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자궁경부암과 자궁경부상피내종양의 등급에 따른 인유두종바이러스의 감염 양상

        박현경,강영미,박재묵,최영조,김영남,정대훈,김기태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2

        목적 : HPV DNA chip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여성의 자궁경부암과 자궁경부상피내종양에서 발견되는 HPV 감염 빈도와 그 아형의 분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타병원에서 시행한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 또는 자궁경부 확대촬영술상 이상 소견을 보여 2001년 12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인제대학교 부속 부산백병원 산부인과로 내원한 39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Bethesda System에 근거하여 세포학적 분류를 하였으며(비특이적 병변; 36명, ASCUS/AGUS; 36명, LSIL; 46명, HSIL; 131명, 자궁경부암; 145명), HPV 아형 분류는 현재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HPV DNA Chip (Biomedlab Co., Seoul, Korea)을 이용하였다. 결과 : 전반적인 HPV 감염률은 71.1% (280/394)였고, 고위험군 HPV의 감염률은 67.0% (264/394)였다. 병변의 정도에 따른 고위험군 HPV의 감염률을 보면, 비특이적 병변인 경우 19.4% (7/36), ASCUS 및 AGUS인 경우 16.7% (6/36), LSIL인 경우 63.0% (29/46), HSIL인 경우 83.2% (109/131), 자궁경부암인 경우 77.9% (113/145)에서 검출되었다. 고위험군 HPV 아형의 분포를 보면 HPV 16, 58, 18, 35, 52형 등의 순서였고, 이 HPV 아형들이 검출된 고위험군 HPV의 86.7%를 차지했다. HPV 16형이 HSIL과 자궁경부암을 포함하여 모든 병변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다음으로 HSIL에서는 HPV 58형이, 자궁경부암에서는 HPV 18형이 많이 검출되었다. 각각의 HPV 아형에 대해 HSIL과 자궁경부암이 발생할 위험도를 평가하였을 때, HPV 16형과 35형에서 HSIL 이상의 병변이 발생할 위험도가 높았고, HPV 58형은 HSIL이나 HSIL 이상의 병변이 발생할 위험도가 높았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모든 군에서 HPV 16형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다음으로 HPV 58형이, 다음으로 18, 35, 52형이 많이 검출되어, 이 HPV 아형들이 한국 여성의 자궁경부암과 자궁경부상피내종양에서 검출되는 주된 HPV 아형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HPV 16형과 35, 58형은 HSIL 이상의 병변이 발생할 위험도가 높아서, 이 아형들이 검출될 경우 다른 형이 검출되는 환자보다 HSIL과 자궁경부암의 위험도가 높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 : Our purpose was to evaluate the prevalence and genotypic distribution of HPV infection by newly developed HPV DNA chip in various cervical lesions an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HPV genotypes and different grades of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and cervical cancer. Methods : Between December 2001 and May 2003, 394 patients who visited Busan Paik hospital due to abnormal Pap smear or colposcopic finding, were involved and classified into 5 groups according to their cytologic diagnoses: nonspecific chronic cervicitis (n=36), ASCUS/AGUS (n=36), LSIL (n=46), HSIL (n=131), cervical cancer (n=145). We examined HPV positivity and genotype of the specimens using HPV DNA chip, which detects 22 HPV genotypes including 15 high-risk HPV groups (16/18/31/33/35/39/45/51/52/56/58/59/66/68/69) and 7 low-risk HPV groups (6/11/34/ 40/42/43/44). Results : The overall detection rate of HPV infection was 71.1% (280/394), and the detection rate of high-risk HPV infection was 67.0% (264/394). According to the grade of the lesions, the detection rates of high-risk of HPV infection were 19.4% (7/36) in nonspecific chronic cervicitis, 16.7% (6/36) in ASCUS/AGUS, 63.0% (29/46) in LSIL, 83.2% (109/131) in HSIL, and 77.9% (113/145) in cervical cancer. The major prevailing HPV genotypes in this study were HPV types 16, 58, 18, 35, and 52 in descending order of incidence, which averaged 86.7% for all. HPV 16 was the most common type in all the HPV-positive cases as well as HSIL and cervical cancer. HPV 18 was the second most common type in cervical cancer and HPV 58 was the second most common type in HSIL. The odds ratio was estima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of HSIL and cervical cancer versus HPV type. HPV 16 and 35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HSIL, cervical cancer, or HSIL and cervical cancer. HPV 58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HSIL, or HSIL and cervical cancer. Conclusion : In our study, HPV type 16, 18, 35, 52, and 58 were confirmed to be major prevailing subtypes in CIN and cervical cancer. Our results suggest that HPV 16, 35, and 58 positive patients have a tendency to develop HSIL and cervical cancer than other HPV positive patients.

      • KCI등재

        자궁경부의 인유두종바이러스 아형의 분석과 HPV DNA chip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

        최순호 ( Soon Ho Choi ),백경돈 ( Kyung Don Baik ),이수일 ( Su Il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3

        목적: 인유두종 바이러스 (human papillomavirus, HPV)는 현재 100여종의 아형이 발견되었지만 그 분포는 국가간 또는 지역간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거주지가 부산 및 근교 지역인 여성의 자궁경부에 감염되어 있는 HPV 아형의 종류와 조직학적 검사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HPV DNA chip 검사가 세포검사의 단점을 보완하는 수단으로서 자궁경부 병변의 평가에 있어서 임상적 유용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최근 3년간 자궁경부암 검사에서 비정상적 세포검사 소견을 나타내었던 환자 중, HPV DNA chip (바이오메드랩)을 이용한 검사에서 양성을 나타낸 143명을 대상으로 HPV 아형을 분석하였다. 조직검사를 하지 못한 28명을 제외한 115명을 대상으로 조직병리 소견과 HPV DNA검사의 결과를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세포검사에서 비정형 세포및 저등급 병변을 나타낸 54명의 조직소견을 확인하고 고위험군 HPV의 검출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HPV 아형의 분포는 HPV 고위험군에서는 HPV 16형 42예 (26.1%), 58형 20예 (12.4%), 52형 16예 (9.9%), 35형 10예 (6.2%), 56형 9예 (5.6%), 51형 7예 (4.3%), 18형 6예 (3.7%) 등의 순이었고 HPV 저위험군에서는 HPV 6형 3예 (1.9%), 42형 3예 (1.9%), 11형 2예 (1.2%), 34형 2예 (1.2%) 등의 순이었다. 115명의 조직병리소견과 HPV DNA chip 검사의 결과와의 비교분석에서는 저위험군 HPV의 감염군은 모두가 저등급 병변을 보였으며 고위험군 HPV 감염군에서는 저등급 병변도 나타났지만 주로 고등급 병변을 보였다. 그리고 세포검사에서 비정형 세포및 저등급 병변의 소견을 보였던 54명 중 조직검사에서는 13명이 고등급 병변 이상을 나타내어서 세포검사의 고등급 병변에 대한 위음성률은 24.1%이었고 여기에는 침윤암도 2예 포함되었다. HPV 아형은 HPV 16형, 58형, 52형, 35형, 56형, 51형, 18형의 빈도순으로 검출되었다. 결론: 앞으로 여러 지역에서 더 많은 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뤄져 통합이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HPV DNA chip 검사는 보조적으로 사용하면 세포검사의 고등급 병변에 대한 위음성률을 낮추고 양성 예측도를 높여 자궁경부암으로 진행이 되기 전에 진단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 임상적 유용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Objective: Human papillomavirus (HPV) has been identified more than 100 HPV subtypes. The distributions of subtyp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nations and regions. We analysed subtype of infection with HPV among women who live in Pusan and surburbs of Pusan. We accessed the clinical usefulness of HPV DNA chip test as a supplementary method of Pap smear in the evaluation of cervical lesion. Method: This study was undertaken from January 2002 to January 2005 and 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patients who had abnormal Pap smear. We analysed subtypes of 143 positive cases with HPV DNA chip (Biomedlab) test and estimated pathologic reports of 115 patients except 28 patients who had not biopsy. We investigated pathologic results of 54 of 115 patients who had atypical squamous cells / low 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ASC/LSIL) in Pap smear and examined high risk HPV in 54 pathologic results. Results: The prevalence of HPV subtypes was 42 cases of HPV-16, 20 cases of HPV- 58, 16 cases of HPV-52, 10 cases of HPV-35, 9 cases of HPV-56, 7 cases of HPV-51, 6 cases of HPV-18 in descending order of incidence in high risk HPV group and 3 cases of HPV-6, 3 cases of HPV-42, 2 cases of HPV-34, 2 cases of HPV-43 in descending order of incidence in low risk HPV group. The results of HPV DNA chip test and 115 pathologic reports were estimated by comparative study. A pure infection with low risk HPV group was detected in low grade lesion. Infection with high risk HPV group was also detected in low grade lesion but was mainly detected in high grade lesion. The pathologic results of 54 patients who had ASC / LSIL in Pap smear were 13 patients had above high grade lesion include 2 cases of invasive carcinoma so false negative rate of Pap smear in the detection of high grade lesion was 24%. Conclusion: HPV subtypes were detected HPV 16, 58, 52, 35, 56, 51, 18 types in descending order of incidence and prevalence. Mass study and integrated data from larger population and various regions in many hospitals will be needed. And the supplementary use of HPV DNA chip test may provide clinical usefulness because it can reduce the false negative rate of Pap smear and improve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in the detection of high grade cervical lesion and it enables to decrease the incidence of cervical cancer.

      • KCI등재

        자궁경부 종양에서 인유두종 바이러스 아형에 관한 연구

        김판영 ( Kim Pan Yeong ),이동운 ( Lee Dong Un ),서정호 ( Seo Jeong Ho ),선우재근 ( Seonu Jae Geun ),배동한 ( Bae Dong Han ),정동준 ( Jeong Dong Ju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10

        목적 : 자궁경부암을 유발하는 인유두종 바이러스 (HPV)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85여종이 넘는 아형이 발견되었지만 국가간 또는 지역간 편차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여성의 자궁경부종양에서 감염되어 있는 HPV 아형의 종류를 조사하였다. 연구 방법 :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 및 침윤암으로 진단된 자궁경부의 생검 혹은 자궁적출 조직 13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Paraffin block에서 DNA의 추출이 Objective : Many studies about Human Papilloma virus (HPV) that is a causative factor uterine cervical cancer have been established and more than 85 HPV types have been identified. The distributions of cancer- associated HPV types are different according

      • KCI등재

        한국여성의 자궁경부암에서 인유두종바이러스의 감염 양상

        김용범 ( Yong Beom Kim ),전용탁 ( Yong Tark Jeon ),서상수 ( Sang Soo Seo ),김재원 ( Jae Weon Kim ),박노현 ( Noh Hyun Park ),송용상 ( Yong Sang Song ),강순범 ( Soon Beom Kang ),이효표 ( Hyo Pyo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4

        목적 : 최근에 그 효용성이 확대되고 있는 DNA chip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발견되는 고위험군 HPV 감염 빈도와 아형의 분포를 알아보고 동시에 자궁경부암의 각 조직병리학적 종류에 따라 발견되는 고위험군 HPV 아형의 빈도와 분포에 따른 차이의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8년 2월부터 2001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경부암 (FIGO stage Ⅰa1-Ⅱa)으로 자궁절제술 혹은 근치적 자궁절제술 Objective : To evaluate the prevalence and genotype of high risk HPV infection with oligonucleotide microarray based DNA chip in cervical cancer. Methods : The presence of HPV and its type were tested with oligonucleotide microarray based DNA chip in 84 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