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에서의 심리운동의 도입과 전개과정에 대한 연구

        여은혜 한독심리운동학회 2018 심리운동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dentity of the psychomotorik in Korea by exploring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psychomotorik in Germany. As the social demand and interest in the psychomotorik in Korea increases, the area is expanded and applied to various ages and objects. In Germany, the history of the psychomotorik has been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accumulated, and it is the basis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psychomotorik along with the subsequent research. The psychomotorik, which was introduced to Korea from Germany 20 years ago, is rooted, and now the psychology department is established and operated in the Korean university. At the time when the qualification of the psychomotorik is strengthened to be issued only at the undergraduate level, There is a need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leave it in the records. This study collects, analyzes and organizes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psychomotorik in Korea centered on institutions related to psychomotorik, research institutes, and academic societies. In addition, we analyzed and analyzed the qualification process and qualification issue status of Korea psychomotorik Institute and Korea psychomotorik Association which are representative psychomotorik training institutes.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wo directions, the identity of the psychomotorik in Korea and the future direction of the psychomotorik are suggested. 본 연구는 독일에서 시작된 심리운동의 한국에서의 도입과 전개과정을 탐구하여 한국에서의 심리운동의 정체성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에서 심리운동에 대한 사회적 수요와 관심이 높아지면서 그 영역이 다양한 연령과 대상으로 확대·적용되고 있다. 독일에서는 심리운동의 역사가 체계적으로 잘 정리되고 자료들이 축적되어 있어 후속연구와 더불어 심리운동의 정체성을 정립하는 기초가 되고 있다. 20여년 전 독일에서 한국으로 도입된 심리운동은 뿌리를 내려 현재 한국의 대학에서 심리운동학과가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고, 심리운동사 자격이 학부수준 이상에서만 발급되도록 강화되는 시점에서 한국에서의 심리운동의 발전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기록에 남겨야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심리운동 관련 기관, 연구소, 학회 등을 중심으로 한국에서의 심리운동 발전과정에 대한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체계화 시켰다. 또한 대표적인 심리운동사 양성기관인 한국심리운동연구소와 한국심리운동협회의 자격증 취득과정 및 자격발급 현황을 정리·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두 방향에서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에서 심리운동의 정체성 정립과 앞으로 심리운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심리운동사의 현황과 실태

        마주리 ( Ju Lee Ma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0 아동복지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최근 심리운동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그 동안 배출된 심리운동사의 일반적인 특성과 활동현황, 그리고 심리운동사 자격 및 유지의 적합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우리나라 심리운동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설문에 응답한 심리운동사 4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4개의 소주제에 총 37문항으로 구성한 설문지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운동사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연구대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57%, 남자가 43%, 연령은 30대가 38%, 40대가 31%, 학력은 학사 53%, 석사 이상인 자가 39%로 나타났다. 전공영역은 체육관련 전공자가 23%로 가장 많았으며, 직업은 심리운동사가 21%, 치료사가 19% 순으로 나타났다. 거주 지역은 서울·인천·경기도에 81%가 집중되어 있었다. 둘째, 심리운동사의 활동현황을 살펴보면, 연구대상자들 가운데 심리운동이 주 업무인 경우는 26%에 그쳤으며, 60%가 주 업무에 심리운동을 도입하여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운동에 대한 만족도는 주 업무가 심리운동인 경우, 응답자 모두가 만족하였으며, 주 업무에 심리운동을 도입하는 경우는 만족도가 77%로 나타났다. 심리운동을 실시하는 지역은 70% 이상이 서울·인천·경기도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대상은 유아가 67%, 아동이 56%로 나타났으며, 실시대상의 특성으로는 장애인이 79%로 나타났다. 실시기관은 복지관이 가장 많았고, 심리운동을 실시하는 시간은 주당 5시간 미만이 49%로 가장 많았다. 심리운동을 할 때의 어려운 점은 슈퍼비젼 부재와 정보부족이 각각 42%로 가장 많았다. 셋째, 심리운동사 자격 취득 및 유지에 대한 의견은 현재의 취득조건이 적절하다가 58%, 부족하다가 38%로 나타났으며, 자격 취득을 위해 보강해야 할 유형은 슈퍼비젼 시간이 35%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심리운동사의 자격유지를 위한 규정은 약 80%가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필요한 규정으로는 임상시간이 44%, 세미나 시간이 42%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위의 결과를 기초로 심리운동의 발전방향으로 독립된 치료 및 교육 방법으로의 자리매김, 지역 및 대상의 다양화, 심리운동사 자격 취득 및 유지를 위한 조건 강화, 연구활동의 지원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future directions for psychomotor therapists in Korea, by carrying out a significant survey. This survey show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ctivities of psychomotor therapists and evaluates the appropriateness of qualification criteria that is used to acquire their certificate and to maintain their status. There were 43 subjects and 37 questions in this survey.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57% of subjects were women and 43% were men and 38% were in their 30s and 31% were in their 40s. 53% of subjects held bachelor`s degree and 39% held master`s degree. 23% of subjects majored in sports- related fields, and 21% of subjects worked as psychomotor therapists and 19% worked as other therapists. 81% of subjects liv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Only 26% of subjects were full-time psychomotor therapists, but 60% had other full-time jobs, but they combined psychomotor therapy into their full-time jobs. Their satisfaction of combining psychomotor therapy into their full-time jobs amounts to 77%. Psychomotor therapy was conducted more than 70%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Psychomotor therapy was applied to babies and children, but most of them were handicapped. The major organizations that carry out psychomotor therapy were Welfare centers, and 49% of subjects were carried out less than 5 hours a week. 42% of subjects had difficulty because of absence of supervision and lack of information. In adequacy of qualification criteria, 58% of subjects felt appropriate and 35% felt insufficient. In a type of reinforcement for qualification criteria, 35% of subjects responded in supervision time, and 80% of subjects were aware of necessity of rules for qualification maintenance. In a type of rules for qualification maintenance, 44% of subjects responded in clinical time and 42% responded in seminar time. In method of development of psychomotor therapy, 50% of subjects responded in public rel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uture directions of psychomotor therapists were suggested. First, psychomotor education needs its own therapy and education method. Second, psycho therapy has to acquire more diversity of locality and subjects. Third, it requires reinforcement and maintenance of qualification criteria. Fourth, support for further research activities is needed.

      • KCI등재후보

        심리운동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방향성 탐색

        곽정민(Kwak, Jung-Min) 한독심리운동학회 2020 심리운동연구 Vol.6 No.2

        이 연구는 2005~2020년 11월까지의 국내심리운동 연구 248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분석한 후 계량화하여 그 방향성을 탐색하였다. 계량화한 자료를 기반으로 독일의 심리운동과 심리운동학 발달단계와 비교해 국내 심리운동의 현재 위치와 현황을 파악한 후, 향후 심리운동 연구의 방향성 준거를 제시하고 정보와 지식 등을 제공하는데 필요성이있다. 이를 위해 심리운동 관련 연구의 일반적 현황을 알아보았다. 심리운동 관련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에 나타난 실험연구의 연도별 현황에서는 그 대상과 연령, 대상 수의 점진적확대를 확인했다. 장애유형별 연구의 경우 장애관련 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학위논문은발달지체 관련 연구가, 학술논문은 지적장애 관련연구가 많았으며, 연령별 현황에서는 학위논문과 학술논문 모두 장애유아 연구가 많이 발표되었다.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은 모두실험연구 비중이 높았지만 학술논문의 경우 분석연구와 같은 타 연구유형이 상승한 것도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국내 심리운동은 세분화, 다양화 단계에 접어든 것을 확인 했다. 최근 들어 다양한 대상에 대한 프로그램 연구가 나오고 있었다. 이런 대상의 확대 추이에맞춰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는 것은 매우 긍정적이다. 앞으로도 다양한 대상과 현장에 적합한 많은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심리운동을 적용하고 효과를 높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248 domestic psychomotorik studies from 2005 to November 2020, and then quantified them to explore the direction. Based on the quantified data, there is a need to identify the current position and status of domestic psychological movements compared to the development stage of psychomotorik and motologie in Germany, and then present the guidelines for future psychomotorik studies and provide information and knowledge. To this end, the general status of psychomotorik-related research was examined. In the year-by-year status of experimental studies shown in psychomotorik-related the academic and academic papers, the gradual expansion of subjects, ages, and subjects was confirmed. In the case of studies by disability type, the proportion of disability related studies was high. There were many studies related to developmental retardation in degree thesis, and intellectual disability related studies in academic thesis. For both the academic and academic papers, the proportion of experimental research was high, but in the case of academic papers, it was also confirmed that other types of research such as analytical research have increase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domestic psychomotorik has entered the stage of subdivision and diversification. Recently, there have been program studies on various subjects. It is very positive that the program is being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expansion of such targets. In the future, research to apply psychomotorik and increase its effectiveness through the development of many programs suitable for various targets and sites will be needed.

      • KCI등재후보

        심리운동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현재(Lee, Hyeon-Chae) 한독심리운동학회 2020 심리운동연구 Vol.6 No.2

        이 연구는 심리운동의 개별연구 성과를 모아 전체효과를 종합해 보는 것이다. 1997-2020년까지 국내 석ž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를 대상으로 심리운동 연구 중 최종적으로 실험연구 47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개별연구의 질 검증과 동질성 분석 그리고 출간오류 검사를 실시하였다. R을 이용하여 메타분석을 하였다. 심리운동 전체효과크기는 1.553으로 큰 효과크기를보여 국내 심리운동 연구가 높은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심리운동 대상별, 운영별효과크기를 구하여 분석하였다. 심리운동 종속변인별 효과크기는 인지언어영역(1.640), 정서사회영역(1.576), 신체영역(1.360)순으로 보였다. 모두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심리운동이 발달의 전반적 영역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심리운동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의 결과는 심리운동 프로그램 개발, 다양한 대상과 영역으로의 확장을 위한 중요한 근거를마련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gather the individual results of the psychomotorik and to synthesize the overall effects. Finally, from 1997 to 2020, 47 experimental research on domestic master 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were collected. Quality verification of individual studies, homogeneity, and publication bias were conducted. The meta-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R. The overall effect size of psychomotorik was 1.553, which proved that domestic psychomotorik research has a high effect. Effect size by subject and process of psychomotorik was obtained and analyzed. The effect size of each psychomotorik dependent variable was shown in the order of cognitive and linguistic variable(g=1.640), emotional and social variable(g=1.576), and somatic motor variable(g=1.360), respectively. They all had a large effect. The psychomotorik has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area of development.

      • KCI등재

        ADHD 아동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적용 실행연구

        유진호,강유석 한국특수체육학회 202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8 No.3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effects, and implications of the psychomotoric Program for children with ADHD through action research. The psychomotoric program developed on the basis of Kiphard's 6-step psychomotorik model was applied to six children with ADHD aged 6-10 years for 11 month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qualitative method such as documents, observations, and interviews obtained during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psychomotoric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features that emerg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sychomotoric program were categorized into the subjects of 'participant-oriented operation', 'inducing active interaction', 'expanding movement', and 'providing various interest-oriented movements'. Second, as an application effect of the psychomotor exercise program, improvement of attention concentration, self-confidence, and exercise performance was shown. Third, the wa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sychomotoric program appeared as 'understanding of psychomotorik program', 'specifying the practice method for psychomotorik program', 'environment suitable for psychomotoric program', and 'convergent approach’. These results will expand the expert's understanding of the application process and effectiveness of psychomotorik program for children with ADHD. In addition, it will provide field leaders with field-based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effects, and considerations of the overall psychomotorik program application process. 본 연구에서는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통해 ADHD 아동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적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과 효과, 시사점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Kiphard의 심리운동 6단계 모델을 기초로 개발된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9∼10세의 ADHD 아동 6명에게 11개월간 적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계획과 운영, 평가의 전 과정에서 얻어진 문서자료, 관찰, 면담 등의 질적 자료를 분석하고, ATA(Advanced Test of Attention)와 KTK(Körperkoordinationstest für Kinder)를 통해 주의집중력과 운동수행력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먼저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은 ‘참여자 중심으로 운영하기’, ‘상호작용 유도하기’, ‘움직임 확장하기’, ‘흥미중심의 다양한 움직임 제공하기’의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둘째,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로는 대표적으로 주의집중력과 자신감, 운동수행력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효과성 증진방안으로 ‘심리운동에 대한 이해와 홍보’, ‘심리운동 실행방법의 구체화’, ‘심리운동에 적합한 환경 구성’, ‘융합적 접근’이 주요 주제로 범주화 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ADHD 아동 대상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적용 과정과 효과에 대한 관련 전문가들의 이해를 확장하고, 현장 지도자들에게 전체적인 프로그램 적용 과정에서 드러나는 특성과 효과, 고려사항 등에 대한 현장 기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심리운동 프로그램 선택 속성에 대한 우선순위 분석

        서덕원 ( Seo Dukwon ),정기천 ( Jeong Kicho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7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심리운동 프로그램 선택 속성에 관하여 파악하고 속성간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아동을 심리운동 프로그램에 참여시키는 부모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분석과 전문가 집단 회의를 통해 자료수집, 개방형 질문지를 제작, 그리고 귀납적 내용 분석 순으로 선택 속성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선택 속성들의 중요도 분석은 계층분석법(AHP) Expert Choice 2000을 이용하여 자료처리 하였다. 분석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심리운동 프로그램 선택 속성으로 심리운동사 속성(3개), 물리적 속성(6개), 그리고 심리운동 프로그램 속성(5개)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심리운동 프로그램 선택 속성들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선택 속성의 중요도는 심리운동사 속성(.687), 물리적 속성(.203), 그리고 심리운동 프로그램 속성(.110) 순으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세부 선택 속성들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심리운동사의 전문성이 가장 중요한 속성으로 결정되었으며, 다음으로 평판조회, 심리운동사의 친절성, 심리운동 교구의 전문성, 시설의 안전성, 시설의 쾌적성, 주거지와 근거리와 공간 그리고 교통이용의 편리성, 심리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 심리운동 프로그램 다양성, 참여시간 및 빈도, 적절한 참여인원, 교육비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움직임교육과 대상자 중심의 신체적 발달을 추구하는 심리운동의 교육적 관점이 반영된 결과라고 보여 지며, 심리운동사들은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심리운동에 대한 질적인 향상을 위하여 지속적인 노력과 발전적 방안 모색이 필요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lection attribute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s in psychomotor programs and perform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riorities of the attributes. For this purpose, the parents who participate in the psychomotor programs of their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earch methods in analyzing the priorities of selection attributes was used in the order of data collection through open questionnaires, which were created by literature analysis and expert group meetings, and inductive content analysis. The importance of selection attributes was analyzed by using AHP Expert Choice 200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sychomotor program comprises three types of attributes; psychomotrician attributes (3), physical attributes (6), and psychomotor program attributes (5). Second, the importance and priority attributes of parents in selecting psychomotor programs for their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as follows: The importance of selection attributes was determined in the order of psychomotrician attributes (.687), physical attributes (.203), and psychomotor program attributes (.110).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iorities of the detailed selection attributes, the professionalism of the psychomotrician was determin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the reputation, kindness of the psychologist, specialty of the educational tools, safety and comfort of the facilities, distance between homes and facilities, convenience of program space and transportation, interest in and diversity of psychomotor programs, time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appropriate attendance, and education costs.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reflecting the educational viewpoints of psychomotor programs pursuing the physical activity education and subject-oriented physical develop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psychomotricians need to take continuous efforts, and develop plans to improve the quality of psychomotricity.

      • NCS 기반 심리운동사 양성 방안

        김보민,문장원 한독심리운동학회 2016 심리운동연구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training program of psychomotor specialist based on NCS, which was required by the government to satisfy a mini- mum level of competence. For the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psychomotor specialist’s duties and the core competencies, and then suggested a training pro- gram for them. This study suggested six factors in their duties, such as diagnosis/assessment, counseling, interventi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case management in performance. It also suggested five factors in the core competencies, which were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psychomotor, ther- apeutic relationship, planned intervention, intervention implementation, interven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In terms of the training program for psychomotor specialist, this study suggested six strategies. First, we should decide on transition from psychomotor specialist’s certification in current system to new system. Second, we should decide on position of psychomotor in NCS classification system. Third, we should classify behavior duties and form their competencies unit according to their performance. Fourth, we should decide the minimum base level and content of job function area in psychomotor. Next, we should decide job performance and competencies unit according to eligibility level and rule. Finally, we should decide educational training time required to foster the psychomotor specialist.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가 요구하는 최소한의 능력 요구 수준을 제시하고 있는 NCS에 기반한심리운동사 양성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심리운동사의 직무와 핵심 능력을 검토하여, 심리운동사의 양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심리운동사의 직무로서 진단/평가, 상담, 중재, 개별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사례관리를 핵심 직무로 제안한다. 심리운동사가 갖추어 하는 최소한의 핵심 능력으로는 심리운동의 이론적 기초, 치료관계, 중재계획, 중재수행, 중재평가와 처치등 6가지로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심리운동사 양성 방안에 대해서는 첫째, 심리운동사 자격제도를 신자격으로 할 것인지 구자격으로 할 것인지를 먼저 결정하여야 한다. 둘째, NCS 분류체계에서 심리운동의 위치를 결정해야 한다. 셋째, 심리운동사의 직무를 분류하고, 직무에 따른 능력단위를 구성하여야 한다. 넷째, 직업기초기능 영역의 내용과 수준을 결정하여야 한다. 다섯째, 심리운동사의 자격 등급에 따른 직무와 능력단위를 결정하여야 한다. 여섯째, 심리운동사 양성에 필요한 자격 등급별 교육훈련 시간을 결정하여야 한다.

      • 심리운동 연수 참여자들의 실태와 발전 방안 고찰

        박재우 한독심리운동학회 2016 심리운동연구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urveys filled out by the participants of psychomotorik training and contemplate on the tasks to develop national psychomotorik. For this, I created a questionnaire composed with regard to the composition of participants and their background and feedback from the training program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role change and the changing process of theoretical paradigm of psychomotorik. As for development tasks for psychomotorik and training programs, first. it is required to activate job (continuous) training in line with expansion of various participants that need psychomotorik training,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and to achieve it, it is important to educate and train psychomotorik instructors in various fields by expanding participating conditions of the participants. Second, psychomotorik training programs must be developed involving diverse activities directly in connection with job domains of the participants. Third, in order for psychomotorik to expand its identity of inherent academic domain according to the changing theoretical paradigm, it is necessary to promote extensiv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and expansion of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expert literatures in related fields. 본 연구는 심리운동 연수 참여자들의 설문조사 내용을 토대로 향후 국내 심리운동의 발전방향을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참여자들의 구성분포도, 참여 배경과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심리운동의 역할변화와 이론적 패러다임의 변화 과정에 비추어 분석하고자하였다. 이에 심리운동 및 연수 프로그램의 발전방안으로는 첫째, 심리운동적 교육, 치료 및 재활을필요로 하는 다양한 대상자들의 확대에 발맞추어 직업(계속)교육의 활성화를 통해 다양한 영역의심리운동사를 배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심리운동 연수는 심리운동학이라는 학문적 토대위에 개인의 정체성과 의미 해석적인 접근을 바탕으로 대상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참여자들의 직업영역과 직접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맞춤형 활동들로 발전되어 나가야 한다. 셋째, 심리운동은 이론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고유한 학문적 영역의 정체성 확장 및 확립을 위해 보다 광범위한 양적·질적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관련 전문서적들의 번역 및 출판 등의 보다 다양한 영역의 연구 활동이 필요하다.

      • KCI등재

        운동선수 심리지원 접수면접질문지 개발

        임송이,윤영길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4 No.3

        목적: 본 연구는 운동선수 심리지원 접수면접질문지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에는 운동선수 219 인이 참여하여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온라인 개방형설문지로 운동선수 심리지원 요구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운동선수 심리적 어려움은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분류하였다. 결과: 운동선수는 경기, 훈련, 일상에서의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한다. 경기에서는 경기력 불만, 불안감, 자신감 하락, 시합 패배, 감정 기복, 실수 대처, 심판 판정, 부담감, 압박감, 멘탈 붕괴를, 훈련에서는 멘탈 케어 방법, 부상, 힘든 운동, 슬럼프, 경기력 정체, 동기유발, 컨디션, 운동목표, 집중력, 훈련 방법을, 일상에서는 불확실한 미래, 경력 전환, 대인 관계. 일상 스트레스, 적응 어려움, 선후배 갈등, 지도자 갈등, 동료 갈등, 부모님 불화, 학업, 이성친구, 경력 전환의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한다. 이러한 운동선수의 심리적 어려움을 토대로 선수 신상정보, 심리지원 경험, 주호소문제를 내용으로 운동선수 심리지원접수면접질문지를 개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접수면접질문지는 심리지원 초기 단계에서 운동선수의심리적 어려움을 탐색하는데 활용하여 심리지원 방향 설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나아가 접수면접질문지를 통해안정적인 심리지원 절차를 구축하고 심리지원의 효과 증진을 기대할 수 있다. 운동선수 심리지원 접수면접질문지가 심리지원 초기 단계에서 선수 이해를 증진하는 도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소셜 빅데이터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심리운동 연구 동향 분석

        박준태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2023 운동재활·복지 Vol.4 No.3

        심리운동은 1997년 독일에서 우리나라에 들어온 이래로 27년 동안 행정적 제도적 크나큰 발전을 하였다. 이에 심리운동 연구 역시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RISS, DBpia, KCI, e-article 등에 등재된 심리운동 논문 초록 195편을 대상으로 소셜 빅데이터 기법 중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단어빈도 및 TD-IDF(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n-gram 분석은 텍스톰(Textom)을 활용하였고, Ucinet 6을 활용하여 중심선, CONCOR(CONvergence of iterated CORrelation) 을 활용하여 결괏값을 도출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시각화를 NetDra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같이 나타났다. 첫째, 빈도 분석과 TF-IDF 및 n-gram 분석결과, 빈도 분석과 TF-IDF 분석에서는 ‘심리운동’, ‘아동’, ‘활동’, ‘프로그램’, ‘중재’ 단어들이 빈도도 높고 TF-IDF 값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gram 분석에서는 “심리운동-프로그램‘, ’연구-심리운동‘, ’긍정-영향‘, ’심리운동-활동‘ 등이 단어 쌍이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다. 둘째, 중심성 분석 결과 연결중심선에서 ’심리운동‘, ’연구‘, ’프로그램‘, ’활동’, ‘아동’, ‘효과’, ‘대상’ 등 단어가 연결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CONCOR 분석의 결과, ‘심리운동 교육 및 목적’, ‘심리운동 대상 및 변화’, ‘심리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로 명명된 3개의 군집이 형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이루어질 심리운동 연구에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새로운 심리운동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sychological movement has made great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progress over the 27 years since it came to Korea from Germany in 1997. Accordingly, psychomotor research was also actively conducted. Accordingly, in this study, research trends were investigated through text mining analysis among social big data techniques on 195 abstracts of psychological exercise papers listed in RISS, DBpia, KCI, e-article, etc. Research methods include word frequency and TD-IDF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n-gram analysis using Textom, Ucinet 6 using center line, and CONCOR (CONvergence of iterated CORrelation). I tried to derive the results. The visualization was then analyzed using the NetDraw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TF-IDF, and n-gram analysis, in the frequency analysis and TF-IDF analysis, the words 'psychoexercise', 'child', 'activity', 'program', and 'intervention' are high in frequency, and TF- The IDF value was also found to be high. In the 2-gram analysis, word pairs such as ‘psychoexercise-program’, ‘research-psychoexercise’, ‘positive-impact’, and ‘psychoexercise-activity’ were ranked highly. Second, as a result of centrality analysis, words such as ‘psychological exercise’, ‘research’, ‘program’, ‘activity’, ‘child’, ‘effect’, and ‘target’ were found to have high centrality in the connection center line. Third, as a result of the CONCOR analysis, three clusters were formed, named ‘psychoexercise education and purpose’, ‘psychoexercise target and change’, and ‘psychoexercise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 Through this study, we aim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for future psychomotor research and suggest a new direction for psychomotor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