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몸의 언어로서의 문학적 언어

        박준상(Park Joon-Sang)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6 No.2

        이 글은 ‘신자유주의적’이라고 불리는 이 시대에 문학이 가능한가라는 물음 아래에서 씌어졌다. 그러나 그 물음은 제도적 차원이나 역사적 차원에서 문학이라는 예술이 살아남을 수 있는가라는 물음이라기보다는 어떠한 형태의 언어가 이 시대의 지배적 이데올로기인 신자유주의에 저항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이다. 신자유주의는 모든 이데올로기들과 마찬가지로 그 자체가 확산되고 광범위하고 확고한 힘을 갖게 되는 데에 필요한 경제적?정치적 권력은 말할 것도 없고 이론적 권력도 보유하고 있다. 어떤 중심 이데올로기가 군림하는 모든 사회에서와 마찬가지로 신자유주의 사회에서 지배적 사고는 지배계급(즉 자본의 귀족들)의 사고이다. 신자유주의는 지금까지 융성했던 모든 이데올로기의 적나라한 실상과 최종 귀착점을 보여준다. 지금까지의 모든 이데올로기가 겉으로는 어떤 고상하거나 숭고한 이상(理想)을 표방했을지라도 궁극적으로 한 지배 계급의 부와 권력을 창출하고 유지시키는 데에로 귀결되었다면, 신자유주의는 사실상 어떤 이상의 신비화에?적어도 ‘자유’라는 이상에 전면적으로?의존하지 않고, 노골적이고 직접적으로 계급적 부와 권력을 옹호하는 이데올로기이다. 그것은 모든 이데올로기의 결론이었던 것을 향해 치장하지 않고 곧장 달려간다. 그러나 모든 이데올로기와 마찬가지로 신자유주의는 오직 사회적이자 개인적인 의식들만을 지배할 수 있으며, 여전히 의식 이전 또는 이후의, 의식 안에 완전히 갇혀 있지 않은 언어의 원천으로서의 몸의 언어가 있다. 우리는 이 글에서 그러한 몸의 언어가 어떻게 문학적인지 묻고자 했고 또한 어떻게 신자유주의의 지배적 언어에 저항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 KCI등재

        언어 이데올로기와 계승어 교육에 대한 고찰

        김대희 ( Dae Hee Kim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3 No.-

        이 연구는 언어 이데올로기와 계승어 교육의 관계를 탐구함으로써 다문화 사회에서의 계승어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문화 사회가 사회 통합을 능동적인 형태로 지향하기 위해서는 소수 집단이 지닌 언어와 문화에 대한 가치관을 인정하는 것이 출발점이다. 특히 언어 문제에 있어서는 소수 집단이 지닌 언어 이데올로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언어 이데올로기는 계승어에 대해 언어적 태도와 행동을 조정하기 때문이다. 계승어 교육과 관련한 언어 이데올로기는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하나는 계승어에 개인적 또는 사회적으로 긍정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언어의 사용을 장려하고 전수하려는 친계승어 이데올로기이며, 또 다른 하나는 계승어를 공용어 습득의 간섭 요인으로 간주하여 주류 사회로의 빠른 적응과 흡수를 위해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반계승어 이데올로기이다. 계승어 교육에 대한 교육적 시도는 한국 사회와의 능동적 통합을 구현할 수 있는 긍정적인 가치를 지닌다. 계승어 교육의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소수 언어 습득 및 사용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시켜야 한다. 둘째, 다문화 가족 내 소통을 위한 ``가족 언어 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셋째, 언어 습득을 위한 가족 내 역할 구조를 설정하여야 한다. 넷째, 다문화 가족 외부에서의 계승어 소통 기회를 확대하고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directions of heritage language in multicultural society by exploring the correlation between language ideology and heritage language education. A society should embrace the values and briefs of minority group to attain the positive social integration. Especially, in language usage the mainstream society need to take note the language ideologies. Because the language ideology controls the linguistic attitude and behavior about heritage language. Language ideologies operating in heritage language education can be gauged on a continuum of pro-heritage language ideology on one end and anti-heritage language ideology on the other. The former promotes the use of heritage language by authorizing the meaningful valuation individually and socially.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opposes the heritage language education because it interferes in early adaptation to mainstream society. The directions for heritage language education are as below: 1) the spread of positive awareness about the acquisition and use of minority language, 2) the establishment of family language policy, 3) the setting up family role structure, and 4) the expansion of communication opportunity through heritage language.

      • KCI등재

        한국의 여성 관련 속담과 언어 이데올로기

        장안영 ( Jang An You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1 동양문화연구 Vol.35 No.-

        본고는 여성 관련 속담의 언어 이데올로기와 그 사회적 면모를 살펴보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한국 속담에는 사회 속 여성의 역할과 모습을 잘 보여준다. 속담 속 여성들의 면모와 세계관이 형상화되어 있고, 이들이 처한 사회 문화적 특수성이 선명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속담이라는 하나의 언어가 사회구조를 반영하기도 하지만 거꾸로 사회구조는 언어의 틀에 맞춰 만들어지기도 한다. 여기서 속담이라는 언어의 기본 기능을 살펴보면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이루어진 의사소통의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어떠한 언어가 실현되려고 할 때, 이것은 특정한 상황에 놓인 사회관계를 통해 규정되며 생활과 이데올로기에서 추출된 의미와 내용을 포함한다. 따라서 속담이라는 언어의 역할은 집단 내의 개인적 자아가 사회를 통해 명료해지며 그것이 사회언어적 존재가치가 된다. 당시 사회가 언어 이데올로기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엄청난 파급력과 지속력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정당성을 부여 받으면서 여성들에 대한 언어적 비하 발언을 서슴없이 할 수 있었던 것이다. 특히 언어 이데올로기적 담화는 개인들이 자기실천으로서 현실개입하며 인간 주체 문제에 접근하는 틀을 제공한다. 그러기에 속담이라는 언어를 통해 특정한 사회집단의 이데올로기적 현상을 볼 수 있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nguistic ideology of proverbs related to women and their social aspects. Korean proverbs show the role and appearance of women in society well. This is because the faces and worldviews of women in the proverb are embodied, and the socio-cultural specificity they face is clearly revealed. A single language of proverb is also a reflection of social structure, but conversely, social structure is also made to fit the framework of language. In other words, the aspect that life defines consciousness emerges from the way consciousness defines life. Here, looking at the basic function of a language called proverb, it can be said to be a means of communication made in a social context. However, when a language is about to be realized, it is defined through social relations in a specific situation and includes meaning and content extracted from life and ideology. Therefore, the role of language as a proverb is that the individual ego within the group becomes clear through society, and it becomes the value of language and social existence. At that time, society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language ideology and had a tremendous range of ripples and persistence, so it was possible to make verbal derogatory remarks against women without hesitation while receiving justification. In particular, linguistic ideological discourse provides a framework for individuals to approach the problem of human subjects related to reality intervention into self-practice. Therefore, through the language of proverb, we were able to see the ideological phenomenon of a specific social group.

      • KCI등재

        언어 이데올로기(language ideology)의 교육적 가치 - ‘차별 언어’ 교육에 대한 적용을 중심으로 -

        송주호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2

        이 연구의 목적은 ‘언어 이데올로기(language ideology)’가 차별 언어 교육에 적용될 만한 충분한 교육적 가치가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차별 언어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은 국어 교육이 담당해야 할 시대적과제이기에 적절한 교육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언어 이데올로기를 활용한 차별 언어 교육은 문법 교육의 가치를 확고히 할 것이다. 본고는 이에 따라 차별 언어에 대한 교육 방향을 설정할 때사회언어학과 언어인류학에서 주로 연구되고 있는 언어 이데올로기 이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함을주장하는 바이다. 이것에 대한 합당한 근거를 밝히기 위해 본고는 우선적으로 언어 이데올로기에 따른언어 선택이 개인의 정체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것임을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밝히고, 이를 활용하여 차별 언어의 교육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미국 한국어 학교 환경에서의 이중언어 발달에 관한 사례연구

        김정숙 ( Kim Jung Sook ) 이중언어학회 2017 이중언어학 Vol.69 No.-

        이 연구는 미국 한인공동체에서 생활하는 이중언어 발현단계 학습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언어이데올로기가 학습자의 이중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다. 세계화는 언어 문화적 경계를 넘나들며 유동적 삶을 사는 학생들의 학습경험과 언어사용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기존의 제2언어 교육은 근대 국가적 단일 언어주의를 근간으로 이뤄져 왔다. 제한적 언어이데올로기에 근간한 기존 이중언어 교육은 다문화, 다언어 학습자들을 위한 교육학적, 이념적 실천 공간을 마련하기에는 부족하다. 이 연구는 언어학습자의 다양한 문화적 언어적 경험을 수용하는 통합적 언어교육에 이론적 기반을 두고 언어이데올로기와 학습자의 언어학습경험을 탐구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 다언어 환경에서 언어이데올로기와 다양한 문화적 언어적 배경을 지닌 학생들의 언어학습과 사용에 대한 이해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오하이오주립대학교)

      • KCI등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Immigrant Language Maintenance and Language Ideology

        Mihyon Jeon(전미현),Daehee Kim(김대희)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언어 이동과 언어 전환에 관한 언어 상실, 유지, 그리고 재활성화의 개념에 대한 검토에 기초하여 이민자들의 언어 유지와 언어 이데올로기 사이의 상관성을 탐구하는 데 있다. 두 개 이상의 언어가 특정 맥락에서 접촉할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언어 유지, 손실 및 언어 재활성화라는 세 차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언어 유지란 특정 언어 커뮤니티에서 특정 언어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언어 상실은 특정 언어 사용 집단이 더 이상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언어 활성화는 특정 언어의 사용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소수 언어에 새로운 언어 형태나 사회적 기능을 추가하려는 시도이다. 언어의 재활성화는 언어의 전환과 관련이 있다. 이민자의 계승어 유지는 소수민족 언어와 더불어 이민사회의 공용어 내지 다수가 사용하는 언어를 동시에 습득하는 이중언어 발달을 최종 목적으로 한다. 언어의 유지와 활성화 과정에서의 권력의 작용은 매우 중요하다. 언어 이동과 유지 및 이중어어 발달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권력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언어 상실, 유지, 활성화에 대한 연구에서는 권력 관계에 대한 인식과 함께 언어 이데올로기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언어 이데올로기는 언어 자원이 어떤 사회에서는 검증되고 어떤 사회에서는 무효화되는 기존의 권력 관계의 합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사회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언어 이데올로기의 형태는 기존의 권력 관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anguage maintenance and language ideology of immigrants based on a review of the concepts of language loss, maintenance, and revitalization regarding language shift and reversing language shift. In order to understand what happens when two or more languages come into contact in a specific contex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ree dimensions: language maintenance, loss, and language reactivation. Language maintenance refers to the continuous use of a specific language by a specific language community. Language loss means that a specific language-speaking group no longer uses the language. Language revitalization is an attempt to add a new language form or social function to minority languages with the aim of increasing the use of a specific language. Revitalization of language is related to reversing language shift. In considering the process of maintenance and revitalization of language, the issue of power relations is crucial.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language shift and maintenanc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power. Also, in the study of language loss, maintenance, and revitalization,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language ideology alongside an awareness of the relationship of power. Language ideology can contribute to the legalization of the existing relations of power in which linguistic resources are verified in some societies and invalidated in others. The form of language ideology held by members of society can be formed by the existing relations of power.

      • KCI등재

        크로아티아 ‘언어 순수주의’에 나타나는 인종적 우스타샤 언어 이데올로기

        권혁재(Hyok Jae Kwo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24 동유럽발칸연구 Vol.48 No.1

        크로아티아어는 현재 크로아티아 공화국의 단일 ‘국가어(national language)’다. 또한, 크로아티아 민족을 대표하는 민족어이고, 상징이다. 1991년 독립과 함께 크로아티아는 크로아티아 민족의 정체성 확립과 세르비아어와 차별되는 순수한 크로아티아어의 완성을 최우선 국가과제 중 하나로 설정한다. 이 시기 크로아티아 언어정책을 일반적으로 ‘크로아티아 순수주의’라 설명한다. 크로아티아 초대 대통령 투지만(Franjo Tuđman)이 주도했던 ‘크로아티아 순수주의’는 민족주의 기반 언어정책이었고 원칙적으로 크로아티아어 순수성을 훼손하는 모든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었다. 이전의 역사에서 크로아티아 민족의 순수성을 극단적으로 강조한 시기는 ‘크로아티아 독립국(NDH)’이었다. 우스타샤 이데올로기의 현실적인 국가 모델이었던 NDH는 ‘혈통과 언어’의 원칙에 따른 인종 정책과 언어정책을 시행한다. 두 시기 언어정책의 배경과 전개 방식은 외형적으로는 다르다, 그러나 투지만의 민족주의 기반 ‘크로아티아 순수주의’에는 NDH의 ‘혈통과 언어’ 이데올로기의 기본 원칙이 숨어져 있다. 이 연구는 인류언어학(anthropological linguistics) 기반 파벨리치(Ante Pavelić)의 언어 순수주의와 ‘하나의 언어=하나의 민족=하나의 영토’라는 낭만주의 민족주의 기반 투지만의 ‘크로아티아 순수주의’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Croatian is the common language of the Republic of Croatia, the national language representing the Croatian people, and the core national symbol. After independence in 1991, Croatia sets priorities to complete the identity of pure Croatian people, which is different from Serbian, and to recreate the Croatian language for this purpose. The core of Croatian language policy is generally described as ‘Croatian purism’. Croatian purism, led by only fighting spirit, is, in principle, to remove all elements that undermine Croatian purity. The ideology that extremely emphasized the purity of the Croatian people in Croatian history comes from Ustasia. The Croatian Independent State (Nezavista Država Hrvatska: NDH), which was a practical aspect of Ustasia, implements ‘language purism’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blood and language’. The situation and development method of the two-lingual purism are very different, but in ‘Croatian purism’ unique to fighting spirit, some aspects of NDH's ‘blood and language’ ideology appear. This study studies NDH's linguistic purism based on Ustasia’s racial ideology and ‘Croatian purism’ based on the romantic nationalism of ‘one language = one territory’ from an ethnolingustic perspective.

      • KCI등재

        한문 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언어 이데올로기에 대한 연구

        김대희 한국한문교육학회 2023 한문교육논집 Vol.61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한문 텍스트 이해능력을 향상시키고 한문 교과서의 질적 제고를 견인하기 위해서 교과서 도서 편찬 기준 및 교과서 삽화의 기능에 대한 탐구를 토대로 한문 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언어 이데올로기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 연구가 한문 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언어 이데올로기에 초점을 둔 이유는 한문 교과서의 편찬과 사용에 있어서 언어 이데올로기가 작용하기 때문에 삽화를 통해 표상되는 메시지가 언어 사용과 사회적 인식을 어떻게 매개하는지를 고찰하기 위함이다. 교과서의 삽화는 언어적 메시지를 해석하고 언어적 태도와 행동을 조율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한문 교과서에 나타난 삽화의 면면을 들여다보는 것은 미래사회를 살아가야 하는 학생들에게 균형 잡힌 사고와 성찰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문 교과서의 삽화에 드러난 편향된 이데올로기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삼았다. 이 연구에서 언급한 편향된 이데올로기는 크게 네 가지이다. 첫째, 외국인 이미지에 대한 편견이다. 외국인은 백인이라는 편견은 외국인에 대한 차별과 배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 한국 사회의 다양성을 저해할 수 있고, 한국인의 세계관을 제한할 수 있다. 둘째는 청백리 이미지에 대한 편견이다. 한국 사회에서 청렴한 관리가 가난하다는 편견은 역사적ㆍ정치적ㆍ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일부 위인에 대한 소박함과 존경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차용된 그릇된 이데올로기이다. 이 편견은 청렴함과 가난함의 관계를 단순화시켜 청렴함의 가치를 훼손한다. 셋째, 가족의 형태에 대한 편견이다. 정상가족 이데올로기라고도 불리는 이것은 가족의 구성 양상의 다양성을 무시하고, 부모와 자녀로 이루어진 가족의 형태를 이상적인 모습으로 묘사한다. 또한 가족 내 구성원의 역할을 표상할 때, 남성은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사람, 여성은 집안일과 육아를 담당하는 존재로 그리는 것도 가족에 대한 편견이다. 넷째, 관직의 우월성에 대한 편견이다. 이백이나 두보와 같은 거장에게 관복을 입힘으로써 관직의 우월성이라는 이데올로기를 씌워 시인의 명성을 높이고자 한 의도이다. 한문 교과서 삽화에 감추어진 편향적 이데올로기를 비판적 관점으로 분석하는 작업은 한문 텍스트를 분석하고 의미 구성에 기여하고 균형 잡힌 사고를 형성하여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deology shown in the illustrations of Classical Chinese textbooks to improve learners' understanding of Classical Chinese text and to drive the quality improvement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 textbooks. The reason this study focuses on the language ideology contained in the illustrations of Classical Chinese textbooks is to examine how the messages represented through illustrations in Classical Chinese mediate language use and social perception. Since illustrations in textbook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interpreting verbal messages and coordinating verbal attitudes and behaviors, looking into the illustrations in Classical Chinese textbooks will provide students who have to live in the future society with balanced thinking and reflection. The main content of this study was to focus on and analyze the biased ideology contained in the illustrations of Classical Chinese textbooks. There are four major biased ideologies mentioned in this study. First, it is a prejudice against the image of a foreigner. Prejudice that foreigners are white can lead to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gainst foreigners, hinder the diversity of Korean society, and limit Koreans' worldview. The second is the prejudice against the image of a clean government employee. The prejudice that clean government employees are poor in Korean society is a bised ideology borrowed to increase the value of respect for some great people in historical, political, and sociocultural contexts. This prejudice undermines the value of integrity by simpl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grity and poverty. Third, it is a prejudice against the form of family. Also called the 'normal family ideology', it ignores the diversity of family composition patterns and describes the compositional form of parents and children in an ideal form. In addition, when representing the role of members in the family, it is also a prejudice against the family to describe men as responsible for the livelihood of the family, women as responsible for housework and childcare. Fourth, it is a prejudice against the superiority of public office. This is intended to enhance the poet's reputation by writing the ideology of superiority of public office by dressing masters such as Li Po and Du Fu in official attire. It is expected that the work of analyzing biased ideologies hidden in Classical Chinese textbook illustrations from a critical perspective will help them grow into democratic citizens by analyzing Classical Chinese texts, contributing to meaning composition, and forming balanced thinking.

      • KCI등재

        신시논쟁(1920~21)의 알레고리

        신지연(Shin Ji-yeon) 한국근대문학회 200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9 No.2

        이 글의 일차적 목적은 언어의 도구성과 정신성을 특권화 하는 방식의 근대적 언어 이데올로기를 문제시하는 것이었다. 언어를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 보는 관점과 민족정신의 구현체로 보는 관점은 논리적 측면에서 볼 때에는 상호배타적이지만, 근대적으로 재편된 언어질서가 두 관점의 공존을 현실적으로 필요로 하면서 그 논리적 모순관계는 은폐된 채로 남게 된다. 그러나 식민지 조선은 특수한 언어적 사정으로 인해 이러한 논리모순을 적절히 은폐하기 어려운 자리였다. 두 관점의 불가피한 충돌이 일어나는 양상을 살피는 것, 나아가 그것을 근대적 ‘증상’ 중의 하나로 파악해 보는 것, 이것이 이 글의 첫 번째 목적이다. 이 충돌은 특정한 언어적 실천 속에서 자신에게 이미 침투되어 있거나 혹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언어 이데올로기를 그대로 묻어두지 못하고 언표화 하는 일이 요구될 때에 발생한다. 이 논문은 무엇보다도 1920년대 초중반 ‘시를 쓰고 논하는 사람들’이 이러한 자리에 놓여 있었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근대적 언어이데올로기가 형성하는 ‘증상’에 대한 논의는, 한국의 근대시론이 형성 되는 과정에 대한 논의와 다르지 않다. 즉 이 글은 한국 근대시론의 형성 메커니즘의 규명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양면적 목표를 위해 1920~21년에『개벽』지상을 중심으로 전개된 신시 논쟁을 중심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언어관ㆍ문학관의 대차대조표 제시보다는 논쟁과 반박의 과정 속에서 언어관ㆍ문학관이 어떤식으로 생성되는지에 주목하였다. 현철은 미세(微蛻)를 향한 반박문에서 시의 율격을 설명한 다음 시의 본질을 정열의 표출로 상정하는데, 두 측면의 정의는 상이한 언어관을 토대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소간의 이율배반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맹아상태에 머무는 이 이율배반이 배면으로 숨지 못하고 표면화되는 것은 황석우를 향한 다음 반박문에서이다. 래디컬한 언어도구론적 관점에서 시의 의미를 기술하려고 한 황석우를 논박하면서 현철은 정열의 표출을 시의 본질로 보는 관점을 묻어두고 대신 ‘시형의 중요성’과 ‘조선문’, ‘조선어’에 대한 천착을 강조한다. 이는 언어를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 보는 관점을 벗어나 민족성의 담지체로 보는 관점으로 이동하는 것이었다. 황석우의 관점을 견지할 때, 1920년 당시 조선에서 구성되고 있던 질서, 즉 이제 막 조선어 출판 활동이 활발해지며 민족의 의미를 적극적으로 구성해내기 시작하는 작업이 부정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미세ㆍ황석우와의 논쟁을 통한 현철의 시론 전개 방식은, 1910년대 후반에서 1920년대 중반에 걸쳐 일어난 이광수 문학론의 변화, 그리고 주요한과 김억의 변화가 압축된 형태로 나타난 것이라 할 만한 것이었다. 그런 점에서 현철과 황석우를 중심으로 한 신시논쟁은 알레고리적 성격을 띤다고 할 수 있다. 현철의 이율배반이 전면화된 데에 황석우의 래디컬한 언어도구론이 개재되어 있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이광수, 주요한, 김억 등이 시(문학)를 바라보는 관점을 급선회한 데에는 ‘황석우 같은 존재’, 혹은 ‘유령화된 황석우’가 개재되어 있다. ‘황석우 같은 존재’를 배제함으로써 이들은 조선문학의 구성을 본격화하고 조선문단 혹은 조선시단의 주류적 위치를 점하게 된다. In Modern linguistic order, it has come up that two viewpoints of regarding language as a intrument for communication and as embodiment of nationality. These two points of view contradict each other logically, but have coexisted under the realistic necessity. However, Colonial Korea was a topos to hard to cover this up because of its unusual linguistic circumstances. It is the first purpose of this paper to consider unavoidable collision of two viewpoints in Colonial Korea and to grasp it as a modern symptom. This collision has arised in the exceptional discourse when someone has been demanded to be constrained to refer to linguistic ideology for him to be saturated with. I have noticed that these cases happened when the ontology of modern poetry was discussed in the first half of 1920s. Eventually the consideration on the symptom caused by modern linguistic ideology is not differentiated with the examination on the mechanism-formation of Korean modern poetics. Therefore, the othe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mechanism of inclusion and exclusion that shapes the Korean poetics in the colonial era. For these double aims, I focused on the controversy over new-wave-poetry among Mise, Hyon Chol and Hwang Seogwoo in 1920~21. This controversy had a significance because it is not only the first one about modern poetry but also shows a tendency of Korean modern poetry and poetical essays thereafter symptomatically.

      • KCI등재

        신시논쟁(1920~21)의 알레고리 -한국근대시론의 형성과 ‘배제된 것’의 의미-

        신지연 한국근대문학회 200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9 No.2

        In Modern linguistic order, it has come up that two viewpoints of regarding language as a intrument for communication and as embodiment of nationality. These two points of view contradict each other logically, but have coexisted under the realistic necessity. However, Colonial Korea was a topos to hard to cover this up because of its unusual linguistic circumstances. It is the first purpose of this paper to consider unavoidable collision of two viewpoints in Colonial Korea and to grasp it as a modern symptom. This collision has arised in the exceptional discourse when someone has been demanded to be constrained to refer to linguistic ideology for him to be saturated with. I have noticed that these cases happened when the ontology of modern poetry was discussed in the first half of 1920s. Eventually the consideration on the symptom caused by modern linguistic ideology is not differentiated with the examination on the mechanism-formation of Korean modern poetics. Therefore, the othe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mechanism of inclusion and exclusion that shapes the Korean poetics in the colonial era. For these double aims, I focused on the controversy over new-wave-poetry among Mise, Hyon Chol and Hwang Seogwoo in 1920~21. This controversy had a significance because it is not only the first one about modern poetry but also shows a tendency of Korean modern poetry and poetical essays thereafter symptomatically. 이 글의 일차적 목적은 언어의 도구성과 정신성을 특권화 하는 방식의 근대적 언어 이데올로기를 문제시하는 것이었다. 언어를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 보는 관점과 민족정신의 구현체로 보는 관점은 논리적 측면에서 볼 때에는 상호배타적이지만, 근대적으로 재편된 언어질서가 두 관점의 공존을 현실적으로 필요로 하면서 그 논리적 모순관계는 은폐된 채로 남게 된다. 그러나 식민지 조선은 특수한 언어적 사정으로 인해 이러한 논리모순을 적절히 은폐하기 어려운 자리였다. 두 관점의 불가피한 충돌이 일어나는 양상을 살피는 것, 나아가 그것을 근대적 ‘증상’ 중의 하나로 파악해 보는 것, 이것이 이 글의 첫 번째 목적이다. 이 충돌은 특정한 언어적 실천 속에서 자신에게 이미 침투되어 있거나 혹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언어 이데올로기를 그대로 묻어두지 못하고 언표화 하는 일이 요구될 때에 발생한다. 이 논문은 무엇보다도 1920년대 초중반 ‘시를 쓰고 논하는 사람들’이 이러한 자리에 놓여 있었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근대적 언어이데올로기가 형성하는 ‘증상’에 대한 논의는, 한국의 근대시론이 형성 되는 과정에 대한 논의와 다르지 않다. 즉 이 글은 한국 근대시론의 형성 메커니즘의 규명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양면적 목표를 위해 1920~21년에 『개벽』 지상을 중심으로 전개된 신시 논쟁을 중심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언어관ㆍ문학관의 대차대조표 제시보다는 논쟁과 반박의 과정 속에서 언어관ㆍ문학관이 어떤 식으로 생성되는지에 주목하였다. 현철은 미세(微蛻)를 향한 반박문에서 시의 율격을 설명한 다음 시의 본질을 정열의 표출로 상정하는데, 두 측면의 정의는 상이한 언어관을 토대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소간의 이율배반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맹아상태에 머무는 이 이율배반이 배면으로 숨지 못하고 표면화되는 것은 황석우를 향한 다음 반박문에서이다. 래디컬한 언어도구론적 관점에서 시의 의미를 기술하려고 한 황석우를 논박하면서 현철은 정열의 표출을 시의 본질로 보는 관점을 묻어두고 대신 ‘시형의 중요성’과 ‘조선문’, ‘조선어’에 대한 천착을 강조한다. 이는 언어를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 보는 관점을 벗어나 민족성의 담지체로 보는 관점으로 이동하는 것이었다. 황석우의 관점을 견지할 때, 1920년 당시 조선에서 구성되고 있던 질서, 즉 이제 막 조선어 출판 활동이 활발해지며 민족의 의미를 적극적으로 구성해내기 시작하는 작업이 부정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미세ㆍ황석우와의 논쟁을 통한 현철의 시론 전개 방식은, 1910년대 후반에서 1920년대 중반에 걸쳐 일어난 이광수 문학론의 변화, 그리고 주요한과 김억의 변화가 압축된 형태로 나타난 것이라 할 만한 것이었다. 그런 점에서 현철과 황석우를 중심으로 한 신시논쟁은 알레고리적 성격을 띤다고 할 수 있다. 현철의 이율배반이 전면화된 데에 황석우의 래디컬한 언어도구론이 개재되어 있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이광수, 주요한, 김억 등이 시(문학)를 바라보는 관점을 급선회한 데에는 ‘황석우 같은 존재’, 혹은 ‘유령화된 황석우’가 개재되어 있다. ‘황석우 같은 존재’를 배제함으로써 이들은 조선문학의 구성을 본격화하고 조선문단 혹은 조선시단의 주류적 위치를 점하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