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1~2학년을 위한 국어 교과서 어휘 지도 원리와 의사소통 전략 연구

        이민형,양정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2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5 No.1

        A study on Korean textbook vocabulary instruction principles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elementary school 1st and 2nd graders 본 연구는 초등학교 1~2학년 국어 수업의 관찰과 교사 면담을 통해 교사가 국어 수업을 할 때 교과 서 혹은 수업에 나오는 어휘 지도를 위해 어떻게 교수 담화를 전개하는지를 분석하고, 학습의 이해도 를 높이기 위한 어휘 지도 원리와 교사의 의사소통 전략을 중심으로 교과서 어휘 지도 방법을 제안하 고자 하였다. 수업 관찰과 면담 결과, 실제 수업에서 학습자의 교과서 어휘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는 시도가 수업 설계나 의사소통 전략에 조직적으로 반영되지 못하는 부분을 개선하여야 하며 교과 수업에 어휘 이해 도 제고의 목적이 유연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또한 저학년 학습자에게 맞는 구체적인 어휘 설명 등 어휘 지도를 위한 의사소통 전략이 필요하였다. 이에 교사들이 어휘 지도 를 체계적으로 실행하되 수업의 주요 학습 목표 달성과 통합하여 운용할 수 있는 어휘 지도 원리와 방 법의 사례를 도입, 전개, 정리 단계에 맞추어 제시하고, 교사의 어휘 지도와 관련한 수업 의사소통 전략 을 시작 발화, 설명 화법 전략, 피드백 전략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5학년 영어 교과서 분석

        김금선(Keumsun Kim),임희주(Hee-Joo Im)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4

        최근 외국어 학습에 있어 어휘 학습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어휘학습전략 교육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다. 하지만 어휘학습전략 연구는 아직 미비한 상태로, 특히 어휘 학습이 필수적인 어린이 영어 학습자 대상의 연구가 필요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어휘학습 활동과 전략을 분석하여, 전반적인 사용 실태를 알아보고 어린이 영어어휘 지도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영어 교과서 중 총 3개의 교과서와 교사지도서를 선택하고, 수록된 어휘관련 학습활동들을 Schmitt(1997)의 어휘학습전략 분류표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에 사용된 교과서 3종 모두 다양한 어휘학습전략의 종류를 포함하지 않았다. 3종의 교과서에서 사용된 전략은 상위전략인 발견전략과 강화전략 중 Y사 교과서에서 발견된 ‘영한사전을 이용한다’를 제외하고는 모두 강화전략이었으며, 암시적인 학습방법이 사용되었다. 우리나라 학습자들이 제한된 어휘학습전략을 선호하고 사용한다는 국내 선행연구 [2][4][23]의 결과를 고려해볼 때, 영어교육현장에서는 앞으로 보다 다양한 어휘학습전략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소개하고 활용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겠다. As vocabulary acquisition has become one of the emerging key issues in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field, interest in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VLS) has also increased. However, little has been done to investigate the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of young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VLS use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language textbooks. A total of three fifth grade English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were chosen and analyzed with the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axonomy suggested by Schmitt (1997). The researcher identified there were only a limited number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in the textbooks and most of them were consolidation strategies. It was concluded that a variety of VLS should be introduced in multiple ways in consideration of learner preference, styles, culture and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Some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vocabulary for EFL instruction amongst young learners are discussed.

      • KCI등재

        어휘 강화 학습전략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효과

        정고은(),박기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8

        본 연구는 어휘 강화 학습전략의 명시적 지도가 수준에 따른 초등영어 학습자의 전략 사용, 영어 사용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초등 6학년 190명을 비교집단과 연구집단으로 나누어 9월부터 12월까지 14주 동안 실험을 진 행하였다. 연구집단에게는 어휘 강화 학습전략을 명시적으로 지도하였고 비교집단은 교과서 중심의 수업을 하였다. 실험 종료 후 영어 사용능력 및 어휘 학습 수준 사후평가, 어휘 강화 학습전략 사용과 정의적 영역 설문, 개별 면담을 실시하여 실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휘 강화 학습전략 지도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고, 어휘 유지에 있어서는 상위, 중위 집단 학습자들에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사용능력에 있어서는 상위집단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으며, 정의적 영역과 관련하여 어휘 학습의 중요성 인식과 동기에서는 상위집단이, 흥미와 동기에서는 하위집단이 의미있는 변화를 보였다. 어휘 강화 학습전략은 수업 내용과 통합하여 명시적으로 지도하되, 학습자가 어휘 강화 학습전략에 흥미를 가질 만한 활동과, 학습 한 전략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liberate instruction of consolidation strategies on the vocabulary learning, English skills, and affective domain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ifferent levels. For the purpose,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two groups of 190 sixth grader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14 weeks. The former was taught consolidation strategies, and the latter was focused on communicative activities as presented in the textbook. After the treatments, posttests for English skills and surveys about the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affective factor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instruction of consolidation strategies for vocabulary learning positively affected the acquisition of vocabulary in all levels of students. For vocabulary retention, it affected both high and average leveled groups. 2) The high leveled group showed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ir English skills. 3) The experimental treat affected the affective domain for vocabulary learning in general, showing meaningful increase of awareness of importance and motivation for vocabulary learning in the case of the higher level group, and the interest and motivation increase in vocabulary learning for the lower leveled group

      • KCI등재

        단어연상과 이야기구성을 통한 초등영어 어휘 지도

        장진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and perspectives of teaching vocabulary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word association and story-telling techniques. The subjects were sixty-four students in the fifth grade in Gyeonggi-do.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a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twelve week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explore the students' perspectives on learning vocabulary and focused on association and story-telling techniq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t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vocabulary learning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was found between the pre- and post-test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est, showing no improvement in vocabulary learning ability. Secondly, learners showed interest and satisfaction toward the use of association and story-telling techniques while learning vocabulary in the classroom.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are suggested: 1) word association and story-telling techniques should be considered pedagogically in vocabulary instruction to promote interest and confidence in young learners; and 2) various activities based on word association and story-telling techniques should be developed for implementation in elementary English classes to enhance student vocabulary.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영어 어휘 지도방법 중에 하나인 단어의 연상과 이야기 구성을 통한 교 실내 지도 방법을 통하여 학습자들에게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그 영향을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1) 단어연상과 이야기 구성을 통한 어휘지도방법은 초등 학습자의 단어 이해와 암기능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2) 초등영어 학습자들은 연상과 이야기구성을 통한 어휘 지도방법에 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가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 소재 M 초등학교 5학년 중 2개 학급 총 64명이다. 초등 5학년 영어교과서에 제시된 단어를 토대로 자유연상과 이야기 구성의 지도방법을 실시한 한 개의 반 31명을 실험집단으로 설정하고, 이를 실시하지 않은 또 다른 반 33명을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초등 학습자의 목표 어휘 학습의 이해력과 암기력의 향상을 측정하기 위해 영어어휘 능력 평가지, 사후 설문지와 그룹인터뷰, 그리고 연구자의 비디오 수업 관찰 일지 등이 사용되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사전·사후 어휘능력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험집단내의 사전·사후 어휘 평가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런 차이는 단어 연상과 이야기구성을 통해 학습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의 어휘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나타낸다. 영어 어휘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즉, 흥미도와 자신감 그리고 학습방법의 효과에 관한 설문에서는 전체적으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영어어휘학습에 대한 소감문의 결과로서, 연상과 이야기 구성을 중심으로 한 어휘학습의 효과는 연상을 통한 기억강화와 이야기 구성을 통한 의미연결이라는 주제에 맞추어 구분되었다. 이런 연상과 이야기 구성을 통한 의미중심의 어휘학습은 기존의 일반적인 단어의 철자 및 음성 반복중심의 어휘학습보다는 학생들에게 집중력을 높이고,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기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대학 교양영어 수강생들의 영어 어휘학습전략 탐색 연구

        윤택남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대학 교양영어 수강생들의 영어 어휘학습전략 탐색 연구윤 택 남*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이 사용하는 영어어휘학습전략 유형에 따라 전략사용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보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개별화된 영어어휘학습을 명시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대학생들이 갖는 영어어휘학습에 대한 전략을 파악하기 위하여 강원도 소재 K대학에 재학 중인 1학년 124명을 대상으로 5단계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가 활용되었으며 설문은 기억, 상위-인지, 보상, 인지, 정의적 전략과 같이 5개 하위요소로 분류하여 배포하였으며 수집된 결과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새로운 어휘나 표현을 학습할 때 반복적으로 기억하는 방식을 가장 선호하고 문맥상 추론을 통한 하향식보다 개별 단어의 의미에 초점을 둔 상향식을 선호하였으며, 새로운 단어를 직면할 때 사전 사용을 선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결론 및 제언: 종합해보면 어휘학습 전략에 있어 적절한 암기 및 반복과 상향식 방식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는 것과 더불어 학습자들에게 알맞고 흥미와 동기 그리고 성향을 충분히 고려한 어휘학습을 지향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핵심어: 어휘학습, 영어어휘지도법, 영어어휘학습전략, 대학영어학습자, 교양영어 □ 접수일: 2022년 8월 26일, 수정일: 2022년 9월 1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춘천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Professor, Chuncheon National Univ. of Education, Email: yoon@cnue.ac.kr) A Study on Strategies of University ELLs’ EnglishVocabulary Learning in General English CourseTecnam Yoo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trategies for English vocabulary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in general English course and use them as basic data to guide the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124 university freshmen taking a general English class. As a research instrument, a questionnaire on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was distribu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were about the types of use of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by the each participa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preferred the method of memorizing repeatedly when learning new vocabulary or expressions and the bottom-up method focusing on the meaning of individual words rather than the top-down method through reasoning in context in general.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educational suggestions for teaching vocabulary were made, and then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Key Words: Vocabulary Learning, English Vocabulary Teaching,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University ELL, General English

      • KCI등재

        어휘 교육의 발전 방향 탐색 ; 작문 교육과 어휘 교육

        이종철 ( Jong Chul Lee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0 No.-

        본고의 논제 ``작문 교육과 어휘 교육``에 대하여 논의한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늘날 새로운 매체의 보급으로 면대면, 쌍방향 의사소통이 용이해져서, 이것은 작문의 새로운 사회적 맥락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새롭게 형성된 텍스트 유형에 적합한 어휘를 사용하는 능력을 지도해야 한다. 둘째, 필자는 ``면대면 상황과 쌍방향 의사소통에 대하여 의식하는 정도``를 설정하여 그 설정한 정도에 따라 어휘 등을 선택하는 표현 전략을 구사하는 것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국어과 교육과정 ``쓰기``영역에서 텍스트 유형에 따른 어휘의 특성에 대하여 좀더 명시적으로 상술해야 한다. 그리고 새로운 매체를 활용하는 텍스트의 여러 유형에 대한 진술이 학생들의 발달단계에 맞게 적절하게 분산되어 진술되어야 한다. ``쓰기``영역과 ``작문``영역 모두에 새로운 사회적 맥락, 표현 전략 등을 진술을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어휘 지도 방법에서 많은 경우에 통합적 지도를 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때 가능하면 많은 영역들이 관련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고의 논제에 대하여 여기서는 주로 문체론의 관점에서 논의를 전개했다. The Summary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wo-way communication became easy, due to the distribution of new media today. This also has made a new social context for writing. Therefore, we should teach how to use appropriate vocabulary in the new-made text types. Second, writers have to set the conscious level of face-to-face situation and two-way communication and next, should learn the expression strategy of choosing vocabulary etc., according to the conscious level.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vocabulary should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ing field``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text types which utilize the new media, should also be stated more detailedly and the statements have to appropriate to their development stages. New social context and expression strategy need to be stated. Finally, in many cases, it is necessary to practice an integrated method in teaching vocabulary. In doing this, it is better to connect many fields as far as possible.

      • KCI등재

        내용 통합 텍스트 읽기를 위한 초등 영어 어휘 지도 전략에 대한 연구

        김혜리(Kim Haeri),전병규(Jeon ByungKyu),강영옥(Kang YungOk),김은하(Kim, EunHa)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2012 영어교육연구 Vol.24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ocabulary teaching strategies while reading content-based informational text in primary English classe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and the data analysis yielded four major findings. First, the quantitativ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one particular strategy that fit all learning situations. However, from qualitative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students Preferred application strategy to list strategy and could transfer inference strategy in learning words from other texts. Second, effective vocabulary teaching strategi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xts and types of words in the text. Third, there were different learning transfer effects according to word types. For example, there was significant learning transfer effect with compound and loan words, whereas less transfer effect with collocation. Last, there were learning differences according to students’ English level. Based on the conclusions, suggestions were made for follow-up stud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