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의 양성평등의식과 결혼가치관에 대한 연구

        이은희 ( Lee Eun-he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교사교육연구 Vol.58 No.2

        현재 우리 사회에서 해결해야하는 가장 시급한 문제 중의 하나인 저출산 문제를 보다 실천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필요성에 의해서 본 연구는 2017년 12월과 2018년 1월중에 전라북도 지역 교원양성기관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총 285명을 대상으로 양성평등의식과 결혼가치관을 설문지법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먼저 예비교사의 양성평등의식과 결혼가치관의 차원을 분석한 결과, 각각 3개요인 즉, 양성평등의식은 가정생활, 사회생활, 학교생활로, 결혼가치관은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 안정-낭만적 결혼가치관,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의 양성평등의식은 평균값이 3.89로 나타났으며, 가정생활, 사회생활, 학교생활 순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의 결혼가치관은 안정-낭만적 결혼가치관이 가장 높았으며,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 순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양성평등의식과 결혼가치관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가, 여학생이, 4학년이, ‘결혼은 반드시 하지 않아도 된다.’고 인식한 예비교사의 양성평등의식이 높았으며,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은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가, ‘결혼은 반드시 하지 않아도 된다’고 인식한 예비교사 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은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가, 남학생이, 3학년이, ‘결혼은 해야 한다’고 인식한 예비교사일수록 높았다. 조사대상 예비교사의 양성평등의식은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을 제외하고 안정-낭만적 결혼가치관은 정적관계를, 보수- 도구적 결혼가치관은 부적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조사대상 예비교사의 경우 양성평등의식과 경제적으로 독립하여 결혼보다는 일과 자아계발 및 자유로운 생활을 위해 독립하는 것을 선호하는 결혼가치관이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이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초등교사 양성에서부터 양성평등의식과 바람직한 결혼가치관 형성될 수 있도록 관련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개설되기를 기대한다. 교원양성기관에서의 양성평등의식과 결혼에 대한 가치관 형성 교육은 우리사회의 주요 이슈가 되는 저출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e-service teachers’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marriage values as influenced by the quality of dating relationships. This study attempts to address low fertility rates and marriage rate problems as standard issues. In this study, 285 pre-service teachers in the Jeollabuk - do provincial teacher education institute were surveyed in December 2017 and January 2018.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using SPSS 22.0 program. Cronbach's alpha,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comparison 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dimension of marriage value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ree factor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family life, social life, school life, and passive-exclusive marriage value, stable-romantic marriage value, conservative-instrumental marriage values. There was a difference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The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of pre-service teachers who recognized that they are attending education college, female, fourth grade, and marital is not necessary is high. passive-exclusive marriage values are higher in pre-service teachers who are aware of that marriage is not necessarily required. Also, the conservative-instrumental marriage values of pre-service teachers, male students, third graders, and pre-service teachers who recognized that they should marry were high. Also, as a result of analysis of Pearson's correlation with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pre-service teachers,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pre-service teachers except for passive-exclusive marriage values, stable-romantic marriage values, conservative-instrumental marriage values showed negative relat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pre-service teacher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found to affect marriage values. This suggests a clue as to how it affects the low birth rate era,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and marriage valu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hat pre-service teachers who will be in charge of future education should strengthen their parents' education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recognize their role as future parents, and form positive marriage values.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의 실습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안

        정영미 한국코칭학회 2020 코칭연구 Vol.13 No.5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의 실습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안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G대학 2학년 2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보육교사들은 실습기간 6주중 1주에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새로운 환경의 적응이 가장 큰 이유였다. 둘째, 예비보육교사들의 스트레스 요인 중에서는 예비보육교사 자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세부내용으로는 수업진행에 대한 자신감 부족이 가장 큰 스트레스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실습 환경에스는 휴식 공간 부재와 자유로운 휴식시간이 없는 것, 영유아와의 관계에서는 문제아 지도에 대한 어려움, 시설장과의 관계에서는 보육실습을 노력봉사 하러 온 사람처럼 여기는 것에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계획 및 시행에서는 수업분위기 유지, 실습평가에서는 수업에 대한 미숙함과 자신감 부족으로 인해 스트레스 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보육교사들은 문제중심해결 방안 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보육교사들이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해서는 학교, 기관, 자신의 측면에서 공통적으로 끊임없이 소통하고 격려해 주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예비보육 교사들의 스트레스 영향 요인을 미리 예측하고 효율적인 대처방안들을 모색함으로써 성공적인 보육실습 경험을 통해 전문인으로서의 보육교사 성장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stress factors and coping strategies of pre-nursing teacher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3 2nd year student of G University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re-nursing teachers had the highest stress at 1 week out of 6 weeks of training period. The biggest reason was adapting to the new environment. Second, among the stress factors, the pre-school teachers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Specifically, the lack of confidence in class progress was found to act as the greatest stress. In the nursery practice environment, there is no rest space and no free rest time. There is also difficulty in coaching problem children in relationships with infants and toddlers.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facility manager, it was found that the pre-nursing teachers were under stress in regards to the child care practice as a person who came to volunteer. While maintaining the class atmosphere in class planning and implementation, in the practical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they were experiencing stress due to the children's immaturity in class and lack of confide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re-nursing teachers mostly used the problem-centered solu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y wished to continue communication and encouragement in common in schools, institutions, and themselves regarding measures to overcome the stress of pre-service nursery teachers. Through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by predict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tress of pre-nursing teachers in advance and seeking effective coping strategies, they will be able to help the growth of nursery teachers as professionals through a successful child care experience.

      • 예비중등교사의 상호이해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최진선(Choi, Jin-sun)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6 다문화와 인간 Vol.5 No.2

        모든 학생들이 우리 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에서 교사가 먼저 문화 다양성을 인정하고, 다양한 학생의 문화적 배경을 배려·존중하며 편견을 최소화 하는 반편견 교육 역량과, 문화적 역량 갖춘 교사가 요구된다. 우리사회의 사회갈등과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한 최적의 사회적 장치로 중등교원양성기관에서 미래에 더욱 가속화될 다문화 사회에 상호문화역량을 갖춘 예비교사를 양성함에 있어 상호이해교육 실천은 미래에 보다 빈번해질 사회적 갈등과 충돌을 해소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대구·경북에 소재하는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중등교사의 상호이해 교육에 대한 실태,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외국인 학생 및 이주배경의 부모를 둔 아동·청소년들을 고려한 상호문화교육역량을 갖춘 예비교사 양성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주배경 외국인에 대한 편견이 있는지, 상호이해교육과 관련된 교육이나 봉사경험이 있는지, 그리고 상호이해교육 실태, 인식, 및 요구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를 분석하여, 우리사회 모든 학생들에 대한 상호이해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예비중등교사의 상호문화역량을 양성하기 위한 효율적이고 현실성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연구 도구를 설정하였다. 1. 예비중등교사의 편견과 상호이해교육에 대한 실태는 어떠한가? 가. 이주배경을 둔 아동·청소년 그리고 외국인에 대한 편견 어떠한가? 나. 상호이해교육에 대한 실태는 어떠한가? 2. 상호이해교육 관련 교과목 이수와 봉사활동 경험에 따른 예비중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가. 상호이해교육관련 교과목 이수와 다문화 관련 봉사활동의 실태는 어떠한가? 나. 상호이해교육에 대한 관심, 지식, 자신감은 어떠한가? 다. 상호이해교육에 필요성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라. 상호이해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의 역량은 어떠한가? 3. 예비교사양성과정에서 상호이해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예비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연구모집단은 경북·대구광역시 지역의 교사 양성기관이 있는 5개 사범대학교, 예비교사 800명 대상으로 설문지 배부 하였는데 591부가 수집되었다. 그 중 불성실한 설문지 15부를 제외시키고 총 576을 수거·통계를 하였다. 통계적분석·검정을 위해 SPSSWIN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과 집단 간 빈도 차이 검증을 위하여 교차분석(χ2 test) 검정을 실시하였다. 집단 간 평균차이 검증을 위해 t 검증(t-test)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예비중등교사의 상호이해교육에 대한 실태, 인식, 및 요구를 분석을 하였고,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예비중등교사의 인종 문화의 대한 편견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편견 6 문항의 평균을 비교 해 보면 ‘피부색(인종)이 다른 사람이 우리사회의 리더가 (leader) 되는 것은 받아들이기 힘들다.’에서 다른 5 문항의 평균 M=4.1 비해 가장 낮은 평균(M=3.52)을 보여 이주자가 우리사회에 리더가 되는 것에는 긍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교과목 이수 경험과 봉사활동 경험에 따른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다문화 및 상호교육에 관련 교과목 이수와 봉사활동 경험 유무를 알아보았다. 다문화 및 상호교육에 관련 교과목 이수유무에서는 전체평균 77.8%가 이수 안 하였으며, 다문화 관련 봉사활동 경험 유무에서는 전체평균 76.4%가 봉사를 안 했다고 응답하였다. 다문화 및 상호이해교육에 관련 교과목 이수와 봉사활동 경험 유무를 배경변인으로 상호이해교육에 대한 관심, 지식, 내용, 자신감에서는 교과목 이수경험과 다문화 관련 봉사경험이 있는 예비교사들 집단이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상호이해교육에 대한 관심, 지식, 자신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범대에서 상호이해교육관련 교육이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의 49.6%를 제외한 나머지 참여자들은 상호이해교육 관련 내용들이 교과서에서 부분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였고, 내용 구성은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 개념, 실태, 교수법 순으로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17.9%)가 가장 많이 내용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본 연구 77%의 참여자들은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 상호이해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예비중등교사의 상호문화역량에서는 높은 문화적 역량 있는 교사로 자신 있어 보이지는 않았지만, 상호이해교육 관련 교과목 이수 경험과 봉사경험이 있는 예비교사 집단이 더 높은 평균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예비중등교사를 위한 상호이해교육의 목적 요구로 428명이 ‘점차 다문화 가족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문화를 존중할 수 있는 마음을 기르고 사회적 통합과 융합을 위해서’, 397명이 ‘세계화 시대에 필요한 편견 없는 긍정적인 태도 융통성과 개방성 있는 유능한 인재를 위해’, 상호이해교육의 목적을 요구하였다. 상호이해교육의 내용의 요구 1순위는, 424명이‘상호이해교육의 개념 및 다문화 실태’, 2순위, 421명이 ‘상호이해교육의 필요성’, 순으로 응답하여 상호이해교육의 내용을 공부하길 요구하였으며, 상호이해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법에서 5개 예문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상호이해교육 관련 교과목 개설’164명(28.5%)이 가장 많고, 두 번째로 이주민센타, 이주·아동, 청소년센타 등, 또는 기관에 봉사활동으로 137명(23.8%)이 1 번으로 선택 했다.

      • KCI등재

        예비 초등교사의 관심영역 발달 및 영향에 관한 연구

        윤홍주 한국교원교육학회 200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들의 관심사를 중심으로 그들의 발달과정을 규명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의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예비 초등교사 교육프로그램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한 결과는 첫째, 예비 초등교사의 관심사는 성별과 학년에 따라 달랐다. 여학생의 경우 시험 및 학점과 교직수행 영역에 높은 관심을 나타낸 반면 남학생은 주로 학교생활에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한편 학년이 높아질수록 교직수행과 관련된 영역에 높은 관심을 나타내었다. 둘째, 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과정이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작은 반면 교생실습, 임용고사 준비의 영향력은 컸다. 셋째, 독립변인에 의해 설명되는 변량이 교직수행 영역은 25.4%, 현직업무는 12.1%로 상당히 낮다. 예비 초등교사의 발달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교사교육과 예비 초등교사의 능력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하며, 예비교사 양성프로그램 역시 예비교사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여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예비교사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종단적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의식의 심층구조를 드러내는 질적 연구도 병행될 필요가 있다.

      • 교육봉사 시행기관의 관점으로 본 예비교사 교육봉사활동에 대한 인식 연구

        김용현, 최리, 장영윤 국립공주대학교 교직부 2021 공주대학교 예비교사 교육연구 Vol.1 No.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의 교육봉사활동이 주로 이뤄지는 교육봉사 시행기관의 담당자는 예비교사의 교육봉사활동에서 어떤 점을 긍정적 측면 또는 개선이 필요한 점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반 구조화된 면담 형식을 통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현행 예비교사의 교육봉사활동은 예비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인성 함양과 현장직무능력 강화에 도움이 되며 학습 부진아 및 사회취약계층 등 현직 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부분에서 교육지원이 이뤄질 수 있다는 긍정적 측면이 있었다. 그러나 교육봉사활동을 하는 예비교사의 태도·복장 등의 문제가 종종 발견되었으며, 교육봉사자가 안전사고를 당했을 때 이에 대한 구제 대책이 미비하다는 개선점 또한 존재했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별로 의견이 나뉘는 점 또한 존재했다. 교육봉사가 불연속적으로 이뤄지는 현행 방식은 교육봉사활동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교 급에 맞지 않게 교육봉사활동을 하는 경우, 예비교사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언급한 연구 참여자가 있는 반면, 예비교사의 전문성이 떨어져 학생들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60시간의 의무 교육봉사활동 시간에 대해서는 예비교사의 입장에서 보면 많을 것이라는 의견과 기관의 입장에서는 시간이 부족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는 의견으로 나뉘었다. 그리고 현행 교육봉사활동 체제는 봉사에 대한 좋지 않은 가치관을 심어줄 수 있다는 인식을 가진 연구 참여자도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면 첫째, 예비교사의 교육봉사활동이 이뤄지기 전에 교육봉사활동 중 지켜야 할 예의·태도 등에 대한 사전 교육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봉사활동 현장에서 우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교육봉사자의 안전사고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히 도입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예비교사의 교육봉사활동 제도에서 교육봉사활동이 주로 시행되는 기관의 입장을 반영하여 진행하는 숙의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 넷째, 예비교사의 교육봉사활동이 주기적으로 이뤄지는 기관에 대하여 설문이나 면담 등을 통한 의견 수렴이 시행될 필요가 있다.

      • 예비교사의 과제물 수행 현황 및 과제표절에 대한 인식 조사

        강지혜,이지연 한국교육공학회 2017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7 No.1

        본 연구는 장차 중·고등학교에서 학습윤리 교육을 담당하게 될 A대학교 사범대학 대학생 109명을 대상으로 예비교사의 수업과 관련된 과제물 수행 현황과 표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의 수업과 관련된 과제물 수행 현황을 살펴보면, 예비교사들은 수업에서 과제표절 예방교육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과제를 수행하면서 직·간접적ᅭ 과제표절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과제물 매매 사이트에 대한 존재를 인지하고 있었으며, 과제물 매매 사이트에서 과제물을 구매하여 작성한 과제물 형식을 살펴보면 객관적 자료나 감상문 등과 같이 정답이 주어져 있는 경우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들의 표절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면, 표절관련, 과제물관련, 수업관련 변인들은 예비교사의 표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인들의 세부 결과를 살펴보면, 표절관련 변인에서 예비교사는 대학 내 학생들의 과제표절에 대해서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예비교사들은 대학 또는 수업에서 일회성으로 표절과 관련된 예방교육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표절유형 및 범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물관련 변인에서 예비교사가 과제표절을 하게 되는 이유는 과제물의 난이도 및 분량이 적절하지 않거나 과제물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라고 나타났다. 반면에 교수자가 예비교사의 과제 작성을 돕기 위해 다양한 사례나 충분한 피드백이 제공되는 경우 윤리적 과제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수업관련 변인에서 예비교사들은 교수님의 평소 수업분위기나 학습자가 인식하고 있는 교수자에 대한 이미지 및 성향이 과제물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의 학습윤리에 대한 인식 강화 및 과제표절 근절 대책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예비교사와 현장교사 간 협동을 통한 교사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과 음악교육의 시사점

        신지혜 미래음악교육학회 2024 미래음악교육연구 Vol.9 No.1

        본 논문의 목적은 국외 논문을 중심으로 예비교사와 현장교사 간 협동을 활용한 논문을 분 석하고 이를 통해 음악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23년 사이에 발행된 논문 17개를 선정하여 내러티뷰 리뷰 방법으로 내용 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와 현장교사 간 협동을 위한 모델로 코티칭, 교사교육기관-현장학교 파트너쉽, 리서치 프로젝트, 학습 공동체, 온라인 을 활용한 협동이 사용되었는데 각 모델은 개별적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협동 구조의 내용을 살펴보면 예비교사와 현장교사의 협동이 가장 많이 활용된 과목은 수학 및 과학이었 고, 초등학교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었으며, 예비교사와 현장교사 간의 협동은 짧게는 몇 주에 서 길게는 2년까지 활용되었다. 셋째, 예비교사와 현장교사 간 협동은 예비교사뿐만 아니라 현장교사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넷째, 예비교사와 현장교사 간 협동과정과 효과성을 촉 진시키는 요인은 오랜 시간 동안 진행되는 끊임없는 대화, 예비교사와 현장교사의 서로 다른 전문성, 연구하고 관찰해야 할 목표 및 대상 설정의 3가지가 있었고, 방해 요인은 현장교사의 교사 간 협동의 중요성 인식 부족, 교사교육의 편견의 2가지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분석한 논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음악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은 교사교육 기관에서 배운 새로운 이론을 교육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을 통한 예비음악교사와 현장음악교 사의 상호전문성 활용, 현장실습과 연계된 교육실습의 활용으로 예비음악교사와 현장음악교 사들이 서로 소통하고 의견을 조율하며 협동할 수 있는 기회 제공, 예비음악교사와 현장음악 교사의 협동을 통한 현장음악교사의 전문성 신장의 기회 제공, 예비음악교사와 현장음악교사 간 협동을 위한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focusing on the collaboration between pre- and in-service teachers and to identify insights applicable to music education. To achieve this, 17 research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3 and 2023 were selected, and their content was examined using the narrative review method.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ly, various models were utilized for collaboration between pre- and in-service teachers, including co-teaching, university-school partnership, research projects, learning communities, and cyber collaboration. Secondly, when examining the content of collaborative structures, it was found that collaboration between pre- and in-service teachers was most commonly utilized in subjects such as mathematics and science, predominantly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he duration of collaboration ranged from a few weeks to as long as two years. Thirdly, the collaborative process between pre- and in-service teachers had a significant impact not only on pre-service teachers but also on in-service teachers. Fourthly, factors facilitating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processes included continuous and prolonged dialogues, different expertise of pre- and in-service teachers, and the establishment of goals and targets for research and observation. Hindering factors included a lack of awareness among in-service teacher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teaching and biases in teacher education. Fifthly,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in this study, implications for music education were identified. These include leveraging mutual expertise between pre- and in-service music teachers through the application of new theories learned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utilizing teaching internships linked to practical experiences, fostering the professional growth of in-service music teachers through collaboration with pre-service music teachers, and more research focusing on the collaboration between pre- and in-service music teachers.

      • KCI등재

        예비특수체육교사와 예비체육교사의 윤리적 민감성 및 가치정향 비교분석

        김혜민,이현수 한국특수체육학회 2017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tudents of different majors prioritize items related to value orientation, analyze the differences of ethical sensitivity and value orientation between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and Adapted Physical Educators comparatively,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ethical sensitivity on value orientation. To address the goal, 423 students were selected, 213 undergraduates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and 210 undergraduates of physical education. As a study tool, the questionnaire on ethical sensitivity and value orientation was employ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administration. Data collected went through analysis by using SPSS 23.0, and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With the process, this study has gained following finding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how students of different majors prioritize items related to value orientation, both Adapted Physical Educators and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put the highest value on ecological integration in terms of value orientation. Second, regarding differences between majors, Adapted Physical Educators indicate higher ethical sensitivity than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and about value orientation, Adapted Physical Educators show a higher learning process than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and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place higher value on social reconstruction than Adapted Physical Educators. Third, about gender differences, male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put higher value on ecological integration than female ones. Fourth, ethical sensitivity in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influences social reconstruction in value orientation significantly. 본 연구의 목적은 전공별 가치정향에 대한 우선순위와 예비 체육교사와 예비특수체육교사들의 윤리적민강성 및 가치정향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고, 윤리적민감성이 가치정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체육교육전공 대학생 213명, 체육교육전공 대학생 210명으로 총 42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조사도구는 윤리적 민감성과 가치정향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기평가기입법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Descriptive Statistics)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그리고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전공별 가치정향의 최우선순위에 따른 결과로 예비특수체육교사와 예비체육교사의 가치정향은 생태통합에 대한 가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에 따른 차이로 예비특수체육교사가 예비체육교사보다 윤리적민감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치정향은 예비특수체육교사가 예비체육교사 보다 학습과정이 높았고, 예비체육교사가 예비특수체육교사 보다 사회재건에 대한 가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차이로 예비체육교사 중 남자가 여자보다 가치정향의 생태통합에 대한 가치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예비체육교사의 윤리적민감성이 가치정향의 사회재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하는 학교현장실습의 의미 : 지도교사, 유아, 동료 예비유아교사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신현정 총신대학교 2022 總神大論叢 Vol.4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하는 학교현장실습의 의미를 지도교사, 유아, 동료 예비 유아교사와의 관계를 통해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 학생 중 2022년 1학기 학교현장실습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 57명을 대상으로 실습평가서, 반성적 저널, 실습평가회, 면담자료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학교현장실습에서 관계를 맺는 주요 대상인 지도교사, 유아, 동료 예비유아교사와의 경험을 중심으로 범주화하여 학교현장실습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지도교사로부터 일과에 대해 세밀한 배려를 받은 예비유아교사는 원활한 현장 적응이 이루어졌고, 교육적으로 지원을 받은 예비유아교사는 대학에서 배운 것을 실제에서 경험하며 유아교사로 준비될 수 있었다. 또한 지도교사가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며 격려할 때 예비유아교사는 자신감을 가지고 유아교사에 대한 꿈을 키울 수 있 었다. 반면, 지도교사와 적절한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고 존중받지 못할 때 예비유아교사는 유아교사로 진출하는 것에 대해 걱정하고 좌절감을 느끼게 되었다. 둘째, 유아는 예비유아교사를 힘들고 어렵게 만들기도 했으나 실습이 지속되면서 예비유아교사에게 위로와 힘이 되는 존재로 다가왔다. 이러한 관계는 예비유아교사가 유아교사로서 적성이 맞는지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학교현장실습 현장에서 동료로 함께한 예비유아교사는 서로에게 힘이 되어 동반 성장을 할 수 있는 동력이 되기도 했지만 육체적, 정신적으로 부담감을 가지게 하였다. 결론적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이 학교현장실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양성기관인 대학에서 현장중심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 내용을 선정하고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과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 인식과 경험에 대한 비교 탐색

        권재희(BKwon, Jaehee),황성온(Hwang, Sungon) 협성대학교 교양학연구소 2020 교양학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들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해서 비교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예비교사 10명, 미국의 예비교사 8명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관해 인터뷰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나라의 예비유아교사들은 공통적으로 다문화 교육을 상호 간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서로 공존하기 위한 교육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한국 예비교사들은 반편견 교육에 중점을 둔 반면 미국의 예비교사들은 문화, 종교, 지역 등 다양성을 포괄한 교육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두 나라의 예비유아교 사들은 대학 이전에 다문화 교육 관련 경험이 제한적이었으나, 한국 예비교사들은 교육 실습 중 다문화 가정 유아와의 경험이 다문화 교육에 관심을 갖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미국 예비교사들은 대학 내 교실 안, 밖으로 다양한 인종, 문화 경험이 다문화 교육 실행에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다문화 시대에 발맞추어 두 나라의 예비유아교사들 모두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한국 예비교사들은 다문화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 교사와 학부모의 편견을 없애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보았으며, 미국 예비교사들은 다문화 가정을 위한 학교 차원의 지원, 교사의 노력, 그리고 교육과 정 방향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두 나라의 예비교사들은 현재 대학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다문화 교육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충분하지 않다고 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내 유아교육과정에서 다루어져야 할 내용들이 분석되고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Korean and America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what experiences they have had. The participants were 18 pre-service teachers(10 Koreans and 8 Americans), who enrolled in a four-year undergraduate progra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interviews and analyzed by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two countries perceiv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differences and respect others and to promote an equal society for all people. However, the Korean pre-service teachers mainly connected multicultural education to anti-biased curriculum while the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diverse factors, such as culture, religion, race, and region,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 common, the participants had limited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s before college. After they entered college, the Korean pre-service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ir field experiences helped them understand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mentioned their interactions with people from other cultures on and off campus helped them to be open-minded to children from different cultures in schools. All of the participants pointed out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global era. In order to pursue multicultural education, the Korean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at reducing prejudice is prioritized while the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that the school’s support, teachers’ changed attitude, and curriculum change are necessar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Lastly,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two countries felt that the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n college does not adequately prepare pre-service teachers to implement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