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랑구 옥외광고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망우로 옥외 간판을 중심으로 -

        박영화,차현숙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09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0 No.21

        경제성장 이후 나타나는“남보다 내가”라는 이기적 형태의 한 예로 보이는 옥외광고물의 무절제한 사용으로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됐다. 본 연구는 도시경쟁력과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쾌적하고 아름다운 도시로 재창조하여 삶의 질을 높이고, 도시생활의 미관을 개선 하고자 한다. 중랑구 망우로 ‘간판이 아름다운 거리’ 시범사업구간의 옥외광고 간판의 사례 등을 통한 조사와 쾌적한 보행환경의 조성을 위해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이번 망우로 정비 사업은 최근 들어 절실히 요구되는 환경 문제를 그린 마케팅 차원으로 검토하여 중랑구 옥외광고 간판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 지역상권의 활성화와 촉매 역할을 하며, 둘째, 개성 있게 잘 다듬어진 서체, 상징, 조형이미지, 고유색상 등으로 업소의 개성을 나타내는데 도움을 주며, 충분한 여백과 조형적으로 아름다운 간판은 시각적으로 즐거움을 주는 좋은 간판이 될 것이다. 셋째, 업소의 특성과 건축물의 형태 및 색상을 고려하여 만드는 옥외광고 간판이 되어야한다. 본 연구는 옥외간판의 개선을 위하여 반드시 지켜야할 몇 가지 기본원칙을 제시하여 중랑구의 도시미관을 개선하고 도시 재창조와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첫째, 권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가이드라인을 차등화 하고 업소 당 간판 총수량을 최소화해서 핵심적인 내용만 간략하게 표기한다. 둘째, 간판이 건물에서 점유하는 면적을 제한하고 인접간판, 거리, 건물 등 주변 환경과 조화되도록 한다. 셋째, 시인성과 가독성을 위하여 충분한 여백을 확보하고 판류형 보다는 입체문자형 간판을 권장한다. 넷째, 업소의 성격과 상호에 어울리는 개성적 서체 사용을 권장하고, 색채는 절제하여 사용하되 ‘서울의 색’ 활용을 권장한다. 다섯째, 자극적인 조명을 지양하고, 편안하고, 아름다운 조명연출을 권장하도록 한다. Intemperate usage of outdoor billboards as an example of an egoistic form – “one-upmanship”― after economic development has reached the situation which cannot be left anymore. This study would like to recreate comfortable and beautiful cities considering outdoor billboards, and improve the beauties of city life for enhancing the brand value and cities’ competitive power. We study the way to manage outdoor billboards effectively for search for maintenance and removal supplementation through the example of outdoor billboards of the demonstration project of ‘the street with beautiful billboards’ in Jungnang-Gu, Mangwoo. ‘The Street with Beautiful Billboards’ Project looked for the development scheme of billboards in Jungnang-Gu examining environmental problems requesting urgent solutions recently with Green-Marketing. First of all, ‘Beautiful billboards’ will make a new image of Mangwoo-개 and then catalyze local commercial power. Secondly, billboard’s own characteristic color, figurative image, font will help present business characteristics, and the well-made billboards with enough space would grant people visual enjoy. Third, the outdoor billboards should be harmonized with business characteristics, the form of the building and color. This study wants to make the fine view of Jungnang-Gu better, recreate the city, and raise up the quality of citizens’ life in Jungnang-Gu. Firstly, we will grade the guidelin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ction and will declare the point simply minimizing the billboards amount per a business. Second, the billboards should be limited in size on the building and harmonize with surroundings such as neighboring billboards, distance, buildings. Third, for visibility and readability, we recommend 3-D- letter type than plane type and suggest securing enough space. Fourth, we recommend a characteristic font proper with business characteristic and name and use of ‘the color of Seoul’. Fifth, we recommend comfortable and beautiful lighting, avoiding stimulational lighting.

      • 전문대학 디자인교육의 특성화 측면에서 옥외광고 디자인과 교과과정 연구

        김정숙(Jung-sook Kim) 한국옥외광고학회 2005 OOH광고학연구 Vol.2 No.1

        산업 환경의 변화와 정보시대의 기술 및 도구 등의 전환은 디자인 고유 영역의 변화와 확장을 거치면서 디자인 능력과 구현에 있어서 보다 다양하고 심도 있는 전문기술인력 양성을 필요로 한다. 그간 디자인 교육분야의 양적인 팽창을 지양하고, 산업현장과 세부분야에서 전문디자이너의 부재에 대한 근원적 해결책을 줄 수 있는 다양화 · 특성화 차별화된 디자인 교육의 일 안으로 전문대학의 특성화 교육안인, 옥외광고디자인과 및 데이컴 직무분석 방법을 이용한 옥외광고 디자인 교과과정을 개발, 시각정보 전달과 동시에 도시환경의 구성 요건으로 제 역할을 충족하는 옥외광고디자이너 전문 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개발을 도출하여 디자인 교육의 질적 개선 대안과 시대의 요구에 부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change of industrial environment and the development of techniques and tools in an information age has brought the necessity of educating more various and prominent design professionals. This study has tried to develop a diversified, specialized, and differentiated curriculum in order to solve the lack of specific design professionals in this industry. A curriculum of outdoor ad design is developed through DACOM Job Analysis as an education specialization plan of junior college. The curriculum aimed to deliver the visual information as well as satisfy the needs in making effective outdoor designs and integrating them as parts of the urban environment. Alternatives to improve the quality of design education as well as to meet the needs of times has been suggested.

      • KCI등재

        공공디자인에 있어서 옥외광고물 및 공용표지 사인디자인 연구

        이관식 ( Lee Kwan Si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

        최근 각 도시들은 세계화 추세에 맞추어 문화적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성공적 공공디자인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1세기는 이전의 기술 중심시기와는 다르게 정보와 교류 그리고 인간, 공간, 환경을 고려한 도시디자인과 예술적 가치를 높인 품격있는 도시디자인 구축에 촛점을 두고 있는 것이 보편화 된 사실이다. 공공디자인에 있어서 옥외광고물 및 공용표지 사인디자인의 개발은 도시의 수준과 미래를 예감할 수 있는 하나의 척도로서 옥외광고물 및 공용표지 사인디자인의 역할이 그 어느 때 보다 중요한 시점이 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아름다운 옥외광고물과 공용표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정보의 옥외광고물은 배제하고 최소한의 정보전달 도구로 이용했을 때 최대한의 효과를 얻어낼 수 있다고 본다. 본 논문은 지속 가능하고 긍정적인 도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공공디자인으로서 옥외광고물 및 공용표지 사인디자인을 경기도지역 중 옥외광고물과 공용표지 설치가 우수한 지역을 연구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그 지역의 분석을 통한 도시 아이덴티티를 설정하고, 결과물로써 옥외광고물 및 공용표지 사인디자인의 개발내용을 분석한다. Every city, recently, makes a great effort to develop successful public designs to secure cultural identity keeping step with the trend of globalization. It is the universal fact that 21st century is the era of focusing on constructing highly valued noble city design considering exchanging information among human beings, spaces, and environmen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technology-oriented time. In the public design, developing outdoor advertisement and public-sign plays the greatest role at any time ever as a barometer for both future and level of the city. Consequently, to make beautiful outdoor advertisement and public signs , we have to get rid of unnecessary informed outdoor advertisement and utilize them as a tool to deliver the minimum information so that we have maximum efficiency. This thesis makes a 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outdoor advertisement and public sign design to make city image positive and continual. The regions of Gyunggi province which have excellency in setting up outdoor advertisement and public signs were chosen as the target cities for the study and I propose the development contents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옥외광고디자인의 시각적 유머 사례연구

        전성애(Jeon Sungae)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1

        기존 광고매체는 소비자의 눈을 잡는 데 많은 돈을 들이지만 효과는 그만큼 내지 못했다. 그런데 소비자의 생활 속으로 들어가면 새로운 매체는 쉽게 잡아낼 수 있다. 옥외광고는 소비자가 광고를 보고 듣고 있다는 것을 느끼지 못할 정도로 자연스럽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산업도로의 발달과 레저 붐으로 옥외광고의 가치가 높아 졌고 필연적으로 옥외광고물의 변형된 매체와 표현방법이 다각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옥외광고는 도시를 아름답게 하는 시각적 요소로서의 기능과 광고면의 시각적 인상을 확실하게 정비하여 내용으로 유도하는 기술적이며 창의적인 디자인이 필요하다. 다양한 크리에티브 소재 광고 중에 소비자가 제일선호하고 효과 있는 유머광고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위하여 옥외광고에 있어서 시각적 유머효과의 사례에 관하여 연구하기로 한다. 그 결과 옥외광고가 보기 싫어도 볼 수밖에 없는 매체 특성이 성장을 견인해왔다면 이제는 보면 재미 있기에 볼 수밖에 없는 옥외 광고로 발전시키는 노력이 관련업계와 학계 전반의 분위기 쇄신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re were some ad. media that days did not attract for customers also spent a lot of money. But we can find new media where into the life of customers. Outdoor ad. is the way to consume naturally they did not recognized what they see what they hear what they feel it. Nowaday value of outdoor ad. is high score cause of development of industry way leisure boom. As a necessity try transformational media many side way to expression. Ad. is a visual element the city is more beautiful lined that functions impress of visual. Necessity of contents and creative. And study of visual humor how to use it. In result outdoor ad. has taken a growth a specific of media that even it must be seen when we don't want to see. Now it is necessary to make a outdoor ad. that funny as corporations and academic.

      • KCI등재

        새로운 도시문화 조성을 위한 옥외광고디자인 정책과제 : 간판시범거리 조성사업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박영윤(Young-Yoon Park) 한국옥외광고학회 2009 OOH광고학연구 Vol.6 No.3

        본 연구는 최근 도시미관과 가로경관 등 공간의 질을 높이려는 자치단체들이 늘어나면서, 한 나라의 문화적 수준과 국가 정체성의 주요한 척도가 되고 있는 옥외광고의 개선을 위한 근본적이고 구체적인 실천방안의 필요성 증대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도시문화 형성을 위한 옥외광고디자인 정책을 이론적 · 실증적으로 접근하여 환경과 조건에 부합하는 바람직한 실천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을 통해 도시문화와 옥외광고의 이론적 배경에 관하여 살펴보고 우리나라 옥외광고 현황 및 제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옥외광고디자인 정책사례로서 4개 도시의 간판시범거리 조성사업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민관협력을 3가지로 유형화하였으며 도시문화와 옥외광고에 대한 시사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In line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local governments' effort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pace such as urban and street landscape, this study responses to the increasing necessity for a fundamental and solid action policy in enhancing Out-of Home (OOH), which has become a criterion on the cultural standard and the identity of a country.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an actual direction matching with the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by adopting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approaches to the policy for OOH design for fostering a new urban culture. For achieving thos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author explor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the urban culture and OOH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 present status and framework of OOH. Comparison among the Promotion Projects for Model OOH Street of four cities enabled to categorize public-private partnership into three types and to grasp implications of urban culture and OOH.

      • 도시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한 사인(Sign)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정옥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07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5 No.2

        This study plans to examine both the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gn design and also areas in domestic sign design that need to be further developed. Domestically there are many instances of sign design with no consideration whatsoever given to the local area or the surrounding building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disorderly rush for signing, the strategic importance of front-window signage and signing obsession within Korea. These days environmental and public design are becoming an issue in Korea. Therefore in order to regulate individual billboard signage with respect to signing expense trends, ordinances are needed to set guidelines for signing before construction permission is granted. These include the citation of appropriate signing for the area, the specifically designated area for signing and also limits on markings. When setting sign design guidelines more than anything else it is most important to ask, What is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this area? There is a definite need to improve design guidelines that do not reflect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area. Sign design considers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a symbol's visual conveyance. Therefore one must ensure size, direction, adherence methods, etc. come 국내사인(Sign)의 경우 지역적 특성이나 도시경관 및 건물과의 조화는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디자인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우리나라의 사인은 무질서한 난립과 무개성의 상업용 인지요소로서 무대책의 광고 강박증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사인디자인과 선진 외국 사인디자인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국내 사인디자인의 문제점 및 공간디자인에서의 사인 개선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선진국의 우수한 성공 사례들에 대한 영향으로 환경디자인 및 공공디자인이 크게 이슈화 되어가고 있어 여간 다행한 일이 아니다. 관련 정부부처에서도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도시 건축물의 사인 재정비 작업과 함께 옥외광고물을 규제하고자 건축 허가 시 옥외광고물에 대한 조건을 두고 광고물 게시시설을 미리 설치하도록 조례를 제정하여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사인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 옥외광고물 특정구역 지정 및 표시제한을 통해 광고물을 집중 관리할 계획이다. 사인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만들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이 지역이 가지고 있는 특징이 무엇인가?’하는 점일 것이다. 지역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채 계획되는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반드시 재고(再考) 해야할 것이다. 시각전달기호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호의 디자인을 모색하여야 하며 부착방법, 크기, 방향, 재질 등도 아울러 디자인 하여야 한다.

      • KCI등재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옥외광고사인의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

        김영희 ( Younghee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9 No.-

        연구배경 도시환경 구성에 있어서 옥외광고사인은 도시이미지형성과 도시공간을 아름답게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 국제도시 인천은 2014아시안게임 개최를 비롯한 크고 작은 다양한 국제행사를 치르면서 경제자유구역청의 신도시(송도, 영종, 청라)를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선 개발되어 잘 활용되고 있는 영국 및 일본, 프랑스 등의 실물사례를 현지에서 조사하고, 외국의 다양한 옥외광고 사인을 디자인적 요소(문자, 색채, 형태)의 접근방법으로 연구하여. 인천의 새로운 도시 건축물에 대한 옥외광고사인의 가이드라인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새로운 사인매체로서 등장한 LED사인의 활용방안 및 그 영향에 관해서도 살펴보고 지역 이미지 경관 창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도시환경과 옥외광고사인의 이론적 고찰과, 디자인적 현황분석을 통한 국내외 사례를 종합 분석한 결과 옥외광고사인은 건축설계 시 옥외광고사인의 설치 계획도를 포함하여 계획하여야한다. 그리고 최초 디자인 제안에서부터 최종 완성까지 디자이너가 감리하는 것을 제안한다. 결론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옥외광고 사인디자인의 근본적인 가이드라인 방향을 제시 하였다. 향후 본 연구가 도시 정보를 알기 쉽게 제공하고, 국제도시 인천의 도시환경 이미지 개선에 이바지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For composing urban environment, outdoor board sign is a key element in the beauty of urban image frame and urban space. Recently, Incheon has been hosting various international events that focused on New Town (Songdo, Youngjong, Chungra) which is a Free Economic Zone. It is changing rapidly. Methods This study has investigated in the examples of British, Japanese, French cases which developed earlier and utilized well. I have researched design elements (letters, colors, frame) approach for various foreign outdoor board signs that is the guideline method on the urban architecture of Incheon. Also I have looked into the utilization method and effects on LED sign which appears as a new sign medium, and I tried to make an image of local landscape. Result Through the urban environment and outdoor board sign by the theoretical perspective and design contemporary analysis with foreign and local examples. Outdoor board signs should include a planning board in the case of architecture blue print. And the designer must supervise from the first design suggestion to the last stage of completion. Conclusion I made a fundamental guideline suggestion of outdoor board sign for a pleasant urban environment. Afterward, I expect this study provides an urban information easily which conducive to the innovation of urban environment for the global city Incheon.

      • KCI등재

        국내 사인(Sign)디자인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김정옥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07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5 No.2

        국내사인(Sign)의 경우 지역적 특성이나 도시경관 및 건물과의 조화는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디자인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우리나라의 사인은 무질서한 난립과 무개성의 상업용 인지요소로서 무대책의 광고 강박증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사인디자인과 선진 외국 사인디자인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국내 사인디자인의 문제점 및 공간디자인에서의 사인 개선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선진국의 우수한 성공 사례들에 대한 영향으로 환경디자인 및 공공디자인이 크게 이슈화 되어가고 있어 여간 다행한 일이 아니다. 관련 정부부처에서도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도시 건축물의 사인 재정비 작업과 함께 옥외광고물을 규제하고자 건축 허가 시 옥외광고물에 대한 조건을 두고 광고물 게시시설을 미리 설치하도록 조례를 제정하여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사인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 옥외광고물 특정구역 지정 및 표시제한을 통해 광고물을 집중 관리할 계획이다. 사인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만들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이 지역이 가지고 있는 특징이 무엇인가?’하는 점일 것이다. 지역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채 계획되는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반드시 재고(再考) 해야할 것이다. 시각전달기호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호의 디자인을 모색하여야 하며 부착방법, 크기, 방향, 재질 등도 아울러 디자인 하여야 한다. This study plans to examine both the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gn design and also areas in domestic sign design that need to be further developed. Domestically there are many instances of sign design with no consideration whatsoever given to the local area or the surrounding building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disorderly rush for signing, the strategic importance of front-window signage and signing obsession within Korea. These days environmental and public design are becoming an issue in Korea. Therefore in order to regulate individual billboard signage with respect to signing expense trends, ordinances are needed to set guidelines for signing before construction permission is granted. These include the citation of appropriate signing for the area, the specifically designated area for signing and also limits on markings. When setting sign design guidelines more than anything else it is most important to ask, What is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this area? There is a definite need to improve design guidelines that do not reflect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area. Sign design considers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a symbol's visual conveyance. Therefore one must ensure size, direction, adherence methods, etc. come

      • KCI등재

        정부의 규격화된 사인디자인과 개인의 개성이 담긴 사인디자인의 효과에 대한 고찰 - 종로 지역 소매상가 옥외 사인물들을 중심으로 -

        김준교,민신기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09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0 No.21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다양한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다. 그 중 옥외 사인물도 우리들 삶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그 누구도 부인하지 못한다. 이에 정부는 이 사인물들을 공공적인 요소로 보고 정비를 해나가고 있다. 여기에 특이한 점은 정부도 모든 지역을 한꺼번에 정비할 수 없다 보니 현재 정비된 지역과 비정비 지역, 자체 소매점이 정비한(새롭게 디자인 한) 지역 등 옥외 사인물 환경은 혼재되어 있는 상황이다. 과거에 본 연구자는 정비된 지역과 비 정비된 지역의 효과에 대한 논문을 쓴 적이 있다. 그러나, 정부의 주도하에 진행된 규격화된 사인물과 개인 소매점이 자신만의 개성을 살린 사인물은 과연 어떤 효과의 결과가 나올지 연구하고픈 생각이 들었다. 이에 대해 연구 조사 한 결과 비정비지역의 옥외광고물에 대해서는 모든 문항에서 부정적인 경향인데 반해, 시정비지역의 옥외광고물에 대해선 대조적으로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리고 자체 정비지역의 옥외 사인물에 대해선 부정적이지도 긍정적이지도 않은 중간적인 경향을 보였다. 결국 시당국의 규격화된 사인물들이 가장 이상적이다 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자체 정비지역에 대한 반응이 호의적이지 못한 것에 비추어 볼 때 정부의 옥외 사인물 정비 방향이 아직까지는 최선의 대안이라고 판단이 된다. The society in which we live encompasses various implicit factors. It cannot be refuted that outdoor signage has a considerable effect on our lives among others. Thus, the central government has controlled outdoor signage which it recognizes as public elements. Particularly, even the central government cannot control outdoor signage in all regions at a time, and there has been lack of uniformity or concerted efforts in the outdoor signage control as we can see the neighborhood with outdoor signage control and the neighborhood without signage control, or retail shopping district with voluntary outdoor signage control(designing outdoor signage by themselves). In the past, this researcher wrote a dissertation regarding the effect on the outdoor signage in the neighborhood with or without outdoor signage control. However, an idea came to my mind and I was motivated to research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distinctively unique outdoor signage designed by individual persons and retailers and the standardized signage promoted under the leadership of government. Results of survey showed negative views about outdoor signage in communities where outdoor signage remain uncontrolled in contrast to the highly positive views about outdoor signage in communities where the outdoor signage have been controlled by municipal governments. Meanwhile, respondents had neither negative nor positive view about outdoor signage in community where the outdoor signage were controlled voluntarily. Considering that people have unfavorable views about the outdoor signage in communities where outdoor signage were controlled voluntarily, the outdoor signage control of the central government has been the most effective so far. though the standardized signage of the municipal government may not be the most ideal signage.

      • KCI등재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앰비언트광고 개발 : 보이스피싱 예방 광고를 중심으로

        장훈종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9 No.-

        Recently, the damage of voice phishing is also increasing due to the intelligence and advancement of voice and messenger phishing methods.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damage, it is necessary to promote it in a multilateral manner. Therefore, effective measures of damage for prevention should be prepared for recent epidemic methods, and customized publicity should be promoted through close analysis such as victim age and gender. To solve this problem, we will produce outdoor advertisements and print advertisements in cooperation with Chungcheongnam-do Police Agency to deliver educational messages on voice phishing prevention by visually exposing them to citizens using outdoor media of Police Station in Chungnam and Public Institutions in Asan. As a result, outdoor and print advertisements will be made and visually exposed to citizens using outdoor media of public institutions on the outer wall of the construction site in Haemi-eupseong. In addition, outdoor advertisements will effectively convey preventive measures against social problems to local citizens and global citizens, thereby creating an image of internal and external affinity for cooperative institutions. Furthermore, to prevent social crimes related to voice phishing, students studying design and cooperative institutions can express it through visual delivery methods to raise awareness of voice phishing and prevent crimes caused by it. 최근 보이스⋅메신저 피싱 수법의 지능화, 고도화로 그 피해 또한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효과적인 피해 예방을 위해서는다각적 방식의 홍보 병행이 필요하다. 이에 최근 유행 수법에 대해 효과적인 피해 예방 대책을 마련하고, 피해자 연령, 성별 등 면밀한 분석을 통한 맞춤형 홍보가 추진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공공디자인 사회적 참여 프로젝트를 협력기관(충청남도경찰청)과 산학협력으로 옥외광고와 인쇄광고를 제작하여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읍성 공사장 외벽 공공기관 옥외매체(충남 도내 경찰서 및 아산시 공공기관)들을 이용하여 시민들에게 시각적으로 노출됨으로써 보이스피싱 예방에 대한 교육적 메세지를 전달하고자 한다. 이로인해 옥외 광고와 인쇄광고를 제작하여충청남도 서산시 해미읍성 공사장 외벽 공공기관 옥외매체(충남 도내 경찰서 및 아산시 공공기관)들을 이용하여 시민들에게 시각적으로 노출됨으로써 보이스피싱 예방에 대한 교육적 메세지를 전달하게 될것이다. 또한 옥외광고는 사회적 문제에대한 예방법을 지역시민 및 세계시민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이에 협력기관에 대한 대내외적 호감 이미지를 만들어 갈것이다. 더 나아가 보이스피싱과 관련된 사회적 범죄를 예방할 수 있도록 디자인을 공부하는 학생의 힘과 협력기관이 연계및 시각적 전달방법으로 표현하여 보이스피싱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그로 발생하는 범죄를 예방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