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비스업종에서의 안전리더십이 안전문화,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김혜리(Hea Lee Kim ),소한섭(Han Sub So),박교식(Kyo Shik Park),김병직(Byung Jick Kim)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2

        최근 통계를 살펴보면 산업군 중 서비스업 종사 근로자 수는 2017년 약 11,714천 명을 넘어 2021년 13,825천 명으로 매년 지속적인 증가 추세이며, 제조업 약 4,217천명, 건설업 약 1,651천명으로 산업군 중 서비스업 종사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규모별 산업재해 발생률에서는 50인 미만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최근 고용노동부에서 발표된 중대 재해 감축 로드맵은 조직 내 안전의식 및 안전문화 확산 등 기업의 자율적인 안전보건관리 등을 통하여 산업재해를 감소시키려는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안전문화는 조직 내 근로자의 역할이 중요하며, 안전리더십은 조직 안전문화,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서비스업종에서의 안전리더십이 안전문화, 안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안전리더십을 독립변수로 조직 내 안전풍토, 절차, 의식, 태도 등 안전문화와 안전 실천 등의 안전행동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조사 하였으며, 50인 이상 사업장과 50인 이하 사업장의 서비스업종에 종사하는 근로자 중 설문에 성실히 응답한 206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도구에 대한 타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Cronbach's alpha 값을 도출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과 주요 변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으며,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 효과 분석을 하였고, 매개 효과의 유의성은 Bootstrapping-test를 통해 확인하였다. 모든 통계 결과의 유의성은 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안전리더십은 안전문화와 안전행동에 정방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50인 이상과 50인 미만은 다른 양상을 보였다. 즉 50인 이상 사업장에서 안전리더십은 안전문화와 안전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으나, 50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안전리더십이 안전문화에는 직접적인 영향이 있었으나 안전행동에는 안전문화라는 매개요인이 작용하여야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필요한 연구 및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수의 하위 요인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규모별 서비스업종의 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변인을 확인하여 제도적, 단계적으로 안전문화 확산 및 향상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According to recent statistics, the number of service workers in the industry exceeded 11,714,000 in 2017 to 13,825,000 in 2021, with about 4,217,000 in manufacturing and 1,651,000 in construction, the largest number of service workers in the industry.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incidence of industrial accidents by size is the highest among those with less than 50 employees. The roadmap for reducing serious accidents recently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ims to reduce industrial accidents through autonomous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of companies, such as the spread of safety awareness and safety culture within the organiza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that the role of workers in the organization is important for the organization's safety culture, and safety leadership affects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how safety leadership in the service sector affects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Safety leadership i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206 workers in the service sector at workplaces with more than 50 employees and workplaces with less than 50 employees were examined to determine how it affects safety behavior, such as well as procedures, consciousness, and attitude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secure compat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tool, and the Cronbach's alpha value was derived. 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 and major variable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the Bootstrapping-test. The significance of all statistical results was based on 0.05. As a result of the study, safety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forward effect on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but more than 50 people and less than 50 people showed different patterns. In other words, safety leadership directly affected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in workplaces with more than 50 employees, but safety leadership directly affected safety culture in workplaces with less than 50 employees.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 and policy suggestions necessary in the future are as follows. First, a detailed study on the sub-factors of each variable is nee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dditional variables that affect the safety culture of the service industry by size and prepare measures to spread and improve the safety culture in institutional and step-by-step ways.

      • KCI등재후보

        셀프리더십이 안전의식과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민경록(Min Kyung Rok),장길상(Jang Gil Sang)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4

        본 연구는 기업 및 기관 등의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안전의식, 그리고 안전문화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특히 셀프리더십과 안전문화와의 관계에 있어서 안전의식의 매개역할과 이들 간의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구모형을 제안하고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선행연구에 근거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연구모형을 살펴보면, 셀프리더십이 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 안전의식이 매개변수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기업 및 기관들에 근무하고 있는 조직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32부가 회수 되었고, 그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18부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셀프리더십의 자기목표 설정, 자기보상, 자기반성, 자기관찰, 자기상상 요인은 안전의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의식은 안전문화에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셀프리더십의 자기보상, 자기반성, 자기관찰 요인은 안전문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셀프리더십과 안전문화 간에 안전의식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결과, 자기반성과 안전문화 간의 관계에서 안전의식이 완전매개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리고 자기보상 및 자기관찰과 안전문화 간의 관계에서 안전의식은 부분매개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셀프리더십이 안전의식을 매개로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통합된 연구모형을 처음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조직에서 조직구성원의 안전의식과 조직의 안전문화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안전교육과 함께 셀프리더십 교육을 병행 실시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조직구성원들의 안전의식을 고취시키고, 이를 통해서 조직의 안전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comprehensive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culture for organizational members including companies and institutions. In particular, empirical analysis focused on the role of safety awareness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relation to self-leadership and safety cultur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research model was proposed, a research hypothesis was established, and hypotheses based on previous studies were verified. Looking at the proposed research model, self-leadership affects the safety culture, and safety awareness is used as a parameter in this process. For this study, we surveyed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orking at companies and organizations in Ulsan. A total of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32 copies were collected. Of those, 218 were used for this study except for unsatisfactory respons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SPSS 24.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Self-fulfillment, self-compensation, self-reflection, self-observation and self-imagination factors of self-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safety consciousness. Safety conscious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afety culture. Self-reward, self-reflection, and self-observation factors of self-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safety culture.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role of safety consciousness between self-leadership and safety culture, it was found that safety consciousness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flection and safety culture,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ward and self-observation and safety culture, safety consciousness was shown to perform partial mediation.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can be said that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first presented an integrated research model on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safety culture through safety awareness. In addition, as a practical implication, it is suggested that self-leadership education is conducted concurrently with safety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members safety awareness and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 KCI등재

        건설현장 안전문화의 정량적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Heakyung Jun,Changhee Kwon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현장의 안전문화를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안전문화 요소를 파악하고 안전문화 요소의 효과적 평가를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국내 건설현장의 안전문화 평가 및 개선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건설현장 안전문화 평가 및 개선을 위한 기존 안전문화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법과 전문가들이 안전문화의 중요 요소로 뽑은 항목들을 반영하여 건설현장 안전문화 평가지표를 제시하였고 건설현장 안전문화 평가결과를 통해 도출된 건설현장 안전문화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necessary safety culture elements to assess the safety culture of construction sites and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for effective assessment of safety culture elements that show how to the safety culture assessment and improvement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site . In this paper, we present methods and expertise in using the existing safety culture research to evaluate and improve construction site safety culture that reflects the items picked as an important element of safety culture. This study present a safety culture assessment indicators for the construction site and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safety culture to derived via a safety culture assessment of construction site .

      • KCI등재후보

        건설현장의 안전문화 성숙도 평가에 관한 연구

        이종식(Lee Jong Sik)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2

        2020년 상반기 기준 국내 건설현장에서 2,281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한 부상자는 2,206명, 사망자는 162명으로 집계되었다. 건설현장은 공사 진행 일정 및 위험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안전사고 발생빈도가 높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사망사고의 90% 정도는 적극적인 관리를 통해 예방할 수 있으며 건설업에서 바람직한 안전성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안전문화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건설현장에서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서는 건설현장의 안전문화를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Cooper(2000)의 안전문화모델과 Fleming(2000)의 안전문화 성숙모형, 러프버러대학교(1999)의 안전문화평가도구, 홍인기 등(2016)이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행동관찰방법을 이용하여 건설현장의 안전문화 성숙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국내 건설현장에 적용하여 실무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건설현장의 안전문화 성숙도 평가 방법을 건설현장에 적용하여 실무 활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각각의 영역(환경, 사람, 행동)에 대한 평가는 가능하였다. 하지만 환경영역 평가 결과와 사람영역 평가 결과, 행동영역 평가결과가 각각 다른 형태로 표현되어 평가 대상 현장의 안전문화 성숙도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환경영역, 사람영역, 행동영역의 안전문화 성숙도를 동일한 형태로 표현하고 통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first half of 2020, 2,281 safety accidents occurred at domestic construction sites. The number of injuries caused by this was counted as 2,206 and the number of deaths was counted as 162. At construction sites, the frequency of safety accidents is high because the construction schedule and risks vary.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about 90% of deaths occurring at construction sites can be prevented through active management. In addition, in order to expect a desirable safety outcom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afety cultur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t the construction site, the development of a method to measure and evaluate the safety culture at the construction site must be preceded. In this study, Cooper (2000) s Safety Culture Model, Fleming (2000) s Safety Culture Maturity Model, Loughborough University s Safety Climate Measurement Toolkit and Hong. I. G. et al. (2016) presented a method for evaluating the maturity of the safety culture of construction sites using the behavior observation method used in this preceding study, and applied it to domestic construction sites to review the practical application possibility.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practical application possibility by applying the safety culture evaluation method of the construction site suggested in this study to the construction site, it was possible to evaluate each area (environment, people, behavior). However,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environmental area, the result of the people area and the result of the behavior area were expressed in different forms, so there was a limit to comprehensively judging the maturity of the safety culture at the site to be evaluat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follow-up study on how to express and integrate safety culture maturity in the environmental, people and behavioral areas in the same form.

      • KCI등재

        해양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정책 제언 : 해양안전문화지수 분석을 중심으로

        백연지,정창현 한국해양경찰학회 2020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10 No.4

        안전문화는 안전을 실천하는 의식, 안전을 유도하는 제도, 안전을 가능하게 하는 인프라가 결합해 만들어 내는 사회적, 문화적 산물이다. 안전문화를 확산하기 위해서 는 안전의식을 개선하고 안전을 위한 행동의 변화를 끌어내는 안전문화 활동이 필요 하다. 이러한 안전문화 활동에 활용하고자 안전문화지수가 개발·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안전문화 활동 추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해양안전문화지수를 분석하 고 해양안전에 대한 제안 내용을 텍스트 마이닝으로 분석하였다. 일반 국민은 해양 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전반적으로 낮고 우리나라 해양안전문화 실태에 대해서는 보 통 이하로 낮게 평가하였다. 일반 국민 비교 집단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여성보다 해 양 관련 경험과 이해가 높지만, 안전수칙과 해양안전의식은 낮았고, 연령대별로는 세 대 차가 많이 날수록 해양에 대한 관심과 안전의식 정도에 차이가 있으며 나이가 많 을수록 점수가 높았다. 권역별로는 해양에 대한 경험을 제외하고 차이가 없었다. 해 양안전에 대한 제안 내용을 살펴보면 해양안전 교육과 체험, 홍보를 강화하여 안전 의식을 개선해야 하며, 전문 인력을 확충하고 제도를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 다. 해양수산부에서 해양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학교에서의 안전교 육이 의무화되었음에도 국민의 해양안전 교육 경험이 낮은 이유는 해양안전교육 관 련 근거법이 부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민이 생애주기별로 맞춤형 해양안전 교육 을 받을 수 있도록 해양안전 교육을 제도화하고, 해양에서의 비상 대응 능력제고 및 홍보 강화를 위해 지역별 해양안전 체험시설을 확충할 것을 제안한다. Safety culture is a social and cultural product created by combining safety awareness, safety-inducing systems, and safety-enabled infrastructure. In order to spread a safety culture, safety culture activities that improve safety awareness and bring about changes in behavior for safety are necessary. The safety culture index was developed and utilized in order to be used in such safety culture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marine safety culture index was analyzed and the content of proposals on maritime safety was analyzed by text mining to seek ways to promote the maritime safety and culture activities. The general public had low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the ocean in general, and the status of maritime safety culture was rated as low as below average. By looking at the comparison group of the general public, men had higher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maritime than women, but had lower safety rules and maritime safety consciousness. By age group, as the generation gap increases, there is a difference in interest in the ocean and safety consciousness, and the higher the score is. By region, there was no difference except for ocean experience. Looking at the content of proposals for maritime safety,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safety awareness should be improved by strengthening maritime safety education, experience, and publicity, and that professional personnel should be expanded and the system should be strengthened. Despite the fact that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has established a strategy for spreading the maritime safety culture and safety training in schools is mandatory, the reason why the public's experience in maritime safety education is low is that there is no basis law related to maritime safety educa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marine safety education be institutionalized so that people can receive customized marine safety education on a life cycle basis, and that marine safety experience facilities should be expanded by region to enhance emergency response capabilities and strengthen publicity in the ocean.

      • KCI등재

        연구실 문화유형이 연구활동종사자들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한진(Han Jin Jo),이황원(Hwang Won Lee),노영희(Young Hee Roh)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5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실 문화유형을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의 4가지로 구분하고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안전분위기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향후 연구실 안전 관련 정책수립과 안전교육 방향성 확보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연구실에서 발생하는 사고 예방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실 문화유형, 안전분위기, 안전행동 간의 영향력을 검정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 도구를 개발하였다. 설문 조사는 연구실안전법 적용대상의 연구활동종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420개를 회수하고, 최종 364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실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유형은 모두 연구실 안전분위기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실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유형은 모두 연구활동종사자의 안전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실 안전분위기는 연구실 문화유형이 연구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실 안전분위기 하위요인 중 안전규정과 안전교육은 연구실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가 안전행동의 하위요인인 안전순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실 안전분위기 하위요인 중 안전교육과 안전소통은 연구실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가 안전행동의 하위요인인 안전참여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연구실 문화의 모든 유형은 연구활동종사자들의 안전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전분위기는 이들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안전순응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연구실의 안전규정과 안전교육 강화가 필요하고, 안전참여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연구실 안전교육과 안전소통의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안전분위기 하위요인 중 안전교육은 모든 변인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관 안전환경관리자와 연구실책임자는 연구활동종사자들의 안전교육이 잘 이수 될 수 있도록 각별한 신경을 써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laboratory culture types into four types: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afety climate in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on safety behavior. Through this, we aim to contribute to preventing accidents that occur in laboratories by providing basic data for establishing future laboratory safety-related policies and securing safety education directions. To this end, a survey tool was develop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to test the influence between laboratory culture type,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targeting people engaged in research activities subject to the Laboratory Safety Act, a total of 420 were collected, and the final 364 were used for analysi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laboratory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were all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aboratory safety climate. Second, the types of laboratory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were all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afety behavior of researchers. Third, the laboratory safety climate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laboratory culture type on researchers' safety behavior. Fourth, among the sub-factors of laboratory safety climate, safety regulations and safety education were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laboratory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on safety compliance behavior, which is a sub-factor of safety behavior. Fifth, among the sub-factors of laboratory safety climate, safety education and safety communication were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laboratory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on safety participation, which is a sub-factor of safety behavior. Summarizing these results, all types of laboratory cultur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afety behavior of researchers, and safety climate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se relationships. In detail,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increase safety compliance behavior, the laboratory's safety regulations and safety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and in order to increase safety participation behavior, laboratory safety education and safety communi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In particular, among the safety climate sub-factors, safety education appears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variables, so institutional safety environment managers and laboratory directors need to pay special attention to ensure that safety education is successfully completed by those engaged in research activities.

      • KCI등재후보

        군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에 관한 연구

        황점숙 ( Jeom Suk Hwang ),이순영 ( Soon Young Lee ),전영주 ( Young Joo Jeon ),이현옥 ( Hyun Ok Lee ),곽용녀 ( Yong Nyo Kwak ),이정옥 ( Jung Ok Lee ) 국군간호사관학교 군진간호연구소 2014 군진간호연구 Vol.32 No.1

        본 연구에서 군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52점으로 보통(3점)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박소정(2008), 최정화 등(2010), 남문희(2010), 이유정(2011), 한남주(2011), 이나주 등(2011) 다양한 규모의 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행한 선행연구의 3.30~3.50점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선행연구의 연구대상 병원의 규모가 다양하여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남문희(2010)의 연구에서는 간호등급이 높을수록 환자 안전문화 인식이 높았는데, 본 연구의 군 병원 간호사의 안전문화 인식은 남문희(2010)연구 간호 등급 2,3등급 병원보다 낮고, 4등급 병원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군 병원 간호 인력이 6등급 이하의 열악한 수준을 고려한다면 군 병원 간호사의 안전문화 인식수준이 그리 낮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국군의무사령부에서 2011년 국 군수도병원을 시작으로 의료기관평가인증에 참여 하면서 전 군 병원에 인증기준에 부합한 환자안전과 질 향상 관련 규정을 마련하고 각종 교육 및 개선활동을 전개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5점 만점에서 명확한 긍정인 4점을 넘지 못한다는 것은 아직은 군 병원의 건전한 환자안전문화 구축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환자안전문화의 영역 중 ‘부서내 팀워크’ 가 3.92점으로 가장 점수가 높게 나타났는데, 선행연구(Kim et al, 2007,Park, 2008, Lee et al 2011, Choi et a, 2011, Lee, 2011)에서 ‘사고 보고 빈도’ 가 3.70~4.39점으로 가장 높은 영역인 것으로 나타난 것과는 다른 결과이다. ‘부서내 팀워크’ 영역의 세부문항 중 ‘근무자들이 서로 도와준다.’ 와 ‘근무자들이 서로 존중해준다.’ 가 4.0이상으로 특히 점수가 높은 문항이었는데, 이는 간호부서 내 상호 존중 및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선행연구에서 가장 점수가 높았던 ‘사고보고 빈도’ 영역은 본 연구에서 3.34점으로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의료사고 발생과 이에 대한 보고간의 관계를 실질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실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환자안전문화 영역 중 가장 저조한 영역은 ‘인력수준과 배치’ (2.87점) 와 ‘실수에 대한 비처벌적 반응’ (2.79점) 이었는데, Schubert 등(2008)의 연구에서 간호사의 인력수준은 간호사의 투약 오류, 낙상, 병원감염, 욕창 등에 유의한 영향요인이 있는 것을 보고하였고, 남문희 등(2011)의 연구에서도 간호등급이 높을수록 환자안전문화인식이 높게 나왔듯이 적정수준의 간호인력 배치는 환자안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실수에 대한 처벌적인 분위기는 자발적인 안전사고 보고를 통해 원인분석, 사고예방 활동을 전개하는데 저해요소가 되므로 지속적인 교육, 조직문화 혁신을 통해 반드시 개선해야 할 부분으로 판단된다. 안전간호활동의 수준은 5점 만점에 4.49점으로 투약, 낙상, 수술, 수혈 안전간호활동의 4개 영역 모두 4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보였고, 수술 안전 간호 4.66점(±0.47), 낙상 안전간호활동이 4.54점(±0.46), 수혈 안전간호활동이 4.43점(±0.54), 투약 안전간호활동이 4.33점(±0.48)이었다. 본 연구와는 달리 교육, 감염관리, 시설점검, 소방, 환자확인, 의료기기 관리, 의사소통 등을 각기 상이한 세부영역으로 구성된 안전간호활동 도구를 사용하여 비교는 제한되지만 최정화 등(2011)의 연구에서 4.25점, 이유정 3.89점, 한남주(2011)의 연구에서 4.30점, 이나주 등(2010)의 연구에서 2.11점 보다는 높은 점수였다. 이는 안전간호활동의 4개 영역이 군 병원은 발생빈도가 높은 안전사고에 대하여 자체적인 표준이나 지침을 마련하여 교육 및 개선활동을 추진하고 있으며, 의료기관인증평가 기준에서 군 병원에서 발생빈도가 높고 관심을 집중하고 있는 영역을 선정하여 연구도구를 개발함으로써 나타난 현상이라 판단 된다. 그러나 개별 영역을 선행연구와 비교해보면, 이유정(2011)의 연구에서 투약 3.64점, 수술 3.91점, 낙상예방 4.16점보다 높았으며, 한남주(2011)의 연구결과 낙상 4.40점, 투약 4.41점, 수혈 4.52점과 유사한 수준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수술관련 안전간호활동이 가장 높았는데, 작은 실수라도 환자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는 적신호 사건으로 발전할 수 있어 집중적인 지침을 개발하고 교육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반면, 간호사들에 의해 가장 빈번하게 수행되는 투약에 대한 안전간호활동 점수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안전한 투약을 위한 개선노력의 필요성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 인식 정도를 분석한 결과 계급, 직위, 근무지, 사고보고 횟수, 환자접촉 여부, 안전교육 경험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계급이 높을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환자접촉을 하지 않는 집단이, 민간학회 주관한 안전교육 받은 경험이 많을수록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나주 등(2011)의 연구에서 직위가 높은 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특수근무지(중환자실, 수술실, 인공수술실)의 근무지가 환자안전문화 인식정도가 높게 나타났던 것과 유사하며,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이경희 등(2011)의 연구에서 안전교육을 받은 간호사가 받지 않은 간호사 보다 환자 안전문화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김정은 등(2007)의 연구에서 나이가 많을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수간호사 집단), 직접 환자접촉을 하지 않는 집단일수록 환자안전 인식에서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나타난 결과와 일치한다. 직접 환자를 접촉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낮은 환자안전문화 인식을 보인 것은 환자안전사고에 밀접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직접 간호를 수행하는 집단이 더 낮은 인식을 보였으나 이는 환자접촉을 하지 않은 대상자는 주로 근무경력이 높은 관리자급 간호사들이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안전간호활동의 정도는 직위, 민간학회 주관 안전교육 경험, 교육 횟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과장급 이상이 선임간호장교보다, 민간학회 주관 안전교육 경험이 있는 근무자가 없는 근무자 보다, 교육 횟수가 많을수록 안전간호활동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실제적으로 직접적 환자간호를 수행하지 않는 과장급 이상이 선임간호장교보다 안전간호 활동 수행수준이 높게 나타난 것은 인지하고 있는 수준을 수행한다고 답변하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향후 안전간호활동에 관한 지식과 수행도의 조사연구나 실질적인 안전간호활동 수행을 측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민간학회 안전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근무자가 경험이 없는 근무자보다, 교육의 횟수가 2회 이상일 경우가 1회 이하일 경우보다 각각 안전간호활동의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왔는데, 이는 이나주 등(2010), 이경희 등(2011), 최경화 등(2010)의 연구와 일치하는 부분으로 주기적인 환자안전 교육의 필요성을 입증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을 평가하는 의료기관 인증 평가를 받은 군 병원 근무경험이 환자안전문화 인식 및 안전간호활동의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연구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국군의무사령부에서 인증조사를 받는 병원뿐만 아니라 전 군 병원을 대상으로 의료기관인증을 반영한 병원부대평가서를 개발하여 평가하며 환자안전관리지침을 개발하여 전파하고 교육 및 홍보 활동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전 군 병원의 환자안전 문화가 평준화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수행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변변수간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박소정(2008), 이유정(2011), 이나주 등(2011), 최정화(2011)의 연구에서 보고된 바와 일치하는 것이다. 환자안전문화 인식의 하부영역 중‘인력수준과 배치’를 제외한 11개 영역에서 안전간호활동 수행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부서내 팀워크’,‘안전증진에 대한 관리자의 태도’,‘실수에 대한 피드백’,‘안전사고 보고 빈도’,‘안전에 대한 전반적 인식’,‘부서 간 팀워크’,‘환자 인수인계’,‘조직학습 증진’,‘환자안전을 위한 경영진 지원’,‘의사소통 개방성’,‘실수에 대한 비처벌적 반응’영역의 점수가 높을수록 안전 간호활동 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 안전 관련 부서내, 부서간 협력, 경영진의 태도, 의사소통 채널 등 병원환경과 조직원의 인식 등 전반적인 조직문화가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환자안전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노력뿐만 아니라 병원 조직차원에서 단위별 환경개선, 병원정책 개발, 교육프로그램 마련 등의 통합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인력수준과 배치’ 영역에서만 안전간호활동 수행 정도와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환자안전문화 인식에서 ‘인력수준과 배치’ 영역은 2.87점으로 전반적으로 낮다고 인식하였으며, 부족한 인력 수준을 반영하는 현상으로 안전간호활동 수행에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이라고 생각된다. 환자안전을 위해서는 적정인력배치는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이므로 ‘인력수준과 배치’ 가 안전간호활동 수행과 상관이 없다고 인식해서는 안 될 것이다. 환자안전문화 인식의 세부영역 중 ‘실수에 대한 피드백’,‘안전증진에 대한 관리자의 태도’, ‘환자 전동(과) / 근무교대’가 안전간호활동 수행을 20.09%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나주 등(2011)의 연구에서는 환자안전문화 인식 중 전반적인 환자안전 인식이 의료사고 보고 정도에 대한 인식에서, 최정화 등(2011)의 연구에서 병원근무환경, 직속상관 및 관리자에 의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것과는 다른 연구결과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군 병원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군 조직 특성을 고려한 지휘관 및 관리자들의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 변화, 실수나 과오를 통해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조직문화의 혁신, 안전사고 보고체계 활성화, 체계적인 환자 전동(과) / 근무교대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military nurses`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performance on patient safety nursing,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 nursing, and to suggest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the policies on patient safety for the military hospitals. Methods : The study was designed as a descriptive study using the survey tool for patient safety culture developed by AHRQ in 2004 and the questionnaire for patient safety nursing performance developed by our research team in 2012.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nurses who worked at the military hospitals from July 23 to August 24, 2012 and were analyzed by SPSS Win 12.0. Results : The mean score of the military nurses`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performance score on patient safety nursing was 3.52(±.3) and 4.49(±.40), respectively. The perception levels of patient safety cultu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rank, position, working area, experience of safety education, and the number of reporting failures. The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 performance on patient safety nursing were highly correlated(r=.413, p=.000), and all the subcategories of patient safety culture except "staffing"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erformance on patient safety nursing. The categories of the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such as "Feedback and Communication about Error" "Supervisor/Manager Expectation & Actions Promoting Safety" and "Hospital Hand-offs and Transitions" had an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 nursing. Conclusion : The military nurses`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performance on patient safety nursing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factors such as rank, position, working area, and educational level.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arget group should be considered individually when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policies on patient safety are being developed.

      • KCI등재후보

        산업별 안전문화 평가지표 비교 연구

        오영민(Young-Min Oh),장근탁(Keun-tak Jang) 한국정책개발학회 2014 정책개발연구 Vol.14 No.2

        우리는 복잡한 기술과 인간이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는 사회 기술 시스템(Socio-technical System)에서 살고 있다. 사고는 기계적인 결합으로 일어나는 경우도 있지만, 사람들의 무지, 무의식, 판단오류 등 잘못된 행동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이러한 인간의 잘못된 행동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조직적, 사회심리적 관점에서 안전문화를 이해하려는 연구들이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간의 잘못된 행동을 유발하거나 원인이 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해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안전문화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현재 항공, 철도, 원자력 산업에서 안전문화 평가·측정도구로 사용되고 있는 평가지표를 비교연구를 함으로써 안전문화를 조성하는데 영향을 주는 구성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안전문화 평가지표의 구조적 특징과 공통의 6가지 요인들을 선별할 수 있었으며, 산업 및 조직적 특성에 따른 안전문화 평가지표의 특징들도 발견할 수 있었다. 산업별 안전문화 평가지표는 직무와 연계하여 세분화될 수 있으며, 공공과 산업안전을 지키는 정책적 수단이 될 수 있다. We are living in a socio-technical-system where complex technologies are in close contact with human beings. While accidents occasionally occur due to mechanical defects, there are many accidents that are caused by improper human behaviors, such as ignorance, unconscious actions and wrongful judg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such improper human behaviors, research to understand safety culture from organizational and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s are being attempted across many academic disciplines. Accordingly, this study has examined previous studies for factors that may induce or cause improper human behaviors as well as the trends in safety culture research. Additionally,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currently being used as safety culture assessment measurement tools within the aviation, railway and nuclear energy industries in order to categorize the key components that affect the creation of safety culture.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ty structure of safety culture assessment indicators, six common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safety culture assessment indicators. Also, the industrial safety culture assessment indicator can be fragmented according to industry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will be a tools for securing the public and industrial safety and prosperity.

      • KCI등재후보

        안전문화 실무 정착을 위한 적용성

        전경일(Juen, Kyung-il),이왕기(Lee, Wang-gi),손기상(Son, Ki-sang)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안전문화 조사를 이용한 기업의 안전문화를 측정하고 기업의 산업안전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안전문화 사업의 성과는 안전문화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는 전제하에 산업안전은 기술적·공학적 활동이지만 문화적 기반에 종속되어 있으며 이는 공학적 개입으로서 산업안전 사업도 산업안전관리체계와 직원들의 인식, 태도 행위에 따라 안전수준이 좌우되며 공학적 접근에 의한 산업안전 활동은 단기적으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장기적인 효과는 효율적인 관리체계와 산업안전의 활동 주체인 직원들의 인식 및 태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전제하에 타켓 회사를 선정하여 기업의 안전문화 수준이 어느 단계에 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기업 내 안전문화 정착에 저해하는 요인에 대해 방안을 모색하여 안전문화에 대한 기업의 한계를 넘어, 사회 전반적인 접근과 개개인의 안전문화에 관한 연구의 활성화 및 정책적 접근방법 등 안전문회의 요인들 간에 서로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o measure the safety culture of the company that uses the survey of safety culture, it has been configured to derive the industry safety improvement plan of the company. In particular, the results of safety culture business, under the assumption that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safety culture, industrial safety is technical and engineering activities, is dependent on the cultural foundation, this is industrial safety business as engineering intervention recognition of the employee industrial safety management systems, safety level is left and right, depending attitude act, industrial safety activities by engineering approach, but you can expect a short-term effect, long-term effect, efficient management It was studied whether the safety culture level of the company has come to any stage by selecting a system and industrial safety of the actors a different premise target company under by the recognition and the attitude of the employees is. Therefore, it wa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beyond the limit of the company to the safety culture and looking for ways of the factors that inhibit the fixing of safety culture in the enterprise, research on society as a whole of the approach and one person’s safety cultur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need for diversified efforts to be able tomake the interaction between factors of safetyMunfe such activation policy approaches. 본 연구는 안전문화 조사를 이용한 기업의 안전문화를 측정하고 기업의 산업안전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안전문화 사업의 성과는 안전문화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는 전제하에 산업안전은 기술적·공학적 활동이지만 문화적 기반에 종속되어 있으며 이는 공학적 개입으로서 산업안전 사업도 산업안전관리체계와 직원들의 인식, 태도 행위에 따라 안전수준이 좌우되며 공학적 접근에 의한 산업안전 활동은 단기적으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장기적인 효과는 효율적인 관리체계와 산업안전의 활동 주체인 직원들의 인식 및 태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전제하에 타켓 회사를 선정하여 기업의 안전문화 수준이 어느 단계에 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기업 내 안전문화 정착에 저해하는 요인에 대해 방안을 모색하여 안전문화에 대한 기업의 한계를 넘어, 사회 전반적인 접근과 개개인의 안전문화에 관한 연구의 활성화 및 정책적 접근방법 등 안전문회의 요인들 간에 서로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o measure the safety culture of the company that uses the survey of safety culture, it has been configured to derive the industry safety improvement plan of the company. In particular, the results of safety culture business, under the assumption that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safety culture, industrial safety is technical and engineering activities, is dependent on the cultural foundation, this is industrial safety business as engineering intervention recognition of the employee industrial safety management systems, safety level is left and right, depending attitude act, industrial safety activities by engineering approach, but you can expect a short-term effect, long-term effect, efficient management It was studied whether the safety culture level of the company has come to any stage by selecting a system and industrial safety of the actors a different premise target company under by the recognition and the attitude of the employees is. Therefore, it wa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beyond the limit of the company to the safety culture and looking for ways of the factors that inhibit the fixing of safety culture in the enterprise, research on society as a whole of the approach and one person’s safety cultur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need for diversified efforts to be able tomake the interaction between factors of safetyMunfe such activation policy approaches.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원자력발전의 안전문화 비교―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를 중심으로 ―

        박성하 한국일본학회 2018 日本學報 Vol.0 No.114

        본 논문에서는 체르노빌 원전사고 이후 일본 원전에 있어서의 안전문화 개념과 안전문화의 중요성 인식 과정을 고찰해 보았다. 특히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발생 원인과 안전문화 관점에서의 사고의 교훈을 반영한 안전문화 전개과정을 소개하고, 향후 한국의 원자력 안전문화의 체계 구축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일본류의 안전 문화는 개인보다 조직, 즉 집단 윤리가 의사결정을 지배하는 것을 감안하여, QMS와 안전문화 양성 활동을 통합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해 나가는 것이고, 이것이 확고한 안전 문화를 구축하는 열쇠가 된다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었다. 한국에 있어서도 실천에 바탕을 둔 안전문화를 도입하기 위해서 집단문화, 동료의식을 극복할 수 있는 과학적으로 매니지먼트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 원전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원자로 등의 하드웨어적인 안전성 확보도 중요하지만 조직과 개인의 자세와 품성이 결집된 원자력 안전문화(소프트웨어적인 측면)가 더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해 보았다. 이것은 원전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안전문화의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concept of safety culture after the Chernobyl nuclear accident,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afety culture in Japan.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introduce the safety culture development process that reflects the cause of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and the lessons learned from the viewpoint of safety culture, and present a direction for establishing the system of nuclear safety culture in korea in the future. I realized that establishing a safety culture such as Japan, in other words, decision making is dominated by group ethics in organizations rather than individuals, is the key to establishing a stable safety culture by building and operating a system that integrates QMS and safety culture development activities.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build and actively use scientific management system that can overcome group culture and fellow consciousness to introduce safe culture based on practice also in Korea. In this paper, I suggest that nuclear safety culture (software aspect), which is a combination of organization and individual attitude and personality, is more important than securing nuclear safety of nuclear reactors in order to secure nuclear safety.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build a safety culture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