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능적 인지기반중재가 급성 뇌졸중 클라이언트의 작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증례보고

        정주희 ( Jeong Ju-hee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1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0 No.1

        목적: 이 증례보고의 목적은 기능적 인지기반중재(functional cognitive-based intervention)가 급성 뇌졸중 환자의 작업수행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8년 2개월 동안 종합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은 전자의무기록의 후향적 차트 리뷰를 통해 49세 뇌졸중 클라이언트 1명의 기록이 수집되었다. 가정환경을 모의하도록 디자인된 병원 환경에서 총 2개월 동안 하루에 한 번 30분씩 기능적 인지기반의 작업 중재 회기에 참가하였다. 중재 전·후로 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판간이정신상태판별검사(MMSE-K), 언어유창성검사(LFT), 전산화신경인지기능검사(CNT)를 통해 언어·인지기능을 평가하였고, 수행기반평가인 운동처리기술평가(AMPS), 사회적상호작용기술평가(ESI), 알렌인지수준판별검사(ACLS)를 통해 기능적 인지능력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을 통해 목표한 우선순위의 작업 수행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기능적 인지기반중재 이후 특정 언어·인지기능의 측정 결과인 언어유창성(LFT)과 인지능력(MMSE-K와 CNT)의 향상을 보였고, 수행기반평가 결과인 작업수행과 의사소통의 질(AMPS와 ESI), 작업 수행도(COPM), 문제해결 및 학습수준(ACLS)에서 모두 향상을 보였다. 결론: 본 증례보고는 아급성기 케어부터 언어·인지능력의 결손이 있는 뇌졸중 클라이언트에게 의미 있는 일상생활 맥락을 최적으로 모의한 의료 임상 환경에서 인지능력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기능적 인지기반중재를 제공하고, 일상생활 능력과 더불어 인지기능의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unctional cognition based intervention on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cognitive func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Methods: Records of one 49-year-old stroke female client were collected through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who received occupational therapy at a general hospital for 2 months in 2018. She participated in a functional cognition-based intervention session for 30 minutes once a day for a total of 2 months in a hospital environment designed to simulate a home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cognitive linguistic function was assessed through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Lexical Fluency Test (LFT), and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CNT), and functional cognition was assessed through performance-based test (PBT) such as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AMPS), Evaluation of Social Interaction Skills (ESI), and Allen Cognitive Level Screen (ACLS). And the targeted priority occupational performance was assessed through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Result: After the functional cognition-based intervention, cognitive linguistic function (MMSE-K, LFT, CNT) improved, and the PBT result of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social interaction skills(AMPS and ESI), occupational performance (COPM)and problem solving and learning level (ACLS) all showed improvement. Conclusion: This case report suggests that the functional cognition-based interventions to safely and efficiently utilize cognitive skills in meaningful daily life contexts to stroke clients with cognitive and linguistic problems from acute care can improve cognitive linguistic function as well as daily living ability.

      •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장애에 관한 연구

        조영남 ( Young Nam Cho ),정재훈 ( Jae Hun Jung ),김홍근 ( Hong Keun Kim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2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 No.1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뇌졸중 이후 나타나는 인지기능 장애에 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선정 기준에 따라 대구 소재 K병원에서 입원하여 재활치료를 받은 40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노인용 인지검사(CSOA)와 MMSE-K1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뇌졸중 환자들은 정상 성인에 비해 인지기능이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다른 인지기능에 비해 관리기능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MSE-K1 점수는 노인용 인지검사의 요약점수들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뇌졸중 환자들은 관리기능 손상이 중요한 인지기능 장애로 나타났다. 뇌졸중 환자의 전반적인 인지기능을 분석할 수 있는 종합적인 신경심리검사가 필요하고, 뇌졸중 환자의 전반적인 인지기능 향상을 위해 관리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활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뇌졸중 환자들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해 전문적인 재활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제안할 수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analysis cognitive dysfunction of stroke patients. Methods: 40 elderly stroke patients were participated voluntarily and were given same basic rehabilitation treatment. Cognition scale for older adults(CSOA) was conducted to measure cognitive function of stroke patients. The single sample t-test were used to compared stroke group and normal group in CSOA scor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Results: First, elderly stroke patients was generally lower in cognitive function compared to normal elderly people, and particularly lower in the executive function than other basic cognitive functions. Second, CSOA summary score, except for attention function index show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MMSE-K1 raw score. Conclusion: The decline of the executive function is one of main cognitive symptoms in stroke. Cognitive rehabilitation could be suggested for cognitive dysfunction in the elderly with stroke. Specific cognitive rehabilitation with basic rehabilitation treatment would have better result in cognitive dysfunction of elderly stroke patients than only basic rehabilitation.

      • 기능적 인지의 작업치료 임상 적용 필요성

        권재성 ( Kwon Jae Sung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1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임상에 기능적 인지(functional cognition)의 개념을 소개하고 기능적 인지의 출현 과정을 작업치료의 역사적인 맥락과 인지 개념의 변화 과정을 토대로 설명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기능적 인지에 대한 작업치료 임상 모델들의 관점을 조망해 보고 기능적 인지의 작업치료 임상 적용 필요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기능적 인지는 역사적으로는 전인적이고 작업 중심적인 통합주의에 기반하고 개념적으로는 상황인지의 영향을 받았다. 기능적 인지는 새로운 이론이 아니라 작업치료 영역에서 연구된 이론과 전문적 경험에 의하여 축적된 지식의 조합이다. 기능적 인지의 개념에는 다양한 작업치료 인지재활의 임상 모델과 이론의 틀이 포함된다. 기능적 인지는 인간 작업의 관점에서 통합적인 인지를 설명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가장 작업치료다운 인지의 개념이다. 작업치료사는 기능적 인지 개념을 통하여 인지재활 현장에서 실제적인 작업을 통해 인지를 평가하고 클라이언트(환자) 중심의 개별적인 중재를 시행할 수 있다. 기능적 인지는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기능적 인지는 인지재활 전문가인 작업치료사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functional cognition to the clinical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and to explain the process up to the appearance of functional cognition based on the historical context of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process of changing cognitive concepts. In addition, it was attempted to examine the perspectives of occupational therapy clinical models for functional cognition and to explain the necessity of clinical application of functional cognition in occupational therapy. Functional cognition is historically based on holistic and occupation-based integrationism and conceptually influenced by situated cognition. Functional cognition is not a new theory, but a combin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theory and knowledge accumulated by professional experience. The concept of functional cognition includes various clinical models and frame of reference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Functional cognition is the most occupational therapy-like concept of cognition in that it describes integrative cogn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occupation. Occupational therapists can evaluate real tasks in daily life through functional cognitive concepts and implement client-centered intervention in cognitive rehabilitation. Functional cognition is still constantly evolving. Therefore, functional cognition should be continuously studied and develop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who are experts in cognitive rehabilitation.

      • KCI등재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기능 및 사회인지 요인 분석

        전은혜,조영남,정재훈,오태형 대한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5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function and social cognition affecting the social participation of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MCI). Methods: 32 MCI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the Cognition Scale for Older Adults(CSOA), and we administered a Faces test, Picture sequencing test, Social Skills Scale(SSS), and the Independent Living Skill Survey(ILSS) for collecting data on social cognition and Korean Activity Card Sort(K-ACS) for social participation. For the data analysis, we implemented a descriptive statistic, 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hows that social participation in MCI patients correlates with Full scale IQ(FIQ), Basic IQ(BIQ), Executive IQ(EIQ), Working Memory Index(WMI), Visuospatial Function Index(VFI), Memory Function Index (MFI), and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1(MMSE-K1). EIQ and FIQ were more significant factors than other cognitive functions. In social cognition, we found that social participation in MCI patients correlates with the Faces test, Picture sequencing test, SSS, and the ILSS. Emotion recogni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mo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social participation. Conclusions: Intervention for social participation in MCI patients is needed to systematic approach of cognitive function and social cognition. In particular EIQ, FIQ, emotion recogni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hould be considered. 목적: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기능과 사회인지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대구지역 D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경도인지장애로 진단받은 32명을 대상으로 노인용 인지검사(Cognition Scale for Older Adults: CSOA)를 이용하여 인지기능을 평가하였고, Faces test, Picture sequencing test, 사회생활기술 척도(Social Skill Scale; SSS), 대인관계기능 척도(Independent Living Skill Survey; ILSS)로 사회인지를 검사하였다. 대상자의 사회참여는 한국형활동분류카드(Korean Activity Card Sort: K-ACS)의 사회활동 항목을 이용하였다. 사회참여와 인지기능 및 사회인지와의 관련성은 피어슨 상관관계로 분석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기능과 사회인지 요인을 확인하였다. 결과: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기능 중 전체지능, 기초지능, 관리기능, 작업기억, 시공간력, 기억기능,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 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1: MMSE-K1)가 사회참여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관리기능과 전체지능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인지의 모든 검사가 사회참여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그 중 정서재인과 대인관계기능이 사회참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사회참여는 경도인지장애 환자들의 인지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활동이며, 이를 위해 관리기능, 전체지능, 정서재인, 대인관계기능을 고려한 새로운 평가와 중재 개발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

        노년기 인지기능 변화궤적과 관련 요인: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백옥미 ( Ok-mi Baik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지역과 세계 Vol.3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인지기능의 변화궤적을 살펴보고 노년기 인지기능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의 종단적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고령화연구패널조사 1∼3차 조사자료를 활용, 1차 조사시점 당시 65세 이상이면서 전체 조사시점 동안 응답을 유지한 총 2,711명을 대상으로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인지기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점차 감소하며, 초기 인지기능이 높은 노인들일수록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지기능의 감소속도가 더딘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노년기 인지기능을 예측하는 다양한 변수들의 초기치를 예측변수로 투입한 잠재성장모형의 조건부모형 분석 결과 연령 및 학력수준, 일상생활동작능력, 우울증상이 인지기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지기능 감소속도가 느려졌으며,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인지기능 감소속도가 느렸다. 또한 일상생 활동작능력이 좋지 않을수록 인지기능 감소속도가 빨랐으며, 우울증상의 초기값이 높은 노인일수록 인지기능이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지역사회 일반 노인들의 인지기능 저하의 원인을 이해하게 하는 강력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인지기능 저하의 예방과 치료적 개입을 위한 서비스 마련에 일조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1) the trajectory of cognitive functioning and 2) its predictors in the trajectory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involving individuals aged 65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from the Korea Labor Institute(N=2,711). The results show that participants`` cognitive functioning was decreased over 3 waves and the elderly who had higher cognitive functioning at time 1 tend to less decreased in cognitive functioning over time. Also, the findings indicated that age, educational level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were associated with the change of cognitive functioning. In detail, the older age, the higher educational level and the better activity of daily living were predictors the less decreasing in cognitive function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and future research.

      • KCI등재

        우울증상이 노년기 신경인지장애 환자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심각도에 따른 집단비교

        김서유(Kim, Seoyoo),강효신(Kang, Hyoshin) 한국재활심리학회 2021 재활심리연구 Vol.28 No.1

        노년기의 대표적 정신질환인 신경인지장애는 만성적이고 진행성 양상을 보이며, 노년기 우울증은 신경인지장애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경인지장애의 심각도에 따라 우울증상이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부산소재 종합병원에 내원하여 주요 또는 경도 신경인지장애 진단을 받은 환자 407명에게 신경심리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신경인지장애의 심각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임상 치매 평가 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 점수에 따라 0.5, 1, 2, 세 집단으로 나누었다. 연구 결과, 신경인지장애의 심각도가 클수록 우울증상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CDR 0.5 집단에서는 우울증상이 있는 경우 인지기능 총점, 시공간 기능 및 전두엽/집행 기능에서 저하를 보였으며, CDR 1 집단에서는 숫자 바로 따라 말하기 소검사에서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반면, CDR 2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상생활 기능에서도 인지기능에서와 마찬가지로 신경인지장애의 심각도가 높을수록 우울증상이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노년기 신경인지장애 환자의 우울증상이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질병의 심각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향후 우울증상을 보이는 신경인지장애 환자의 치료적 개입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in older adult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neurocognitive disorder. Participants were 407 elderly patients diagnosed with mild to severe neurocognitive disorder. Clinical Dementia Ratings were divided into 0.5, 1, and 2 groups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pres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re severe the neurocognitive disorder, the less depression affected cognitive function or daily living abilit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in elderly patients with neurocognitive disorder differ according to disease severity.

      • KCI등재

        노인의 주관적 인지기능 감소와 인지기능, 우울, 불안의 변화 - 6개월 추적

        변혜선(Hyesun Byun),김용숙(Yongsuk Kim),이호진(Hojin Lee) 인지발달중재학회 2018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9 No.1

        본 연구는 주관적 인지기능의 감소가 객관적 인지기능,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 실시되었다. 65세 이상 노인에게 한국판 치매 설문 도구로 주관적 인지기능을 조사하여 주관적 인지기능 감소군(28명), 정상군(52명)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에 6개월 간격으로 2회 객관적 인지기능, 우울, 불안을 조사하였다. 두 집단의 인지기능, 우울, 불안은 paired t-test, 공 분산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령을 통제한 후, 1차와 2차 조사 모두에서 주관적 인지기능 감 소군의 주관적 인지기능, 즉시회상, 지연회상, 단어유창성, 우울, 불안점수가 정상군보다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여 있었다. 1차와 2차 조사 모두에서 주관적 인지기능 감소군의 인 지기능과 우울, 불안이 정상군보다 감소하여 있다는 사실은 인지기능 감소가 일시적인 현상 이 아니라 실제로 인지기능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hange of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anxiety according to time interval to identify whether subjective cognitive function is related to cognitive decline. Elderly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visit a public healthcare center were divided into a subjective cognitive impairment group (n=28) and a normal group (n=52) based on the Korean Dementia Screening Questionnaire. The two groups’ objective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anxiety at the baseline and 6-month follow-up were compared. Both groups’ objective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anxiety were then analyzed with paired t-tests and ANCOVA. After controlling for age,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cognitive function, immediate recall, delayed recall, word fluency, depression, and anxiety at the baseline and 6 month follow-up. The fact that the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anxiety at baseline are maintained over six months suggests that these changes are not transient but that cognitive impairment is indeed occurring.

      • KCI등재

        노인 환자에서 수술후 기분과 인지의 변화

        강화연(Hwa-Yeon Kang),김진세(Jin-Se Kim),이성근(Seong-Keun Lee),정인과(In-Kwa Jung) 대한노인정신의학회 1998 노인정신의학 Vol.2 No.2

        목 적 : 노인 인구 및 의료에 대한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수술 받는 60세 이상의 노인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수술후 인지기능 변화에 위험요소로 연령으로 인식되고 실제 노인 환자에서 혼돈, 섬망이 많이 나타나며, 이에 대한 조기 진단이 중요한 점 등으로 노인 환자에서 주의 집중력 등의 인지기능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더욱 초점화 되었다. 심장 수술, 고관절 수술에서의 인지기능의 변화에 대해서는 비교적 많이 조사되어 수술 방법이 이르기까지 응용되고 있으나 노인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노인 환자와 성인을 대상으로 수술후 인지기능에 대해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60세 이상 수술 받은 환자(n=20, 이하 노인군)와 45세 이하 수술 받은 환자(n=20, 이하 대조군)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 대상에게 전향적 방법으로 수술전 1일, 수술후 1주일째 검사를 시행하였다. 인지기능 검사는 전반적 검사로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MMSE), 주의 집중력은 digit span, 각성상태는 가나다 검사, 개념 형성은 공통점 문제, 시각-운동 통합은 Digit Symbol Substitution Test(DSST)로 검사하였다. 우울정도는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및 Montgomery-Asberg Depression Rating Scale(MADRS), 불안은 State Anxiety Inventory (SAI)로 평가 비교하여 변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노인군과 대조군 사이의 성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학력에 있어 대조군이 보다 교육 수준이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전 노인에서 성인에 비해 정상적인 노화 과정에 의해 인지기능이 전반적으로 낮은 상태였고, 수술후 노인에서 성인에 비해 학습 효과가 적어 인지기능이 향상되는 점이 적었으며, 변량 검사에서도 정신 운동 검사인 DSST가 수술보다는 연령에 따른 효과에 의한 변화를 보이는 점등으로 수술후 인지기능의 변화가 없었다. 수술전 노인 특성상 성인에 비해 우울 기분을 많이 느꼈으나 불안감은 비슷하였고, 수술후 성인에서만 주관적 우울 기분, 불안감이 감소하는 등 수술후 노인에서 적응이 부족한 경향성이 있었다. 다른 요인들 중 성별, 수술 시간, 경제력, 결혼 상태와 수술후 인지기능 변화 사이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수술후 인지기능과 우울 기분 및 불안에 대해 노인군과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연령에 의한 인지기능 손상은 없었고, 노인들이 수술에 적응을 못하는 경향성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연령이 수술후 인지 기능의 악화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연구들과는 다른 결과였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노인 환자 수술시 의사들의 단기간 인지기능 손상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조사한 대상 수가 적고 단기간의 조사이므로 향후보다 많은 노인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추적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Surgery is being offered to an increasing proportion of the over 60s and postpoerative cognitive dysfunction may occur in the elderly. We investigated that age could be a risk factor. The confounding effects, such as learning effect due to repeated testing and the effect of distress on the test performance, were controlled for by control group. Method : Twenty patients aged at least 60 years completed neuropsychological test 1 day before and 1 week after surgery. We measured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MMSE), digit span,'A' test, similarity test, Digit Symbol Substitution Test (DSST),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Montgomery-Asberg Depression Rating Scale (MADRS) and State Anxiety Inventory (SAI). The authors compared postoperative cognitive dysfunction by neuropsychological test in the elderly patients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Results : One week after operation, there was no cognitive impairment compared with before operation. Advanced age might not contribute to cognitive impairment except DSST. And there was an improvement in the scores for BDI and SAI in the control group only. We did not find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early postoperative cognitive dysfunction and mood state before operation. Because the elderly patients had lower educational level and more depressive than control group before operation, we thought that the deterioration of DSST did not happened with operation, but by insufficiency of learning effect in the elderly patients. Conclusion : Cognition in the elderly patients was not impaired significantly after operation when attention was paid to the known perioperative influences on mental function.

      • KCI등재후보

        단전호흡 중재가 중년 여성의 체력과 인지기능 및 우울증상에 미치는 효과

        김경원 ( Kyung Won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폐경 전후 중년 여성에게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중 체력변화, 인지기능, 우울증상에 단전호흡 중재를 적용함으로써 단전호흡이 중년 여성의 건강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중재로 적용한 단전호흡은 Kim (2004)이 중년 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해 개발한 모형으로 준비동작 15분, 본 동작인 호흡 20분, 마무리 동작 5분의 총 40분으로 구성된 모형으로 운동처방의 기본적인 구성내용과 일치한다. Kang (2003)도 운동처방에는 신체가 운동 전 안정상태에서 운동하기에 적합한 상태로 변화되는데 필요한 준비운동에 10-15분이 적합하며, 운동능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본 운동은 최소 20분 이상, 그리고 본 운동으로 활성 화된 신체를 안정된 상태로 바꾸어 주는 데 필요한 마무리 운동은 5분 정도가 적합하다고 하여 본 단전호흡의 구성내용이 중년 여성의 건강문제를 완화시키는 데 적합한 간호중재임을 지지하고 있다. 먼저 체력의 변화를 살펴보면, 12주 동안 단전호흡중재를 적용한 중년 여성의 체력상태가 단전호흡을 적용하지 않은 중년 여성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중년 여성의 다리 유연성이 증가되었으며 팔과 다리, 배의 근력 강화와 더불어 심폐지구력의 증가효과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단전호흡이 중년 여성의 배근력과 유연성을 강화시켰으며(Hyun, Kang, & Kim, 2003) 최대 환기량의 증가로 심폐 기능의 향상을 가져왔다는(Cho & Park, 2000) 연구를 통해서도 증명이 되었다. 따라서 단전호흡은 폐경으로 인해근력과 근 지구력이 떨어진 중년 여성이 실천하여 약화되기 쉬운 뼈나 근육의 기능을 유지· 증진함은 물론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피곤함을 없애주는 체력을 강화시켜 줄 것으로 사료된다(Korean Society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7). 또한 단전호흡의 심폐 기능 증진 효과는 중년 여성의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심장이나 혈관의 기능을 강화하여 혈압을 낮추고 심장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음이 여러 연구에서 증명되었다(Lee & Kim, 2003; Lee & Park,2003). 그다음 인지기능을 살펴보면 단전호흡을 적용한 중년 여성의 인지기능은 4점 정도가 향상되었으며 단전호흡을 적용하지 않은 중년 여성의 인지기능은 점수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단전호흡이 인지기능의 향상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실험군과 대조군의 인지기능의 전후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두 가지 측면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첫째는 본 연구대상자인 중년 여성의 인지 기능 점수가 낮지 않아서 그 변화가 크지 않다는 점이다. 실제 본 연구 대상자들의 인지 기능의 합은 최대 64점 중 53.21점(실험군)과 53.38점(대조군)으로 차이가 크지 않았다. 또한 대부분의 인지기능에 관한 연구가 노인이나 뇌졸중 및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하므로 중년 여성의 인지기능과 그 점수를 비교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들 노인과 뇌졸중 및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점수가 총점의 50% 수준인 점을 감안한다면(Chu, 2008; Shon & Yoo, 2010)인지기능 점수의 변화는 크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는 중년기 여성의 인지 기능이 폐경을 전후로 저하된다고 하였지만(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7), 본 연구 대상자의 인지기능 점수가 낮지 않으므로 12주인 단전호흡의 중재기간을 연장하여 적용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Shon과 Yoo (2010)도 노인 여성에게 유무산소 운동을 16주간 적용하여 인지기능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인지기능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단전호흡을 적용하는 대상자를 중년기 이후에서 노년기까지 여성으로 확대하여 적용하는 연구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우울증상의 변화를 살펴보면, 단전호흡을 적용한 중년 여성의 우울 점수는 단전호흡 적용 전보다 16.39점이 감소되었으며 중등도 우울상태에서 우울이 없는 상태로 나타났다. 그러나 단전호흡을 적용하지 않은 중년 여성의 우울 점수는 계속 중등도 우울상태를 나타내며 전후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단전호흡은 중년 여성의 우울증상 완화에 효과적인 중재방법임이 확인되었다. Kim (2004)도 3개월 이상 단전호흡을 한 중년 여성에서 외로움과 우울이 감소되었으며 Hyun (2002)도 중년 여성의 우울증상이 단전호흡으로 감소되어 심리건강이 증진되었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중년 여성의 우울증상완화에 단전호흡을 건강중재법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중년 여성의 우울개선을 위해 향기요법과 수지요법 등의 다양한보완대체요법을 적용한 연구와(Lee, 2002; Oh & Ahn, 2006) 본 단전 호흡적용 연구를 비교함으로써 중년 여성의 우울증상 완화에 가장 적합한 중재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단전호흡은 다른 보완대체요법과는 달리 대상자 스스로가 몸을 움직여서 직접 중재를 실천할 수 있으며 중재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동작들은 관절 가동력이 허락하는 수준에서 시행하게 되므로 몸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또한 숨을 천천히 마시면서 몸이 움직이는 부위로 의식을 집중하며 근육과 경락에 따라 기운을 보내고 천천히 숨을 토하게 되면 에너지 소비는 적으면서도 스트레칭 효과를 볼 수 있고 심리적 안정과 정신력도 향상된다(Goh, 1967; Hyun, 2002; Kim, 2007). 따라서 단전호흡은 폐경전후로 다양한 변화가 나타나는 중년 여성이 몸에 무리 없이 자신의 상태에 맞추어 강도와 빈도를 조절할 수 있고 실천할 수 있는 건강중재법이라 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an Jeon Breathing on physical endurance,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quasi-experimental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Participants were 59 middle-aged women and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Dan Jeon Breathing was carried out for 40 minutes per day, 3 times per week for 12 weeks between March 1 and July 31, 2010. Data were analyzed by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ed test for paired data. Results: After Dan Jeon Breathing intervention, the scores of physical endurance and depress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scores of cognitive function between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 The Dan Jeon Breathing can be utilized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physical endurance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Also, a revised model of Dan Jeon Breathing is needed to be examined for cognitive function.

      • KCI등재

        스노젤렌치료가 인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선명 ( Sun Myung Lee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4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스노젤렌치료와 인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M시 M대학 1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노젤렌치료를 3주간 적용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CNT)를 사용하였다. 스노젤렌치료 적용 전과 후에 전산화신경인지기능검사(CNT)를 통하여 기억력, 주의력, 고위인지기능이 향상되었는지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스노젤렌치료와 전산화신경인지기능검사(CNT)는 인지능력 향상에 유의하였다. 기억력(Visual Span), 주의력(Auditory CCPT), 고위인지기능(Hypothesis Formation Test)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결론: 스노젤렌치료의 적용이 인지능력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전산화신경인지기능검사(CNT)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인지기능 분야에서 작업치료의 중재방법으로 활용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nozelen and computerized neuro cognitive function test(CNT) on the Cognitive Function Progress. Method: There was 10 college students received a session of Snozelen for 3 weeks in M city. Participants were evaluated CNT in the pretest & posttest. Participants were evaluated with memory, attention, high cognitive func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12.0. Result: Snozelen and CNT showed a significant on the Cognitive Function Progress.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d in Memory, attention and high cognitive function. Conclusion: We realized that the use of Snozelen and C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ve Function. Thus the current study indicates the potential for future research into Cognitive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