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율곡의 심신 수양론과 체육철학적 함의

        김부찬 ( Boo Chan Kim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6 No.-

        율곡 이이(栗谷李珥)는 퇴계 이황(退溪李滉)과 더불어 조선 성리학을 정초한 인물로서 그의 사상은 이기지묘(理氣之妙), 기발이승(氣發理乘), 이통기국(理通氣局) 등을 통하여 알려져 있다. 본고는 체육철학적 관점에서 율곡의 심신관과 심신수양론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체육학의 한 분야이자 응용철학의 하나로서 체육철학은 근래 한국체육학계에 있어서 중요한 학문분야로 정립되어가고 있지만 그 주된 이론체계는 서양철학의 이론에 바탕하고 있다. 특히 서양 근대철학의 인간론 및 심신관은 우리의 전통적인 사유와 단절되어 있어서 한국인에 맞는 체육철학의 이론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유교 및 불교의 인간관과 심신관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그런데 엄밀한 의미에서 율곡의 학문적 관심은 체육학의 대상인 신체와 신체활동과는 동떨어져 있다. 율곡은 한평생 내성외왕(內聖外王)을 목표로 하여 성리학적 이론을 정립하고, 또 경세의 실천을 겸했던 유학자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심신관과 심신수양론 속에는 몸과 몸의 움직임을 통해 완전한 인간이 되고자 하는 철학적 성찰이 담겨있으며, 이는 신체의 활동과 인간됨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체육철학의 관점과 연관되어져 있다. 이 같은 문제의식 아래 본고에서는 율곡의 저서 가운데 『성학집요(聖學輯要)』와 『격몽요결(擊蒙要訣)』을 중심으로 하여 그의 심신관과 수양론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어 이것이 지닌 체육철학적 함의가 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 특히 수기치인(修己治人) 가운데 수기(修己)에 해당하는 성의(誠意)ㆍ정심(正心)ㆍ수신(修身)에 대한 율곡의 해석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율곡이 제시한 성실(誠實)ㆍ교기질(矯氣質)ㆍ양기(養氣)ㆍ검신(檢身) 등에 주목하여 그의 심신관과 수양론의 내용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체육철학의 입장에서 율곡의 심신관 수양론이 지닌 함의와 현대체육철학에 있어서 율곡의 심신수양론이 지닌 의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Yulgok-Yi I, a Confucian scholar, developing Chosun Neo-Confucianism with Toegye-Yi Hwang, was well-known for his thought, Yigijimyo(理氣之妙), Gibaliseung(氣發理昇), and Yitonggiguk(理通氣局), et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Yulgok’s viewpoint of mind and body and its training theory in the angle of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The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a field of physical education and an applied philosophy, has been established as an important field of study in the world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but the main theory is based on the Western philosophical theory. Especially, the viewpoint of human and mind and body of Western modern philosophy is broken off with Korean traditional thought. So the study on the viewpoint of human and mind and body in Confucianism and Buddhism is requested to set up the theory of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fitting to Korean. In a strict sense, the interest of Yulgok’s study is far away from body and physical activity, the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Yulgok had established Neo-Confucianism to achieve Neseong-Oewang(內聖外王) in his whole life and practiced governing philosophy. Nevertheless there are philosophical introspection to be a perfect human being through the body and its activity in his viewpoint of mind and body and its training theory. It is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taking a serious view of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completion of humanity. Having those critical mind, this paper analyzed the contents of his viewpoint of mind and body and its training theory based on his writings, 『Seonghakjibyo』(『聖學輯要』),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and tried to find the meaning of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I paid attention to his some concepts, sincerity(誠意), right mind(正心), moral training(修身), cultivating Gi(養氣), body examination(檢身), etc. I studied the implication of Yulgok’s viewpoint of mind and body and its training theory from the angle of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and the meaning of his thought from the modern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 KCI등재

        연구논문 : 좌선(坐禪)의 개념을 통해본 선사(禪師)들의 심신관(心身觀)

        김부찬 ( Boo Chan Kim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1 儒學硏究 Vol.24 No.-

        좌선(坐禪)은 앉아서(坐) 선정(禪定)에 드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일차적으로 육체적인 수행의 형태를 띠고 있다. 또한 선정이란 마음을 한 곳에 집중시키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마음의 수행을 의미한다. 따라서 ``좌선``이란 말에는 몸과 마음을 동시에 수련하는 의미가 담겨져 있다. 그런데 중국의 선종사를 통해 보면 이러한 ``좌선``의 개념은 마음의 상태 혹은 지관(止觀) 내지 정혜(定慧)의 개념들과 상관하여 새롭게 이해됨을 살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좌선의 개념의 변천을 통하여 선사들의 심신관의 차이를 읽어낼 수 있다. 본고에서는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과 『휴휴암좌선문(休休庵坐禪文)』 그리고 『장로자각색선사좌선의(長蘆慈覺색禪師坐禪儀)』 등을 중심으로 하여 이에 나타난 좌선의 용례와 그 개념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선사들의 좌선의 개념이 어떻게 변천되었는지를 살폈다. 아울러 이러한 좌선의 개념 속에 내재된 심신관(心身觀)이 무엇인지를 구명하였다. Sitting in Zen Meditation means to get into the state of being calm. Therefore it has a form of physical asceticism. And it is also mind asceticism because the state of being calm means to concentrate the mind in one place. As a result, ``Sitting in Zen Meditation`` includes not only physical asceticism but also mind asceticism. Observing the history of Chinese Zen Buddhism, we can recognize that the concept of ``Sitting in Zen Meditation`` is newly understood because it is related with that of ``the state of mind``, ``Samadha-vipassna`` and ``Samadhi and transcendental wisdom``. So we can find the difference of the Zen masters` viewpoint on mind and body through the transition of the concept about ``Sitting in Zen Meditation``.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usages and the concepts about ``Sitting in Zen Meditation`` based on <Kyeongdeokjeondeungrok> <Hyuhyuamjwaseonmun> and <Jangrojagaksaekseonsajwaseoneui>. And then I examined the process of transition about the Zen masters` concepts on ``Sitting in Zen Meditation`` through the analysis.

      • KCI등재

        체육철학의 입장에서 본 이제마의 사상의학적 심신관

        김부찬 한국체육철학회 2012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0 No.2

        In this study I look at the way Lee Je-ma understood a human being, I. e. how he interpre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mind and thereby hope to expand the scope of Sports Philosophy. His Sasang Typology is an attempt to explain the pathology of human body based upon different constitutional types and the conditions of organs. He classified human beings into four categories such as Taeyangin (Big yang type), Soyangin (Small yang type), Taeumin (Big yin type), and Soumin (Small yin type) and argued that a doctor should treat each patient after figuring out which of these four types he or she belongs to since the cause and pathology of an illness vary, depending on the constitutional type the individual belongs to. As a sports philosopher I appreciate his insight that a human being will be better understood if his or her body type is identified. Furthermore, his pathological theory is based upon his views on the cosmos and human mind. In this study I look at his views on the four constitutional types that we find in two books, I. e. Dongeuisusaebowon and Gyeokchigo. I also identify the philosophical basis of his views on mind and body, and see how his theory can be fruitfully applied in modern sports, sports education and athletic activities. 본 연구는 체육철학의 입장에서 이제마(李濟馬)의 사상의학(四象醫學)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간에 대한 이해, 즉 몸과 마음의 관계인 심신관(心身觀)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체육철학의 지평을 확장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제마에 의하여 제시된 사상의학은 사람의 체질과 장부의 허실에 따른 병리를 설명한 학설이다. 즉 사람을 태양인(太陽人)․소양인(少陽人)․태음인(太陰人)․소음인(少陰人)의 네 가지 유형[四象]으로 나누고, 각 유형에 따라 병의 원인이 다르고 그에 대한 처방도 달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체육철학의 입장에서 볼 때 이제마의 사상의학이야 말로 ‘몸의 유형에 따른 인간이해’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 그 철학적 시원을 우주론과 심성론에 바탕하여 전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크게 주목된다. 본고에서는 『동의수세보원』과 『격치고』를 중심으로 하여 이제마의 사상체질에 대한 특징과 더불어 그의 심신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이제마가 정의한 몸과 마음에 대한 철학적 담론이 어디에 근거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사상의학적 심신관이 간직한 체육철학적 함의를 도출하여 보고 현대 체육학과 체육교육 및 체육활동에 구체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를 밝혀 보았다.

      • KCI등재

        퇴계 이황의 경사상과 『유마경』의 좌선에 나타난 심신관 비교

        김부찬 ( Kim Boo-cha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1 儒學硏究 Vol.54 No.-

        본고는 체육철학의 입장에서 퇴계 이황의 경(敬)사상과 『유마경』의 좌선[宴坐]에 나타난 심신관(心身觀)을 비교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인간을 구성하고 있는 것은 마음[心]과 몸[身]이며, 마음과 몸에 대한 문제는 철학은 물론 체육에 있어서도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퇴계가 지향한 학문적 목표는 성인(聖人)이 되기 위한 것이며, 『유마경』에 나타난 이상적 인간상은 법신(法身)의 차원에서 살아가는 보살(菩薩)이라 할 수 있다. 퇴계가 제시한 ‘경(敬)’과 유마힐이 밝히고 있는 ‘좌선’은 이상적 인간인 성인과 보살이 되기 위한 수양론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수양의 구체적인 대상은 다름 아닌 마음과 몸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퇴계와 유마힐이 제시한 몸과 마음의 특징 및 몸과 마음의 관계에 대한 문제를 검토하여 이들의 심신관을 비교하였다. 체육의 목표가 무엇인가 하는 문제에 대한 대답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그 궁극적인 목표는 이상적인 인간을 추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몸의 움직임이 마음을 떠나 있을 수 없다. 또 몸의 움직임의 궁극적인 목표는 동양철학에서 말하는 ‘도(道)’를 떠나 이야기 할 수 없다. 퇴계의 경과 유마힐의 좌선에 나타난 심신관은 결국 이상적 인간관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체육의 궁극적 목표가 무엇이어야 하는가 하는 철학적 물음에 대한 하나의 대안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승리와 자본에 매몰된 현대 체육이 가진 문제점의 원인을 자각하게 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oegye Yi Hwang’s Gyeong thought with the view of mind and body on sitting meditation in Vimalakirti Sutra(維摩經). It is the mind and body that make up human beings, and the question of mind and body is an important task not only in philosophy but also in physical education. The academic goal of Toegye is to become a saint, and the ideal human figure in Vimalakirti Sutra is a Bodhisattva who lives on the level of Dharmakaya. Toegye’s ‘Gyeong’ and Vimalakirti’s ‘sitting meditation’ can be said to be a self-cultivation theory to become an ideal human being, a saint or a Bodhisattva. And the specific object of self-cultivation is none other than the mind and body. In this paper, the writer compared their views on mind and body by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dy and min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mind presented by Toegye and Vimalakirti.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what the goal of physical education is will vary from person to person, but the ultimate goal is to pursue an ideal human being. The movement of the body cannot exist beyond the mind. Also, the ultimate goal of body movement can not be said without ‘Tao’ of oriental philosophy. Toegye’s Gyeong thought and the view of mind and body on sitting meditation in Vimalakirti Sutra are ideal perspectives on human beings. This provides an alternative to the philosophical question of what the ultimate goal of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is comparison makes modern physical education, which is buried in victory and capital, be aware of the problem.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양명학과 체육학의 만남과 소통

        권오륜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0 儒學硏究 Vol.22 No.-

        연구는 陽明學과 체육학(스포츠)의 소통에 관한 논의이다. 체육학과 양명학의 시대적, 학문적 성향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학문의 소통에 관심을 표명하는 이유는 두 학문의 궁극적인 지향점이 ‘사회의 통합’이나 ‘大同社會구현’ 즉 인간학에 있다는 것이다. 인간이 중심이 된 공동체 삶 속에서 성현과 군자의 도리를 추구하는 양명학이나 사회구성체의 도덕과 윤리의 가치체계를 수렴하거나 환원하는 체육학은 현재 한국이라는 좌표를 기준으로 交遊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 연구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양명학과 체육학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양명학과 체육학의 논리적 접점에 대한 철학적 탐색과 지금까지 체육학 분야에서 발표된 양명학관련 연구의 성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양명학과 체육학의 소통’이라는 주제로 두 학문간 학제적, 융복합적 연구의 가능성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미래지향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양명학과 체육학의 접목은 권오륜에 의해 시도되었으며 당시 체육학의 핵심과제였던 心身觀의 문제를 양명학의 철학적 관점에 찾으려는 연구로서 구체적 연구내용은 양명학에 내재된 심신관의 규명 그리고 양명학에 내재된 신체사상이 미래 체육학의 신체사상을 정립하는 대안의 역할에 관한 것이었다. 한편 최근에 김부찬의 연구는 권오륜의 연구를 기초로 진일보된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할 만하다. 또한 왕양명의 修養論과 체육학의 武道論의 접목을 시도하는 연구가 박사학위 논문으로 준비 중에 있는 등 체육학에서의 양명학 연구는 최근에 들어 새로운 연구자와 연구주제가 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두 번째 양명학과 체육학의 소통에 관해서는 양명학은 지와 행의 일치성으로 성립되는 내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지와 행, 이념(정신)과 행위(신체)가 분리되거나 선후의 문제, 작용과 피작용의 관계로 간주하는 서양철학의 이원론적 관점을 초월한 신체성의 가치로서 체육학과 소통하는 핵심과제로 손색이 없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처럼 두 학문 간의 소통은 이론(지식)이 현실적용(실천, 行)으로 발현될 때 완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양명이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했던 대동사회 구현은 양명의 사상(양지)이 우리사회의 구석구석에 전이되어 구체적으로 발현되는 것(치양지)이라고 한다면, 결국 과학적 지식을 포함한 모든 학문과 소통할 수 있고 소통해야 하는 당위가 존재하는 것이다. 다만 양명학의 근본취지가 제 학문과 접목되어 오늘날 우리사회에 구현되기 위해서는 양명사상의 이론적 틀을 제공하는 양명학(자)과 그 사상을 응용하여 보다 나은 삶에 적용하는 제 학문(학자)간의 부단한 자기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성호학파와 양명학의 접점

        함영대 한국양명학회 2019 陽明學 Vol.0 No.52

        Studies on Learning of Yangming of the Seongho School have been steadily carried out, but the critical point is to criticize the Neo-Confucianism but not enthusiastically believe in the Learning of Yangming. Therefore, in the outcome of important studies, there are a number of cases that demonstrate the traces of accommodating Learning of Yangming with the Seongho School leading the way, but there are extreme few data displaying such cases that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discovery of such data is even more necessary. This article is to review if there is any point to correspond to the Learning of Yangming within the internal atmosphere of the Seongho School rather than unreasonably finding out the directly linked ring of the Seongho School and Learning of Yangming by looking straight at such a critical mind. In details, by making detailed analysis on whether the direction of thinking to process the discussion from the Confucian anti-heresy discourses or Simsingwan (Mind and Body Perspective) related discussions to be able to correspond with the opinion of the Learning of Yangming in a way of seeking for possibility of Seongho School to accommodate the Learning of Yangming. As a result, it points out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o secure the logical bridge and atmosphere within the academic sector for the Seongho School to accommodate Learning of Yangming around the Confucian anti-heresy discourses, and it also confirmed the possibility to have the relativity with the assertion of Yangming that emphasized to take all objects of the world in one ‘body’ through the unified understanding of mind and body as most dramatically submitted by Jeongsan Lee Byung-hue. Yangming also seemed not to give up on fundamental contemplation on the world of reasoning. However, he established the logic of Ji-Haeng-Hap-Il (knowledge and action in unified way) not the global recognition of Seon-Ji-Hu-Haeng (knowledge first and action later) that emphasizes the distinction of more convenience. This type of logic has further possibility to uniformly understand the system of convenience, and as a result, it may be pointed out as a speech of a ‘body’ in the more progressive implication than Zhu Xi when all things on earth can be taken in a body. The unified understanding on mind and body of the Seongho School has a room to find the connection point with the world recognition of Learning of Yangming in such an aspect. Mind and body cannot be separated in the self-discipline of individual, and in this point, the Seongho School and Learning of Yangming open up the possibility of mutual communication. 성호학파의 양명학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전개되어 왔으나 그 핵심 논점은 주자학을 비판했다는 것이지, 적극적으로 양명학을 신봉했다는 것은 아니었다. 그러므로 이와 관련한 주요한 연구의 결론도 성호학파 가운데 좌파를 중심으로 양명학 수용의 흔적을 나타내는 다수의 사례가 존재한다는 점은 일단 주목할 필요가 있으나 그 사례를 보여주는 자료는 매우 단편적이므로 자료의 발굴이 한층 더 필요할 것이라는 지적이 있었다. 본 논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반영하여 성호학파와 양명학파의 직접적인 연관 고리를 무리하게 찾기보다는 성호학파의 내적 분위기 가운데 양명학과 조응할 수 있는 점이 없었는가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벽이단론이나 심신관과 관련한 논의 가운데 그 논의를 진행하는 사고의 방향이 양명학의 견해와 조응할 가능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성호학파에서 양명학을 수용할 수 있는 맥락과 접점의 가능성을 짚어 보았다. 그 결과 벽이단론을 중심으로 성호학파가 양명학을 수용할 수 있는 학파내적 분위기와 논리적 교두보를 확보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으며, 정산 이병휴에 의해 가장 극적으로 제출되는 심신의 통일적인 이해는 천지 만물을 한‘몸’으로 삼을 것을 강조한 양명의 주장과 상당한 수준의 연관성을 지닌 것으로 파악했다. 양명은 심(心)을 강조하지만 리(理)의 가치가 구현되는 세계에 대한 기본적인 구상 자체는 포기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그는 이기(理氣)의 구별을 좀 더 강조하는 선지후행(先知後行)의 세계 인식이 아닌 지행합일(知行合一)의 논리를 세웠다. 그러한 논리는 나아가 이기의 체계를 통일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그 결과로 천지만물을 한 몸으로 삼는다고 할 때에 주희보다는 더 진전된 의미로 그 한 ‘몸’의 발언을 한 것이라고도 지적할 수 있다. 성호학파의 심신에 대한 통일적인 이해는 바로 그러한 측면에서 양명학의 세계인식과 접점을 찾을 여지가 있다. 개인의 수양에 있어 심신은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은 정산에 의해 가장 극적으로 나타나는 것인데 그 점에 있어 성호학파와 양명학은 상호 소통의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

      • KCI등재

        선문답(禪問答)을 통해 본 선사(禪師)들의 심신관(心身觀)과 그 체육철학적 함의

        김부찬 한국동서철학회 2023 동서철학연구 Vol.- No.108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ind and body view of Seon masters through the contents of ‘body’ and ‘mind’ in Seon dialogue between Seon masters, and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their physical philosophy focusing on Gyeongdeokjeondeungrok(景德傳燈錄) and Byeokamrok(碧巖錄). The core of Seon thought is that ‘the mind is the Buddha’, and the core of the physical philosophy is to explore the philosophical values and meanings of the body and body movements. In other words, Seon thought focuses on the ‘mind’ and the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on the ‘body’. However, the mind and body cannot exist separately in that the mind is revealed through the body, and the body is operated by the mind. In other words, the method of delivering enlightenment through question and answer among Seon masters cannot exclude the ‘body’. As shown in the questions and answers between Namak Hoey ang and Majo, since the mind is the owner of the body, Seon cultivation emphasizes the mind, not the body. However, in Seon dialogue among Seon masters shown in Seon Analects, Seon masters express the world of enlightenment with gestures, not word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world of Seon such as ‘the cessation of the way of the word(言語道斷)・the realm beyond mental speculation(心行處滅)’ is achieved and passed down through the body’s experience. This is not a body separated from the mind, but a body with a mind and body that is not two. In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the question of ‘what is the ultimate purpose of physical education’ belongs to the essential question, but scholars differ in their opinions in their answers. The mind and body view, which appeared in Seon masters’ dialogue, says that the body itself is the mind, beyond the world, not the two. This can be said to be consistent with the ultimate purpose of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 KCI등재후보

        陽明學과 21세기 體育學

        권오륜(Kwon Oh-ryun) 한국양명학회 2003 陽明學 Vol.- No.9

        교육의 하위개념으로서 체육이 20세기말 급변하는 과학의 발달과 맞물려 독립된 하나의 학문인 체육학으로 성립되었다. 특히 체육학이라는 학문의 영역으로서 체육철학적 존재론의 실체인 신체관은 체육학의 본질로서 체육학의 학문적 기초를 정립하는 필수불가결의 핵심이다. 필자는 체육학에서 탐구의 대상인 인간에 대한 동양적 사고 방식과 서양의 경험적, 합리적, 과학적 방법이 조화를 이룰 때 가장 이상적인 21세기 체육학의 비전이 제시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따라 동양철학의 대표적 사상의 하나로서 유학의 한 계파인 양명학의 철학사상이 21세기 미래 사회에서 체육학의 철학적 기초로서 대안이 될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양명의 知行合一說은 주자학과 다른 실천적 요소가 포함된 자신의 독특한 학문체계를 수립하게 된다. 양명은 知를 行의 시작으로 보았고, 行을 知(良知)의 완성으로 보았으므로 결국 行의 시작은 知로부터 결정되는 것이며 동시에 行은 知의 완성이라는 관점에서 致良知의 致의 과정이 된다. 양명은 당시 관학이던 주자학의 모순을 文盛實衰에 있다고 함은 良知의 행동적 실천의 부재를 꼬집은 말이며, 자아는 단순한 이론적 인식이나 사유의 주체일 뿐만 아니라 신체적, 행동적, 실천적 주체라고 규정하였다. 따라서 양명학의 知行合-說과 致良知說에 나타난 신체사상은 서양철학의 이원론적 섬신관의 모순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나아가 21세기 체육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hysical education, which was a subordinate idea of education, has formed science of physical education as a independent study with the radical development of science in the end of the 21st century. In science of physical education as a study, the view on a body is the subject of philosophical existence and the essential core that forms the basis of the study. An ideal vision of the 21st century's science of physical education could be held if we study human beings with the oriental points of view and the western points of view which is experimental, scientific, and rational. This researcher has studied the philosophical thoughts of Wang-ming studies, the representative thoughts in oriental philosophy, and has made alternatives as the philosophical basis of science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知行合一) of Wang-ming sets up the peculiar system of a studies with the practical facts (movements and behaviors of human beings), which is different from Confucianism. Wang-ming thinks that knowledge is the beginning of action and action is the completion of knowledge(良知). So he knows that the beginning of action results from 知 and it is the process of chih(致) of Chih liang-chih(致良知) because knowledge is the completion of action. Wang-ming criticizes that Confucianism as the national study has no practical behaviors of liang-chih. Also he says that the self is nor only the subject of theoretical cognition and thinking but also the subject of practice, behavior, and body. The points of view on a body which come from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and Chih liang-chih in Wang-ming studies could cure the dualistic points of view on a body in western philosophy, and have values as the new paradigm of the 21st century's science of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통합교육 과정과 web의 연계적용에 의한 성윤리 교육 효과 제고 방안

        이종흔(Lee Jong Heu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2

        이 글에서는 남녀 중학교 성윤리 교육 개선방안의 일환으로 아래와 같은 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첫째, 현행의 학교 성 윤리 교육이 어떤 교육과정을 통해서 실시되고 있는지에 관한 고찰을 토대로 학교 성 윤리 교육의 통합 교과적 접근을 통해 그 개선 방안을 살펴보았다. 둘째, 학교 성윤리 교육에 있어서 학습자 중심의 학습 내용을 반영하고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하는데 효과적인 학습 방안의 모색을 통해 성윤리 교육 개선방안을 살펴보았다. 셋째, 성윤리 교육 학습내용을 학생들에게 흥미유발과 동기부여를 하면서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학생 중심적 교수‧학습매체의 선택에 의한 교실수업을 수행할 있는 치밀한 접근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근간(根幹)이 되는 체제적(systematic)매체로서웹 기반의 홈페이지를 활용하였다. 넷째, 본 교육 프로그램을 학교 실제 교실 수업에 적용한 결과를 중심으로 효과를 검증 및 분석하여 보았다.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a realities of a sexual education, analyzing recognitions and demanding differences in sexual consciousness, and showing a desirable improvement direction of an efficient sex education within a public education. The detailed research are the following. Firstly, the sex education in the middle, high school is usually carried out by teachers of the related subjects like science, ethics, athletics, and so forth, and the classes for sex education is usually assigned to special activities and optional activities. However, as there are schools which don't provide sexual education services for teenagers at all, it is said that there should be demanded an active volition and effort which is taken to form the sexu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make it practical within public education system. Secondly, students show highest satisfactions toward incorporated contents and methods of sexual education, and unsatisfactory students are more many than satisfactory ones. This realities to sex education tell us that there should be considered an efficient alternative appropriate to real circumstances, curriculums, learning instructions in school unit which could produce remarkable effects. Thirdly, a currently appropriate formation and treatment of curriculum for sex education in the school unit lik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o that the school sexual education can be accomplished effectively and systematically, and accordingly, there seems to be a necessity to check up an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providing instruction program, opportunity and experts for sex education suffici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