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제법상 신라의 독도영유권의 역사적 권원 취득과 그의 대체에 관한 연구

        김명기 한국이사부학회 2012 이사부와 동해 Vol.4 No.-

        「삼국사기」권4의 역사적 기록에 의하면 신라의 이사부장군이 512년에 동해 중간에 위치하고 무릉도(울릉도)와 우산도(독도)로 구성된 우산국을 목사자를 실은 전함의 해군력에 의해 정복했다. 그 결과 신라의 독도의 영토주권이 수립되었다. 즉 신라는 독도의 영토주권에 대한 역사적 권원을 취득했다. 따라서 512년에 지 증왕 시기에 우산국이 신라에 귀속되었다는 사실에 관해 어떠한 의문도 제기될 수 없다. 그러나 오늘 역사적 권원은 현대 국제법상 타당한 권원으로 대체될 것이 요구 된다. 역사적 권원은 대체 당시에 타당한 권원으로 대체되지 아니하면 법적 효력 이 없다. 그러나 역사적 권원과 그에 유사한 개념은 그 후의 역사적 발전에 의해 대체된 후에는 법적으로 의미가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은 권원의 대체 이론은 많은 학자와 국제재판소의 판결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락되고 승인되어 있다. 대한제국은 독도의 관할권에 관한 “대한제국 칙령 제41호”를 1900년에 선포하 였다. 동 칙령의 선포에 의해 512년에 취득된 독도의 역사적 권원은 현대 국제법 상 유효한 새로운 권원으로 대체되었다. 따라서 독도의 역사적 권원은 오늘 현대 국제법상 법적 효력이 없는 것이다. 물론 역사적 권원은 대체되기 이전에는 독도 영유권의 권원으로 법적 효력이 있는 것이다. 대체된 이후에도 역사적 권원이 귀 속되어 있었다는 사실은 역사적 사실로서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권원의 대체에 따라 역사적 권원에 기초한 주장은 현대국제법상으로는 할 필요가 없게 된 것이다. According to the historical record of volume 4 of Samguksagi, General Isabu of Shilla conquested over Woosankuk which located in the middle the East Sea and consisted of not only Mulungdo(Uleungdo) but also Usando(Dokdo) by means of naval forces with wooden lions on the warships in 512. As a result of the conquest, Shilla's territorial sovereiguty over Dokdo was established, that is to say, Shilla acquired the historical title to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Dokdo. There can be no room for any doubt that Woosankuk belong to Shilla at time of king Chiezung's reign in 512. It is required to say, however, that historical title should be replaced by the another title valid in modern international law. Historical title could today produce no legal effect, unless it had been replaced by another title valid according to the law of the time of replacement. Historical title and similar concepts are, however, less significant when they have been supersed by the effect of later historical developments. The above-mentioned theory of replacement of title has been generally accepted and recognized not only by the views of many scholars but also by the judgements of many international courts. The Korean Empire promalgated the korean Empire Decree No.41 concerning the jurisdiction over Dokdo in 1900. By the promalgation of the decree, the historical title to the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Dokdo was replaced to new title valid in modern international law. As a result of the replacement, the historrical title to Dokdo acquired in 512 had no legal effect in modern international law. On account of the replacement, it is not nesessary to assert on the basis of the historical title.

      • KCI등재

        일본정부의 독도의 역사적 권원 주장의 변화추이에 관한 연구

        김명기(KIM Myungki) 대한국제법학회 2014 國際法學會論叢 Vol.59 No.3

        법적 사실은 그와 동시에 타당한 법에 의해 평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는 국제법의 발전을 배경으로 한 계속적인 사건의 연쇄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The Island of Palmas Case(1928) 에서 Max Huber 중재관은 고전적 권원, 본원적 권원, 봉건적 권원과 같은 역사적 권원은 그 후의 실효적인 선점 행위에 우선할 수 없다고 판시했다. Minquiers and Ecrehos Case(1953) 에서 국제사법재판소는 본원적 권원은 그것이 대체 당시의 유효한 법에 따라 대체되지 아니하는 한 오늘에 어떠한 법적 효과도 발생하지 아니한다고 판시했다. 그 후의 이 역사적 권원의 대체에 관한 이론과 실제는 국제판례와 학설에 의해 일반적으로 승인되어 왔다. 일본 정부는 2008년에 소위 “다케시마 10포인트”에서 종래 주장해 오던 1648년 이전의 역사적 사실을 모두 삭제하고 1648년 이후의 역사적 사실만을 주장 · 열거하고 있다. 이는 역사적 권원의 대체에 관한 국제법의 변화 추이를 긍정적으로 수용한 것으로 이해된다. 물론 일본 정부가 종래에 주장하든 1648년 이전의 역사적 권원 주장의 한계에 직면하게 되어 부득이 내린 정책의 결단으로 보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그들 역사적 권원은 각기 제 나름대로의 근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역사적 권원의 대체에 관한 국제법의 변화 추이를 심층적으로 고려하여 한국정부의 정책결정당국과 사학자에게 독도의 영토주권에 관한 역사적 권원의 대체의 이론을 수용할 것을 제의해본다. 역사적 권원은 현대국제법에 의해 대체되지 아니하는 한 오늘에 법적 효력이 없으며, 또한 대체된 이후에는 역사적 권원은 법적 효력이 없으므로 독도의 영토주권에 관한 역사적 연구는 1648년 이전의 것은 법적으로 거의 무의미한 것이다. 일본 정부당국의 역사적 권원의 대체의 법리와 실제의 수용은 실리적 외교정책의 결정으로 평가해 볼 수 있다. 그리고 국제사법재판소에 재소하게 될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 보여진다. Judicial fact must be appreciated in the light of the law contemporary with it. The principle, however, does not resolve the problem where there is a continuous chain of event to be asserted against a background of developing rules of international law. In the Isaland of Palmas Case(1928) arbitrator Max Huber found that historical title such as ancient title, original title, feudal title could not prevail over the late acts of effective occupation. In the Minquiers and Ecrehos Case (1953), the ICJ decided that original title could today produce no legal effect, unless it had been replaced by another title valid according to the law of time of replacement. Subsequent international tribunals have adopted the theory and practices of replacement of historical title, the judgement of the ICJ in the Minquiers and Ecrehos Case (1953) is cited in the Judgement of Western Sahara Case (1975), the Land Island and Maritime Frontier Case (1992) and Pedra Branca Case (2008). The theory of replacement of historical title was generally recognized not only by international precedents but also international scholars views. <br/> Japanese Government adopted the theory of replacement of historical title in so-called “The Takeshima 10 Points” of 2008.<br/> In consideration of the changing transition of international law in the historical title, and the Japanese Government’s adoption of the transition, it is necessary for the policy decision authorities of the government and history scholars to adopt the legal effects of the replacement of historical title to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Dokdo.

      • KCI등재

        역사적 권원의 판단 순서와 판단 방식

        정재민(Choung, Jae min) 동북아역사재단 2018 영토해양연구 Vol.15 No.-

        영역분쟁 재판에서 당사국들이 역사적 권원을 주장한 경우, 재판소로서는 반드시 역사적 권원의 존부부터 판단해야 하는가, 아니면 소송의 승패에 직결되는 권원만 선별적으로 판단해도 무방한가. 이 문제가 치열하게 논의된 것이 ICJ의 Maritime Delimitation and Territorial Questions between Qatar and Bahrain 판결이다. 이 판결은 결정적 시점에 가장 가까운 1939년 영국 결정의 법적효력을 긍정한 다음 굳이 역사적 권원을 판단할 필요가 없다고 보았다. 이에 대해3 인 재판관의 반대의견은 재판소가 먼저 역사적 권원을 판단했어야 했다며 다수의견을 통렬하게 비판하고는 적극적 역사적 추론을 통해 Hawar 제도의 역사적 권원 판단을 시연해 보였다. 역사적 권원 개념을 동원하여 역사적 추론을 적극적으로 하는 접근 방식은 권원의 형성과 변동 양상을 동태적, 복합적으로 포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와 기능이 크다. 그러나 정확성이 생명인 재판에서는 역사적 권원 개념이 상당히 모호하고 재판소가 역사적 추론을 정확하게 하는데 현실적 제한이 적지 않으므로 재판소로서는 보다 신중한 태도로 판결의 오류를 줄이려는 접근방식이 바람직하다. In the legal case regarding the Maritime Delimitation and Territorial Questions between Qatar and Bahrain, the question was raised whether the Court should always examine the historic title first among the other titles, or does the court not have to examine historic title if that title does not affect the conclusion of the judgment. The judgment reached its conclusion by relying for the most part on the legal implication of the British decision rendered in 1939, which was the most recent legal grounds suggested by the parties before declaring it unnecessary to examine other legal issues, including historic title. However, the judges Bedjaoui, Ranjeva, and Koroma insisted in their Joint Dissenting Opinion that the Judgment should have examined first the historic title and shown how to conduct historical reasoning and draw historic title in this case. It is indisputable that historical reasoning and the concept of historic title offer useful tools to grasp the dynamic process of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itles from academic perspectives. However, in the trial process, where accuracy and precision are more important than academic usefulness, the Court should take a more cautious approach in adopting historic reasoning and historic title than the Dissenting Opinion suggested, and does not have to examine historic title when it is not necessary.

      • KCI등재

        한국정부의 독도의 역사적 권원 주장에 관한 연구

        김명기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0 독도연구 Vol.- No.29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Dokdo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e analyzed how the Dokdo educational content system is reflected in textbooks important for Dokdo learning. Through this,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Dokdo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ere grasped, and future-oriented measures to conduct interesting and in-depth Dokdo education at appropriate levels were sought. The 10 categories of the system of Dokdo Education contents are location, territory, topography, climate, ecology, resources, geographical name changes, Dokdo guardian data, Japan's territorial claims, and responses, and Efforts to protect territorial sovereignty. However, when looking at the classification items covered in the textbooks of the Gyeongsangbuk-do Office of Education and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all of the 10 categories are not described. Also in the continuous Dokdo education, it seems that the amount and difficulty of classification items to be dealt within each of the lower and upper grades are not properly classified or systematically organiz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re divided, and the suggested content elements are ignored. In elementary school, the content elements to be addresse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are being described. Currently, the system of Dokdo education contents that reflect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strengthened Dokdo education in front-line schools and has been pursuing detailed implementation plans relatively well. In particular, as the education centered on student activities is strengthened, Dokdo education is pursuing changes so that various learning opportunities centered on experience and activities can be guaranteed. In consideration of these points,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are written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and along with these, Dokdo's nature, Dokdo's historical records, stickers on animals and plants of Dokdo, Dokdo crosswords, Dokdo board games, and Dokdo bookmarks are created to help Dokdo-related experiences and activities. The development of Dokdo textbooks focusing on student participation is also required. 고전적 권원, 봉건적 권원, 본원적 권원 등 역사적 권원은 현대 국제법에 의해 타당한 권원으로 권원의 대체를 이룩하지 아니하면 법적 효력이 없다. 현대국제법상 권원으로 대체된 역사적 권원은 현대 국제법상 법적 효력이 없다는 것이 국제 판례와 학설에 의해 관습국제법으로 승인되어 있다. 한국정부가 독도영토주권의 역사적 권원을 주장함에 있어서 역사적 권원만을 주장하고 역사적 권원의 대체에 관해서는 주장해온 바가 거의 없다. 그 결과로 한국은 신라 이사부 장군이 우산국을 정복하여 수립한 한국의 독도 영토주권의 역사적 권원은 오늘에 법적 효력이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정부가 독도의 역사적 권원을 주장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권원뿐만 아니라 여사적 권원의 대체에 관해 지적하여야 함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신라 이사부 장군의 우산국 정복에 의해 수립된 한국의 독도영토주권의 역사적 권원은 1910년 10월 25일의 “대한제국 칙령 제41호”에 의해 현대국제법상 유효한 권원으로 대체된 것이다. 역사적 권원의 대체의 관습국제법은 특히 독도를 연구하는 사학자에게 보급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는 관계 정부당국에 부여된 책무인 것이다.

      • KCI등재

        영토분쟁과 권원 간 위계

        박현진(PARK Hyunjin) 대한국제법학회 2014 國際法學會論叢 Vol.59 No.3

        영토분쟁사건이 국제사법쟁송 · 중재에 회부되는 경우 권원 주장 간 경합 · 충돌이 불가피하며 재판소는 조약상의 권원, 현상유지의 법리와 실효적 지배의 우선순위에 따라 판결한다. 또 예외적이기는 하나 본원적 권원에 입각하여 판결하기도 한다 (2008년 말레이지아/싱가포르 사건). 그러나 이 경우 계속적 실효지배가 전제되어야 한다. 원시적 · 역사적 권원은 불완전한 권원으로서 권원보유자가 실효적 지배 등 다른 권원으로 보완 · 대체하지 않는 한, 확정적 권원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br/> 국제판례가 조약상의 권원에 우월적 지위를 인정하는 (벨기에/네덜란드 사건, 리비아/차드 사건 및 카메룬/나이지리아 사건) 이유는 조약이 합의의 의사표시(국제의무 창설) 라는 점, 명확성과 입증의 용이성 등에 기인한다. 여기에서 조약은 분쟁 당사국(선행 종주국)간 또는 당사국 일방과 선행종주국 간 양자조약(리바아/차드 사건), 또는 당사국을 구속하는 다자조약(강화조약 등)이 포함된다. 조약상 권원이 적법 · 유효 · 명확하게 성립한 경우 그리고 조약상의 권원보유자가 타국의 실효지배 등 주권주장을 묵인하지 않은 경우, 예외 없이 조약상의 권원에 우선권이 부여된다. 그러나 조약, 부속서와 부속/첨부 지도가 국경선 전 구간에서 늘 구체적이고 명확한 것만은 아니며 (팔마스섬 중재판정), 이 경우 조약문안에 대한 성실한 해석과 묵인 여부에 대한 객관적 해석이 요구된다. <br/> 국제판례는 현상유지의 법리를 권원(의 근거)의 하나로 인정하고 실효지배의 권원에 우선시키고 있으나(부르키나 파소/말리 사건), 그 법적 지위 · 구속력에 관해 논란이 없는 것은 아니다. 식민 종주국이 산악지역이나 인간 거주가 어려운 밀림 · 오지, 근해 격지 도서 · 암초나 해양지형 등에 관해 모두 구체적 국경선을 확립하고 또 실효적인 주권을 확립 · 행사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엘살바도르/온두라스 사건). 더욱이 중남미 · 아프리카와 아시아 관련 국가는 물론, 국제사회의 이 법리에 대한 법적 확신이 결여되어 있다(니카라과/온두라스 사건 및 카타르/바레인 사건), 따라서 이 법리가 보편적 구속력을 가진 일반관습법으로 확립된 것으로 보기 어려우며, 단지 ‘신생’독립국의 정치적 안전성을 담보하기 위한 정치적 선택의 산물이다. 현상유지의 법리가 실효지배와 충돌할 경우 국제재판소가 항상 이 법리에 우선적 지위를 부여하여 판결할 것이라고 단언할 근거는 확고하지 않다. 또 카메룬/나이지리아 사건의 경우 ICJ가 현상유지의 법리를 적용한 근거는 궁극적으로 식민 종주국 영 · 불 간 약식조약에 기초하고 있으므로 조약상 권원과 현상유지의 법리 간 구분이 늘 용이한 것만은 아니다. <br/> 조약상 권원의 확정성 · 우월성에도 불구하고 1928년 팔마스섬 중재판정에서 실효지배가 권원의 한 근거로 정립된 이후 많은 영토분쟁사건에서 조약상의 권원과 실효지배의 권원이 경합 · 충돌하고 있다. 이 경우 권원성립의 시간적 선후관계, 장기간의 평화적 · 계속적 주권행사 여부 등을 고려하고 문제의 조약문안에 대한 성실한 해석을 통해 권원 귀속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리비아/차드 및 카메룬/나이지리아 2개의 판결은 모두 ‘단기간’에 걸친 최근의 실효지배에 ICJ가 효력을 부여하지 않는 일관된 입장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오지 · 격지 무인도서 등에 대한 ‘상대적’ 실효지배의 정도(수준)와 요건에 대한 보다 명확한 규정이 필요하다.

      • 국제법으로 본 한국의 독도영유권 - 중단권원의 회복을 중심으로 -

        김명기 한국이사부학회 2014 이사부와 동해 Vol.7 No.-

        신라 지증왕 13년(512) 우산국의 신라에의 귀복으로 수립된 독도의 역사적 권 원은 대한제국에 이르러 1908년 10월 25일의 "대한제국 칙령 제41호"에 의해 현재 국제법상의 권원으로 권원의 대체(replacement of title)가 이루어질 수 있 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그로부터 10년이 되는 1910년 8월 22일의 "한일합방조약"의 체결로 독도를 포함한 한국의 모든 영토는 일본에 사실상 병합되어 현대국제 법상 권원으로 대체된 대한제국의 독도영유권의 사실상 중단되게 되었다. 그러나 1945년 일본의 패망으로 사실상 중단되었던 권원은 1910년에 소급하여 회복하게 되었다. 이 회부된 권원이 오늘의 대한민국의 독도영유권의 권원을 이루고 있다. "한일합방조약"에 의해 사실상 중단되었던 독도영유권의 권원은 연합국의 일련 의 조치에 의해 회복되게 되었고, 1951년 "대일평화조약"에 의해 이는 결정ㆍ승인ㆍ확인되게 되었다. 따라서 1951년 이후 오늘의 시점에서 독도영유권의 권원은 "대일평화조약"이며 그 이전의 "항복문서", "카이로선언", "포츠담 선언", "연합국 최고사령관 훈령 제677호"가 아니다. 이들은 "대일평화조약"의 해석의 근거로 원용될 수 있을 뿐 그 자체가 독도영유권의 권원으로 보기 어렵다. 독도의 imperium은 동훈령에 의해, dominium은 "대일평화조약"에 의해 회복되 게 된 것으로 본다. 오늘의 독도 영유권의 권원은 "대일평화조약"이다. "대일평화조약" 제19조 (d)항의 규정에 따라 "SCAPIN 제677호"에 의해 분리된 것이 승인되므로 독도는 직접적으로 "대일평화조약"에 의해 분리된 것이며 간헐적 으로 "SCAPIN 제677호"에 의한 것이다. 그리고 "대일평화조약" 제2조 (a)항의 "한국의 독립을 승인하고"의 규정에 의해 1948년 8월 15일까지 승인의 효력이 소급되는 것이다. The historical title of Dokdo, which was established due to submission to Silla of the Usanguk (present-day Ulleungdo and Dokdo), or the State of Usan, in the 13th year of King Jijeung of Silla, could be replaced with the current title under the international law by "the Korean Empire edict No.41" in October 25, 1908. Unfortunately however, all Korean territory became in fact merged into Japan 10 year safter, in August 22, 1910 due to the annexation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This led to the suspension of Dokdo dominium of the Korean Empire. However, the suspension of title was recovered retroactive to the year 1910 due to the collapse of Japan in 1945. This referred title underlies the title of Dokdo dominium of today's Republic of Korea. The title of Dokdo dominium that was actually suspended due to "the annexation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was recovered due to a series of actions taken by the allied countries, and in 1951, this was settled, approved, and confirmed based on "the treaty of peace with Japan. Therefore, after 1951, the ground of claim for Dokdo dominium is "the Treaty of Peace with Japan" and not the previous "submission document", nor "the Cairo declaration" nor "the Potsdam declaration" nor "the Supreme Commander of the Allied Powers Order No.677". These can only be quoted as the basis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Treaty of Peace with Japan", and it is difficult to consider it as the ground of claim for the Dokdo dominium. It is considered that the imperium of Dokdo was recovered based on the Order and the dominium of Dokdo based on "the Treaty of Peace with Japan". It is approved that Dokdo was separated in accordance of "SCAPIN Article No.677" based on "the Treaty of Peace with Japan" Article 19(d), therefore, Dokdo is directly separated from "the Treaty of Peace with Japan", and intermittently goes upon the "SCAPIN Article No.677". Moreover, "the Treaty of Peace with Japan" Article 2(a) "approves the independence of Korea" and the approval was retroactive to August 15, 1948.

      • 국제법상 신라 이사부의 우산국 정복의 합법성에 관한 연구

        김명기 한국이사부학회 2010 이사부와 동해 Vol.2 No.-

        「삼국사기」의 기록에 의하면 신라 이사부 장군은 512년에 전선에 목사자를 실 은 무력의 행사 수단에 의해 울릉도 뿐만 아니라 독도로 구성된 우산국을 정복했 다. 동 정복의 결과로 독도에 대한 한국의 영토주권, 즉 독도에 대한 한국의 역사 적 권원이 512년에 확립되게 되었다. 고대법상 정복은 영토취득의 수단으로 가장많이 사용되었고 고대법이 국가에게 정복에 의한 영토취득을 허용하고 그 시기에 국가에게 전쟁권 수행에 관해 제한 을 두지 아니었냐는 것이 명백하다. 그러나 국가에 의한 무력의 행사를 금지한 현대 국제법상으로 정복은 침략행위 를 구성하고 위법하며 영토취득을 위한 타당한 권원을 보장할 수 없다.“국제연합 현장”제2조 제4항의 규정에 따라 국가의 전쟁수행권과 영토의 취득을 위한 정복 권이 제한된다. 영토취득을 규율하는 국제법의 규칙은 수세기 동안 변천되어 왔다. 한편으로, 분쟁에 있어서 문제의 주장과 사태는 그것이 오늘 존재하는 조건과 규칙에 따라 서가 아니라 그것이 취득된 때에 존재하는 조건과 규칙에 따라 평가되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국제법은 소급적으로 적용되어서는 아니된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승인되어 있다. 상기 결과에 따라 독도의 영토주권에 관해 우리 정부당국에 의해 기획되는 기 본정책과 역사학자에 의해 수집되는 기본연구는 512년의 역사적 권원을 정립해야 한다. 그리고 역사적 권원을 1900년 “대한제국 칙령 제41호”와 같은 현대국제 법상 타당한 권원으로 대체하는 것이 요구된다. According to the records of Samguk Sagi, General Isabu of Shilla conguested over woosankuk that constitnted of not only Uleungdo but also Dokdo, by means of use of force with wooden lions in the warships in 512. As a result of the conquest, Korean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Dokdo, that is to say, the historical title to Dokdo was established since 512. But Korean Gorernment's atitute concerning historical title that established by Shilla's conuest of woosankuk Under ancient law, eonguest was the mest commonly used way of acquisition of territory and it was evitable that the law should allow states to acquire ferritory by conquest, at that time the law imposed no limit on the risht of state to go to war. However, under modern internatiomal law which prohibits use of force by states, conquest constitutes an act of aggression, and as much is illegal and could not provide valid title for the acquisition of territory In auordane with the prohition of Article 2(4) of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the rights of state to go to war and to go to conquest for acquisition of territory are limited. The rules of international law governing acquisition of territory have chansed over centuries. On one hand, general rule is that in a dispnte the claim or situation in question has to be examin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and rules in existeuce of that time it was made and not at is they exist today. And on the other hand,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international law should be applied non-retroactively. Therefore the conquest over woosankuk by general Isabu of Shilla in 512 was valid acquistion of title under general rule of international law today. On account of the above-mentioned result, the basic policy to be planned by the authorities of the gonernment and the basic study to be schemed by the hislory scholars concerning the territorial sovereisnty over Dokdo should be established the historical title of 512. And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historical title to valid modern title such as the becree of Korean Empire No.41 of 1900.

      • 이사부, 우산국 복속과 그 역사적 의미

        손승철 한국이사부학회 2020 이사부와 동해 Vol.16 No.-

        서기 500년 왕위에 오른 지증왕은 왕의 칭호를 마립간에서 왕으로 바꾸고, 지방 행정구역을 주 · 군 체제로 정비하며, 국호를 ‘덕업일신(德業日新), 망라사방(網羅四方)’의 ‘신라(新羅)’로 정했다. 망라사방이란 신라의 국력을 사방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의미이다. 신라는 망라사방의 국가비전을 가지고 사방으로 영토를 확장했고, 특히 동해안으로 진출하면서 우산국과 충돌하였으나, 512년 우산국을 복속함으로서 동해의 제해 권을 확립하게 된다. 그러한 사실은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왜 관계 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현재 한국에서는 이사부(異斯夫)의 우산국 복속 기사를 가지고, ‘한국의 독도영유 권에 대한 역사적 권원(歷史的 權原)’을 주장한다. 역사적 권원이란 역사적으로 권리의 원천이 된다는 의미이다. 즉 이사부가 우산국을 신라의 영토에 편입했다는 것 (fact)이 한국영토라는 권리주장의 시작이며 증거라는 것이다. 우산국 복속에 성공한 이사부는 그 후 병부령이 되어 한강유역과 대가야 정벌을 주도했고, 국사를 편찬하는 등의 과업을 수행하며, 신라가 사방으로 발전하여 삼국 통일의 기반을 다지는데 지대한 업적을 남겼다. 결론적으로 이사부는 독도가 우리 영토라는 역사적 사실을 고증하는 인물이며, 남해의 이순신, 서해의 장보고와 함께 동해의 이사부로서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한국의 3대 해양영웅이다. King Jijeung who ascended the throne in 500 AD changed title of the king from Maripgan to King, improved local administrative division to state · county system, and set country name to Deokeopilsin, Mangrasabang of Silla, in which Mangrasabang means Silla is expanding its power in all directions. Silla having its vision of Mangrasabang expanded its territory in all directions and as it landed at the Eastern Coast, it clashed with Usan-guk. However, it subjugated Usan-guk in 512 and secured the command of the East Sea. This fact is found in the Wa-related entries in the Silla-bongi of the 《Samguk Sagi》. Currently, Korea claims ‘Historic Title of Korea’s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Dokdo’ based on the entries about Isabu’s subjugation of Usan-guk. Historic title means it can be the source of the right historically.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Isabu incorporated Usan-guk into Silla is the proof for the claim of the right that it is Korean territory. Isabu who successfully subjugated Usan-guk gained supreme military power since then, destroyed Han River region and Daegaya, accomplished tasks including compilation of Korean history, expanded Silla in all directions, and resulted in the great accomplishment to the foundation fo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In conclusion, Isabu is the figure who ascertains historical fact that he incorporated Dokdo into our territory and is one of the Korea’s three ocean heroes as Isabu of the East Sea together with Yi Sun-sin of the South Sea and Jang Bogo of the West Sea.

      • KCI등재

        독도에 대한 일본의 영역권원주장에 관한 一考

        朴培根(Pae-Keun Park) 대한국제법학회 2005 國際法學會論叢 Vol.50 No.3

        일본은 독도를 자국의 영토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 근거로 일본 정부가 제시하는 것은 독도가 일본의 고유영토라고 하는 것과 일본이 무주지인 독도를 선점하였다고 하는 것의 두 가지이다. 일본에 의하여 주장되는 이들 두 영역권원은 상호배제적인 것이다. 왜냐하면 고유영토인 자국 영토를 ‘무주지’로 선점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논리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일본이 독도에 대한 영유를 주장하는 경우에도 영역권원으로서는 고유영토와 선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제시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들 두 영역권원을 모순 없이 설명하기 위하여 일본 정부나 학자들은 선점이 근대국가로서 독도를 영유하는 의사를 재확인 한 것이라고 하거나 아니면 이미 유효하게 성립한 역사적 권원을 현대적인 요청에 따라 대체한 것 또는 原始的 權原을 確定的 權原으로 대체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일이 있다. 이러한 주장은 근대 국제법이 역사적 권원을 선점으로 대체할 것을 요구하는 일이 없고, 또 독도를 제외한 다른 많은 섬들에 대하여 일본이 역사적 권원을 선점으로 대체한 사례도 없다는 점에서 타당하지 않다. 무엇보다도 이른바 일본의 ‘독도 선점’과정을 살펴보면 일본은 명확하게 독도를 무주지로서 취급하였다는 것이 확인된다. 이 점에서는 일본의 여러 도서 선점 사례와 ‘독도의 선점’ 사이에 차이가 없다. 그러므로, 1905년의 독도편입조치의 과정과 그 밖의 일본의 도서 선점의 선례에 비추어 볼 때, 일본이 독도를 자국의 영토로 주장하는 경우에는 영역권원으로서는 선점을 제시하는 것이 사리에 맞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본의 독도 선점 주장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자료로 1933년 일본 외무성에서 편찬한 『國際法先例彙輯』제2권이 있다. 이 자료에는 “島嶼先占”이라는 제목이 붙어 있으며 당시까지 일본이 행한 도서편입의 사례가 모두 수록되어 있지만, 독도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비슷한 시기에 집필된 타치(立)의 논문이나 그밖의 일본 학자의 논문에서도 독도는 일본에 의하여 선점된 도서의 사례에서 누락된 경우가 보인다. 그 이유는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지만, 가능한 추측의 하나로는 독도가 일본의 선점의 대상이 아니었다는 인식이 일본 정부 내부에 존재하였기 때문일 수도 있다. The territorial titles over Dokdo (Liancourt Rocks,), on the basis of which Japanese government argues its territorial possession of it, are two: so-called original or historic title and occupation of terra nullius. However, these two territorial titles are mutually exclusive as no State can acquire new territory by occupying its own original territory. Therefore, it may be said that the Japanese government's argument of territorial title over Dokdo includes a contradiction in itself and it seems reasonable that Japan must choose only one title for its argument of territorial possession. Japanese government and scholars sometimes try to reconcile these two titles in relation with Dokdo. Japanese government explains that occupation of it has the meaning of reaffirming its intention to possess Dokdo. Japanese scholars explain that occupation substituted validly established historical title according to requirement of modern international law, or that occupation had the meaning of substituting solid title (occupation) for inchoate title (historic title). These explanation for the reconciliation of occupation and historic title lacks persuasive power because modern international law does not demand the substitution of occupation for historic title. In addition. Japan have never substituted occupation for historic title in relation with many islands possessed by it except Dokdo. Above all, when we review the process of Dokdo s incorporation into Japanese territory it is beyond any doubt that Japanese government treated Dokdo as terra nullius. In that, we cannot find any difference between the incorporation of Dokdo and that of other islands. Japanese government treated all islands, including Dokdo, as terra nullius before their incorporations. Therefore, it is the author's conclusion that if Japan want to claim its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Dokdo, it must choose occupation as its legal basis of the claim. There is one notable material concerning the Japanese government's argument of occupation of Dokdo. The volume 2 of Kokusaihosenreiishu (Collection of International Law Precedents), which contains the international legal precedents related with Japan and was published in 1933, is titled 'Occupation of Islands'. In this second volume, all precedents of incorporation of islands by Japan through occupation are collected. However, Dokdo is omitted from those precedents. An article concerning Japanese incorporation of islands, published at the similar time of Kokusaihosenreiishu and written by Tach,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international law scholar at the time, also shows that Dokdo is not referred in it as a precedent of island incorporation by Japan. The reason for this ommission is not clear yet. One possible inference is that the knowledge that Dokdo could not be an object of incorporation through occupation existed within the Japanese government through the times.

      • KCI등재

        국제법상 권원 법리에 대한 국제판례가 독도 주권 문제에 주는 함의

        김동욱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1 독도연구 Vol.- No.30

        영토주권을 수호한다는 측면에서 만약의 경우 독도문제가 국제재판소에 회부될 경우 이에 대한 사전준비가 필요할 것이다. 그것은 영토분쟁에 대한 국제판례의 이해와 분석을 통한 법리적 대비를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고유영토론과 실효적 주권행사를 내세우고, 일본은 고유영토론과 함께 1905년 무주지선점을 주장하고 있다. 독도문제가 국제법원에 회부될 경우 한·일 양국은 각각 독도 원시취득의 증거와 주권의 장기간에 걸친 실효적 행사, 무주지선점에 관한 증거를 제출하게 될 것이다. 영유권 판정에 관한 국제판례의 판단기준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조약과 현상유지법리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대부분 ‘실효적 주권행사’에 따라 인정했다는 점이다. 역사적 권원을 인정한 판례도 있지만 그 숫자는 매우 예외적일 정도로 작다. 실효적 주권행사와 관련된 최근의 도서영유권 판례는 분쟁도서에 대한 국가 권한의 평화적이고 계속적인 행사의 실체가 되는 다양한 증거들을 검토하여 우세한 증거를 제시하는 측에 승소판결을 내렸다. 도서영유권과 관련된 국제판례를 검토한 결과 사람이 거주하지 않고 격리된 도서 영유권 분쟁의 경우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갖는다. ① 조약 문안에 격리도서가 규정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 점. ② 현상유지법리가 적용될 여지가 거의 없다는 점, ③ 문헌과 기록 등 증거가 희박하고, 설사 있다고 하더라도 객관성 결여로 증거력 부여가 어렵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실효적 주권행사의 상대적 평가에 따라 권원을 인정하였다는 공통점을 도출할 수 있다. ICJ는 영토분쟁 사건의 해결을 위해 조약(treaty), 현상유지법리(Uti Possidetis Juris), 실효적 지배(effective control) 순으로 적용한다. 독도와 관련하여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의 해석이 우선될 것이며, 동 조약의 해석에 따라 결정이 되지 않을 경우 실효적 주권행사 여부에 따라 도서영유권이 결정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또한 한일 양국이 역사적 권원을 주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도 아울러 필요할 것이다. To defend the territorial sovereignty in terms of bridging the gap between Dokdo in case it is referred to the international court when the advance preparation is required. It means legal preparation through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international cases for territorial disputes. Republic of Korea is advocating original title and effective exercise of sovereignty on Dokdo, while Japan is insisting on preoccupying terra nullius in 1905 along with original title. If Dokdo has been referred to international court, each side will submit proofs on original acquisition of sovereignty, long-term effective sovereignty exercise evidence, preoccupying terra nullius. If you look at the common ground of the international cases on sovereignty judgment, most of them were recognized under the effective sovereignty exercise if the treaty and uti possidetis juris were not applied. There are cases in which historical titles are recognised, but the numbers are exceptionally small. Recent island dispute cases involving effective sovereignty have reviewed various evidence that is the true nature of the peaceful and continuing exercise of state authority over disputed islands and ruled in favor of those who present dominant evidence. As a result of reviewing international cases related disputes over the sovereignty of islands isolated without human residence have the following commonalities: ① The fact that remote islands are rarely defined in treaty documents. ② The fact that there is little room for the uti possidetis juris to be applied, ③ and that evidence such as literature and records is scarce, and even if there is, it is difficult to give evidence due to lack of objectivity. Consequently, the relative assessment of effective sovereignty can lead to the recognition of the recommendation. The ICJ applies treaty, uti posidetis Juris, and effective control in order when resolve territorial disputes. Analysis of San Francisco Peace Treaty with regard to Dokdo will be the first place, effective sovereignty exercise will be more likely to be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island if decisions are not in accordance with the interpretation of treaty. Further consideration will also be needed given that both Korea and Japan claim historical tit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