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육서비스품질이 여가만족 및 여가태도에 미치는 영향

        염두승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유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육서비스 품질이 여가만족 및 여가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으며, 대상은 2021년 현재 강원지역(춘천, 원주, 강릉, 삼척)에 위치해 있는 대학의 유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추출하여 188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첫째, 유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육서비스품질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형성은 환경적 만족, 심리적 만족에 신뢰성은 생리적 만족, 교육적 만족, 환경적 만족에, 반응성은 생리적만족, 환경적만족, 심리적만족, 사회적만족에, 확신성은 생리적 만족, 교육적 만족과 사회적 만족에 공감성은 교육적 만족, 심리 적 만족, 사회적 만족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육서비스품질이 여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형성은 인지적 태도, 정의적 태도, 행동적 태도에 신뢰성은 인지적 태도, 정의적 태도, 행동적 태도에 반응성은 행동적 태도에 공감성은 인지적 태도, 정의적 태도, 행동적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육서비스품질과 여가만족 및 여가태도 간의 인과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leisure attitude in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s perceived by international students. data of 188 people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leisure satisfaction perceived by international students, tangible is environment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reliability is physiolog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responsiveness is physiologic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leisure attitudes perceived by international students, tangible is cognitive attitude, affective attitude and behavioral attitude, reliability is cognitive attitude, affective attitude and behavioral attitude are behavioral. empathy to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ttitud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international students, leisure satisfaction, and leisure attitude.

      • KCI등재후보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이 만족과 여가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흔(Kim Ji He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이 만족과 여가태도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크게 4가지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이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둘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이 여가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셋째, 만족이 여가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넷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과 여가태도의 관계에서 만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규명한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지역의 K수영장, N수영장, Y수영장을 이용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신뢰확신성, 유형성, 공감성은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응답성, 신뢰확신성, 유형성 순으로 여가태도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요인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신뢰확신성, 응답성, 공감성 순으로 여가태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요인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응답성, 신뢰확신성, 공감성, 유형성 순으로 여가태도의 하위요인인 행동적 요인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은 여가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과 여가태도의 관계에서 만족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fluencing rel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nd leisure attitude and satisfaction. Followings are 4 purposes largely classified specifically. First, it clarifies how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ffects satisfaction. Second, it clarifies how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ffects leisure attitude. Third, it clarifies how satisfaction affects leisure attitude. Fourth, it clarifies if satisfaction plays an intermediary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leisure attitude and sports culture environment. Research targets were ordinary people who use K, N, Y swimming pool located in Gwangju and answered the survey, and total 200 copies were used in final analysis. SPSS 20.0 program was utilized for data management and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after implementing frequency analysis, relianc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First, reliance confidence, materiality, sympathy that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Second, responsiveness, reliance confidence, materiality which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factor which is the subfactor of leisure attitude in order. Also, reliance confidence, responsiveness, sympathy in order which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factor which is the subfactor of leisure attitude. Finally, responsiveness, reliance confidence, sympathy,materiality in order which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factor which is the subfactor of leisure attitude. Third, satisfaction was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leisure attitude. Fourth, satisfaction was shown to have an intermediary role in rel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nd leisure attitude. 본 연구는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이 만족과 여가태도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크게 4가지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이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둘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이 여가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셋째, 만족이 여가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넷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과 여가태도의 관계에서 만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규명한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지역의 K수영장, N수영장, Y수영장을 이용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신뢰확신성, 유형성, 공감성은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응답성, 신뢰확신성, 유형성 순으로 여가태도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요인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신뢰확신성, 응답성, 공감성 순으로 여가태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요인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응답성, 신뢰확신성, 공감성, 유형성 순으로 여가태도의 하위요인인 행동적 요인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은 여가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과 여가태도의 관계에서 만족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fluencing rel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nd leisure attitude and satisfaction. Followings are 4 purposes largely classified specifically. First, it clarifies how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ffects satisfaction. Second, it clarifies how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ffects leisure attitude. Third, it clarifies how satisfaction affects leisure attitude. Fourth, it clarifies if satisfaction plays an intermediary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leisure attitude and sports culture environment. Research targets were ordinary people who use K, N, Y swimming pool located in Gwangju and answered the survey, and total 200 copies were used in final analysis. SPSS 20.0 program was utilized for data management and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after implementing frequency analysis, relianc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First, reliance confidence, materiality, sympathy that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Second, responsiveness, reliance confidence, materiality which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factor which is the subfactor of leisure attitude in order. Also, reliance confidence, responsiveness, sympathy in order which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factor which is the subfactor of leisure attitude. Finally, responsiveness, reliance confidence, sympathy,materiality in order which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factor which is the subfactor of leisure attitude. Third, satisfaction was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leisure attitude. Fourth, satisfaction was shown to have an intermediary role in rel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nd leisure attitude.

      • KCI등재후보

        대학 교양 골프수업의 재미요인이 여가태도 및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은정,송은일 한국스포츠학회 2016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4 No.4

        이 연구는 교양 골프 수업 재미요인이 여가태도 및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교양 골프 수업 수강생 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총 199명의 설문 응답이 최종분석 자료로써 사용되었으며,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의 통계적 검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재미요인의 하위요 인인 성취감은 여가태도의 모든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능감은 여가태도의 하위요인인 정의 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 사회만족과 성취감은 여가태도의 하위요인인 행동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인 유능감은 여가만족의 하위요인인 휴식적 만족을 제외한 모든 여 가만족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취감은 여가만족의 모든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개인사회 만족은 여가만족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태도 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태도와 정의적 태도는 여가만족의 모든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동적 태 도는 심리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factors of the fun of the educated golf lessons are conducted on the liberal golf lessons students Let's examine the impact on the leisure attitude and leisure satisfaction, 199 people of questionnaire is used as the final analytical materials cage, using the SPSS18.0 statistical program, using a statistical test of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derive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of all, it is related to personal achievement of the ability of the sub-factors of fun to all of sub-factors of active leisure attitude. Competence it has been associated with cognitive attitude to the sub-factors of active leisure attitude. Personally, it is related to the attitude of actively define attitudes and behavior social satisfaction and ability. Second, the competence of sub-factors of enjoyment were effected on all sub-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except relaxation and social satisfaction. Personal accomplishment was effected on all sub-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Also, individual social satisfaction was effected on all sub-factors except environmental satisfaction of sub-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Third, the cognitive attitudes to sub-factors of leisure attitudes were effected on all of the sub-factors of the leisure satisfaction. Behavioral attitudes were effected on all of the sub-factors of the leisure satisfaction excepted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 KCI등재

        대학 교양체육 참여자들의 심리적 웰빙이 여가태도 및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태형,윤상문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대학 교양체육 참여자들의 심리적 웰빙이 여가태도 및 여가만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으며, 대상은 2019년 현재 영동지역(강릉, 동해, 삼척, 속초)에 위치해 있는 대학교의 재학생들 중 교양체육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 을 모집단으로 추출하여 183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첫째, 대학 교양체육 참여자들의 심리적 웰빙과 여가태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아수용은 인지적태도와 행동적 태도에 자율성은 정의적 태도에 삶의 목적은 인지적 태도와 행동적 태도에 긍정적 대인관계, 환경에 대한 통제력과 개인적 성장은 인지적 태도, 정의적 태도와 행동적 태도 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교양체육 참여자들의 심리적 웰빙과 여가만족의 관계를 분 석한 결과 자아수용은 생리적 만족, 환경적 만족, 심리적 만족과 사회적 만족에 긍정적 대인관계는 생리적 만족, 환경적 만족과 심리적 만족에 자율성은 환경적 만족과 심리적 만족에 환경에 대한 통제력은 생리적 만족과 심리적 만족에 삶의 목적은 교육적 만족에 개인적 성장은 생리적 만족, 환경적 만족과 심리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셋째, 대학 교양체육 참여자들의 심리적 웰빙과 여가태도 및 여가만족간의 인과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leisure attitude and leisur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Firs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 - being and leisure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showed that self - acceptance was related to cognitive attitude and behavioral attitude, autonomy was positive attitude, life purpose was positive attitude toward cognitive attitude and behavioral attitude, Environmental control and personal growth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ve attitude, positive attitude and behavior attitude, respectivel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 - being and leisur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sports, it is found that ego acceptance is positively related to physiologic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were related to physiological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ird, there wa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 - being, leisure attitude and leisur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태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여가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안병욱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The study aimed to effect of leisure support and leisure constraints on life satisfaction for extreme sports participants. A total of 179 adults from Seoul, In-chon, Gyeonggi, and Chungcheng-do were recruited. I conducted frequency, reliability, confirmatory factor, correction, and structure equaling modeling analyses using PASW Statistic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leisure attitude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n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eisure satisfaction; (2) leisure attitude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nts had no influence on psychology happiness; (3) leisure satisfaction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nts had no influence on psychology happiness. Leisure satisfaction has no mediating effect between leisure at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owever, leisure attitud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leisure satisfaction, so we need to develop infrastructure which it continue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y. 본 연구는 한국의 여가활동 참여자들의 여가태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여가만족이 매개변인으로서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179명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모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태도는 여가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태도는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만족은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가활동에 대한 참여자들의 태도, 즉 여가태도는 여가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심리적 행복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가만족은 여가태도와 심리적 행복감 간에 매개효과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여가태도가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지속적으로 여가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평생학습사회에서 청소년의 여가활동성향, 여가지원환경, 자율성이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애리(Ae Ri Han),김정현(Jeong Hyun Kim)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22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8 No.3

        목적: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에 개인의 선택과 관심을 나타내는 여가활동과 관련하여 청소년의 여가활동성향과 이들의 여가지원환경이 자율성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평생학습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청소년시기에 입시위주의 지식교육 외에 미래에 새로 등장할 지식과 기술을 다루는 법을 배울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입시위주의 삶을 살고 있는 청소년들의 삶의 질 향상과 해당시기에 배워야할 자기주도적 학습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여가활동 관련 변인을 통해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2021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 놀이 및 스포츠 활용실태조사에 응답한 고등학생 924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통계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이다. 결과: 청소년의 여가활동성향은 자율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가지원환경은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청소년의 여가지원환경과 자율성은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가활동성향은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여가활동성향 및 여가지원환경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의 관계에 있어서 자율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여가활동성향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의 관계에서 자율성이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에 바탕하여, 여가활동 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청소년들의 자율성 및 자기주도적인 학습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leisure time activity, leisure environment, autonomy, and a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Considering leisure activity should not be understood separately from learning activity in adolescents’ lives, it is necessary to explore leisure activity-related variables to promote adolesc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Method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of 924 high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on adolescents’ play and sport activity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eisure time activity positively affected autonomy, but leisure environment didn’t. Second, both the leisure environment and autonomy positively affected the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but leisure time activity didn’t affect the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Finally, results of mediation analyses showed that autonom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ctiv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Conclusio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draw the implications necessary for encouraging adolescents' autonomy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by reconfirming the value of adolescent leisure activity. Results were interpreted and implications to adolescent education were included at the end of research.

      • KCI등재

        한국과 중국 대도시 거주자의 여가태도와 여가경험 비교

        고동우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8 No.2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overall leisure attitude and leisure experi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Overall leisure attitude, subjective leisure experiences, most frequently participating leisure activity, most pleasurable leisure activity, and different correlated patterns of leisure attitude and sub-dimensions of subjective leisure experienc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All six hypotheses were tested on the data sampled from 300 Korean and 200 Chinese who live in metropolitan.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Korean sample had higher leisure attitude, than Chinese. Second, each 5 sub-dimensions of subjective leisure experiences were differently perceived between two groups. Third, most frequently participating leisure activity and most pleasurable leisure activ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nd finally, the difference of correlated patterns of leisure attitude and every sub-dimensions of subjective leisure experiences were identified on two samples. In discussion and conclusion, som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included. 본 연구는 여가문화 수준이 다르다고 가정되고 있는 한국인과 중국인을 대상으로 여가태도와 여가경험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전반적 여가태도, 주관적 여가경험, 가장 자주 참여하는 여가활동, 가장 즐거운 여가활동 유형을 비교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주관적 여가 경험의 하위 차원별로 여가태도에 관련된 패턴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도시 거주자 중 한국인 300명과 중국인 2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6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여가태도는 예상했던 것처럼 한국인 집단에서 더 높게 지각되었고, 여가경험의 하위 차원별 지각 수준은 두 집단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가장 자주 참여하는 여가활동 유형과 가장 즐거운 여가활동 유형도 두 집단에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여가 경험의 하위 차원별로 여가 태도에 관련된 패턴도 두 집단에서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여가 태도와 경험에 대한 국제간 비교 연구로서 의의를 지니며, 논의에서는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노인 여가교육 프로그램이 여가태도와 여가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전영숙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8 임상사회사업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의 여가태도와 여가유능감 차원에서 노인 여가교육 프로그 램의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로는 첫째, 여가교육 프로그램이 노인의 여가태도에 영향을 주 는가, 둘째, 여가교육 프로그램이 노인의 여가유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로 설정하였다. 연구문 제들의 해답을 얻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소재한 두 곳의 노인 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60 세 이 상의 노인들 가운데 복지관에 등록한 지1 년이 되지 않은 노인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2 회 실시하였 으며 실험집단이 17명, 대조집단이 16명으로 총 33명이었다. A 복지관의 경우 실험집단이1 2명, 대조집 단이 10명으로 총 22명이었으며, B 복지관은 실험집단이5 명, 대조집단이 6명으로 총 11명이었다. 연구 도구로는 여가태도척도와 여가진단척도 중 지각된 여가유능감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여가교 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대조집단에 비해 여가태도의 변화가 긍정적으로 높아졌으며, 실험집 단은 대조집단에 비해 여가유능감의 변화가 긍정적으로 높아졌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본 여가교육 프로그램이 여가태도와 여가유능감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여가욕구와 여가에 대한 인식, 자신에 대한 인식, 여가목표, 여가대안과 자원, 자기결정으로 구성된 여가교육 프로그램은 노년을 맞아 여가생활을 시작하려는 노인들에게 여가태도, 여가유능감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ect of a leisure education program on a leisure attitude and perceived leisure competence among community residing elderly persons. In order to attain such purpose of study, the following two research issues were set up in this study. First, does leisure education program affect the change of leisure attitude by the aged persons? Second, on what effect leasure education program has for the perceived leisure competence among elderly persons? Leisure education program for the aged person consisted of leisure desire, awareness to leisure desire, awareness to self, leisure goal, leisure alternatives and resource, and self-determination. The program in this research was executed in 2 times for subject of the aged persons who were not over 1 year since registration to settlement house among old people with the age over 60 who make use of A, B settlement houses for the old people located in Seoul. The subjects were totally 33 persons by 17 persons in experimental group and 16 persons in control group. Summary of research result induced by the analysis is as follows: 1) The attitude for leisure by the participant in leisure education were positively higher after being participated in leisure education program than non-participants. 2) The Perceived leisure competence for leisure by the participant in leisure education were positively higher after being participated in leisure education program than non-participants. The effect to improve attitude for leisure and perceived leisure competence was confirmed in this leisure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above result. Hence, leisure education program being composed of leisure desire, self awareness, leisure goal, leisure alternatives and resource, and self-determination could be presented as the effective program to improve attitude for leisure, and perceived leisure competence for old people who try to start leisure life in old age on the spot of practice setting afterwards.

      • KCI등재후보

        관광전공 대학생의 인지적 여가태도, 대인적 여가 제약, 진로성숙과의 영향관계 연구

        양진연 ( Jin Youn Yang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5 Tourism Research Vol.40 No.4

        본 연구는 관광전공 대학생들의 인지적 여가태도와 대인적 여가제약이 진로성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설문은 경남에 위치한 관광전공 대학생 남·여를 대상으로 350부를 배부하여 최종 328부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Ver21. 0program을 이용한 단순회귀분석(regressionanalysis)결과 첫째, 인지적 여가태도는 진로성숙(결정성, 준비성, 독립성)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지적 여가태도는 진로성숙(확신성, 목적성)요인과 긍정적 영향관계는 형성되지 않았다. 둘째, 대인적 여가제약은 진로성숙(결정성, 준비성, 확신성, 독립성)요인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형성되지 않았으나 대인적 여가제약은 진로성숙(목적성)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이 인지하는 여가활동에 대한 여가태도는 진로성숙에 대부분 긍정적으로 영향관계가 형성되었다. 또한 대학생의 대인적 여가 제약은 진로성숙 요인 중 목적성에만 영향을 미쳐 아무리 여가활동에 제약이 주어지는 상황이라고 하여도 진로성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학생들이 여가를 할 수 없는 상황일지라도 여가에 대한 태도 자체만으로 진로성숙에 긍정적 영향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의 진로성숙을 위해서는 여가활동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학은 대학생들의 여가에 대한 인지적 여가태도 형성을 위해 진로교육 및 진로설계 과정에서 여가활동의 중요성을 담은 여가교육을 포함한 총체적인 진로교육 시스템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여가태도와 여가제약에 관한 측정척도에 관한 심도있는 검증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impact of students`` attitudes and cognitive leisure for personal leisure constraint on the career maturity.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this study recruited participants from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Tourism in Gyeongnam. 350 survey were distributed and 328 effective survey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21.0 program were as follows. First, Cognitive-leisure at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maturity(career decisiveness, preparation, independence). but, Cognitive-leisure attitud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maturity(confidence, goal orientation). Second; Leisure constrain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maturity(career decisiveness, preparation, confidence, independence). but, Leisure constrai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maturity(goal orientation). In other words, university students`` attitude toward leisure activiti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areer maturity. Interpersonal leisure constraints of university students affected only goal orientation of career maturity factor, and, thus does not affect career maturity even in the situation of leisure constraints. Even in a situation in which university students are constrained to have leisure time; the attitude toward leisur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areer maturity. This study concluded that it is important to have leisure activities in developing career maturity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Therefore, for the development of leisure cognitive attitude form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university should create overall education system including leisure education containing the importance of leisure activities in the career education and career design proces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future research to develop measurement scale measuring leisure attitude and leisure constraints through in-depth verification process.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의 애정-합리적 설명형 양육태도가 여가만족 및 여가제약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인경,김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ther’s rearing attitude and leisure satisfaction/leisure constraint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convenient sample drawn from 448 students from eleven junior high school in Seoul area.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ho perceived their father’s rearing attitude as affection-rational explanation performed more of out-door leisure activity with their family. Perceived father’s rearing attitude and self-efficacy was positively related with leisure satisfaction but negatively related with leisure constraint. In addition,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ther’s rearing attitude and leisure satisfaction/leisure constraint. These results suggest the leisure activity could be increased by father’s rearing attitude through improving self-efficacy. Therefore, to improve the leisure activity through increase of leisure satisfaction and decrease of leisure constraint, father should raise their children in love and help to grow their self-efficacy.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자녀가 지각하는 아버지의 양육태도, 여가만족 및 여가제약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지각된 아버지의 애정-합리적 설명형 양육태도와 여가만족 및 여가제약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11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448명의 남녀학생이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조사결과, 청소년들이 아버지의 양육태도를 애정-합리적 설명형으로 지각할수록 가족과 여가활동을 하고 있거나 하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활동으로는 야외활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만족과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아버지의 애정-합리적 설명형 양육태도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여가제약은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지각된 아버지의 애정-합리적 설명형 양육태도와 여가만족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중 자신감과 자기조절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여가제약과의 관계에서는 자기효능감 중 자신감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여가만족을 높이고, 여가제약을 낮춤으로써 여가활동을 늘리기 위해서는 아버지의 애정을 바탕으로 한 합리적인 양육방식과 함께 청소년들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