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 연민의 이타적 변화를 위한 불교적 고찰

        한주희(Hahn Ju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8

        본 연구는 현대 서양 심리학계에서 연민, 자비의 개념이 다양하게 이해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불교적 자비의 개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비는 마음챙김 명상이 서구 사회에 다져놓은 불교적 인간 이해의 바탕 위에서 새로운 화두로 떠올랐다. 그리고 자아중심적, 개인주의적인 서구 문화 속에서 스스로에게 먼저 베푸는 자기 연민(self-compassion)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서 재구성되었다. 불교 문화에 익숙한 우리 사회에서는 자비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이라도 자비는 타인에게 베푸는 선한 마음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전통적 사고방식과는 달리 서구인들은 자비와 연민의 대상을 먼저 자신으로설정하였으며, 자기 연민은 자아존중감을 대체하는 것으로까지 여겨지고 있다. 여기에서 서구의 자비, 연민 개념이과연 본래 불교적 자비와 맞는 것인가 하는 의문이 일어난다. 불교적인 자비의 본래적 개념은 무엇인가. 자비와 연민의 대상이 타인이 아닌 자신일 수 있는가. 자신을 대상으로 하는 자비가 타인을 대상으로 하는 자비로 발전되기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등의 질문에 대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불교적 자비가 어떤 의미인지 살펴보기 위하여 불교에서 자비의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는 사무량심의 의미와, 그것이 초기 불교에서 대승으로 넘어오면서 확장, 변화되는 개념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현재서양 심리학의 주된 배경이 되고 있는 초기 불교적 자비에서부터 대승 불교적 자비로의 변화가 필요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Buddhist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concepts of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are understood in various ways in the circles of modern Western psychology.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emerged as a new topic on the basis of the Buddhist understanding of people and meditation, which was consolidated by the meditation of mindfulness in the Western society. In the self-centered and individualistic Western culture, compassion was later reorganized into a new concept of self-compassion of showing kindness to oneself first. In the Korean society accustomed to the Buddhist culture, compassion is generally considered as a good heart of showing kindness to others even by those who have no good idea of compassion. Unlike this traditional way of thinking, Western people set themselves as the first object of their compassion and even consider self-compassion to replace self-esteem. Here, a question rises as to whether the Western concept of compassion is in line with original Buddhist compassion. What is the original Buddhist concept of compassion? Can oneself be the object of his or her compassion instead of others? What is needed to develop compassion targeting oneself into compassion targeting others? It is important to be able to answer these questions from the Buddhist point of view. Trying to figure out the meanings of compassion in Buddhism,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meanings of Four Immeasurable Minds, which are the starting point of compassion in Buddhism, and their expanding and changing concepts from early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Based on its findings, the study raised a need for changes from the compassion of early Buddhism, which is a major background in Western psychology, to the compassion of Mahayana Buddhism today.

      • KCI등재

        자기자비와 삶의 질의 관계 및 우정과 타인자비의 매개효과

        조기욱(Kee Ook Cho),김환(Hwan Kim)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2023 미래사회 Vol.14 No.1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자비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우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이러한 자기자비와 삶의 질 간의 영향구조 속에서 우정과 타인자비의 이중매개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대학생 144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K-SCS),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 - 단축형(WHOQOL-BREF), 우정의 질 척도(FQQ), 한국판 단축형 자비적 사랑 척도(CLS-K11)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표집된 자료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자비와 삶의 질, 우정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자기자비와 타인자비 간에는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인자비는 우정, 삶의 질과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못했다. 셋째, 자기자비의 삶의 질에 대한 영향 관계에서 우정의 매개효과가 처음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자기자비와 삶의 질의 관계구조 속에서 우정과 타인자비의 순차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자기자비가 타인과의 우정으로 진전되고 이를 매개로 종합적인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friendship in the influence of self-compassion on the quality of life (QoL) in early-adulthood undergraduate students,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quality of friendship (QoF) and compassion for others in the identified influence structure of self-compassion was investigated. The data on 144 students from the universities in Seoul are collected on their Korean version of Self-Compassion Scale (K-SCS), Korean version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Brief Version (WHOQOL-BREF), Friendship Quality Questionnaire (FQQ), and Korean version of Compassionate Love Scale Brief Version (CLS-K11). Using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test the study hypothes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self-compassion, QoL, and QoF. Secon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elf-compassion and compassion for others, while the latter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ither QoF or QoL.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QoF in the influence structure of self-compassion and QoL was verified for the first time. Fourth, QoF and compassion for others did not hav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influence structure of self-compassion and QoL. The results indicate the possibility of further improvement of the overall QoL as the self-compassion advanced into the friendship with others and as the friendship acted as the mediator to enhance the QoL. The findings are thus significant in having identified a new route by which self-compassion could enhance the QoL.

      • KCI등재

        경전에 나타난 자비실천의 통합적 고찰

        박용식 ( Park Yong-sic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9

        본 논문은 불교 경전에 담긴 자비의 사상과 실천에 대하여 살펴본 논문이다. 그 내용을 요약해본다면, 첫째, 자비의 방법론으로 초기경전과 부파 논서 그리고 대승경론 상에 의하면, 공통적으로 모두 신명(身命)을 바쳐 자식을 사랑하는 어머니와 같이 생명 있는 모든 중생에게 무조건적인 사랑을 베풀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자비사상의 실천에 관한 경전의 교설은 다양하며, 이들 경전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핵심은 결국 보시사상의 실천이 곧 자비행을 실천하는 것이고, 이것은 불교사회복지의 실천행에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셋째, 자비를 바탕으로 한 정신적 법시(法施)로써 불교 사회복지를 최초로 실천한 사람은 붓다였으며, 붓다의 자비정신을 이어받아 불교 사회복지사업을 실행에 옮긴 사람은 인도 역사상 최고의 군주 중 한 사람으로 거론되는 아쇼카 대왕이었다. 넷째, 다양한 경전의 교설을 통해 자비의 종교적 활용으로서 유용함은 바로 ‘보시’에 있다. 보시는 재물보시와 법시 그리고 무외시가 있으며, 물질적인 측면과 정신적인 측면으로도 자비심만 있으면 남녀노소 빈부격차에 상관없이 누구든지 일체중생에게 베풀 수 있다. 그러므로 자비는 불교의 가장 기본적인 윤리적 덕목이자 가치이며, 가장 귀중한 심성이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자비는 나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타인을 중심으로 그들의 어려움과 고통을 함께 느끼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자비는 괴로워하는 중생들에게 자비심을 내고 그들이 고통에서 벗어나 깨달음의 세계에 도달할 수 있도록 인도하는 수단이며 방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비의 실천은 인간의 행복뿐만 아니라 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중생에게 행복과 안락을 가져다 줄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인간상은 자비로운 삶을 통해 지혜를 얻는다는 것에 있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figure out the thoughts and practices of maitrī(Jabi, 慈悲) presented in the Buddhist scriptures. To summarize the contents, the first 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maitrī. First, according to the early scriptures, the sectarian treatises, and the Mahayana commentaries, what they have in common is that we should give unconditional love to all living beings like a mother who loves her children at risk of her life and limb. Second, the doctrines of the scriptures on the practice of the ideology of mercy are diverse, and the point to be emphasized in these scriptures is that the practice of the dāna(Bosi, 布施). Ideology is ultimately the practice of mercy, which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practice of Buddhist social welfare. Third, it was the Buddha who first practiced Buddhist social welfare as a spiritual dāna of dharma(Beopsi, 法施) based on maitrī. The person who inherited the Buddha's spirit of mercy and put into practice Buddhist social welfare was King Ashoka, the 3rd emperor of the Maurya Dynasty, who is said to be one of the greatest monarchs in Indian history. Forth, through the teachings of various scriptures, the usefulness of mercy as a religious application lies in the dāna. There are three types of dāna: 1) Material gifts(財物布施). 2) Teaching or dissemination of the Dharma(法布施). 3) The offering of fearlessness(無畏布施). As long as there is compassion in terms of material and spiritual aspects, anyone can give to all living beings, regardless of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Therefore, it is said that mercy is the most basic ethical virtue and value of Buddhism, and it is the nature of the mind that is most precious. Because mercy is to feel their difficulties and pains together, not centered on me but centered on others. It can also be seen that mercy is a means and expedient for showing compassion to suffering living beings and guiding them to free themselves from suffering and reach the world of enlightenment. Therefore, in the practice of mercy, the most ideal human image that can bring happiness and comfort not only to human happiness but also to all beings on this earth is to acquire wisdom through a compassionate life.

      • ‘자비’의 계시 원리에 관한 영성신학적 분석(1):구약 성경 안에서 드러나는 자비의 맥락

        정창주(Chang-Joo CHUNG)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20 가톨릭사상 Vol.- No.60

        그리스도교의 영성은 ‘계시의 원리에 입각하여’ 개별적 영적 체험의 정통성을 판단한다. 그러므로 어떤 카리스마를 가진 영성이 영적 여정의 길을 제시할 때 마땅히 그 영성의 토대를 이루고 있는 계시 원리를 명확히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개개인이 어떤 영성을 깊이 있게 실천한다는 것은 이 계시 원리를 더 충만하고 살아있는 것으로 체험한다는 의미이다. 성녀 파우스티나와 성 요한 바오로 2세를 통해 알려진 자비의 영성은 외형적인 측면에서 볼 때 나날이 더 널리 실천되고 있다. 하지만 이 실천이 올바른 방향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기 위해서는 반드시 ‘자비’의 계시원리가 무엇인지 깊이 있게 파악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는 자비의 영성에 관한 연구의 첫번째 과제는 계시의 원천인 성경을 중심으로 ‘자비’의 계시 원리를 정립하는 것이다. 그런데 오늘날까지 ‘자비’를 주제로 한 연구의 주된 관심사는 인간에 의해 실천된 자비, 이 실천적 자비의 구체적이고 사회적인 측면이었고,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하느님의 자비’는 그분께서 특별히 가난하고 약한 이들에게 마음을 기울이고 돌보시니 우리 인간들도 그러해야 한다는 초점에만 고정되어 있었다. 즉 신적 속성으로서의 ‘자비’는 단지 하느님께서 피조물들과 가지시는 외형적 관계의 획일화된 틀 안에서 그 풍성한 줄거리를 잃어버렸다. 이런 이유에서 성경적, 아니 그리스도교적 ‘자비’의 테마는 언제나 하느님의 존재로부터 출발하여 그분만의 고유한 신적 속성을 이루는 맥락에서 연구되어야지 제자리를 찾을 수 있다. 하느님 존재의 무게가 담긴 ‘자비’가 곧 그리스도교만이 가진 고유한 자비인 것이다. 본 연구는 구약 성경 안에서 특징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보여지이는 ‘자비’의 구조와 법칙들을 분석하여 자비의 영성에 필요한 계시 원리를 구성해보고자 한다. The spirituality of Christianity bases the authenticity of the individual spiritual experience founded on the principle of the divine revelation. Therefore, when any powerful spirituality presents a way of spiritual journey, the principle of the divine revelation founded on the spirituality ought to be shown. The fact that individuals pratice certain spirituality in depth, means that they experience the principle of the divine revelation more fervently. From the outward aspect, the spirituality of mercy known through St. Faustina and St. John Paul Ⅱ is more widely practiced from day to day. However, to develop this practice in a right way, the principle of the divine revelation of mercy must be studied deeply. Therefore, the first task of the study on the spirituality of mercy remaining in the early stage is to found the principle of the divine revelation of mercy focusing on the scriptures which is a fundamental source of the revelation. However, the main concern of the studies on mercy have been mercy practiced by men in detail and on the social aspect. In this stream, mercy of God was only focused that as humans we should do the same as God because he takes special care of the poor and the weak. That is, mercy as a divine attribute just lost the abundant story within the uniform framework of external relationships with the creatures. For this reason, the Christian, rather than biblical theme of mercy can always find its way only if it is studied in the context where his own unique divine property is revealed starting from the existence of God. Mercy containing the weight of God s existence is just only what Christianity has. This study researches the principle of the divine revelation needed to understand the spirituality of mercy by analyzing the structures and the rules of mercy shown in the Old Testaments distinctively and repeatedly.

      • 자비의 영성에 관한 연구의 현주소와 그 출발점: - 성 요한 바오로 2세의 체험을 중심으로 -

        정창주(Chang-Joo CHUNG)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19 가톨릭사상 Vol.- No.58

        현재까지 ‘자비’의 연구 영역에서 주목할 만한 신학적 분석은 발터 카스퍼의 작업이 유일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는 2012년에 출간한 자신의 책에서 우리 시대 화두로 떠오른 ‘자비’라는 주제가 오랜 세월 무책임하게 경시되어온 원인을 하느님 존재에 대한 신학의 일방적인 형이상학적 본질 규명으로 분석했다. ‘자비’는 이러한 사변적 작업이 아니라 성경을 통해 전달되는 하느님의 역사적 자기 계시 안에서 중심 위치로 파악된다. 그러므로 어떤 의미에서 신학은 이 가장 기본적인 토대를 부정하지는 않았지만, 그 일방적인 방향 추구로 인해 의도치 않게 인간의 구체적인 삶과 분리된 하느님을 계속해서 부각해온 셈이다. 발터 카스퍼의 신학적 분석은 우리 시대 자비의 영성을 살아가고 그것을 해석하여 교회의 유산으로 남겨준 대표적인 인물 성 요한 바오로 2세의 근원적인 체험의 맥락으로 증명된다. 그에게 ‘자비’라는 가치가 깊이 뿌리를 내리게 된 것은 사변적인 숙고를 통해서가 아니라 철저히 실존적인 체험의 영역을 통해서이다. 1920년-1989년 고국 폴란드가 나치와 공산정권으로부터 억압당하던 격동의 시기 한가운데서 악의 실재, 악의 이데올로기의 가공할 힘에 맞서 저항하고 살아남아야했던 그에게 ‘자비’는 유일하게 의탁할 수 있는 하느님 존재의 중심점이 되었다. 이는 마치 성경 계시의 중심 열쇠가 우리 시대 구체적인 한 인간의 삶 안으로 되살아 난 것과 이상의 줄거리에서 확인되는 바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는 자비의 영성의 연구가 그 출발점에서 고려해야할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자비’는 성경을 토대로 그 고유한 구조와 원리, 법칙이 파악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은 악의 최종적인 승리를 저지하는 하느님의 힘이라는 틀 안에서 명확히 드러난다. 현재로서는 요한 바오로 2세의 삶과 신학 안에서 보이는 ‘자비’가 가장 힘 있는 증언이 될 것이다. Until now, the only study on the ‘mercy’ that deserves one’s attention in theological analysis is the work of Cardinal Walter Kasper. The book he published in 2012 analyzed that the ‘mercy’ the hot topic of the times has been neglected because of one-sided metaphysical substance investigation on existence of God. But the ‘mercy’ is understood not as the speculative work but as the main theme in God’s historical self-revelation through the scriptures. Therefore, although the theology on the mercy does not deny the basic foundation, the one-way direct pursuit unintentionally causes the separation God from the real human life. The theological analysis of Cardinal Walter Casper proves itself in the original experiences of St. John Paul II who lived the mercy of the times, interpreted and left it as the heritage of the church. The ‘mercy’ deeply rooted in him not by the speculative thought but by the thorough existential experiences. From 1920 to 1989, Poland his homeland was in the chaotic center of Nazi and Communism. The ‘mercy’ was the only reliance of God’s existence in which he resisted and survived against the power of evil and its ideology. It is like the main key in the scriptural revelation embodied in the real life of one man in our times. So the study on the spirituality of mercy in the beginning stage requires considering some elements in the starting point which follows. The original structure, principle, and rule of the ‘mercy’ needs to be understood through the scriptures which definitely reveals the power of God over evil’s final victory. At the present time, the ‘mercy’ through the life and theology of St. John Paul II is the most powerful witness.

      • ‘자비’의 계시 원리에 관한 영성신학적 분석(3)

        정창주(Chang-Joo CHUNG)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22 가톨릭사상 Vol.- No.64

        신약 성경 안에서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이라는 존재를 통해 당신의 자비를 말씀하신다. 이는 다음 계시의 맥락과 일치한다. “하느님께서 예전에는 예언자들을 통하여 여러 번에 걸쳐 여러 가지 방식으로 조상들에게 말씀하셨지만, 이 마지막 때에는 아드님을 통하여 우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히브 1,1) 구약이 자비를 중심으로 하느님에 대해 증언했던 줄거리들이 연속성과 절대성의 측면에서 어렴풋하게 보였다면, 신약에서는 구약이 자비에 부여했던 모든 것들을 예수님 안에서 집약하고 완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신약의 ‘자비’를 이해하는 중심 열쇠는 예수님의 존재와 그분의 현존이다. 자비의 계시 원리에 관한 첫 번째 연구는 구약 안에서 드러난 하느님자비의 특징을 분석하여 자비를 이해하는 관점들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두번째 연구는 자비에 관한 구약의 특징들이 가리켰던 하느님의 얼굴이 예수님께서 알려주신 당신 아버지의 자비로운 얼굴에서 구체화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제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자비의 흐름에 최종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예수님의 존재를 중심으로 그리스도교 자비의 고유성을 종합하고자 한다. God speaks his mercy through the existence of Jesus in the New Testament. This is consistent with the Divine Revelation in the following excerpt: “In times past, God spoke in partial and various ways to our ancestors through the prophets; in these last days, he spoke to us through a son.”(Heb 1,1) While God shows his mercy vaguely through the testimony in the aspect of narrative continuity and the absoluteness of his existence in the Old Testament, he does so intensively through His son Jesus Christ in the New Testament. Thus, the key to understanding mercy in the New Testament is through both the existence of Christ in the bible and his living presence around us now. The first study on ‘the Principle of the Divine Revelation of Mercy’ presented a variety of views to understand mercy, analyzing the structures and the rules of it shown in the Old Testament. The second study on ‘the Principle of the Divine Revelation of Mercy’ demonstrated divine mercy in the Old Testament more clearly through the revelation from Christ about the Father in the New Testament. At last, this study summarizes uniqueness of mercy in Christianity, focusing on Christ’s existence to give a conclusion to the studies conducted so far.

      • KCI등재

        자비 및 자애명상의 심리치료적 함의

        조현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4 인지행동치료 Vol.14 No.1

        최근 동양의 마음챙김 명상이 서양의 심리치료 영역으로 옮겨오게 되면서, 마음챙김 명상을 활용한 심리치료 이론들이 제 3의 인지행동치료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그동안 마음챙김 명상의 치료적 효과성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많은데 비해, 마음챙김 명상의 한 방법인 자비 및 자애명상에 대해서는 덜 주목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본고는 자비 및 자애명상의 정신건강의 이득과 자비 및 자애명상이 심리치료적으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인지행동치료가 어떻게 마음챙김과 연결될 수 있으며, 더불어 인지행동치료가 어떻게 진화하여 발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불교적 용어인 자비(慈悲)가 영어로 lovingkindness 혹은 compassion으로 번역되어 소개되고, 국내에서 재번역되는 과정에서 용어의 혼란이 초래하였으므로 자비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자비 및 자애명상이 정신건강 및 심리치료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국내외 경험적인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독자들이 임상 및 상담현장에서, 자비명상을 심리치료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국내외 연구자들이 실시하고 있는 자비 및 자애명상의 실습 내용들을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자비 및 자애명상이 갖는 심리치료적 함의와 제한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Recently, the psychological psychotherapies using mindfulness meditation have been called the 3r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s the acceptance of thought rather than to change the contents of it. This study reviewed a lovingkindness-compassion mediation among mindfulness meditation and whether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practices use to be a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 Frist, this study described what is the mechanism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how is the mindfulness meditation to connect with the 3r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Second, 慈悲 mediation in the Eastern has been translated into compassion or loving-kindness(meditation) in english. This paper organized the concepts of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mediation, which have been defined differently by many researchers. Third, this study reviewed research related to compassion and loving-kindness meditation and examined the effect of psychotherapeutic about it. Fourth, this study presented a few researcher’s compassion and lovingkindness practices to apply the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limit and implication of a lovingkindness-compassion mediation and the research direction of it.

      • KCI우수등재

        건강한 자비의 함양을 위한 불교와 심리학의 학제적 고찰

        하현주(Ha, Hyun-ju)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4 No.-

        최근 심리학계에서는 불교의 자비에 기반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치료 효과를 입증하면서 자비의 가치에 주목하고 있다. 심리학 내에서는 자비를 증진하기 위한 개입방법으로 자비명상이 치료적으로 활용되기도 하고, 자신에게도 우호적인 태도를 함양하는 자기자비가 자존감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각광받으며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자기자비가 불교의 무아와 자타불이의 사상과 모순된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하는데, 자비가 치료적으로 활용되는 과정에서 본래의 의미가 변색되지 않은 채 건강하고 진정한 자비로서 적용되기 위해서는 불교의 철학적 바탕과 심리학적 방법론 사이의 활발한 학제적 접근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불교와 심리학의 관점에서 각각 자비를 조망해보고, 건강한 자비란 무엇인지 고찰함으로써 향후 자비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자비의 불교적 정의와 자리이타 (自利利他), 자타불이 (自他不二), 삼연자비 (三緣慈悲)와 같은 자비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진정한 자비의 측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비와 유사한 듯 보이지만 진정하고 건강한 자비가 아닌 유사 자비 (pseudo-compassion)의 양상으로 자기애적 자비와 반동형성적 자비, 결핍과 희생에 기반한 자비, 슬픔에 압도된 자비를 제언하였다 . 건강한 자비가 갖추어야 할 특성으로 상호연결성과 지혜, 평정심에 기반한 자비, 상호치유 과정으로서의 자비를 제안함으로써, 보다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자비를 함양하기 위한 방편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향후 불교와 심리학의 학제적 접근이 더욱 활발해진다면, 자비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자비 실천을 위한 함양방법이 더욱 체계적으로 제시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Recently, in the fields of psychology, a variety of compassion-based programs have been widely developed and have proved their therapeutic effects on a series of mental problems. Especially, compassion meditation has been used therapeutically as an intervention to promote compassion, and self-compassion which develops a friendly attitude toward oneself is being actively studied as a new alternative to self-esteem.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riticism that self-compassion is contradictory to the Buddhist concepts of non-self (anattā), non duality of I and the not-I. In order to apply compassion without the discoloration of original meaning in the course of the therapeutic use of it, an active interdisciplinary approach between Buddhist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psychological methodology is required. In this perspective, I try to establish an interdisciplinary base for future study by considering authentic and healthy compassion in terms of Buddhism and psychology. I examined the Buddhist definitions of compassion and the characteristics such as ‘By benefiting oneself, one benefits others( 自利利他 )’, ‘non duality of I and the not-I( 自他不二 )’, ‘the three kinds of causal compassion( 三緣慈 悲 )’. I also suggested patterns of pseudo-compassion, which seem to be similar to compassion but not genuine and healthy aspects of it; narcissistic compassion, compassion as a reaction formation, compassion overwhelmed by sadness, and compassion based on destitution and sacrifice. I sought to find a way to cultivate healthier and more sustainable compassion by proposing it based on interconnectedness, wisdom, equanimity and as a process of mutual healing. If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Buddhism and psychology become more active in the future, it will be able to suggest more systematic ways to cultivate in-depth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compassion.

      • KCI등재

        정서전염과 자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자기몰입의 매개효과

        하현주,권석만 한국건강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4 No.4

        본 연구는 타인의 기쁨과 고통에 관심을 지니고 공감하며 지지를 제공하는 자비(慈悲, compassion)의 심리적 기제를 탐색하기 위하여 자비와 정서전염의 관계에 마음챙김과 자기몰입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00명의 남녀 성인에게서 정서전염, 자기몰입, 자비, 마음챙김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상관관계 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정서전염과 자비, 마음챙김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자기몰입과 다른 변인들 간에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한편, 자기몰입은 부정 정서전염과 정적 상관을, 자비, 마음챙김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마음챙김이 정서전염과 자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몰입은 정서전염과 자비의 관계를 매개하여 정서전염에서 자비로 가는 경로를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서전염을 긍정 정서전염과 부정 정서전염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긍정 정서전염과 자비의 관계를 마음챙김이 매개하며, 부정 정서전염과 자비의 관계를 자기몰입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서전염이라는 현상 속에서 자기몰입이 자비를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부정적 정서전염 상태에서는 마음챙김과 자비로 이어지기가 쉽지 않으므로 자기몰입에 대한 개입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근거로 향후 자비와 마음챙김을 활용한 치료적 개입에 있어 자기몰입을 줄이기 위한 체험적 탈자기참조적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indfulness and self-absorption through emotional contagion on compassion,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compassion that cares, empathizes, and provides support for other’s joy and distress. The level of emotional contagion, self-absorption, compassion, and mindfulness was measured in 300 adults, and correlation and mediating effect analyses were conduct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emotional contagion, mindfulness, and compassion.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absorption and the others. Conversel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absorption and negative emotional contagion,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ompassion and mindfulness. Second, mindfulness was found to mediate par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ntagion and compassion. Additionally, self-absorption supp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ntagion and compassion. The results of dividing emotional contagion into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contagion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emotional contagion and compassion was mediated by mindfuln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al contagion and compassion was mediated by self-absorp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self-absorption is a factor that suppresses compassion amid the phenomenon of emotional contagion. It also revealed that intervention in self-absorption needs to precede to facilitate compassion, otherwise it is not easy to lead to mindfulness and compassion in a state of negative emotional contagion. Based on this, implications for clinical intervention reducing self-absorption through the experiential selfless process a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is suggested.

      • KCI등재

        “우리는 다시 확고하게 고해성사를 중시하여야 합니다”(『자비의 얼굴』 17항)

        호세 그라나도스(Jose Granados),김상용(번역자)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9 神學展望 Vol.- No.204

        고해성사는 하느님 자비의 성사이다. 참회의 원천과 목적지는 자비의 그것들과 일치한다. 인간의 죄는 이 원천과 목적지, 곧 하느님의 창조와 구원사이에서 벌어지는 하나의 이야기이다. 인간이 자신의 원천으로부터 목적지로 가는 여정을 가로막는 장애물이다. 그러나 인간 이야기는 그가 지은 죄이야기보다 더 오래되었고 더 궁극적이며, 더 심오하고 더 원대하다. 이 이야기는 그리스도를 통해 결정적으로 드러났으며, 그리스도 이야기에 다름아니다. 바로 여기에 참회의 의의와 자비의 의미가 존재한다. 그리스도 이야기는 하느님의 주도로 하느님 이야기가 인간 이야기와 불가분적으로 결합하게 된 자비 이야기의 원형이요 그 정점이다. 이런 의미에서 그리스도는 성부의 자비의 얼굴이다. 참회 과정은 인간이 태초부터 하느님과 맺고 있던 관계를 그리스도를 통하여 기억해 내고, 이 기억의 빛으로 조명하여 자폐적인 죄 이야기를 은총의 희망으로 열린 이야기로 다시 독해함으로써(고백) 본래의 관계적 실존성을 회복하고(통회), 이에 따라 덕행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보속) 일련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모든 과정에 함께하는 하느님의 자비는 이처럼 죄인을 새롭게 태어나게 하며, 이 인간이 당신의 자비로써 새로운 관계를 출산하도록 이끈다. 그리스도를 대리하여 성사를 집전하는 고해 사제는 죄인으로 하여금 예수 그리스도 이야기를 기억하도록 해 줌으로써 그가 하느님의 자녀로 재탄생하는 데 아버지요 의사이며 스승인 동시에 재판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하느님의 자비에 몸소 참여한다. 자비는 동정이나 관용 그 이상을 의미한다. 자비는 자비를 낳는다. 죄인이 죄를 벗어 던지고 하느님 자녀로서 살아가도록 빛과 힘을 부여한다. 그 품위에 따라 자비를 행하도록 재촉한다. 이로써 인간 이야기는 그리스도 이야기로 변화되며 하느님의 전능을 드러내는 장소가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