타적으로 군림하는 존재였음을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즉 ``寧東大將軍·百濟斯麻王``은 당시 국제 관례를 충실히 반영한 직함이었다고 할 수 있다. General system developed in the Six Dynasties Period intensively represents the period of split and disorder. Although most of dynasties in this period had very weak and little military capabilities, the number of generals had been considerably increased, as a result, a number of generals and their subordinates were of great importance in entire officer ranking. In particular, Establishments of new dynasties by generals who took the supreme power by coup in every several years were an inevitable result due to the development of general system. In various local areas, the number of provinces and towns had been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generals, and their administrative organs were resulted to be subordinated to military posts of Dudu(都督) and Jiangjun(將軍). It turned out to be a tendency that subordinates of a military post served as magistrates(郡守·縣令) within the military jurisdiction of a general. As the administrative system was reorganized to the governing system based on military jurisdictions of generals, a new order had been formed by general system in international relations, beyond pre-existing order(爵制的秩序). Since the 5th century, general titles were granted to the monarchs in neighboring countries, as a means to compensate nominalized titles of nobility, by which a new governing system based on military jurisdiction was estabilished. In this period delegates from neighboring countries visited China usually with titles of subordinates(Changsi, Sima, Canjun) of military posts, which proves that relationship reorganized based on the military system and title was considered a widespread standard in international relations. It is hard to assure whether international relations based on chinese military system and title actually worked as intended. But acceptance of chinese military general system became an international tendency among neighboring countries hoping political, cultural exchange with China, as since the 5th century 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reached the step to restore its stability. Although Actual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Great General Yeongdong" military post by King Muryeong(武寧王) is still in debate, the epitaph from his tomb proves that King Muryeong obviously used his general title as an official title. King Muryoeng called himself various official titles including granted general title in negotiations with Chinese side, his diplomats would use their own titles of military posts for sure. However several words in the epitaph clearly reveal that King Muryeong was an exclusive and independent ruler in Baekje(百濟) Dynasty.

      • KCI등재

        17세기에 의례화된 송대장군

        최종성(Choi, Jong Seo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역사민속학 Vol.0 No.44

        송징, 송장군, 송대장군 등의 담론과 실천은 전남 완도에 집중되고 있으며, 자료상 탈-완도의 가능성도 높지 않았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는 인조 7년(1629) 소위 이충경 옥사를 기록하고 있는 의금부의 재판기록인 ??역적이충경문서(逆賊李忠慶文書)??(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자료)를 통해, 황해도, 강원도, 함경도 등 한반도 중북부에서 의례화되었던 송대장군을 만나게 된다. 이충경을 비롯한 해서 및 관서 지역 출신의 하층민들은 상경거사(上京擧事)를 실행에 옮기기 전에 최영 및 남이와 더불어 송대를 모시는 장군제를 비밀리에 거행하였다. 『역적이충경문서』에 자주 등장하는 최영, 남이, 송대 등 3장군의 의례야말로 그간 송징 자료의 공백기로 남아 있는 17세기의 틈을 메워줄 뿐만 아니라 완도 중심의 편중성을 덜어주는 좋은 소재가 아닐 수 없다. 15세기 『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서 송징은 호국신사의 신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16세기 『석천집』에서는 지역의 민중영웅으로서 송대장군이 유자들의 비웃음 속에서 소박한 무당굿을 흠향하는 신령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리고 17세기 『역적이충경문서』에서는 상경거사를 획책하는 사회적 약자들 속에서 반왕조를 원조하는 장군신으로서 송대장군이 의례화되었다. 3세기에 걸친 편린들 속에서 괴력과 비극을 겸비한 송대장군의 종교적 힘과 그 발산을 확인할 수 있다. 민중들의 종교적 상상력과 감수성은 적장(敵將)도 역장(逆將)도 그리고 또 다른 적장(賊將)마저도 호국신사(護國神祠)의 주인으로, 때론 위민(爲民)의 영웅신으로, 급기야는 반왕조의 희망을 지지하는 신령으로도 전략화할 수 있을 만큼 풍부하였음을 실감하게 된다. It is reported that the folktales and rituals related to Song Jing(宋徵), Song Janggun(宋將軍, General Song), and Song Daejanggun(宋大將軍, Great General Song or General Song Dae) are only in the neighborhood of Wando Island. This paper deals with the 17<SUP>th</SUP> century ritual to general Song Dae in central and northern inland of Korean Peninsula from the State Tribunal Report on Rebel Yi Chung-gyeong’s Cabal (逆賊李忠慶文書). Yi Chung-gyeong and his followers sacrificed a horse to God, hanging three portraits of generals Choe Yeong, Nam Yi, and Song Dae(Song Jing) in Anbyeon, Hamgeong Province. The naratives of Song Dae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first two. It is believed that they accomplished the heroic merits while alive, but got a wrongful death from their political opponents. This contradiction between good deed and false charge is used efficiently to maximize their own religious power. Yi Chung-gyeong’s cabal recognized three generals as the powerful deities, and also ritualized general deities for their rebellious dreams.

      • 단오의 민속학적 성격

        김선풍 경산대학교 경산문화연구소 2001 경산문화연구 Vol.5 No.1

        이상에서 단오의 세시풍속상의 의미와 장군제로서의 단오의 역사적 기능을 살펴보았다. 단오제는 천상의 높은 신이 하강한 날을 축하하고 제의적 기능이 있음을 '수레'를 통해 발견할 수 있었다 강릉단오제에는 '돌베게 잠잔다'는 말이나 '과부가 구제된다'는 말이 전하고 있다. 다름 아닌 짝짓기 축제로서의 기능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서구의 여름 축제에도 "He is a Festival child"란 말이 있어 여름 축제의 사회성을 찾을 수 있다 단오는 달신(月神) 제의나 축제라기보다 May Pole이 상징하듯 일신(日神)제의나 축제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단오절 놀이로 차전(車戰) 놀이 곧, 수레싸움놀이를 들어 수레가 일신 상징물임을 증명해 보았다. 수레는 티벳이나 몽골에 지붕꼭대기에 있는 법륜(法輪) 곧, 달이나 태양을 상징한다. 한국인의 3대 축제는 설, 단오, 추석이다. 우리 민족은 3분법적 사고를 가지고 축제를 치루어 온 민족이다. 흑룡강성의 조선족은 설은 아침이요. 단오는 점심이요, 추석은 저녁에 해당한다는 사고법을 지니면서 살고 있다. 아리랑 3박자처럼 축제마저 3분적 논리에서 일탈하지 않는 민족심리속에는 3분박적 삶의 주기가, 신성주기(신성박)에 속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한민족은 설, 단오, 추석에만 빔을 차려입는 소이연(所以然)도 그로 말미암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