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갑신정변과 궁중 내부 세력의 내응과 반발 : 특히 내시 유재현을 중심으로

        장희흥 한국동학학회 2009 동학연구 Vol.26 No.-

        갑신정변 당시 김옥균 등 개화파는 정변의 성공을 위하여 궁궐 내 왕의 측근 세력인 궁녀와 내시들을 포섭하였다. 즉 궁녀 고대수 등과, 이름 모를 환관 등은 정변에 동참, 왕의 동태를 살피거나 궁중 내 불을 지르는 등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내시 유재현은 처음에는 개화파에 가입하였으나, 이후 왕의 최측근으로 개화파의 정변에 반대하고 사대파의 입정을 대변하면서 개화파들이 노력으로 서울로 입성한 윤웅렬의 북청군대를 돌려보내는 역할을 하였다. 결국 내시 유재현은 정변 2일 아침에 서재필에 의해 처형되었다. 내시 유재현은 왕의 측근으로 왕에게 충심을 다한 인물로 보인다. During the Kapsin Coup of 1884 leaders of the Enlightenment Party such as Kim Okkyun tried to ensure the success of their coup by rallying close associates of the king within the palace, such as court ladies and eunuchs, to their side. These moves proved to be partially successful as court ladies such as Ko Taesu and many unknown eunuchs participated in the Kapsin Coup, playing specific roles such as keeping tabs on the king's moves or lighting fires within the palace. In this regard, while the eunuch Yu Chaehy?n had initially joined the ranks of the enlightenment forces, he eventually came to oppose the coup launched by the Enlightenment Party and became the king's closest confidante. Representing the political position of the pro-Qingfaction, Yun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ispatch from Pukch??ng of the military unit led by Yun Ungry?l to Seoul as part of efforts to counter the march of the enlightenment forces. The eunuch Yu Chaehy?n was consequently executed by S? Chaep?l on the morning of the second day of the coup. A close associate of the monarch, Yu Chaehy?n proved to be loyal to his king to the end.

      • 갑신정변과 궁중 내부 세력의 내응과 반발 - 특히 내시 유재현을 중심으로 -

        장희흥 한국동학학회 2009 동학연구 Vol.0 No.26

        갑신정변 당시 김옥균 등 개화파는 정변의 성공을 위하여 궁궐 내 왕의 측근 세력인 궁녀와 내시들을 포섭하였다. 즉 궁녀 고대수 등과, 이름 모를 환관 등은 정변에 동참, 왕의 동태를 살피거나 궁중 내 불을 지르는 등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내시 유재현은 처음에는 개화파에 가입하였으나, 이후 왕의 최측근으로 개화파의 정변에 반대하고 사대파의 입정을 대변하면서 개화파들이 노력으로 서울로 입성한 윤웅렬의 북청군대를 돌려보내는 역할을 하였다. 결국 내시 유재현은 정변 2일 아침에 서재필에 의해 처형되었다. 내시 유재현은 왕의 측근으로 왕에게 충심을 다한 인물로 보인다.

      • KCI등재

        고구려 장천1호분 귀부인의 유와 裙의 재현에 관한 연구

        이호정(Ho Jung Lee),조우현(Woo Hyun Cho) 한국복식학회 2014 服飾 Vol.6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olution for Goguryeo costume and its materials, colors, patterns, and accessories, which have not been dealt with in precedent studies and were treated as irrelevant subjects. The specific object of reconstruction with identification from the historical viewpoint is noble woman`s costume(Yu and Gun) on the mural paintings of Jang-Cheon No.1 tomb in Jip-An province. As above,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Yu(Jacket) and Gun(Skirt) worn by noble woman as depicted on the mural painting of the Baek-Hee-Gi-Ak-Do(百戱伎樂圖) in Jang-Cheon No.1 ancient tomb is suggested in this study.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consideration was how to represent and exhibit it so that it resembles the mural painting as closely as possible. And the problems that arose at the time were the ratio and silhouette, which revealed disparities between the one on the mural painting and the costumes reproduced with identification from a historical viewpoint. The most difficult aspect of this work was due to the fact that the actual mural paintings were not available for verification. Therefore accuracy on details such as structure, materials, colors, patterns and accessory were difficult to obtain. So a further analysis of patterns, silhouettes, materials and colors are required for the precise representation of costume and dress on the mural painting.

      • KCI등재후보

        연극학에서 공연학으로

        김효 ( Hyo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09 드라마연구 Vol.- No.31

        L`anthropologie a ete nee comme ombre de la science humaine qui date de la Renaissance. La science humaine est fondee sur la litterature. Par contre l`anthropologie etudie l`homme en se referant aux autres que la litterature: les images, les symboliques, le langage oral et le corps etc. S`approcher du theatre a la methode anthropologique tout d`abord signifie de se referer au langage "materiel" pour analyser le theatre. Donc l`anthropologie possede la virtualite la plus forte d`engendrer le discours postmoderne parce qu`elle tient des sources de deconstruire la conception du theatre littero-centrique. Mon article a revise trois cas differents qui ont actualise au niveau de meta-discours du theatre la virtuatilte postmoderne impliquee dans l`anthropologie. Ce sont Antonin Artaud, Eugenio Barba, Performance Studies de Richard Schechner. Dans le domaine du theatre, le postmoderne s`ouvre par la deconstruction du terme "theatre" qui est produit par le projet de la modernisation. Il y a deux methodes pour deconstruire le terme du theatre. L`un est d`abolir le terme meme et de creer un neologisme qui peut s`approprier egalement aux arts spectaculaires varies. L`autre est de ne pas cesser d`employer le terme meme et de redefinir le contenu du concept. C`est a dire garder le "vaissel" du concept et alterer le contenu du concept. Mon article a degage qu`Artaud et Barba ont pris cette derniere voie. Performance Studies de Richard Schechner est le cas representatif qui a pris la premiere voie. Mon article a pour l`objet de mesurer a quel niveau le discours postmoderne se developpe dans le domaine du meta-discours du theatre. 포스트모던의 시대에 즈음하여 연극과 연극학은 해체되어 가고 있으며, 그 대안으로 공연(performance)이란 개념어와 공연학(performance studies)이 부상하고 있다. 본 논문은 우선, ``연극``이란 용어에 함축되어 있는 연극사적인 함의를 살펴봄으로써 탈근대로 지칭되는 현대의 담론 공간에서 그것이 해체되어가는 과정과 이유를 고찰하였다. ``연극``으로 번역되는 ``theatre``는 르네상스와 함께 등장한 용어로서 근대 기획의 소산이다. 따라서 연극 담론의 장에서 탈근대의 장은 근대의 기획의 소산물인 ``연극``이라는 범주의 해체에 의해 시작된다. ``연극``이란 범주를 해체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가능하다. 우선 가장 급진적인 방식으로는 ``연극``이란 범주의 전면적인 해체가 가능하다. 즉 ``연극``이란 용어 자체를 폐기 처분하고, 다양한 공연예술을 동등하게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용어를 창안하는 것이다. 즉 신조어로 대체하는 방법이다. 보다 온건한 방식으로는 용어 자체는 그대로 사용하면서 그 내용을 재규정하는 방법이 그 하나이다. 바꿔 말해서, 개념의 그릇은 그대로 존속시키면서 개념의 내용을 갈아 넣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바, 후자의 방식으로 연극의 범주를 해체하는 논자로서 아르또와 유제니오 바르바가 있으며, 전자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논자로서 쉐크너를 들 수 있다. 아르또는 동양연극의 원리가 서구의 근대연극과 완전히 다르다는 점을 보여 줌으로써 근대에 보편적인 예술현상으로 정위된 ``연극``의 허구성을 폭로하였지만 궁극적으로 ``연극``이라는 용어를 부정하지 않고 그 ``속(double)``에 근대적인 연극과 ``다른 것을 함께 채워 넣는 방식(doubler)``으로 연극을 재정의 하였다. 반면 바르바는 동/서양의 연극을 동등하게 포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연극``이란 용어를 새롭게 정의한다. 결국 쉐크너가 ``연극``이란 용어를 해체하고 다양한 공연형식을 동등하게 포괄할 수 있는 대안적인 용어로 ``퍼포먼스``를 내세우게 되면서 연극과 연극학은 해체에 직면하기에 이르고, 그 대안으로 대두되는 ``공연(퍼포먼스)``과 공연학의 등장은 ``연극중심주의``의 종식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