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시아적 신체’의 소설화 : 양석일 평론집 『아시아적 신체』와 장편소설 『어둠의 아이들』의 경우

        김응교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2 한국어와 문화 Vol.11 No.-

        이 글을 통해 우리는, ‘아시아적 신체’라는 양석일의 생각을 토대로 하여, 그의 장편소설 『어둠의 아이들』이 창작되었음을 확인해 보았다. 양석일 소설은 1세대의 문제의식에서 3세대까지를 모두 포괄하고 있다. 자이니치 문학 1세대의 관념적인 민족성을 넘어 현실적인 자이니치의 진짜 삶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그의 작품에는 식민지적 분노나, 조국통일 같은 이념보다는 자이니치들의 구체적인 삶이 그려져 있다. 양석일의 『어둠의 아이들』『다시 오는 봄』은 ‘아시아적 신체’라는 담론에서 성폭력이라는 국제적 문제점을 방대하고도 핍진한 역사적 증언을 담아, 이제까지 자이니치 문학사의 테두리와 일본어 문학의 경계를 확장시켰다. 양석일 문학의 특징은 첫째, 강렬한 메시지다. 그 중심에는 ‘아시아적 신체’와 ‘어둠의 상상력’이라는 사상이 자리하고 있다. 둘째로 세밀하고 정확한 인물 형상화 방법이다. 철저한 사실주의적 기법을 사용하는 솔제니친 같은 리얼리즘의 계보를 잇는 작가다. 셋째로 그는 ‘어둠의 세계’로 향하면서 파격적인 소재를 택한다. 그로 인해 양석일 후기의 소설은 문체보다도 이야기에 주목하게 된다. 강렬한 메시지, 세밀하고 정확한 형상화, 파격적인 소재를 담은 양석일 소설은 거침없이 흐르는 강물처럼, 어둠의 골목 구석구석으로 독자를 안내하며 반성적 고찰과 다짐을 이끌어낸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YANG Seok-il’s novel world in the thinking of ‘Asian Body’. Yang Sok-il(or Yang Sokil, Yang Sogil, Yang Seok-il, born 13 August 1936) is a writer in Japanese of Korean(=Zianichi Korean, 在日韓國人) nationality. Yang first supported himself via various odd jobs, an experience that led to books based on the experience of taxi driving published in the 1980s and filmed as All Under the Moon(月はどっちに出ている). A large number of books followed. His novel, ‘Children of the dark(闇の子供たち)’ is based on the thinking of ‘Asian Body’. Children of the Dark is about child prostitution and organ sales in Thailand. In the darkest corners of Thailand, child prostitution and organ sales flourish. Many children are murdered to provide organs for the people desperate enough to pay to save their own children. In order to save a child’s life, another life must be taken. An outraged Japanese journalist and a passionate young Japanese NGO member attempt to save ‘children of the dark’. When a Japanese journalist teams up with a Japanese NGO member to expose this practice and try to put an end to this systematic abuse of children they’re struck with the sobering reality that the problem may just be too widespread for two people to stop.

      • KCI등재

        재일코리언 문학의 당사자성 - 양석일의 [밤을 걸고] -

        김계자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5 일본학 Vol.41 No.-

        This paper analyzed Yang Seo-gil's At the Risk of Night which reconstructed the story of Korean-Japanese' village of the postwar Japan in the time of the 1990's. In this novel, Korean-Japanese village is described as a different space from Japan. The writer Yang Seo-gil brought up the question of the identity of Korean-Japanese literature. As generations go by, Korean-Japanese literature has shown the various individual and independent literary aspects. Nevertheless, it is true that their literature is still called as 'Korean-Japanese literature' which has the collective meaning. Yang Seo-gil's text shows one of the grounds of this phenomenon. Denying joining either part beyond liberation and defeat of postwar Japan, Korean-Japanese relativized both sides and constructed individual area of their lives. This Korean-Japanese' situation is well reflected in the novel At the Risk of Night. In the 1990's when this novel was published, there were various changes around the problem of clearing away the remnants of Japanese colonialism in the society of Korean-Japanese. This contemporary issue is read in the novel At the Risk of Night.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is novel which is made up of the three parts of the late 1950's, the period since then, and the present time of writing this novel, the question at issue of the Korean-Japanese is revealed. That is, the story of the Korean-Japanese village occurred in Osaka of Japan in the late 1950's has been connected in the form of severance and continuity in the society of Japan, and shown the identical lives of them. The perspective of this novel reminded along with the changes around, not that from the omniscient viewpoint, constructs the identity of Korean-Japanese literature. 본 논문은 전후 일본에 이질적인 집단으로 타자화된 재일코리언 부락 이야기를 전후 50년의 시점에서 재구성하고 있는 양석일의 소설 『밤을 걸고』를 분석한 것으로, 재일코리언 문학의 ‘당사자성’의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재일코리언은 세대를 거듭하면서 현재 다양한 개별성의 문학 양태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집단적이고 역사적인 의미의 재일코리언 문학이 엄존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본고는 개별적이면서 동시에 ‘재일코리언 문학’이라는 집단적인 명칭으로 호출되는 근거를 재일코리언 당사자로서의 체험을 그리는 가운데 ‘재일’로서의 존재성을 찾고 있는 양석일의 작품을 통해 분석한 것이다. 해방과 패전을 가로지르며 한국과 일본 어느 쪽에 가담하기보다는 양쪽을 상대화시키며 ‘재일’의 독자적 삶을 구축해온 재일코리언의 삶이 양석일의 『밤을 걸고』에 잘 나타나 있다. 『밤을 걸고』가 발표된 1990년대는 재일코리언 사회에 여러 변화가 있었다. 일본군 위안부의 증언이 계속되는 가운데 고노 담화나 무라야마 담화가 발표되고, 일본의 식민지 지배가 남긴 문제를 둘러싸고 논의가 계속된 시기였다. 이러한 동시대적 상황을 『밤을 걸고』에서도 읽어낼 수 있다. 식민지배에서 전후로 이어지는 가운데 그동안 억압되어 있던 재일코리언의 현안의 문제들이 들춰지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1990년대의 문제제기를 1950년대 후반과 그 이후의 시대, 그리고 현재 시점인 1993년의 상황을 그린 소설의 세 구성이 구조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소설의 구성을 통해 1950년대 후반에 오사카에서 펼쳐진 ‘아파치 부락’ 이야기가 단절과 연속의 형태로 이어진 재일코리언의 삶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초월적으로 부감되고 통어되기보다 시간의 추이와 더불어 일본이나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의 변화와 연쇄해 분절화된 기억이 소환되고 집단적이고 역사적인 공적인 문제로 회수될 수 있는 기제, 그것이 바로 양석일의 소설 『밤을 걸고』에서 보여주고 있는 재일코리언 문학의 ‘당사자성’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양석일의 『밤을 걸고』 분석 연구 : 전후 일본사회에 대한 자기비판과 식민주의

        신서영(Shin Seoy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0

        본 연구는 양석일이 그의 문학 작품을 통해 일관되게 주장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일본인이 아닌 이방인의 시각에서 일본 사회에 대한 ‘자기비판’ 및 전후에 완전히 청산되지 못한 ‘식민주의’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는 사실을 다루고자 한다. 이에 저자는 일본의 자기비판과 식민주의를 다룬 양석일의 작품관을 그의 소설 밤을 걸고라는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작품에는 해방 후 오사카 지역에서 살아가는 재일 한국인들의 삶의 모습이잘 나타나 있어, 그 시대 동포사회의 모습과 변화를 고찰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양석일 문학관의 특성을규명할 수 있었다. 저자는 근거이론의 절차와 기법을 활용하여 밤을 걸고 텍스트를 분석하고 문학적 시사점을도출하였다. 근거이론을 통해 도출한 연구결과로는 ‘전후에도 이어지는 일본 제국주의 도시인 오사카’, ‘식민주의의그림자 속에서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는 재일 한국인들’, ‘통일이 아닌 이념대립 공간으로 변모한 오사카’를 들 수있다.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fact that Yang Seok-il’s message consistently asserts throughhis literary work raises the issue of ‘self-criticism’ of Japanese society and ‘colonialism’ that hasnot been completely cleared up after the war from a non-Japanese perspective. Accordingly, theresearcher looked at Yang Seok-il’s view of the works, which dealt with self-criticism andcolonialism of Japan, focusing on his novel Through the Night . In this novel, the lives of Koreansliving in Japan after liberation in Osaka are well represented, allowing the researcher to examineKorean community and its change at that time, and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could identifythe characteristics of Yang Seok-il’s view on literatur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text ofThrough the Night by using the procedures and techniques of grounded theory and derivedliterary implications. Research findings derived from the ground theory include ‘Osaka, a city ofJapanese imperialism that continues after the war’, ‘Korean people in Japan struggling to survivein the shadow of colonialism’, and ‘Osaka, which has transformed into a space for ideologicalconflict instead of unification’.

      • KCI등재

        『광조곡』 을 통해 본 양석일의 문학세계 - 택시 운전사 체험작품을 중심으로 -

        이한창 한국일본학회 2000 日本學報 Vol.45 No.-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한 양석일의 작품들은 연작 소설의 형태를 띠고 있는데, 그 내용은 작품 제명에 잘 상징되어 나타나고 있다. 즉 미로와 같은 일본사회를 질주한다는 의미의「미주」에서 작가는 사회와 인간들의 모습을 통해 일본사회 여러가지의 병리 현상을 파헤치고 있다「공동생활」에서는 일본 사회의 밑바닥 계층에까지 존재하는 조선인 차별은 구조적이고 맹목적이고 생리적인데, 일본인들의 내면에 잠복해 있다가 결정적인 순간에 그 실체를 드러내는 익명성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크레이지 호스」는 도산 직전의 회사를 통해 일본사회를 불안스럽게 바라보고 있다. 동창생인 이사무를 통하여 챔피온의 꿈, 아내, 자식, 어머니를 잃은 사내가 정신질환에 시달리다 망가져 가는 모습을 그리고 자신의 미래를 불안스럽게 바라보고 있다.「크레이지 호스」2 역시 정상에서 일탈한 사람들을 등장시켜 허식에 감춰진 일본사회의 참 모습을 파헤친다. 회사의 도산후 화재 발생시 세차장 노인의 분신자살을 상정함으로서 그를 방치하는 사회를 고발하고 다시 분신자살이 착각임을 통하여 강한 생명력을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양석일의 작품은 사회의 부조리와 산업사회에서 소외되고 파멸되어 가는 노동자들의 모습을 통해 일본 사회의 허식을 벗겨내고 있다. 이처럼 강열한 메시지는 자신의 체험을 아무런 가식없이 정확하고 세밀하며 감각적으로 그려낸 그의 문체와 더불어 독자를 사로잡고 있다. 그런데 이들 작품은 민족의식만을 고집하던 종래의 재일 동포문학의 범주를 넘어서는 것이다. 이는 일본 사회와 동포사이의 변화에서 야기된 것으로 양석일이 변화의 선두에 서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양석일 『피와 뼈』론 ― 신성과 권력의 역학 ―

        김태경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0 일본학연구 Vol.61 No.-

        양석일의 대표작 『피와 뼈』(1998)의 주인공 김준평은 스사노오노미코토에 비견될 만큼 무시무시한 힘을 지닌 존재로 그려진다. 그렇다면 이토록 압도적인 존재감은 어떻게 생겨난 것일까. 김준평의 위압감은 물론 그의 잔혹하고 무자비한 폭력에서 비롯된 것이다. 김준평의 거친 폭력은 도처에 등장한다. 기존의 선행연구 대다수가 이러한 폭력성 그 자체에 주목해 왔다고 한다면, 본고에서는 김준평이 신화적인 존재로서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과 거기에 작용한 역학에 중점을 두어 고찰하고자 했다. 존재에 과도하게 가까이 다가섬을 과도하게 멀어지려고 함과 동시에 벌함으로써 ‘신성(神聖)’한 것이 될 수 있었던 근대천황제와 마찬가지로, 소설 『피와 뼈』에는 과도한 ‘접근과 이탈’에 관한 거리의 문제가 여기저기에 노정되어 있다.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은 이영희를 대하는 김준평의 태도에서이다. 그는 가족의 ‘생활’을 운운하며 아내 영희가 ‘과도하게 다가섬’을 절대 용납하지 않는다. 김준평의 반복되는 폭력과 악행으로 인해 도피생활을 시작한 영희. 하지만 가는 은신처마다 어른거리는 것은 김준평의 그림자이다. 이처럼 김준평은 그녀가 자신의 자장에서 ‘과도하게 멀어짐’ 또한 용납하지 않는다. 이처럼 견고한 철옹성처럼 철저하고 영원할 것만 같았던 김준평의 세계. 하지만 이야기 결말에 이르러 그가 맞이한 죽음은 더할 나위 없이 초라한 것이었다. 소설 피와 뼈는 1930년대부터 80년대에 이르기까지의 긴 이야기이다.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성역’으로 존재했던 ‘괴물’이라고 해도 탄생과 더불어 몰락의 순간이라는 필연적인 역사성을 비켜설 수는 없었다. 신성과 권력은 어떠한 역학 속에서 탄생하고 유지되며 사라지는가. 본고에서는 양석일의 대표작 피와 뼈가 조형한 ‘괴물’ 김준평이라는 인물을 통해 고찰하였다. The protagonist of Yang Sok-il(Yan Sogiru)’s Blood and Bones, Kim Jun-pyeong, is depicted as being with a terrifying power. How did this overwhelming character arise? This is, of course, originated from his cruel and ruthless violence. The harsh violence appears everywhere. Th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is kind of violence itself. This paper would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in the creation of Kim Jun-pyeong as a mythical being and the dynamics acting on it. The Emperor(Tenno) could become “sacred” by punishing for being too close to him and being too far away. Likewise, in the novel Blood and Bones, such a problem of excessive distance is exposed frequently. The most prominent is Kim Jun-pyeong’s attitude toward Lee Young-hee. He never tolerates the “excessively approaching” wife while talking about the family’s life. Young-hee escaped because of the repeated violence and misdeed. However, it is the shadow of Kim Joon-pyeong that hangs out at every hiding place. He also does not tolerate “excessively distancing.” This world constructed by Kim Joon-pyeong felt perfect and eternal. However, at the end of the story, the death he faced was incredibly shabby. The novel Blood and Bones is a long story from the 1930s to the 1980s. Even the “monster” that existed as a “sanctuary” that no one could enter, it was inevitable to face the moment of destruction. In what dynamics sacredness and power are born, maintained, and disappeared? In this paper, I considered this issue through a character named Kim Joon-pyeong.

      • KCI등재

        ‘전후-밖-존재’의 장소는 어디인가?-양석일의 <밤을 걸고>를 중심으로-

        서동주 ( 徐東周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3

        이 글은 양석일의 소설 『밤을 걸고』(1994)를 통해 냉전 이후 ‘전후’를 둘러싼 기억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 소설에 주목하는 이유는 이 소설이 ‘전후’ 종언의 주장이 본격적으로 제기된 1990년대에 격동의 1950년대를 그것도 ‘재일’의 시점에서 그려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 소설은 일반적인 ‘전후’의 시간과 이질적인 ‘재일’의 시간을 묘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와 ‘전쟁=냉전’의 연루관계, 그리고 ‘전후’에 관한 공식적 기억이 내포한 어떤 ‘기만’을 드러내고 있다. 그렇다면 작자 양석일은 왜 1990년대에 들어와 1950년대 후반 ‘오사카의 병기제조창과 재일조선인 부락’, 그리고 ‘오무라 수용소’를 배경으로 재일조선인의 삶을 다시 끄집어내야만 했던 것일까? ‘이제 전후가 끝났다’는 선언이 나온 1955년 이후 1960년대를 통해 일본인들은 ‘노력하면 잘 살 수 있다는 희망’을 공유했다. 하지만 당시 재일조선인들에게 빈곤은 지극히 일상적이었고 미래를 희망과 연결시키는 것은 곤란한 일이었다. 이 소설은 전후일본 안에서 ‘전쟁’과 같은 삶을 살아내야 했던 재일조선인의 모습을 통해 이상에서 소외된 그들의 존재성을 드러내고 있다. 권력의 눈을 피해 고철을 캐는 ‘아파치족=재일조선인’은 이렇게 빈곤만이 아니라 미래(삶의 의미)를 ‘탈취’당했다는 의미에서도 ‘전후-밖-존재’인 것이다. 本稿では、梁石日の小説『夜を賭けて』を取り上げて「戦後」をめぐる記憶の問題を考えている。この小説は、「戦後」の終焉が本格的に提起された1990年代の時点で1950年代を、しかも「在日」の視点から描いている点において注目に値する。この小説は、一般的な「戦後」の時間とは異なる「在日」の時間を通じて「戦後」と「戦争=連戦」の関わりのみならず、「戦後」に関する公式的な記憶が排除した「他者」の記憶を呼び起こしている。では、なぜえ作者は大阪の「在日朝鮮人部落」と「大村收容所」という場所を通して在日の1950年代を再現しようとしたのか。1950年代後半の日本は「頑張れば生活はよくなる」という「希望」が廣く支持されていた。それに対して小説の中の在日朝鮮人達には未来に対する希望がほとんど存在していない。日本の戦後社会がいわゆる安定の時期に入り始めたという記憶とは裏腹に在日の場所では混乱と貧困が続いていた。彼らは成長と繁栄だけではなく、未来からも疎外されたという意味で「戦後ー外ー存在」と見なすことができる。

      • KCI등재

        이방인, 자이니치 디아스포라 문학

        김응교(Kim Eung-gyo)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1

        이 글에서 우리는 첫째 ‘디아스포라’라는 용어에 대하여, 특히 ‘자이니치’ 디아스포라 문학을 어떻게 번역하고 정의해야 할지 용어에 대해서 논해 보았다. 둘째, 자이니치 문학사에 대하여 세대별로 시기 구분하는 문제를 살펴보았다. 셋째, 조직과 그 매체 그에 따른 ‘언어 문화적 혼종성’에 대해 논해 보았다. 넷째, 자이니치 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하여, 소설가 양석일을 예로 들어 그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자이니치 작가들이 활동하는 것은 외로운 구도자의 길이다. 당연히 작가는 작품으로 승부를 거는 수 밖에 없다. 이들은 일본에서나 한국에서나 지금까지 곤란한 존재인 ‘틈입자’로 치부되어 왔다. 제1세대의 작가들은 제대로 조명조차 받지 못하고 하나둘 세상을 떠나고 있지만, 앞서 양석일, 유미리, 현월 등이 보여주듯이, 이후 세대들의 작품은 일본에서 ‘감추어진 그늘을 드러내는’ ‘반가운 틈입자’로 평가받기 시작했다. 문예동의 작품도 얼마든지 가능성이 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북한이라는 지정학적 한계와는 다른 제3의 공간에서 차별받고 있는 상황은 오히려 문예동 소속 작가들에게 전위적 통찰을 제시할 수 있고, 국내적으로는 남북한 작가의 민족적 통합을 위한 역할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자이니치 작가들의 작품은, 그것이 일본어 작품이건 조선어 작품이건, 침입자가 아닌 ‘반가운 틈입자’로서 더욱 환영받을 것이다. In this article, We rearched what the term of the diaspora is and the origin of that term. Especially We studied How we can translate the Korea(chosen) Japanese. and I suggested the term of Zainichi[在日]. Second, This paper describ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Zainichi Diaspora Literature according to the Generation. Third, This paper investigates and arranges the main media and magizine which built the foundation to the organizations of Zainichi Diaspora Literature. To live as Zainichi writer is to walk a lonely Pilgrim way of their activities. But We can meet the new possibility of Zainichi Diaspora Literature in the novel of Yang Sok-il. Zainichi Diaspora Writer can show us the new possibility, and we can watch the possibility to work as pure function to the future directed change.

      • KCI등재
      • KCI등재

        양석일의 『피와 뼈』에 나타난 아시아적 신체와 이중의 식민지성

        안노마사히데 ( Anno Masahide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8 日語日文學硏究 Vol.104 No.2

        일본 문단에서 문학 작품의 평가는 「순문학」과 「대중문학」으로 구분 지어져 왔다. 이러한 작품에 대한 단순한 분류는 작품 평가에 있어서 커다란 선입견으로 작용을 하여 문학적 평가에 커다란 방해요소가 되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양석일의 장편소설『피와 뼈』에 대한 평가는 오랫동안 「대중문학」 작품으로 간주되어 왔었기에 지금까지 문학적인 작품 평가가 충분히 논의되지 않았다. 필자는 이러한 작품평가의 모순점에 의문을 제시하며 『피와 뼈』의 작품의 재평가를 시도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주인공 김준평의 조형에 관해 「아시아적 신체」, 「이중의 식민지성」이라고 하는 점에 그 특징을 찾아냈다. 그의 「아시아적 신체」라는 것은 「시스템화 되지 않는 신체」이며, 인간을 획일화하는 근대의 「시스템화 된 신체」로 의미를 단정할 수 없는 강렬한 개성을 소유하고 있다. 그러한 인물 조형을 할 수 있었던 『피와 뼈』는 근대에 대한 안티테제로서의 의미도 있을 것이다. 또, 「이중의 식민지성」은 점은, 제주도라고 하는 지리적·정치적 위치에 기인하는 것으로, 본국인 한국과 일본 제국으로부터 이중적으로 학대받았던 위치에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재일조선인으로서 오랜 세월 일본에 생활한 준평이 마지막으로 선택한 귀향의 장소는 제주도가 아니고 북한이었다. 한편, 준평은 자신의 육체만을 의지하여 다른 사람을 수용하지 않으며 자기의 껍데기에 함몰되고 마는 존재인데, 전쟁 중에 다른 재일동포가 일본군에 협력해 가는 (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에 대해, 각지를 방황하면서 그러한 사태를 회피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준평의 모습에서 학대받은 사람의 비정치적인 정치성의 양상도 나타나고 있다. In Japanese literature world, the appraisal of literature has been divided into pure literature and popular literature. When it comes to the assessment of literature, such a simple categorization about the work could function as an enormous prejudice and might be an obstructive factor to evaluate the work. Yang Seok-il’s long novel, “Blood and Bones”, has not been discussed adequately, having been considered as popular literature. I posed a question on such contradiction and raised re-evaluation about the work. Also, in this thesis, with regard to the modelling of the main character, it is possible to figure out this work from analyzing “Asian's body” as well as “Attribute of double colony”. “Asian's body” means ‘the body that is not systemized’ and additionally it has intense individuality which can not be obviously defined as ‘the modern systemized body’ with uniformity. “Blood and Bones” with such modelling of the main character could be interpreted as the meaning of Anti-system related to modern society. In addition to these features, “Attribute of double colony”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Jeju-island’s location expresses geographical, but also political position; this island is located in the area where it can be tortured by both Korea and Japan. As a result, Jun-pyeong, who is Korean-Japanese and has lived in Japan for a long period, chooses not Jeju-island but North Korea as the final destination. If he relies only on his body and does not accept the others, this means that he collapses by himself. Wandering to the various places during the war, however, he tried to avoid the fact that other Korean-Japanese cooperate with Japanese army. In conclusion, the matter of this situation also reveals that tortured people have a nonpolitical tendency, considering Jun-pyeong's aspect.

      • KCI등재

        ‘문세광’이라는 소문 - 재일조선인 문학에 재현되는 양상을 중심으로 -

        박광현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9 일본학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discuss about how ‘Mun Segwang,’ who is a criminal of ‘Park ChungHee Assassination Attempt Incident,’ was represented in the Korean Japanese literature. The literature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was addressed ‘Park ChungHee Assassination Attempt Incident’ relatively early. Lee Huiseong's fulllength novel titled 『A Forbidden Land(禁じられた土地ー見果てぬ夢)』(1979) is one of them. Lee Huiseong is treating this case even if having not put such a great emphasis in this novel against the backdrop from the year in 1969 to the year in 1975. After that, this incident had ever been recreated in 「Huirakwon(喜樂苑)」 out of 『Ikaino Story(猪飼野の物語済州島からきた女たち)』(1987), which is Won Suil's short story, following about 10 years, and in 『Summer Flame(夏の炎)』(2003), which is Yang Seokil's long piece, after nearly 30 years. This incident, which had been said with the dichotomous political langauge between South & North Korea and between ‘Mindan(民團)’ & ‘Chongryeon(總聯),’ resulted in having become a rumor equivalent to ‘hearsay going around the world on the lips of many people’ after Mun Segwang was punished by death. That respect is being well shown in 「Huirakwon(喜樂苑)」. This novel is well displaying how ‘Mun Segwang’ story existed in ‘a rumor’ of the public language, not of the written world. Also, Yang Seokil's 『Summer Flame』 is being addressed ‘Mun Segwang,’ who made up as ‘a monster’ called ‘Song Uicheol,’ as another gossip in the 2000s. Its monsterpatterned process is what already transcended his free will like the narrative structure in a novel. The monster called ‘Song Uicheol’ is being described as ‘political existence’ who moves according to the scenario that was made by historical and psychological situations, not by own choice. Following the occurrence of the incident, all these things such as the result of a criminal investigation just with the confession of ‘Mun Segwang,’ the back of the incident not touched by the police dragnet, the case seal & the criminal investigation completion rather close to remaining silent, the dichotomized press reports in the Korean Japanese society, and the revival in literature led to a dubious rumor. It ended up with having become a hearsay of being socalled ‘Mun Segwang.’ This writing is clarifying that the narration of ‘Mun Segwang’ in the literature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which led to a rumor, is rather exercising dynamic imagination and is additionally stirring up the overthrow of interpretation between a case and a fiction. 이 글에서는 ‘박정희저격사건’의 범인 ‘문세광’이 재일조선인문학에서 어떻게 표상되었는지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재일한국인문학에서 ‘박정희저격사건’은 비교적 일찍이 다뤄졌다. 이회성의 장편소설 『금단의 땅(禁じられた土地ー見果てぬ夢)』(1979)이 그 중 하나이다. 이회성은 1969년부터 1975년까지를 배경으로 한 이 소설에서 그리 큰 비중을 두지 않았지만 이 사건을 다루고 있다. 그 후 이 사건은 10여년이 지나서 원수일의 단편집 『이카이노 이야기(猪飼野の物語済州島からきた女たち)』(1987) 중 「희락원(喜樂苑)」에서, 그리고 30년 가까이 지나서 양석일의 장편 『여름의 불꽃(夏の炎)』(2003)에서 재현된 바 있다. 남과 북, ‘민단’과 ‘총련’ 사이의 이분법적인 정치 언어로 이야기되던 이 사건은 문세광이 사형에 처해진 이후 ‘여러 사람의 입에 오르내리며 세상에 떠도는 소식’ 쯤의 소문이 되어버렸다. 그 점에 대해서는 「희락원」에서 잘 보여주고 있다. 이 소설은 ‘문세광’ 이야기가 문자 세계가 아닌 민중 언어의 ‘소문’ 속에 어떻게 존재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양석일은 『여름의 불꽃』에서 ‘송의철’이라는 ‘괴물’로 분장한 ‘문세광’이 2000년대의 또 다른 소문으로서 다뤄지고 있다. 그 괴물화 과정은 소설 속 서사 구조처럼 그의 자유의지를 이미 초월한 것이었다. ‘송의철’이라는 괴물은 스스로의 선택에 의한 것이 아닌 역사적, 심리적 상황이 만들어낸 시나리오에 따라 움직이는 ‘정치적 존재’로서 그려내고 있다. 사건 발생 이후, 오로지 ‘문세광’의 자백뿐인 수사 결과, 수사망이 닿지 않는 사건의 배후, 오히려 함구에 가까운 사건의 봉인과 수사 종결, 그리고 재일한국인사회의 이분화된 언론의 보도 행태, 문학에서의 재현, 이 모든 것은 의구심 어린 소문으로 이어졌다. 이른 바 ‘문세광’이라는 소문이 되어버린 것이다. 이 글에서는 소문으로 이어진 재일한국문학에서의 ‘문세광’의 서사는 오히려 역동적인 상상력을 발휘하고, 또 사건과 허구 사이의 해석의 전복성을 불러일으키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