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한계시록 설교를 위한 제안

        신동욱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5

        본 논문은 한국 교회에서 해석의 어려움 때문에 기피하고 있는 요한계시록을 설교자들이 설교할 수 있도록 하나의 방법을 제안할 목적을 갖고 있다. 요한계시록에 대한 다양한 해석적인 입장에도 불구하고 시대사적인 해석 방법을 주로 사용하며 상징적인 해석 방법을 보조적으로 사용하여 요한계시록 안에 나오는 환상들을 이해한다면 요한계시록의 저작의도대로 해석하고 설교할 수 있다고 평가된다.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환상들이 현실에 대한 해석의 기능과 하나님이 열어주실 부정적인 현실에 대한 대항현실이기 때문에 시대사적인 해석은 요한계시록을 해석하는 데 중요하다. 그리고 요한계시록의 구조, 특히 세 가지 재앙시리즈의 구조가 시대적인 배열이 아니라 치밀한 문학적 기교라는 사실을 통해서 요한계시록이 재앙과 심판을 통해서 성도들로 하여금 하나님 편에 서도록 결단하게 하는 실존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설교자들은 잊어선 안 된다. 이런 해석적인 입장을 기초로 하여 요한계시록을 설교하기 위해서 역사적 질문, 신학적 질문과 오늘의 삶 속에 적용하기 위한 목회적 질문이 요구된다. 하나님의 뜻에 반하는 기존의 지배체제에 대한 저항을 통해서 교회의 세속화를 막아주는 신앙적인 교훈을 핵심 주제로 하고 있는 요한계시록은 우리 시대에 보다 자주 설교되어야 할 책이라고 생각한다. Weil fast allen koreanischen Pastoren aufgrund der exegetischen Schwierichkeit die Johannesapokalypse zur Predigt nicht bentuzen wollen, will ich durch diese Arbeit eine Art und Weise vorschlagen, wie sie das letzte Bibelbuch predigen können. Trotz der verschiedenen Deutungsmöglichkeit in der Auslegungsgeschichte ist eine sachgemäßige Interpretation des letzten Bibelbuches die zeitgeschichtliche Exegese, weil die meisten Visionen in der Apokalypse des Johannes eine Wahrnehmung der Wirklichkeit bzw. der Gegenwart der Gemeinden in Kleinasia bezeichnet. Dazu ist es nötig, sie symbolisch auszulegen. Besonders ist die zeitgeschichtliche Deutung sehr wichtig, weil diese Visionen uns die von Gott geschaffenen Gegenwirklichkeit zur kritischen Situation von Pax-Romana zeigen. Aufgrund dieser Interpretationsstellung muss man die folgenden drei Fragen stellen, um den Text der Johannesoffenbarung zu predigen: die historische Frage, die theologische Frage und die existentiale Frage.

      • 세 선지자의 간본문적 대화 : 계 1장을 중심으로

        송영목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8 고신신학 Vol.- No.10

        이 글은 요한계시록 1장을 중심으로 세 선지자 (에스겔, 다니엘 그리고 사도 요한)의 상호작용을 간본문성의 관점에서 연구하는 것이다. 계시록 해석의 열쇠를 종교사학파처럼 이방 신화나 신부 종교에서 찾을 수 없다. 오히려 구약에서 찾아야 한다. 요한은 계시록의 서두에서부터 그리스도의 완결적 사역의 관점에서 구약 바라보면서 과거론적 해석을 지향한다. 계 1장과 단 7장과 10장 그리고 겔 1장 사이의 연속성이 강하다. 그 중심에는 연결고리이신 그리스도가 계신다. 세 선지자의 간본문적 대화중에서 불연속성 혹은 변형이 발생한다면, 예수님 때문에 발생한 구속사의 '확대-상승'으로 인한 것이다. 이것은 요한이 견지한 '그리스도 완결적 해석' 때문으로 볼 수 있다. 결국 이것은 그리스도의 완결된 구원의 은덕을 입은 요한의 1차 독자들과 신약의 전체 교회의 유익으로 나타난다. 겔 1장은 포로 중에 있던 이스라엘에게 우주의 통치자는 하나님이심을 보좌 한상을 통해서 보여줌으로써 위로한다. 마찬가지로, 요한은 핍박 중에 잇는 그의 독자들을 보좌 위의 언약에 신실하신 삼위 하나님이 다스리심을 비슷한 환상을 통해서 설명한다. 단 7장에서 미레에 성취될 것으로 본 인자의 우주적인 통치 예언을 요한은그리스도께서 지금 이루고 계심을 강조한다. 그리고 다니엘과 요한은 하나님의 백성이 이방 나라의 압제를 경험함에도 불구하고 그 속에서 역사의 통치자이신 하나님이 다스리심을 확신했다. 이 연구 결과에 도달하기 위하여 다음 네 가지 요소에 집중할 것이다: (1) 요한계시록 1장의 간략한 주석, (2) 요한계시록의 구약 간본문, (3) 요한계시록 1장과 에스겔 1장의 간본문성, 그리고 (4) 요한계시록 1장과 다니엘 7장과 10장의 간본문성. This paper probes the interaction among three prophets (Ezekiel, Daniel and John the Apostle) in terms of intertextuality centered on the first chapter of the Book of Revelation. It is unreasonable to find the key for interpreting Revelation from pagan myth and mysterious religion like the school of religion history has tried. Instead, the key is found in the Old Testament. From the beginning of Revelation, the Aposetle John tries to look at the OT in the Christotelic light in order to set the preteristic interpretation. In fact, there is a continuity aming Revelation 1, Ezekiel 1, Daniel 7 and 10. Christ is the link for this continuity. The discontinuity or transformation in this intertextual dialogue is due to the expansion and escalation in revelation history based on the Christ event. In other words, this discontinuity or transformation is caused by John's Christotelic interpretation. In effect, this becomes the benefit for the NT Church who receives the salbific grace from the fulfilled redemption of Christ. The prophet Ezekiel encouraged the Israelites during the Babylonian Exile by showing the throne vision in which Yahweh rules the nations. In a similar fashion, John explains, the throne vision to console his readers who were being persecuted both from the apostate Jews and from the pagan Roman Empire. These two prophets were convinced that it is the covenantal God who governs his people. In Daniel chapter 7, Daniel prophesied the futuristic reign of the Son of Man, whose ruling power is from God the Father. For John the Apostle, this futuristic prophecy has been fulfilled in the person and works of Christ. To reach conclusion, attention will be given to the following: (1) A brief exegesis of Revelation 1, (2) The OT intertexts in the Book of Revelation, (3) The intertextuality between Revelation 1 and Ezekiel 1, and (4) The intertextuality between Revelation 1 and Daniel 7 and 10.

      • KCI등재

        삶을 변화시키는 요한계시록 설교를 위한 고찰 : 목회자, 신학자, 시인으로의 설교자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이우제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6 복음과 실천신학 Vol.41 No.-

        본 논문의 목적은 목회자, 신학자, 그리고 시인으로 설교자 요한의 정체성 을 중심으로 삶을 변화시키는 요한계시록 설교의 길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묵시: 현실을 새롭게 하는 영성”(IVP)라는 유진 피터슨의 책 에서 요한을 설교자로 이해하는 그의 통찰력에 크게 빚지고 있다. 유진 피터슨 의 전제에 따르면, 요한은 요한계시록을 목사와 신학자 그리고 시인의 관점과 마인드로 글을 쓰고 있다고 이해한다. 그의 핵심적인 강조점이 드러나는 진술 은“요한계시록을 예배의 행위 안에서 통합이 이뤄지는 목사, 시인, 그리고 신 학자의 사역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유진피터슨이 제시하는 통찰력과 함께, 필자는 거기서 얻은 착상을 발전시 켜 삶을 변화시키는 요한계시록 설교의 방향성을 연결 지어 보고자 한다. 설교 자가 목회자로서 이해되어질 때, 삶을 변화시키는 설교를 위한 요한계시록의 저술의도(목적) 적절히 논의 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설교자가 신학자로 이해되어질 때, 삶을 변화시키는 하나님 나라 의 승리로서의 요한계시록의 설교를 통해 선포되어져야 하는 내용들이 언급되 어질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설교자가 시인으로 이해되어질 때, 우리는 요한계시록 장르에 기초한 삶을 변화시키는 설교를 위해 어떤 설교 형식을 선 택해야만 하는지를 논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the way of life-changing sermon on the book of revelation especially focused on the identity of the preacher as a pastor, theologian, and poet. For this, I am greatly indebted to Eugene H. Peterson for suggesting an insight to make understand John as the preacher. According to the premise of Eugene H. Peterson’s book, “Reversed Thunder: The Revelation of John and the Praying Imagination”, the preacher, John wrote Revelation in the view and mind of a pastor, theologian, and poet. His cental statement is to see revelation as “the work of pastor, poet, and theologian achieved a synthesis in the act of worship.” In the light of Eugene Peterson’ insight. I tries to connect it with the direction for life-changing preaching of the book of Revelation. When a preacher is understood as a pastor, the intention of writing(purpose) of Revelation for life-changing sermon can appropriately be discussed. Next, when a preacher is understood as a theologian, the contents (as the victory of the kingdom of God) of Revelation to be proclaimed for lifechanging sermon can be mentioned. Finally, when a preacher is understood as a poet, it can be discussed that we should choose any sermon form for life-changing sermon based on the genre of Revelation.

      • KCI등재

        설교자의 관점에서 본 요한계시록 11:1-14절

        신동욱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6

        본 논문은 대부분의 한국교회 설교자들이 설교하기를 부담스러워 하는 요한계시록을 저작 의도에 맞게 설교할 수 있도록 요한계시록의 구체적인 본문을 선택하여 하나의 설교 샘플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요한계시록이 갖고 있는 신학적인 특징과 성서비평학적인 주석 방법을 기초로 요한계시록 본문에 대해 역사적, 신학적, 목회적인 질문을 제기하고 그 질문에 대답을 찾음으로써 본문에 대한 주석과 설교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정리할 수 있다. 특별히 요한계시록이 현대 사회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이유는 하나님이 열어주실 새 하늘과 새 땅의 비전을 근거로 현대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모든 불의한 지배체제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안목을 제공해 주기 때문이며, 이를 위해서 요한계시록은 다양한 교회론적인 입장을 환상을 통해 말하고 있다. 그 중에서 계 11:1-14절을 설교 본문으로 다룸으로써 복음을 외면할 뿐만 아니라 복음을 필요로 하지 않는 종말적 위기 상황 속에 있는 우리 시대의 교회들에게 도전이 되는 선교적 사명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Da fast alle koreanischen Pastoren aufgrund der exegetische Schwierigkeit die Apokalypse des Johannes für die Predigt nicht benutzt wollen, will ich durch diese Arbeit und mit Hilfe des Textes von Offb 11:1-14 eine Art und Weise vorschlagen, wie man die Johannesoffenbarung predigen könnte. Mit Hilfe der theologischen Merkmalen des letzten Bibelbuches und der historisch -kritischen Auslegungsmethode kann man die historische, theologische und praktische Frage nach dem Text der Johannesapokalypse erarbeiten, um den Text korrekt zu verstehen. Dadurch kann man die Informationen zur Predigt für eine sachgemäße Interpretation dieses Textes sammeln. Die Johannesapokalypse kann heute noch eine wichtige Rolle in unserer Gesellschaft spielen, weil sie der Kirche mit Hilfe der Hoffnungsbilder des neuen Himmels und der neuen Erde einen Gegenentwurf zu dem kritischen Herrschaftssystem zeigt. Auch die Kirche ist ein Gegenentwurf zu der schlechten Wirklichkeit in der Ordnung des Chaos. Deswegen spielt die Ekklesiologie in der Johannesapokalypse eine wichtige Rolle. Der Predigttext Offb 11:1-14 weist der Kirche, die vor einer endzeitlichen Krise steht, deutlich auf die missionarische Aufgabe hin.

      • KCI등재

        요한계시록의 영성 치료

        한철흠(Chul Heum Ha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7 선교와 신학 Vol.41 No.-

        요한계시록은 흔히 종말에 일어날 일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고난을 겪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소망과 위로를 주는 것으로 이해된다. 논자는 이러한 전통적 해석들이 요한계시록 메시지의 한 측면만을 부각한다는 전제하에, 요한계시록의 복합적 메시지를 영성 치료의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려고 시도하였다. 이 논문의 핵심 주장은 요한계시록이 독자의 지성과 감성 및 의지적 삶을 아우르는 전인적 영성의 회복을 꾀하며, 이러한 영성 치료의 기능은 박해와 고난에 직면한 독자들이 현실과 타협하지 않고 고난을 이기도록 돕는 것이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논자는 바른 신념(orthodoxy)과 바른 감성(orthopathos) 및 바른 실천(orthopraxis)의 관점에서 기독교 영성의 정의를 제안한 후에, 이를 토대로 요한계시록에 담긴 영성 메시지를 재구성하였다. 이 해석에 따르면, 요한계시록은 하늘 보좌와 종말론적 구원을 포함하는 초월적 실제에 대한 지적 계시를 통해 독자들에게 위로와 소망을 줌과 동시에, 독자들이 고난을 이기고 어린양을 증언하도록 함으로써 영적 회복을 이루도록 돕는다. The Apocalypse is usually read as giving information about what will happen in the end times. Alternatively, the Apocalypse is often taken to give hope and comfort to the suffering Christians. On the assumption that these traditional readings foreground just one aspect of Revelation’s message, I have attempted in this article to construe its complex message in terms of spiritual therapy. The major claim of this article is that the Apocalypse restores the holistic spirituality of the reader, which subsumes his or her intellect, emotion, and volition; in so doing, the Apocalypse helps the reader to overcome persecution and suffering, instead of compromising with life situations. Along these lines, I suggest a new defini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in light of orthodoxy, orthopathos, and orthopraxis, with a view to reconstructing spiritual therapy as embedded within the Apocalypse. In revealing the transcendent reality, including the heavenly throne and the eschatological salvation, the Apocalypse not only gives comfort and hope to readers but also enables them to overcome suffering and bear witness to the Lamb, thereby restoring their spirituality in terms of intellect, emotion, and volition.

      • KCI등재후보

        요한계시록에서 "하늘"의 개념과 그 기능: 4:1-8을 중심으로

        이필찬 ( Phil Chan Lee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09 성경과신학 Vol.50 No.-

        이 글을 쓰게 된 동기는 요한계시록을 지나치게 내세 지향적으로 읽는 경향이 한국 교회에 짙게 나타나고 있는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 때문이다. 신약성경 중에서 요한계시록만큼 `하늘`의 정황을 빈번하게 소개하는 성경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그만큼 `하늘`은 요한계시록을 이해하는데 결정적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하늘`을 요한계시록이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문학적 특징의 배경에서 이해하려고 하기 보다는 경험적이고 현상적인 차원에서 접근한다. 이것이 바로 요한계시록을 내세지향적으로 읽는 이유가 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두 가지 목적을 갖는다. 첫째로, 요한계시록 4장의 연구를 통해 `하늘`의 개념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시도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그러한 `하늘`이 요한계시록 전체적인 맥락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를 추적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개념과 기능은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개념을 알면 기능을 알게 된다. 먼저 이 연구를 통해 얻은 요한계시록에서의 하늘의 개념은 하나님의 통치가 발현하는 곳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4장에서 보여진 하늘의 환상에서 `보좌`가 제일 먼저 등장하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보좌는 통치의 상징이라는 것은 두 말할 나위가 없다. 여기에서 교회 공동체를 상징하는 이십사 장로도 동일하게 보좌에 앉아 있다. 이러한 모습에서 교회 공동체가 하나님의 통치에 동참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하늘을 통해 나타나는 이러한 하나님의 통치는 보좌로부터 나오는 번개와 음성과 우뢰소리를 통해 더욱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것은 종말적 심판의 출현을 의미한다. 심판은 구원과 함께 하나님의 통치의 한 측면을 나타내주고 있다. 더 나아가서 일곱 등불의 존재는 하늘의 성전으로서의 특징을 보여준다. 성전이라면 역시 하나님의 통치의 원천이라고 말하는 것이 가능하다. 끝으로 하늘에 모든 피조물을 대표하는 `네 생물`의 존재에 대한 표현은 하늘이 피조물의 원천이라는 의미를 전달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하나님은 창조주로서 인식된다. 창조주 하나님이시기에 그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통치하는 것은 당연하다. 정리하면 요한계시록에서 하늘은 하나님께서 온 우주를 통치하시는 분이시라는 사실을 보여주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된다. 그러므로 그 하늘은 우리의 사후에 가게 될 피안의 세계가 아니라 지상의 교회가 현재에 역동적으로 하나님의 통치에 동참한다는 사실을 또한 보여준다. This article has been motivated by the current trend in the Korean church to read the Book of Revelation in terms of the "out-worldly" viewpoin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erse the trend by thoroughly investigating the definition and the function of heaven centering around ch. 4 within the context of the Book of Revelation. In the Book of Revelation, the word "heaven" is used to indicate that God rules over the whole universe. In ch. 4, first of all, God`s throne is shown in heaven, which symbolizes God`s powerful sovereignty in comparison to the Roman Emperor`s. Then, twenty four elders who symbolize the whole church community, sit on the twenty four thrones in heaven just as God does. This means that the whole church community is already placed in heaven, having a ruling power over the world with God. This fact is verified in several images in ch. 4 such as four living creatures, lightnings/thunderings/voices and seven lamps of fire etc. In summary, the heaven in the book of Revelation functions as the instrument of showing God`s rule over the world. Certainly this made the member of the seven church, who were the first readers, view their difficult situations in the light of God`s divine intervention.

      • KCI등재

        존 웨슬리의 요한계시록 해석의 현대적 적용을 위한 시도: 현실인식과 비판의 관점에서 요한계시록 읽기

        신동욱 ( Shin Dong Oo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1

        본 논문은 감리교 창시자 존 웨슬리의 요한계시록 주석을 기초로 하여 요한계시록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시각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웨슬리의 신약성서 주석과 그의 151개의 표준설교를 중요한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새로운 해석학적인 가능성들을 얻게 되었다. 첫 번째로 웨슬리에게 있어서 요한계시록은 종말론적인 교훈을 주는 기능보다는 산업혁명 이후 영국사회에서 발생한 사회-윤리적 문제를 종말적 위기로 이해하는 현실인식의 수단을 제공하였고, 두 번째로 웨슬리는 요한계시록에 사용된 묵시적 환상들을 세상의 불의에 대한 하나님의 거절이라는 시각에서 상징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요한계시록의 저항문서적인 성격을 부각시켰고, 세 번째로 종말론적으로만 해석된 천년왕국을 윤리적-사회적 시각에서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웨슬리가 자기 시대의 부정적인 현실을 인식하고 비판하는 관점에 요한계시록을 해석하였다는 사실은 천년왕국 중심의 종말론에 심취되어 있는 한국교회에게 새로운 해석학적인 시각을 제공한다. 특히 웨슬리가 제시하는 새로운 해석학적인 가능성은 신자유주의 경제체제로 말미암아 부의 양극화 현상이 발생하고, 윤리적 타락이 심화되고 있는 우리 시대에 요한계시록을 새롭게 읽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a possibility for a new interpretation of The Revelation of St. John with reference to John Wesley`s exegesis of the last Book in the Bible. For a long time this Book has been interpreted and applied primarily for the eschatological lessons based on the millenary kingdom of Christ in Rev 20:1-10: Premillennialism, Postmillennialism, and Amillennialism. But John Wesley, who resisted against the ethical corruption and the social incompetency of the Anglican Church through the Methodist Church Movement, has considered The Book of Revelation as a Literature of resistance. The 151 standard sermons of John Wesley and his Bible commentary, Explanatory Notes upon The New Testament, provided a new perspective on the Understanding of The Book of Revelation. Through the exegesis of the Revelation of St. John he does not show only the eschatological hope, but he gave a theological insight into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crisis of his time, namely the negative impact of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apocalyptic visions. For example he applied Revelation 20 for the criticism on the market economy system and the unjust ruling system of his time, which caused the marked inequality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the visions of the three catastrophes was interpreted by him not as the cosmological catastrophe, but symbolically as the refusal of God against the brutal violence. Based on John Wesley`s appl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Revelation of St. John we can use this book for the criticism on the neo-liberalistic-capitalism, which intensifies the divisive social problems such as the polarization of wealth and the generational gap. Therefore for John Wesley The Book of Revelation is a Literature of resistance and it provides a method for the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the Reality.

      • KCI등재

        요한계시록의 저항 언어: 유대 묵시문헌과의 상호텍스트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철흠 ( Chul Heum Han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59 No.-

        이 논문은 요한계시록을 고난과 저항의 관점에서 새롭게 읽으려는 시도이다. 요한계시록은 독자들이 하나님의 종말론적 구원을 기다리도록 함으로써 평화주의 혹은 무저항을 옹호한다는 일반적 견해에 맞서, 논자는 요한계시록의 저항 언어가 폭력 저항을 배제하면서 수동적 인내와 능동적 저항의 긴장 관계를 유지한다는 주장을 편다. 이 해석은 요한계시록의 저항 언어를 유대 묵시문헌과의 상호텍스트성 관점에서 재구성한 것이다. 유대 묵시문헌은 무저항 혹은 비폭력 저항뿐만 아니라 폭력 저항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에스라4서, 에녹 서신, 모세승천기 등은 무저항 혹은 비폭력 저항을 지지하는 반면에, 동물 묵시록, 몇 주간의 묵시록, 전쟁 두루마리, 아브라함 묵시록, 시빌의 신탁 제5권 등은 폭력 저항을 옹호한다. 요한계시록의 저항 언어는 수동적 인내와 능동적 저항의 긴장 관계를 유지한다. 요한계시록은 짐승으로 대표되는 악의 세력이 막강한 권세를 행사하는 종말의 특정한 시기에 그리스도인들이 폭력 저항을 삼가고(계 13:10)경제적 고난을 감내함으로써(계 13:16-17) 수동적으로 인내해야 함을 말한다. 반면에, 요한계시록 14장 4절 및 17장 14절에 암시된 성전(聖戰)의 개념은 유대 묵시문헌이 말하는 폭력 저항을 옹호하지는 않지만, 종말론적 전쟁이라는 능동적 저항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또한, 요한계시록에는 정의의 실현을 요구하는 기도라는 비폭력적이지만 능동적인 저항의 언어가 담겨 있다(계 6:10; 8:3). 독자들에게 요구되는 수동적 인내와 능동적 저항 사이의 긴장 관계는 어린 양과 사자로 상징되는 예수 그리스도의 이중적 이미지와 연관된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ad the Book of Revelation in light of suffering and resistance. Over against the popular view that Revelation encourages the readers to wait on God for eschatological salvation and in so doing endorses pacifism or nonresistance, this article argues that Revelation’s resistance language maintains a tension between passive endurance and active resistance, while falling short of endorsing violent resistance. For this purpose, I have tried to read Revelation in terms of intertextuality. Not only nonresistance or nonviolent resistance but also violent resistance is embedded in Jewish apocalyptic literature. The Animal Apocalypse, the Apocalypse of Weeks, the War Scroll, the Apocalypse of Abraham, and Sibylline Oracle 5 endorse violent resistance, whereas 4 Ezra, the Epistle of Enoch, and the Assumption of Moses support nonresistance or nonviolent resistance. Then, I have pursued an in-depth reading of several key verses of the Apocalypse. I have suggested that Revelation’s resistance language keeps a dialectical tension between passive endurance and active resistance. The Apocalypse en courages the readers to passively endure as it deters them from pursuing assertive resistance, either in militant (Rev. 13:10) or economic terms (Rev. 13:16-17), when the beast is allowed to hold absolute sway at a certain point in time within the apocalyptic framework. Special attention has been paid to Rev. 14:4 and 17:14, which may be taken to allude to a holy war. These verses raise the possibility that Christians are invited to an eschatological war, though their ambiguous terms stop short of endorsing human violence. Besides, the Apocalypse is inscribed with such nonviolent yet active resistance language as prayers for the realization of justice (Rev. 6:10; 8:3). Revelation’s ambivalent attitude toward resistance between passive endurance and active resistance is informed by Jesus’ twofold image as represented by the Lion and the Lamb in Revelation.

      • KCI등재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바울신학의 영향

        신동욱(Shin, Dong-Ook) 한국신약학회 2013 신약논단 Vol.20 No.3

        요한계시록 안에 바울신학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는 기존의 입장과는 달리 본 논문은 요한계시록 안에 나타난 바울신학의 흔적들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요한계시록 안에 나타난 바울신학의 흔적으로는 첫번째로 요한은 바울의 선교지역에 있는 소아시아 일곱 교회와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 그들에게 친숙한 편지의 틀을 사용하여 자신의 묵시록을 전달하였다는 것이며, 두 번째로는 바울서신에만 등장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오심을 뜻하는 μαρ?να θ?, 기독론적 호칭인 ‘죽은 자들의 첫 열매’,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의 죽음을 설명하는 개념들, 교회를 지칭하기 위해서 사용된 다양한 유형의 여인(처녀, 아내, 신부)의 개념이 요한에 의해서 자신의 신학적 의도에 부합하게 요한계시록 안에 사용되었다는 것이며, 세 번째로는 마지막 나팔이 연주될 때에 발생하는 종말적 시나리오가 고전 15:50-58, 23-28; 계 11:15-19절이 서로 일치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요한계시록에서의 요엘서 사용

        김경식(Kyoung-Shik Kim) 한국신약학회 2011 신약논단 Vol.18 No.3

        본 논문은 요한계시록에서 사용되고 있는 요엘서에 대한 연구이다. 본 소고는 요한계시록에서의 요엘서 사용에 관한 기존의 학적 노력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요엘서의 요한계시록에서의 사용을 좀 더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려고 시도했다. 본 논문은 신약에서의 구약 암시적 사용을 판단하는 기준을 방법론으로 삼아, 한편으로 요한계시록에서 사용되는 요엘서가 단순히 요한계시록에서 구약의 문맥과 원래 의미를 떠나 변용되어 새로운 의미가 부여되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요엘서의 문맥과 의미를 충실히 반영하고 있음을 논증한다. 또한 요엘서의 중요한 주제인 회개의 촉구와 회개의 거부로 인한 멸망이라는 주제가 요한계시록에서 저자가 요엘서를 사용하는 의도임을 논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요한계시록의 네 본문들에서 요엘서가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증명하고 난후, 각 단락에서의 요엘서 해석과 사용의도를 분석했다. This article looks into the use of Joel in the Book of Revelation. It has been widely recognized that the prophetic writings of the Old Testament such as Isaiah, Daniel, Ezekiel and Zechariah are used in the Book of Revelation. However, in spite of two studies (Strazicich"s monograph and Jauhiainen"s artile) on the use of Joel in John"s Apocalypse,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examination of the same topic has not been carried out until now. This study aims to fill this gap by analyzing allusions to Joel in four passages in the Book of Revelation and also attempts to interact with Strazicich"s argument that the author of Revelation resignifies Joel"s texts, which accordingly highlights the sharp discontinuity between Joel and John"s Apocalypse. Our examination of the sixth seal passages (Rev 6:12-17) lead us to argue that Rev. 6:12 uses Joel 3:4 and Rev. 6:17 also alludes to Joel 2:11 on the basis of a unique verbal similarity, unique word order and thematic parallel. Our analysis indicates that the reason why the author of Revelation uses Joel in the passages of the six seal (Rev. 6:12-17) is the theme of call to repentance dominated in Joel 2:12-17. The next analysis of the use of Joel in Revelation is focused on Rev. 9:1-11 which deals with the fifth trumpet scene and we maintain that Joel 3:3-4 is used in Rev. 9:2 and several descriptions of the army of locusts in Joel (1:6; 2:4-5) along with the reference to trumpet in Joel 2 are employed in the fifth trumpet scene. On the basis of the presence of Joel in Rev. 9:1-11, our study argues that the themes of call to repentance and of warning about God"s unreversible judgment as a result of rejection to repentance are the significant reason for John to use Joel"s texts in the passage under examination. Our observation of Rev. 14:14-20 in connection with the vintage imagery claims that the theme of God"s certain judgment of the unrepentant to vindicate the righteous in the final war at the Valley of Jehoshaphat is taken into account in the book of Revelation. Our final investigation into the use of Joel in Rev. 16:14 argues that the theme of God"s unchangeable, final judgment of those who oppose both God and the righteous has in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