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외국인 유학생 교양교육과정 개발 연구

        권은영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2

        In this paper, I suggest the guidelines on the curriculum design of the liberal art cours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data for the state of international students, the level of Korean skills, and lectures they've taken and completed.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foreign students and graduates tend to have taken the diverse liberal art courses including Korean culture and history than the courses for the foreign students like learning Korean, and culture and history of their countries. In addition they have completed the courses more than required for graduation. Based on this result, I point out that the current curriculum consisting of similar and overlapped courses for raising Korean skill, and exclusive cours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lectures in English, does not provide the appropriate education for the international students. Also it is emphasized that the curriculum should be changed and enforced in the direction to reduce a gap between the Korean communication skills they learn in the class and practically required ability, to help them adapting Korean culture, and eventually to have them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lives in Korea as foreign students by themselves. As a means of complementing the communication ability in Korean and enhancing the capability of self-determination through basic knowledge learned from a wide range of disciplines, the rich curriculum of the liberal arts for the international studen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in recognition of their culture identity and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본고는 실제 대학의 외국인 졸업생 교과목 이수 현황 자료를 토대로 외국인 유학생의 교양교과목 이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양교과과정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외국인 졸업생들은 모국어의 이점을 활용할 수 있는 모국의 언어와 문화 관련 교과목 또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과목과 같은 외국인 전용 강좌의 이수를 지양하고 졸업할 때까지 졸업요건 이상으로 교양교과목을 이수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특히 그러한 학생일수록 다른 학생들에 비해 한국의 문화·역사 관련 교과목을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의 교양교과목을 이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종래 외국인 유학생의 편의를 위해 외국인 교양교과과정에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과목과 졸업학점 이수에 장애가 되지 않는 원어 강의, 외국어 강좌 또는 전공 기초 교과목 등을 대거 개설한 것이 외국인 유학생에게 적절한 도움이 아니었음을 역설하였다. 또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수업에서 가르치는 한국어 의사소통능력과 실제 대학 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한국어 사이의 간극을 줄이고,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문화 수용 및 유학 생활 적응을 돕고, 무엇보다 외국인 유학생이 유학생활 중에 겪는 여러 문제점에 대해 스스로가 적극적인 의지를 갖고 해결을 위해 노력할 수 있도록 교양교육을 강화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한국어 교과목의 졸업학점 인정 불가 지침으로 전공 교과목 이수를 위한 기초 지식과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배양을 위한 교과목 개설에 치중하던 외국인 유학생 교양교육과정은 새로운 방향성 논의가 시급해졌다. 외국인 유학생의 교양교육과정의 다양화는 의사소통 능력의 한계를 보완하고, 여러 학문 분야에 걸친 광범위한 기초 지식 습득을 통한 지적 자율성과 의사 결정 능력을 높이는 방법으로써, 자기의 문화적 정체성 인식과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방법으로 큰 효용성을 가진다.

      • KCI등재후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집중학습 과정― 성균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경훤,신영지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6

        The Liberal arts only for foreign students in University College of SungKyunKwan University, Intensive Study Course, is a new course to solve the academic problem due to the lack of ‘Korean’ ability in particular the foreign students face during their study in Korea. The University College of SungKyunKwan University manages this course focused on ‘academic Korea’ required for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liberal arts. The course is aimed at increasing Korean skill in short time by teaching ‘academic Korean’ for communication in each field and selecting a multiple syllabus for repeated expansion. In addition, liberal arts as well as Korean class are opened to help them increase academic ability suitable for university. It is verified that the students’ Korean ability has been increased during this course, helping them not only in academic field but also in overall university life and major subjects. In terms of objective index such as the student’s fail rate and lecture evaluation, it was verified that ‘Intensive Study Course’ for foreign students enhances their Korean ability and academic ability. 최근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수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유학생의 증가에 따라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대학은 유학생의 유치와 교과과정 운영 등의 제반 문제에 당면하고 있으며 외국인 유학생들 역시 대학의 적응과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은 국내 유학생의 증가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맞춤형 외국인 전용 교양교과목(학문 목적 한국어를 중심으로 한)의 개설 및 운영 방안을 모색하려는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 세 가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의 증가와 그로 인한 문제점을 살피고 둘째, 외국인 전용 교과목으로서의 한국어 관련 교과목의 개설 필요성을 밝히고 셋째, 2014년 1학기 성균관대학교에서 개설한 외국인 유학생 전용 교육과정인 ‘교양집중학습과정(ISC)’의 개설과 운영에 대해 소개하였다.현재 외국인 유학생이 겪는 가장 큰 문제는 도구 언어로서의 ‘한국어’ 능력의 부족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유학생들에게 필요한 학습의 매개인 한국어가 일반목적 한국어와 변별되는 ‘학문목적 한국어’임을 인지하고 유학생 전용 교양 교과목으로 갖는 의미와 유효성을 지적하였다. 특히 성균관대학교의 ISC과정의 개설과 그에 따른 교과 운영 및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외국인 전용 교양 교과목의 개설 및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역량 제고를 위한 교과목 개발 사례 연구

        이선영,김순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6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적응과 기초수학능력 제고를 위한 교과목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외국인 유학생이 수학능력 부족으로 전공학업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나 필요한 교육이나지원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ADDIE 모형에 따라 교과목을 개발하였으며 구체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단계에서는 유학생 학업 현황 선행연구, 외국인 유학생 및 유학생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통해학업적응에 필요한 역량을 도출하였다. 둘째, 설계단계에서는 유학생에게 필요한 역량을 기반으로 교육내용을 설계하였고 셋째, 개발단계에서는 수업 운영을 위한 수업 교재, 수업 자료 및 교안을 개발하였다. 넷째, 적용단계에서는 외국인유학생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시범운영을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시범운영 결과를 평가하고 개선할 점을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과목은 유학신입생들에게 대학 학업에 필요한 맞춤형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추후전공학업에서 조기적응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대학에는 중장기적으로 유학생의 중도 탈락을 낮추고 안정적인 유학생관리에도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적응 실태조사- 교양교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이선영,나윤주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for course development to support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by examining their academic adjustment. For this purpose, 13 international students, 3 professors of foreigner majority majors, and 9 Korean students(tutor) were interviewed first, then a survey developed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 results asked international students about learning status, learning ability, and difficulty in academic performance at a university in Seou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International students were an underprepared state to achieve major related education achievement. Also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erception that all aspects related to learning adjustment were difficult with the exception of some learning skills of indirect affected to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academic skill education needs to be made by the university that will embrace international students upon the freshmen.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 유학생의 학업적응 실태를 조사하여 유학생을 위한 교양 교과목 개발 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한 대학교에서 외국인 유학 생 13명, 유학생 중점학과 교수 3명, 한국인 학생(튜터) 9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수 행하였고,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 문항을 개발한 후 학업능력 수준과 학업수행 어려움에 대해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전공교수, 한국학생, 외국인 유학생 모두 유학생들이 전공학업을 수행할 만큼 학업이행 수 준이 높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능력 수준은 학업을 수행하는데 직접 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능력일수록 낮게 나타났다. 셋째, 학업적응 과정에서 출석이나 학업태도 를 제외한 대부분의 학업수행 영역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 생의 학업적응을 위한 교양교과목 개발에는 학업수행에 필요한 학업기술들이 포함되어야 하며, 이와 관련하는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시기를 제언하여 학업적응 교과목 개발의 방향성을 제 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문화 교양교과목 구성과 실제

        문정현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2

        In this paper it is considered that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Korean universities have difficulty in completing their studies while adjusting to Korean university lif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most international students enter university but they are lack of liberal arts knowledge such as Korean language skills and foundation studies necessary for their major studies. However, most universities focus on teaching Korean language as a liberal arts course for international students. Therefore It suggests that the most important and urgent required is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improve their liberal arts knowledge as well as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Furthermore, this paper argues order for international students who do not have enough liberal arts such a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r basic science to study successfully, a systematic liberal arts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for international students should be presented and applied in the field. Accordingly, this paper shows an example of the class operated by applying the knowledge-based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 to the cultural class, which is a dedicated subjects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proved its effectiveness. 본 논문에서는 국내 대학에서 학업을 수행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 대학 생활에 적응하면서 학업을 이수해 나가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보았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유학생들이 전공 학업에 필요한 한국어 실력이나 기초 학문 등 교양 지식이 미흡한 상태로 입학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확인하고, 외국인 유학생에게 가장 시급한 기초학문 즉, 교양 지식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보다 체계적인 외국인 유학생 교양교육과정과 교육 방법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현장에서 적용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용 교과목인 문화 수업에 지식 기반 한국어 교육 방법을 적용시켜 운영한 수업의 사례를 보이고, 그 효과를 증명하였다. 이러한 시도가 외국인 유학생에게 보다 나은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메타버스(Metaverse) 기반의 한국어 교과목 설계에 관한 가능성 탐색 연구

        류선숙(Ryu, SeonSuk)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변화하는 대학의 교수⋅학습 환경 및 다변화되어 가는 외국인 학습자의 특징과 요구를 반영한 메타버스 기반 한국어 교과목 개발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표가 있다. 아직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메타버스의 활용은 초기 단계라 할 수 있지만, ‘경험의 원추 이론(The Cone of Experience)’에서 도 강조한 것처럼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경험을 기반으로 한 목표 언어 학습은 매우 효과적이다. 따라서 가상 세계(Virtual Worlds), 거울 세계(Mirror Worlds)를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를 통해 한국어를 배울 수 있도록 하면, 학습자들의 실제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기반의 한국어 교과목 설계를 위해 먼저 메타버스의 기술적 유형을 살펴보고, 현재 개발되어 있는 ‘게더타운’과 ‘이프랜드’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한국어 교과목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함을 밝혔다. 그리고 의사소통 과제를 기반으로 한 ‘맥락적 시나리오’를 구축해야 함을 주장하고, 각 시나리오에 따른 4단계의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향후에는 이러한 수업 모형을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해 봄으로써 그 효과성을 입증하는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metaverse-based Korean language subject reflecting the changing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university and the diversified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foreign learners. Even though the utilization of the so-called metavers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target language learning based on concrete and direct experience is very effective, just as emphasized in ‘The Cone of Experience’, Thus, if students can learn the Korean language through the metaverse based on such programs as Virtual Worlds and Mirror Worlds, it would help them increase their actual communication skills to a great extent. In order to design a metaverse-based Korean language subject,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technical types of the metaverse, and then analyzed the functions of Gather.town and ifland, both of which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As a result, this study revealed the possibility of conducting a Korean language subject through the metaverse platform. After arguing for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contextual scenario’ based on communication tasks, this study also presented a four-step instructional model according to each scenario.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follow-up research that proves the effectiveness of this instructional model by applying it to the actual education field.

      • KCI등재후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AI 교양교육과정-내용보호 교수법을 적용을 중심으로-

        강현주,고윤정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3 한국어문화교육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foreign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standard model for liberal arts education and domestic and foreign AI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cases. In addition, in order to operate the teaching method of the AI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s a content-based approach to sheltered instruction, related theories were examined and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To this end, the teacher organized the curriculum considering that the content should be presented in a way that second language learners can understand and that the language should be used at an appropriate level of difficulty. The following three curriculum development principles were established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on students who received AI general education at H University. First, students are given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ir ability to use computers in Korean. Second, we proceed with basic coding to cultivate computational thinking, which is the ba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hir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ory and practical learning are combined. Based on thi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was composed of two courses: AI basics and data analysis. And the contents of the courses consisted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cept learning, software learning that operates in Korean, practice apply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pplied learning over two semesters in the first year.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양교육과정을 제안하려는 목적으로 교양교육표준모형, 국내외의 AI 교양교육과정 개발 사례를 고찰하였다. 또한 AI 교양교육과정의 교수법을 내용중심 접근방법 중 보호된 내용수업 방법으로 운영하고자 관련된 이론을 살피고 이를 교육과정 개발에 적용해 보았다. 이를 위해서 교사는 제2언어 학습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내용을 제시하고, 적절한 수준의 난이도로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또한 H대학에서 AI 교양교육을 받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를 결과를 반영하여 다음의 세 가지 교육과정 개발 원칙을 수립하였다. 첫째, 학생들에게 한국어로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기회를 준다. 둘째, 인공지능 교육의 바탕이 되는 컴퓨팅적 사고력을 함께 배양하기 위하여 기초적인 코딩을 진행한다. 셋째, 인공지능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개념 학습과 실습 수업을 병행한다.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교양 교육과정을 AI 기초와 데이터 분석 두 과목으로 구성하고 교육 내용은 인공지능 개념 학습, 한글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 학습, 인공지능을 적용한 실습, 응용학습의 4단계를 1학년 1학기와 2학기에 걸쳐 학습하도록 하였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 대상 플립드 러닝 기반의 온라인 토론 수업 사례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류선숙(Ryu SeonSuk),안정호(Ahn JungHo),허유경(Hur You Kyoung),임형옥(Lim Hyung Ok)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이 연구의 목표는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을 온라인 학습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그 효과성을 밝히는 데에 있다. 이에 따라 국내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수업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수업 단계는 ‘사전 학습 – 본 학습 – 심화 학습’의 3단계로 구성된다. ‘사전 학습’에서 학습자들은 대학생으로서 알아야 할 기본 교양지식을 학습한 다음, 스스로 질문을 생성하는 과정을 통해 주체적으로 주제를 이해한다. ‘본 학습’에서는 학습자의 질문에 대한 교수자의 미니 강의와, 학습자들끼리 협력 학습을 통해 질문을 해결하고 토론 논제를 분석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조별로 토론을 수행하며, 결과를 공유한다. ‘심화 학습’은 교수자의 피드백과 성찰 저널 작성을 통해 전체 과정을 반성적으로 평가하며 학습 결과를 내면화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수업 방식을 한 학기 동안 적용한 후,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숙달도별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지식을 함양하고 토론 능력을 신장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이 많았다. 다만, 초급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언어적 자원이 부족하여 중⋅고급 학습자들에 비해 만족도가 다소 떨어졌다. 향후에는 이러한 부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not only to search for how to apply ‘Flipped Learning’ to online learning situations, but also to prove its relevant effectivenes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the study targeted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a domestic university and proposed a case in which Flipped Learning is applied to an online discussion class. The class was composed of three stages, namely Pre-learning, Learning in Progress and Advanced Learning. At the stage of Pre-learning, after acquiring the basic knowledge of culture which they are supposed to know as a university student, the learners autonomously understand a topic in the process of asking themselves questions. At the stage of Learning in Progress, after hearing a short lecture by a professor which addresses some of their questions, the learners get involved in problem-solving and discussion topic-analyzing Afterwards, the learners engage in a group discussion and share their results. At the stage of Advanced Learning, with feedback from the professor, the learners carry out a reflective evaluation and engage in self-evaluation journal writing, and finally internalize their learning results. The study applied the learning method above mentioned for one semester,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by conducting a Korean language proficiency-based satisfaction survey on the learners. The findings show that for a majority of students this method helped them attain new knowledge and improved their debating abilities. However, when it came to the beginner learners, their lack of linguistic resources resulted in a decrease of their satisfaction with this program compared with the level of satisfaction found among the intermediate-post intermediate learners. We suggest that this problem be investigated further in following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