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기계발서의 구성에 따른 읽기 교육적 접근

        백정이(Baik, Jeong-yi) 한국어문교육학회 2011 어문학교육 Vol.43 No.-

        자기계발서의 구성에 따른 읽기 교육적 접근 자기계발서는 최근 들어 대중에게 주목 받아 새롭게 자리 잡기 시작한 도서 분야로, 도서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대중에게의 영향력이 큰 도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그뿐 아니라 자기계발서 선택은 사회에서 필요로 하고 스스로가 갖추고 싶은 자질이나 능력에 대한 대중의 판단을 분명하게 반영하고 이는 공교육에서 결여된 부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기에 자기계발서는 연구 대상으로서 가치가 있다. 본고에서는 자기계발서란 무엇인지 밝히기 위하여 자기계발의 의미를 세 가지로 살피고, 대형 서점에서 설정한 자기계발서의 하위 범주를 조사하여 이들의 공통 범주를 도출함으로써 자기계발서에 윤곽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이어서 자기계발서 베스트셀러 10종을 대상으로 삼아 자기계발서 텍스트를 제목, 부제, 도입 설명, 요점 정리, 저지(역자)의 글, 증정사, 표지, 날개, 띠지, 기타로 나누어 사례를 중심으로 각 부분에서 다루고 있는 텍스트의 성격을 살폈다. 그리고 이를 정보처리이론에 따른 학습 과정인 주의, 동기화, 선택적 지각, 의미적 부호화, 장기 기억에 저장, 탐색과 회상, 수행, 피드백과 관련 지어 자기계발서의 학습성을 조명하였다. 자기계발서의 높은 학습성에 따라 자기계발서 읽기에서는 자기계발서에서 주장하는 가치에 대한 판단 및 합리적인 내재화가 특히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자기계발서를 읽는 방법으로 가치의 유행을 분류함으로써 독자가 기존에 가지고 있는 가치 체제를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계발서에 제시된 새로운 가치를 조화롭게 수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Self-help books, paid lots of attention and recognized as a newly embeded area, are influential to the public with its significant importance in total sales. It is worth studying as a research topic, because it clearly reflects the views of the public about personal qualities and competences required from the society and it tells us what public education is missing. In this article, I will clarify three meanings of self-improvement and draw commom categories by analyzing sub-categories of self-help books set up by major book stores. In so doing I will Decree what self-help books are and give an outline for self-help books. Subsequently, focusing on 10 bestellers of self-help books I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texts handled in each part and example by dividing the texts into title, subtitle, introduction, main points, acknowledgement, texts related to presentation, book cover, book wings, paper book-band, etc. And I shed a new light on the learning effect of self-help books according to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and its learning process of attention, motivation, selective perception. long-term memory storage, expoloration and recollection, performance, and feedback. Owing to its high learning effec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reading of self-help books is judgement and reasonable internalization of the values. Therefore, in this article I examine a value system by calssifying the categories of values as types of self-help book reading. Based on these process, I propose that we embrace the new values suggested by self-help book in a balanced way.

      • KCI등재

        자기계발 교육서비스가 교육문화 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서은훤(Seo, Eunwhon),배일현(Bae, Il-Hy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1

        기업간 경쟁이 심화되고 자신의 직장 및 직업의 미래에 대해서 비관적으로 생각하는 직장인이 많아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직장인들은 삶의 질을 높이고 미래의 불확실성을 낮추기 위해 자기계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생애 발달이론에 따르면 성인은 각 발달단계에서 직면하게 되는 사회심리적 위기나 발달과업에 적응하고 대처하기 위해 교육에 참여하는 데, 이러한 현실에서 직장인들은 자기계발에 더욱 노력할 수밖에 없다. 직장인들의 자기계발 활동이 늘어남에 따라 국가나 기업 차원에서 자기계발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내놓고 있지만, 사회전체 차원에서의 지원은 요원하다. 본 연구는 자기계발 교육 서비스가 교육문화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로 진행하였으며 2차자료를 바탕으로 제안가설을 제시하였는데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계발 교육서비스는 조직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자기계발 교육서비스는 개인의 자아실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자기계발 교육서비스는 개인의 평생학습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자기계발 교육서비스는 개인의 문화예술 교육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섯째, 자기계발 교육서비스는 삶의 질을 높이는데 정(+)영향을 줄 것이다. 결론적으로, 직장인들의 자기계발은 조직적응, 평생학습, 자아실현, 문화예술 등의 4가지 요소도 중요하지만 결국은 삶의 질을 높이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자기계발을 통한 교육문화확산을 이용하여 사회전체의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관계당국의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plore the impact of self improvement education service on diffusion of education culture. The lifelong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opic in these days. After look into past research, this study proposed 5 hypothesis through secondary data such as reports, journals, newspapers, articles and statistical data.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self improvement education service has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 adaptation. Second, there is an positive relation between self improvement education service and self-realization. Third, self improvement education service influenc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lifelong education. Fourth, self improvement education service also has a positive impact on self culture education. Finally, there ha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self improvement education service and quality of life.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self improvement education service is the important factor to diffuse education culture. And,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implications to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swell as companies. 기업간 경쟁이 심화되고 자신의 직장 및 직업의 미래에 대해서 비관적으로 생각하는 직장인이 많아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직장인들은 삶의 질을 높이고 미래의 불확실성을 낮추기 위해 자기계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생애 발달이론에 따르면 성인은 각 발달단계에서 직면하게 되는 사회심리적 위기나 발달과업에 적응하고 대처하기 위해 교육에 참여하는 데, 이러한 현실에서 직장인들은 자기계발에 더욱 노력할 수밖에 없다. 직장인들의 자기계발 활동이 늘어남에 따라 국가나 기업 차원에서 자기계발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내놓고 있지만, 사회전체 차원에서의 지원은 요원하다. 본 연구는 자기계발 교육 서비스가 교육문화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로 진행하였으며 2차자료를 바탕으로 제안가설을 제시하였는데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계발 교육서비스는 조직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자기계발 교육서비스는 개인의 자아실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자기계발 교육서비스는 개인의 평생학습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자기계발 교육서비스는 개인의 문화예술 교육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섯째, 자기계발 교육서비스는 삶의 질을 높이는데 정(+)영향을 줄 것이다. 결론적으로, 직장인들의 자기계발은 조직적응, 평생학습, 자아실현, 문화예술 등의 4가지 요소도 중요하지만 결국은 삶의 질을 높이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자기계발을 통한 교육문화확산을 이용하여 사회전체의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관계당국의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plore the impact of self improvement education service on diffusion of education culture. The lifelong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opic in these days. After look into past research, this study proposed 5 hypothesis through secondary data such as reports, journals, newspapers, articles and statistical data.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self improvement education service has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 adaptation. Second, there is an positive relation between self improvement education service and self-realization. Third, self improvement education service influenc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lifelong education. Fourth, self improvement education service also has a positive impact on self culture education. Finally, there ha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self improvement education service and quality of life.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self improvement education service is the important factor to diffuse education culture. And,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implications to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swell as companies.

      • 대학생용 자기계발서의 구성과 서사전략연구 : 『아프니까 청춘이다』, 『드림 온』, 『스무살, 절대 지지않기를』비교

        임윤서 한국시민윤리학회 2013 한국시민윤리학회보 Vol.26 No.2

        이 글은 신자유주의 시대 ‘자기계발’ 담론이 대학생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에 대해 분석적 성찰을 시도한 다. 연구의 텍스트로 선정된 세 권의 자기계발서는 대학생을 주독자층으로 하여 급속하게 발전하는 시대 속에서 도 자기계발에 헌신하여 자신의 꿈을 이루는 주체적 인간상을 제시하고 있다. 인지하듯이 현재의 대학생들은 ‘자 유’라는 미명하에 스스로 자기의 모든 것을 돌아보고, 관리하고, 발전하기 위해 숨 가쁘게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된 다. 이와 같은 일상의 긴장 속에 살아야 하는 대학생들에게 자기계발서에 담긴 이상적인 메시지는 호소력이 있다. 그 러나 이런 긍정적 이미지와는 달리 여기에서 제시되는 담론들은 쳇바퀴 돌듯 스펙 쌓기와 취업 경쟁에 시달려야 하는 대학생들의 부담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위한 자기계발서가 어떤 인물을 빚어내고자 하는지, 그들이 제시하는 삶의 대안은 어떤 방식과 내용을 갖추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개인은 ‘자기계발의 주체’로서 자신의 삶을 사회시스템과 연관 지어 인식하기보다 개인의 선택과 책임에 따른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자기계발서에서 언급하는 실천 전략과 성공모델들은 철저히 자본주의 사회의 부와 관련되어 있고 이를 위해서는 내면과 외면의 종합적인 자기 계발을 요구받는다. 결국 모든 것이 개인에게 달려있기 때문에 잠시도 방황해선 안되고 철저한 긍정주의로 무장 하여 성실히 살아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계발에 대한 인식 탐색

        정현미(Hyun-Mi Ch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자기계발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대학생들이 어떤 자기계발경험을 갖고 있으며, 자기계발수행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이며, 자기계발수행을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대학생 243명을 대상으로 2014년 7월부터 9월 초까지 진행되었는데, 215명이 참여한 설문조사와 28명이 참여한 세 차례 포커스 그룹 인터뷰가 실시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자기계발의 필요성을 느꼈으며, 자기계발 방법으로는 도서 읽기가 가장 많았고, 대학생들의 요구가 높은 자기계발 내용(주제)은 자기탐색과 이해, 미래설계와 연관된 진로 및 취업준비로 나타났다. 자기계발수행단계 중에서 ‘자기계발활동 실행 및 실천’이 가장 중요하면서 어려운 단계로 확인되었고, 자기계발수행의 중단 및 실패이유로는 수행 의지(실천력) 부족, 시간이 지나면서 의욕 및 동기 저하, 자기계발방법에 대한 지식 부족, 시간 및 환경적 제약, 자신에게 맞는 현실적 목표 및 계획수립 실패 등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자기계발 지원 방안으로는 자기계발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교육제공, 현실적 자기계발 목표 수립과 초반부 지속적 재수정 기회제공, 멘토 및 조력자가 있는 커뮤니티운영, 자기계발활동의 가시화를 돕는 도구 사용, 환경 통제 등이 제시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n self-development. This study used the method of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s in order to explore self-development experiences of students, the difficulties they faced in the process of self-development, and support for facilitating their self-development. 243 students in A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include the follows. Most students felt the necessity of self-development, and the methods of self-development they used were to read books, search information via internet, participate in training, and ask to senior students. The topics of self-development they need in priority include exploring about self, preparing career and job, and planning their life. Implementing self-development activities was the most important and difficult step to the college students. The cause of failure in self-development were a lack of willingness, the decline of motivation, a lack of understanding self-development, and inappropriate goals setting and planning. Finally, some suggestions for facilitating college students self-development were described as in the following: instruction on self-development, appropriate self-development goal setting and revision, community with mentors and supporters, tools to visualize their efforts, environmental control, etc.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자기계발과 삶의 질

        김건순(Kim, Keon Sun),김남진(Kim, Nam Jin),오세일(Oh, Se Il)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연구 Vol.24 No.2

        오늘날 신자유주의 사회에서 자기계발은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자기계발은 기존의 처세술뿐 아니라 외모, 심리, 취미, 교양 등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청년(대학생) 세대에게는 취업 준비를 위해서 중요한 문화적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그런데, 자기계발에 대한 심리학, 교육학, 경영학의 연구는 자기계발의 정언명법을 전제로 수용하고 ‘심리적 안녕감’ ‘학습효과’ ‘능률’ ‘업무효율’ 등 실무적 효용성을 강조하는데 비해서, 사회학의 기존연구는 문화 비평 혹은 이데올로기 비판에 머무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자기계발의 사회적 함의를 긍정성, 부정성, 복합성의 세 관점에서 검토하고 자기계발과 삶의 질과의 실제적 상관관계를 경험적으로 접근하였다. 본 연구팀은 서울 S 지역에 위치한 세 대학교에서 69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계발과 삶의 질에 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자기계발의 자발성은 자아효능, 자아통제와 정적으로 상관되지만, 자기계발의 실제 참여도는 중독과 정적 상관을 보인다. 한편 자아실현도는 주관적 자기계발 여부 및 인성계발 강의 참석과는 정적 관계를 보이지만 계층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는다. 그런데, 삶의 만족도와 주관적 행복도는 계층 및 자아효능과는 정적 관계를 나타낸다. 요컨대, 대학생들에게 자기계발문화에서 자발성과 중독이 역설적으로 결부되어 있으며, 자기계발이 미치는 영향으로서 삶의 질에 대한 분석에서는 계층과 같은 사회구조적 요인과 자아효능의 사회심리적 요인이 상충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로써 대학생들에게 자기계발은 복합적 차원에서 행위자의 주체적 활동과 지배구조에 대한 예속화가 동시에 진행되는 현상임을 다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Nowadays, self-development has become an increasingly significant phenomenon in the contemporary neoliberal society. Self-development includes not only arts of living but also appearance, hobbies, modes of healings, etc.; and it has become a series of utmost significant tasks for university students to enter into job markets. Psychology, education, management studies tend to emphasize psychological well-being, learning effects, labor efficiency, etc. with regard to the practical utilities of self-development; but sociological discourses tend to be limited on cultural, ideological criticism at the theoretical level.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the social implications of self-development according to three main features: positiveness, negativeness and complexity; and it explores the correlations between self-development and the quality of life. Our research team conducted surveys of 694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the S area of Seoul in 2015.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our research, voluntary willingness in self-development shows a positive relation with self-efficacy and control efficacy; but the more self-development activities one gets involved, one gets more likely to be addicted to self-development (syndrome). On the other hand,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appear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whereas self-realization h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conomic class. In short, regarding the quality of life and self-development culture of university students, there exist ironical conflicts between willingness and addiction, between socio-psychological capacity and social structural factors. Thus we find that self-development has functioned for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mplex social system.

      • KCI등재

        자기계발의 문화정치학 : 자기계발 담론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중심으로

        강준만 한국소통학회 2016 한국소통학보 Vol.15 No.3

        자기계발을 위한 노력은 우리의 일상적 삶을 지배하고 있음에도 이 중요한 사 회적 현상은 커뮤니케이션 학계에서 거의 다뤄지지 않고 있다. 그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본 논문은 자기계발이 우선적으로 담론을 중심으로 한 커뮤니케이션 현상 이라는 전제 하에 자기계발 담론의 메타 담론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면서 ‘거시적 분석’과 ‘미시적 실천’ 사이의 괴리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자기계발 담론의 커뮤니케이션은 주로 심리학적 이론에 근거하고 있는데, 본 논문은 그런 이론적 유형을 1) 자기지각이론, 2) 자기암시, 3) 자기감시, 4) 긍정심리학, 5) 몰 입, 6) 현상유지편향, 7) 만족지연이론, 8) 자기결정성이론, 9) 회복탄력성, 10) 인력의 법칙 등 10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런 이론과 개념들은 모두 인간이 갖고 있 는 속성의 활용에 충실하거니와 그 효능이 역사적으로 입증돼 온 것임을 감안컨 대, 자기계발 담론에 대한 비판은 좀더 신중해질 필요가 있다. 자기계발과 관련해 나타나는 ‘기저율의 무시’와 ‘구성의 오류’도 딜레마의 성격을 갖는다는 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런 관점에서 본 논문은 기존 비판은 자기계발 담론의 ‘공급’ 측면만 볼 뿐, 대중 쪽의 ‘수요’는 보지 않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자기 계발과 진보적 문화의 타협 필요성을 주장했다. Although the efforts for self-improvement dominate our daily lives, Communication scholars has almost disregarded the important social phenomenon. Starting from critical thinking on this situation, this article argued the necessity of understanding the gap between ‘macro-analysis’ and ‘micro practice’ by evaluating the existing meta-discourses about self-improvement discourses, under the premise that self-improvement is primarily an communicative phenomenon consisting of discourses. The communications of self-improvement discourses largely depend upon psychological theories, and this paper classified the theoretical types as the followings: 1) self-perception theory, 2) autosuggestion, 3) self-monitoring, 4) positive psychology, 5) flow, 6) status quo bias, 7) delayed gratification theory, 8) self-determination theory, 9) resilience, 10) law of attraction. Considering that these ten theories and concepts took advantage of the attributes of humans, and their effectiveness has been proved historically, it requires some discretion to criticize self-improvement discourses. Also, we need to understand that the ‘neglect of base rate’ and the ‘fallacy of composition’, associated with self-improvement, can become a dilemma for us. From that point of view, this paper pointed out that the existing criticisms tended to see only the ‘supply’ side of self-improvement discourses, disregarding the ‘demand’ side of self-improvement discourses, and argued the necessity of compromise between self-improvement and progressive culture.

      • KCI등재

        스펙경쟁 사회에서 자기계발 동기와 자기계발 강박이 취업준비생의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

        허창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3 No.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펙 쌓기와 관련된 심리상태 및 취업 준비행동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스펙 쌓기 과열현상을 심리학적 측면에서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1은 스펙추구라는 사회적 현상을 심리적 현상으로 개념화하기 위해 개인의 ‘자기계발’로 정의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자기계발 동기(향상적, 예방적) 척도와 강박적 자기계발 척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세 가지 자기계발(향상적, 예방적, 강박적) 척도는 양호한 구성타당성을 보여주었으며 조절초점척도(향상, 예방), 학습지향성척도(숙달목표, 수행목표), 걱정 및 강박척도와 논리적으로 타당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연구 2는 세 가지 자기계발이 대학생들의 진로 및 취업 관련 심리변인(취업불안, 진로성숙도, 진로의사결정, 진로준비행동, 내면적 편견,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 향상적 자기계발의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가설과 강박적 자기계발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가설이 모두 지지 되었다. 한편,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했던 예방적 자기계발의 부정적인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와 연구결과는 진로지도 장면에서 과도한 자기계발로 불편을 호소하는 학생들의 진단과 상담 및 바람직한 자기계발 교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완벽주의 성향이 대학생의 강점인식 및 자기계발 유형에 미치는 영향

        김동건(Donggeon Kim),김한슬(Hanseul Kim),김규태(Gyutae Kim),박은정(Eunjeong Park),채민호(Minho Chae),허창구(Changgoo Heo)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21 연구방법논총 Vol.6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계발 유형과 기질적 및 인지적 선행요인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다차원 완벽주의와 강점인식이 자기계발 유형(향상적, 예방적, 강박적)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자기 지향 완벽주의는 강점인식 수준을 높이지만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강점인식 수준을 낮추었고, 자기지향 완벽주의에 비해 사회부과 완벽주의의 영향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모든 자기계발 유형의 수준을 높였으나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강박적 자기계발 수준만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강점인식은 향상적 및 예방적 자기계발 수준을 높였지만, 강박적 자기계발과는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넷째, 강점인식은 다차원 완벽주의가 향상적 및 예방적 자기계발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향상적 및 예방적 자기계발은 강점인식에 기반한 적응적 자기계발로 볼 수 있으며, 강박적 자기계발은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발생시킨 불안에 기초한 부적응적 자기계발로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주요 제한점은 연구모형에 정서적 요인을 포함시키지 않아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계발 유형에 미칠 수 있는 간접효과를 확인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 및 취업을 위해 자기계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인지적 개입 뿐 아니라 정서적 개입을 제공함으로써 적응적 자기계발을 유도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ir temperamental factors and cognitive factors on university students" self-development efforts. For this purpos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strength knowledge on various types of self-development (promotive, preventive, obsessive) were examin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oriented perfectionism increased strength knowledge, while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lowered strength knowledge. Second, self-oriented perfectionism increased all types of self-development, bu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increased obsessive self-development. Third, strength knowledge increased promotive and preventive self-development, but it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with obsessive self-development. Fourth, the strength knowledge mediated the effect of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on promotive and preventive self-development. In conclusion, promotive and preventive self-development based on strength knowledge can be seen as adaptive self-development, and obsessive self-development based on anxiety caused by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can be seen as maladaptive self-development. The main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did not include emotional factors along with temperamental factors and cognitive factors, so it does not confirm the indirect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self-development type.

      • KCI등재

        연구논문2: 자기계발이라는 이름의 종교: 코칭프로그램의 자기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이숙진 ( Sook Jin Lee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4 종교문화비평 Vol.25 No.25

        이 글은 우리사회에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자기계발 열풍을 새로운 ‘종교현상’의 하나로 규정하고 그 성격을 분석하였다. 그 동안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진 자기계발에 대한 담론분석보다는 자기계발 담론을 실천, 수용, 소비하는 수행자에 초점을 두는 참여관찰의 방법을 시도하였다. 자기계발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자기 테크놀로지를 자기알기, 자기숙련, 자기재창조의 세 차원으로 나누고, 수행자들이 행하는 자기계발의 실천이 주체형성의 메커니즘에 개입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기계발이라는 이름의 세속종교는 신자유주의의 지배 테크놀로지와 조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자기계발의 종교는 개인의 자유를 지고의 덕목으로 내세우면서 모든 것을 개인의 책임으로 귀속시키는 신자유주의의 냉혹한 논리에 도전하기보다는 자유와 성공, 힐링과 행복이라는 메시지로 신자유주의의 논리에 편승하고 있음을 드러내었다. 나아가 다양한 자기 테크놀로지를 통해 신자유주의의 논리가 확대 재생산되고 있음을 밝혔다. 요컨대 이 시대의 자기계발문화는 ‘자본가를 위한 종교’이자 ‘신자유주의에 봉사하는 종교’로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attempted to explore the religious nature of self-help fever in recent Korea. As a participant observer, the author paid attention to the selftechnologies of some self-helpers who were attending and consuming selfhelp discourses in coaching programs. For the sake of depth analysis, selftechnology was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that is, self-knowing, selfmastery, and self-recreation. It was revealed that self-technologies as an instrument of self-help played a major role of producing a new subjectivity. Such a subjectivity corresponds to the governmentality of neo-liberalism which put a stress on competition, success, and self-responsibility for failure in society. Futhermore, self-help movement reproduces and magnify the logic of neo-liberalism. In conclusion, self-help as a new kind of secular religion in our society is a religion for capitalists and neo-liberalism.

      • KCI등재

        직장인의 자기계발 동기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김혜영,이동귀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2 No.2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Deci & Ryan, 1985)을 바탕으로 자기결정성 수준에 따라 직장인들에게 여러 유형의 자기계발 동기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고, 자기결정성 수준이 높은 자기계발 동기일수록 심리적 안녕감과 높은 관련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더 나아가 자기계발 동기 유형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기본적 심리 욕구(유능감, 자율성, 유대감)의 충족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안녕감과 관련을 보이는 자기계발 동기를 촉진하는데 있어서 자기성장 주도성과 자율성 지지 환경이 유의한 선행변수로 작용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대기업 규모의 기업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286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변인들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N =286) 결과 자기계발 동기는 내재적 동기, 동일시 조절 동기, 내사적 조절 동기, 외적 조절 동기의 네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현재 자기계발 활동을 하고 있는 집단(N = 200)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 내재적 동기만이 심리적 안녕감을 예언하였으며, 기본적 심리 욕구 충족은 내재적 동기와 심리적 안녕감 사이를 완전 매개 하였다. 다음으로 실시한 선행변수의 효과 검증에서 자기 성장 주도성만이 내재적 동기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고, 내재적 동기가 자기성장 주도성과 기본 욕구 충족을 부분 매개하여 심리적 안녕감으로 이르는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직장인들이 자기계발을 할 때도 즐거움과 흥미가 수반되어야만 심리적 안녕감을 느낄 수 있으며, 그 이유는 내재적 자기계발 동기만이 기본적 심리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또한 자기성장 주도성을 갖는 것이 내재적 자기계발 동기를 증진시키고 이것이 심리적 안녕감으로 이르게 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