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퇴계의 이단배척과 교육적 함의

        이인철 ( In-choul Lee ) 한국교육철학회 2016 교육철학 Vol.59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rejecting the heretical(異端排斥) and its meaning with an intent to examining Toe-Gye(退溪) philosophy``s identity and legitimacy. The reason why his rejecting the heretical(異端排斥) is chosen for this research as follows; First, Toe-Gye(退溪) is a legitimate Neo-Confucian scholar who is sure of the legitimacy of the doctrines of Chu-tzu. Second, it is true that the doctrines of Chu-tzu in China was not established in a stable social atmosphere. Third, Toe-Gye’s rejecting the heretical(異端排斥) also tried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Taoism and Buddism. In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the Toe-Gye study had become philosophically logic and sophisticated. Accordingly, the study of rejecting the heretical(異端排斥) is both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ing point in studying Toe-Gye``s philosophy. The teachings of Wang Yangming are vital in understanding Toe-Gye rejecting the heretical(異端排斥). Toe-Gye criticised the teachings of Wang Yangming in Jeonseumrokppyeon(傳習錄辯; critical argument about the Chuanxilu). In the book, Toe-Gye criticised something about Jaechinmin(在親民) which is in The Great Learning(大學), about Mind is Principle(心卽理), a way to seek for good, about specific explanation to Jieojiseon(至善; to rest in the highest excellence or supreme good), and about Zhixingheyi(知行合一;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Nonetheless, his criticism shows that he tried to reveal the limitation of Yangmingism. Unlike his attitude to Taoism and other thought, his criticism on Yangmingism was much more severe. The reason is that Mind-Philosophy(心學) in Yangmingism was closer to Buddism even though Yangmingism belongs to Confucianism. Toe-gye``s criticism on Yangmingism seemed to be biased. Toe-gye``s rejecting the heretical(異端排斥) has its meanings from the aspect of consilient. First, it was a trial to build a complete Neo-Confucian idea. Second, clarifying the difference, his rejecting the heretical(異端排斥) had triggered academic debate. Finally, he emphasized the process-oriented attitude, not the outcome-oriented. Hence, the conception of heresy is a matter of right and wrong. In the middle of proving that his own opinions were correct, with process-oriented attitude, Toe-gye tried to draw a conclusion which is completed by modifications, transformation, and consensus.

      • KCI등재

        一般論文 : 조선시대 유교적 종교정책의 다양성

        부남철 ( Nam Chul Pu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07 동양문화연구 Vol.1 No.-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종교를 비판한 것은 공자, 맹자의 시대까지 소급될수 있을 정도로 오래된 전통이었고, 이런 경향은 신유학의 단계에 이르러더욱 강화되었다. 그렇지만 이것은 이론적인 차원의 비판이고, 실제 생활에 있어서는 고려시대와 같이 불교와 유교가 병존했던 시기도 있었다. 그래서 불교 신앙을 가졌던 유학자도 있었다. 그러나 정도전의 「불씨잡변」이후, 조선에서 유교적 이단배척 경향이 강화되었는데, 필자는 그것은 분명한 정치적 의도를 갖고 시작된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그 이후에 전개된 종교 비판과 억압은 물론 유학자들의 신념에 의한 것이지만, 한편으로 실질적인 정책적 필요에 의해 추진된 것으로 보고 그런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불교 신앙에 유지했던 조선의 군주들, 유학자 관료들이 왜 그렇게 했는지 살펴보았다. 필자는 이들을 유학자의 관점에서 비평하지 않았다. 오히려 학문과 종교에 관해서는 그렇게 다양하고 혼합적이었던 것이 그 시대의 자연스런 경향이라고 보았다. 그것에 대해 강경한 유학자의 입장에서 왜 이론과 실제가 일치하지 않았냐고 그들의 처신을 폄하하는 것은 후대에 만들어진 편견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필자는 조선시대에도 위축된 형태였지만 종교가 있었고 그것은 신앙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 의해 지지되고 있었다는 점을 주목했다. 그리고 그 시대의 종교정책은 이론적으로는 이단배척을 표방했지만 실제로는 종교의 존재를 묵인했고, 또 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정책적으로 이용했던 바와 같이 일관된 것이 아니었음을 드러내는데 초점을 두었다. 천주교에 대한 억압도 이론적인 차원에서 시작된 것이었지만, 박해가 격화된 실질적인 이유는 위정자들이 천주교를 기존질서를 위협하는 정치 세력으로 판단했다는 점에 더 비중을두고 서술했다. 이렇게 본고에서 필자는 유학자의 이단배척 관점이 아니라 중립적으로 정치현실을 사례로 파악하면서, 이론적 학술적 차원의 종교비판에 담겨있는 정치적 의도, 종교 억압 정책들, 종교 신앙의 사례, 그리고 종교계와 정치권에의 협력에 대해 분석하면서, 이론과 실제가 달랐던 유교적 종교 정책의 유연하고 이중적인 모습과 그렇게 한 정책적 이유에 대해 서술하였다. Some theoretical Confucian Scholars reject religion as a heretic belief. This tradition has a long history from the time of Confucius. In Korea, this tendency was intensified by Chu Xi`s Neo-Confucianism that was imported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other reason for criticising Buddhism was that the Joseon dynasty founders justified the building of a new dynasty with the corruption of the Goryeo royal families and the Buddhist monks. This neo-confucianism was used as a theoretical weapon to fight against Buddhism and the Goryeo Dynasty. The rejection of religions had became the official policy of the Joseon Dynasty. With this in mind one might expect that there was little religion during the 500 year rein of the Confucian kings and officials of the Joseon Dynasty. But ironically, the first king of the Joseon Dynasty was Buddhist, and the well known Confucian scholar kings of the Joseon Dynasty, Sejong and Jeongjo had Buddhist beliefs. Also, many pragmatic Confucian scholars believed in Buddhism or Catholicism. In addition, the Joseon government mobilized Buddhist monks as solder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and Buddhist monks were mobilized to build mountain fortresses. Also there were official ceremonies to pray to heaven for rain and traditional shaman were invited. I will show the flexibility of Confucian policy towards religion. Also, I will find and explain the reason for the double standard of Confucian policy on religion. My conclusion is that government officials understood the need for religion in daily life so that they acquiesced the presence of religion and tolerated it on the condition that religious followers and their leaders would not become a real threat to the Confucian social and political orders and that they would obey and respect the king`s orders. Also the kings and government officials would not be slaves of the Confucian belief system.

      • KCI등재

        ‘知言’-말 알아듣기와 사람 알아보기 - 『경전(經傳)』의 ‘지언(知言)’론 : ‘知言’-말 알아듣기와 사람 알아보기

        곽신환(郭信煥) 한국동양철학회 2007 동양철학 Vol.0 No.28

        『논어』와 『맹자』와 『역』에 있는 ‘지언(知言)’은 서로 관련이 있다. 공자에게 있어서 ‘지언’은 타인의 마음의 옳고 그름, 그 인격을 알아보는 것, 자신의 수양과 관련된다. 『맹자』에서 ‘지언’은 피사(?辭)ㆍ음사(淫辭)ㆍ사사(邪辭)ㆍ둔사(遁辭)가 그 대상으로, 이단(異端) 배척의 논거였다. 『역』, ?계사(繫辭)?에서는 참사(慙辭)ㆍ지사(枝辭)ㆍ과사(寡辭)ㆍ다사(多辭)ㆍ유사(游辭)ㆍ굴사(屈辭)의 여섯 종류 말의 의미와 마음과의 연관성을 말했다. 춘추와 전국시대에 백가(百家)가 등장하여 온갖 변설(辨說)로 세상의 이목(耳目)을 집중시키려 했듯이 오늘날의 정황도 유사하다. 여전히 우리는 발언자의 마음의 지향을 정확하게 읽어낼 필요가 있다. 그것은 자신의 인격수양을 위해서도 그러하고, 한때의 지도자를 선택하는 경우와, 천하 내세(來世)에 대한 염려의 경우에, 개인의 실존적 위기의 순간에 자신을 성찰하는 데에도 그러하다.

      • KCI등재

        투고논문 : 남당(南塘) 한원진(韓元震)의 설리시(說理詩) 연구(硏究)

        조영임 ( Young Im Cho ) 동방한문학회 2011 東方漢文學 Vol.0 No.49

        이 논문은 조선후기에 활동하였던 성리학자인 남당 한원진(1682~1751)의 한시를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여졌다. 남당의 시세계를 일별하였을 때 주자학적인 사유가 현전하는 시의 대부분을 지배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說理詩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남당의 설리시를 朱子學的 사유 규명, 異端의 배척과 道統 의식, 觀物起興의 吟詠 등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고 그의 주자학적 사유가 어떻게 시적으로 형상화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남당의 본령이 文學이 아니라 성리학이었기에 그의 시에는 理氣, 性理, 性情, 太極, 理一分殊 등 성리학적 사유를 구명하는 것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남당은 심성수양의 한 방법으로 愼獨과 直을 강조하였다. 남당은 성리학적 관점에서 사물을 이해하였기에 성리학에 배치되는 학문인 楊朱, 墨翟, 佛敎, 陸象山, 老子 등을 이단으로 지목하고 배척하였으며 明나라가 멸망한 원인을 양명학 때문으로 보고 매우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또한 남당은 맹자와 주자에 이르러 확립된 유학의 도통이 조선에 와서, 이이, 송시열, 권상하로 이어졌다고 주장하였으며 이런 도통의식을 확립하려는 의도를 설리시에 표현하였다. 남당의 설리시에는 자연이나 사물을 대할 때 그 현상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道體를 인식하고 그때 일어나는 심미적 정감이나 흥취를 시로 형상화한 理趣詩가 있다. 이러한 시편들에는 자연과 일체가 되어 느끼는 自樂과 閒靜, 自得의 흥취, 閑中樂 등이 평담하게 형상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Chinese poems by Namdang, Han Wonjin(1682-1751), who had worked as a writer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as a neo-Confucianist and focuses on Seol-li-si(說理詩), in that neo-Confucian thinking underlay most of the Namdang`s poems. The neo-Confucian thinking in Namdang`s Seol-li-si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i.e., making investigations of neo-Confucian thinking, excluding heresy and getting a sense of Dotong(道統), and reciting the theory of Gwan-mool-gi-heung, and on the basis of the part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neo-Confucian thinking was poetically embodied. Consequently, much of the Namdang`s poems were on investigating the neo-Confucian thinking such as Yi-ki(理氣), Seong-li(性理), Seong-jeong(性情), Tae-geuk(太極), I-il-boon-soo(理一分殊), etc., because his chief business was on neo-Confucianism, not on literature. In addition, Namdang emphasized moderation and righteousness as a way of developing Sim-Seong. Namdang excluded Yang-Zhu(楊朱), Mo-Tzu(墨翟), Buddhism(佛敎), Lu Sang-San(陸象山), Lao-tzu(老子), etc., spotting them as heresy, and harshly criticized the teachings of Wang Yangming(陽明學) for causing the fall of the Ming Dynasty. Moreover, Namdang insisted that the sense of Dotong(道統) from Confucianism Mencius(孟子) and Chu-tzu(朱子) had established led to Lee ie, Song Siyeol, Gwon Sangha in the Joseon Dynasty, and expressed in Seol-li-si his intention to establish the sense of Dotong(道統). Namdang`s Seol-li-si includes Yi-chi-si(理趣詩), which embodied the then esthetic feelings and excitement in a form of poems, perceiving the inherent self-cultivating body without seeing nature or things only as it was. In these poems, self-pleasure(自樂) from one united body with nature, leisure and tranquility, joy of self-satisfaction, freedom in pleasure(한중락), etc. were embodied with calmness and no greed.

      • KCI등재

        조선시대의 대외전쟁과 유교적 和ㆍ戰論

        부남철(Pu Namchul)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6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5 No.2

        이 논문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조선시대에 있었던 외침과 전쟁 기간 중에 보여준 조선 유학자 관료들의 이념적 경직성의 근원과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전세가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명나라에 대한 의리를 강조하면서 협상을 반대했던 이들의 대응 방식은 일반적으로 주전론으로 그리고 이에 달리 현실적으로 유연하게 접근했던 경향은 주화론으로 알려져 있다. 필자는 그런 주전론의 형성의 요인으로서 수신제가치국평천하의 논리와 같은 유교 자체의 일원주의적 사유구조, 유학자들의 이념적 이단 배척론과 맥락을 같이하는 야만족에 대한 경멸감, 그리고 임진왜란 이후 더욱 강화된 명나라에 대한 사대관념의 강화 등을 주목하였다. 그렇지만 조선시대에 있어서 주전론이 주도적인 경향으로 자리 잡게 된 결정적인 요인으로서 중종반정, 그라고 인조반정 이후 취약해진 군주권을 보강하기 위해 군주들이 꾸준하게 추진했던 유교적 교화정책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당시의 군주들은 유학자 관료들과는 달리 이념적으로 유연하였고, 전쟁기간 중 주전과 주화 문제에 있어서 다분히 현실주의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필자는 선후기에 주전론이 조선유학자 관료들의 정신세계에서 주도적인 흐림이 된 것은 상당 부분 군주의 정책에 의한 것이었음을 지적하였다. 그러면서 이렇게 해서 형성된 조선 후기의 주전론적 인식은 한말 서세동점의 시기에 냉혹한 힘이 지배하는 국제정세를 도덕과 윤리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요인이 되었음을 지적했다. This study is on the origin and formation of Chosun Confucian scholar officials' idealistic thinking about war and peace. They emphasized morality and Confucian world order in world power politics. They refused any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barbarian countries, even in disadvantageous situations in war. This tendency was well shown in the Beong-ja War(1636-1637) when the newly emerging empire, the Ching Dynasty, invaded the Korean peninsula asking for the Chosun government's surrender and giving up Confucian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Ming Dynasty. After the war, Chosun King In-jo surrendered to Ching, and promised that the Chosun Dynasty would become a subject country to China. In this paper, I will state that the formation of idealist Confucianism was rooted in 1) the monistic Confucian belief system itself. 2) the fact that Chosun confucian scholars had some racial discrimination tendencies towards barbarian countries classified by confucian world order perspective. 3) The Chosun kings' Confucian education policy meant to intensify their subjects' loyalty to their authority. After the Beong-ja war Chosun Confucian scholar officials became more idealistic and dogmatic. They confused domestic politics with international power politics. That was one reason for Korea's failure to modernize in the 19th century.

      • KCI등재

        智異山 遊山記에 나타난 조선조 지식인의 山水認識

        강정화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08 남명학연구 Vol.26 No.-

        이 글은 논자가 앞으로 10여 년간 중점적으로 탐구해야 할 과제 중 하나인 지리산 유산기 연구의 試論이다. 논자가 진행해야 할 연구는 지리산권역을 중심으로 한 조선조 지식인의 문학이다. 특히 조선조 지식인의 지리산 관련 遊山文學과 영남・호남 지식인의 樓亭文學 작품을 주요 논의대상으로 삼아 그들의 山水美學과 그 속에 융화된 자연관을 집중 탐구하고, 이의 전반적 이해를 통해 조선조 지식인의 자연에 대한 이해, 나아가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모색하던 태도를 밝혀내게 될 것이다. 본고는 그 첫 시도로써, 조선조 지식인이 지리산을 유람하고 남긴 유산 작품을 대상으로 삼아 그 동안 발굴된 자료를 개괄하고, 작품 속에 내재된 그들의 산수인식을 고찰함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조선초기 李陸의 「智異山記」에서 시작된 지리산 유산기는 20세기까지 약 90여 편이 발굴되었다. 이를 시대별로 분류하면 15세기 6편, 16세기 5편, 17세기 전반과 후반에 각 6편과 7편, 18세기 20편, 19세기 27편, 20세기는 21편인데, 후대로 갈수록 작품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작품 수의 차이는 조선시대 정치적 사회적 상황과 그에 따른 지식인들의 浮沈에 그 원인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지리산 유산기에 보이는 산수인식은 4가지로 압축할 수 있었다. 먼저 유산기 담당층이 조선조 유학자인 만큼 다양한 儒家的 志趣를 先賢尊崇으로 압축하여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지리산 산수자연 가운데 佛家的・巫俗的 유적지를 통해 異端을 배척하는 지식인의 의식을 살펴보았고, 현실과 이상의 괴리에서 오는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仙境을 찾는 그들의 遊仙 의식을 살필 수 있었다. 특히 그들은 지리산의 절경 속에서 道家的 志趣를 갈망하면서도 유학자로서의 자세를 잃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유람을 통해 뛰어난 文學的 志趣를 표출해 내었는데, 이는 우리 국토에 대한 예찬으로 일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소혜왕후 『內訓』과 폐비윤씨사건 그리고 불교옹호 논쟁

        이남희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3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7 No.-

        이 글에서는 소혜왕후의 『내훈』과 폐비윤씨사건, 그리고 불교옹호 논쟁이어떻게 이어지고 있는가 하는 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내훈』에는 주자학적인 질서 확립을 위해서 필요한 젠더[성별지식] 관련 명제들이 나온다. ①남녀칠세부동석(男女七歲不同席): 남녀유별, ②부내부천(夫乃婦天): 남편은 아내의 하늘, ③불경이부(不更二夫): 여성의 재가 금지, ④삼종지도(三從之道)와 칠거지악(七去之惡) 같은 것이다. 『내훈』은 폐비윤씨사건을 이해하는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해준다. 과부이자홀어머니 소혜왕후는 서문에서 ‘옥 같은 마음을 가진 며느리’를 원하며, 『내훈』 을 보고 배워서 그렇게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혼인생활을 유지해가기 위해서는 시부모의 믿음과 사랑이 중요하다는 점도 지적했다. 소혜왕후는 불교를 옹호해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하지만 『내훈』을 전제하고 있으며, 주자학의 헤게모니를 인정한 위에서의 그것일 뿐이었다. 선왕의명복을 비는 식으로, 예로부터의 전통과 관습을 착실히 따르는 것이었다. 반면에 신진 사류는 주자학 원리주의자 내지 근본주의자들이었다. 국가를 위해서는 불교와 도교 같은 이단에 대한 배척이야말로 필요하다고 보았다.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Queen Sohye's Naehoon, the case of the deposed Queen Yoon(尹), and the controversy over the defense of Buddhism. In Naehoon, there are propositions related to gender knowledge necessary to establish a Neo- Confucian order. 1) Men and women do not sit in the same seat when they are seven years old[男女七歲不同席], 2) Husband is the sky of wife[夫乃婦天], 3) A woman does not serve two husbands[不更二夫], 4) Three principles for a woman to follow[三從之道] and Seven bad things that can drive a woman away[七去之惡]. In addition, Naehoon provides an important clue to understanding the case of the deposed Queen Yoon(尹). Queen Sohye, a widow and single mother, wanted a “jade-like daughter-in-law”, by learning from Naehoon. Naehoon also pointed out that faith and love for the daughter-in-law of the parents-in-law are important to maintain their marriage. Meanwhile, Queen Sohye actively defended Buddhism. However, she fully recognized the hegemony of Neo-Confucianism within the ideological world. Her Buddhism was a way of praying for the late King, and she steadily followed the traditions and customs. On the other hand, the new literatis were Neo-Confucian fundamentalists. For the country,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exclude Heresy such as Buddhism and Tao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