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억압실천론(Anti-oppressive practice)의 도입과 활용의 필요성에 관한 시론적 연구

        양만재(Yang, man jae)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6 비판사회정책 Vol.- No.53

        신자유주의적 경제정책의 발달로 심화된 사회구조적 불평등과 억압을 해소하고자 영국에서 등장한 반 ‒억압 실천이론은 전통적인 사회복지실천과는 다른 대안적 실천론으로서 세계사회복지실천계의 주요한 이론으로 평가받고 있다. 본 논문은 반 ‒ 억압실천의 이론에 관한 정체성을 해명하기 위하여, 등장배경, 정의, 원칙, 비판 등의 측면에서 밝히고, 반 ‒ 억압실천론이 한국 사회복지 실천현장에 적용할 가능성이 있는가를 긍정과 부정의 차원에서 검토한다. 결론에서는 우리 사회가 직면한 사회적 불평등의 문제를 대응하고 사회정의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하여 한국 사회복지실천에서 반 ‒ 억압실천의 연구와 적용을 보다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한다. Anti-oppressive practice has been recognized a core theory of social work practice in the international school of social work, with broadening of neoliberalistic economic policy. In this article, I set out my understanding of what the elements of anti-oppressive practice and theory are and explore whether they may be applied to social work school and fields of South Korea which has been sought to examine an identity and the profession of social work. Finally, I raise challenges of research about what the Korean social work confronts to cope with social inequalities in terms of anti-oppressive practice and theory.

      • KCI등재후보

        제6장 최제우의 동학에 나타난 실천철학

        한흥식 한국민족사상학회 2010 민족사상 Vol.4 No.2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practical characteristics of Donghak[東學, Eastern Learning], founded by Choe Je-Woo(1824-1864). Each thought or philosophy ha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elements. But its impact to society should be quite different whether it concentrates on theory or practice. In his paper, Choe so openly urges his followers to participate in social reform, resistance to invading foreign forces to save nations and by eliminating slavery social status system to build up new society. His thought has to meet so many difficulties to accomplish it and eventually looks fall in vain. But his revolutionary thought finds detour to get through, religious way. We can easily understand that Choe's philosophy says two practical reforms - social and religious reform. These two dynamics make Donghak becomes the leading ideology for peoples to save falling nations and to show new visions for making new heaven and earth. In this paper, we tried to analyze how Choe's practical oriented philosophy was sowed, developed, expressed and impacted on society in detail. 본 논문은 최제우의 동학이 지닌 주요 실천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각 사상과 철학은 이론과 실천적 요소 둘 다 지니고 있다. 하지만 엄밀히 구분하면, 이론 중심이냐 혹은 실천 중심이냐에 따라 발현과정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판이하게 다르다. 이에 본 논문은 그의 철학사상에 나타난 실천 지향적 특성에 주목하고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우선, 동학의 강한 실천 지향성은 당시 사회 구성원으로 하여금 현실변혁에 가담하도록 자각시키고 추동시켰다. 외세에 저항하고 신분제사회를 철폐시킴으로써 근대사회로 나아가도록 분발시킨 것은 동학이 지닌 실천 지향성 때문이었다. 다음으로, 억압된 현실을 변혁시키려는 동학의 실천 지향성은 현실의 벽에 부딪히면서 종교의 형태로 또 다르게 그 추동력을 발현시켰다. 동학의 두 가지 실천 지향성 즉, 첫째의 사상적 실천성이 현실 지향적인 변혁적 실천성이라면, 둘째의 종교적 실천성은 미래 지향적인 구원적 실천성이다. 최제우의 동학의 실천성에 내재된 사상 지향성과 종교 지향성의 두 가지 특성은 상호 조합을 이루면서 사상 구현의 기본적 동인이 된다. 이에 본 글에서는 최제우 동학에 담지 된 실천 지향성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구체적으로 어떻게 발현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 KCI등재

        실천적 지식의 탐색: 교사교육에의 함의와 문제

        김은주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4

        교사 교육기관에서는 예비교사들에게 각종 전문지식과 기술, 교육자적인 신념을 습득시킴으로써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하지만 교사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직전교육의 효과성은 생각만큼 크지 않다. 직전교육이 가정하는 이상성, 안정성, 일반성이 현실적이고, 돌발적이며, 특수한 교육현장과 부합되지 않기 때문이다. 직전교육과 교육현장의 괴리 속에서 신규교사들은 자신의 전문성에 대해 절망하고 직전교육의 효용성을 의심한다. 최근 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경험을 통해 체득한 실천적 지식이 이러한 간극을 메워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따라 실천적 지식을 교사교육에 다양한 방식으로 접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실천적 지식 또한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음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실천적 지식의 문제는 현실 순응, 통제성, 맥락 부적합 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측면은 실천적 지식의 무분별한 적용에 대한 경계와 비판적 사고를 촉구한다. 기타 실천적 지식을 교사교육에 도입함에 있어 주의할 점들이 연구의 말미에 제시되었다.

      • KCI등재

        환경실천역량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백성희(Seongheui Baek),신현정(Hyeonjeong Shin),김찬종(Chan-Jong Kim) 한국환경교육학회 2021 環境 敎育 Vol.34 No.2

        이 연구는 국외의 환경교육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 중인 환경실천역량을 소개하고, 문헌고찰을 통해 정의와 구성요소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환경실천역량 정의는 소양적 접근, 실천적 접근, 역량적 접근, 종합적 접근의 네 가지로 구분되었다. 소양적 접근은 환경실천역량의 정의에서 환경소양의 일반적인 구성요소인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개념을 강조한 유형이다. 실천적 접근은 행동의 변화나 실천에 중점을 둔 유형이다. 역량적 접근은 문제해결, 비판적 사고와 같은 역량요소를 강조한 유형이다. 그리고 종합적 유형은 위의 세 가지 접근 중 일부 또는 전체를 고르게 강조한 유형이다. 환경실천역량 구성요소의 특징은 소양적 접근과 종합적 접근의 두 가지로 구분되었다. 소양적 접근의 대표적인 환경실천역량 구성요소는 “지식, 의지, 자기효능감”이고, 종합적 접근의 대표적인 환경실천역량 구성요소는 “지식, 통찰, 헌신, 비전, 실천경험”이었다.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nd analyze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Action Competence,” which is actively studi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abroa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lso, the definitions and components of environmental action competence are divided by typ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action competence is divided into four types: Literacy, action, competence, and comprehensive approaches. First, a literacy approach type emphasizes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components of environmental literacy. Second, an action approach is a type that focuses on behavior change or action. Third, the competence approach emphasizes competence factors such as problem-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Lastly, the comprehensive approach highlights two to three of the three types mentioned above in the definition of environmental action competence.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environmental action competence are divided into two types: Literacy and comprehensive approaches. The representative environmental action competence of the literacy approach is “knowledge, willingness, and self-efficacy,” and the environmental competence components of the comprehensive approach are “knowledge, insight, commitment, vision, and action experience.”

      • KCI등재

        실천신학의 과제와 전망 - 한국복음주의 실천신학회를 중심으로

        현유광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2 복음과 실천신학 Vol.26 No.-

        실천신학은 교회와 신학교, 목사와 신학자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위한 것이다. 양자 사이의 간격을 잇기 위해 실천신학자는 네 가지 임무가 있다. 즉 교회와 사회의 현재 상황을 서술함, 현 상황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해석함, 지금 여기서 반드시 있어야 할 일을 드러냄, 그리고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한 실용적인 방향이나 해결책을 제시함. 「복음과 실천신학」은 한국복음주의 일천신학회(이하 한복실)의학회지로써 한국교회에 대한 기여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다. 「복음과 실천신학」 제1-24권에 수록된 총 260편의 논문을 분석한 후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고 몇 가지를 아래와 같이 제안한다. 1) 한국복음주의 실천신학회의 학회지인 『복음과 실천신학』은 목회학, 설교학, 예배학, 그리고 전도학의 네 분야에 관심을 집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2) 『복음과 실천신학』은 교회와 신학교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 신학교수 외에 목회자와 연구자에게 그 문호를 보다 넓게 개방하는 것이 요청된다. 3) 『복음과 실천신학』은 특별히 매호(每號)의 주제관련 기고(寄稿)하도록 적극적으로 회원을 독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위의 제안과 더불어 연구자는 실천신학에 관심을 갖는 분들에게 아래의 몇 가지를 제안한다. 1) 실천신학의 이슈들을 연구할 때에 사례연구 방법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자. 2) 보다 현실적이면서도 미래지향적인 목사후보생들을 양성하기 위해 신학교육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있어야 한다. 3) 실천신학 분야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제안들이 따라와야 한다. Practical theology is for bridging gaps between church and seminary, pastor and scholar. To bridge these gaps, practical theologian has four tasks, that is, describing present situation in church and society, interpreting what is happening in present situation, revealing what ought to happen here and now, and presenting pragmatic direction or solution to accomplish Gods will. According to analyze articles in the Gospel and Praxis, from no. 1 to no. 24, 260 articles in total, the researcher found and suggests some solutions as following: 1) The Gospel and Praxis (G&P) needs to concentrate its interest of contribution limited to only four fields of study: poimenics, homiletics, christian liturgy, and evangelism. 2) G&P needs to open its door more widely to pastors and researchers besides theology professors to bridge the gap between church and seminary. 3) G&P needs to promote members to contribution of articles related to current topic of each issue. In addition to them, the researcher suggests some works to people interested in practical theology: (1) Utilizing case study method to research the issues in practical theology. Practical theology researchers may use inductive method as well as deductive one like physician uses both methods to diagnose and prescribe for patient. (2) Seminary education should be reviewed to prepare seminarians more realistically and also future-oriented. (3) More specific suggestions are followed for practical theology fields.

      • KCI등재

        교회성장학의 학문적 특성과 실천신학적 평가

        최동규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6

        본 연구의 목적은 통섭성과 사회과학적 연계성의 관점에서 교회성장학이 가지고 있는 학문적 특성을 정리하고, 그것을 실천신학적 관점에서 평가하고 교회성장학이 앞으로 어떻게 발전해야 하는지 논하는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이런 논의를 통해서 실천신학이 어떻게 발전해야 하는지를 말하고자 한다. 19세기 중반에 태동한 실천신학은 근대 이후에 발전한 사회과학의 경향을 따라 여러 가지 분야로 분화되고 전문화되었다. 그러나 각 분야들은 지나치게 전문화됨으로써 다른 분야와의 연계성이 약해지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개별 학문들을 통섭적으로 아우를 수 있는 학문적 방법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런데 교회성장학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적 관심 아래 실천신학의 제반 학문 분야들을 하나로 묶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건전하고 건강한 교회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교회의 내적 영역과 외적 영역에 속한 목회의 여러 분야들이 균형 있게 발전해야 한다는 점에서 교회성장학은 실천신학의 다양한 제 분야들을 통합적으로 아우르고 그것들의 상호 유기적 연관성을 도모하는 학문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교회성장학은 기본적으로 교회성장에 관한 신학적 이해를 중시하면서도 교회성장을 효과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사회과학의 학문적 결과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교회성장학은 처음부터 선교 현장에서 성장하는 교회들과 성장하지 않는 교회들을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성장 또는 침체의 원인을 밝혀내려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교회성장학자들은 지역 연구, 다양한 조사 연구 방법, 전략 수립, 조직과 인사관리 등을 연구하고 적용한다. 교회성장학이 이처럼 사회과학적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이유는 교회성장에 텍스트(text) 곧 복음의 능력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콘텍스트(context) 곧 상황에 대한 이해와 적응도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거룩한 구원계획을 성취하기 위해 사회과학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인간적인 도구를 개발하고 활용하려는 교회성장학은 매우 실용주의적인 태도를 취한다. 그런데 교회성장학의 입장은 방법론적 실용주의(the methodological pragmatism)로서 윤리적 차원을 무시한 채 결과를 위해서 어떤 수단과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고 생각하는 절대적 실용주의와는 구분해야 한다. 교회성장을 위한 모든 방법론은 하나님의 나라와 하나님의 선교 개념 아래 종속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회과학적 방법들은 그 자체로 결코 목적이 될 수 없으며, 신학이 설정해 놓은 구조 안에서 도구와 수단으로만 사용되어야 한다. 필자는 이런 이해를 토대로 삼아 교회성장학 방법론의 세 요소로서 성경적 원리, 신앙 공동체의 삶과 선교적 상황을 설정하고 그것들의 상호 연관성을 학문적 방법론의 구조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church growth in light of integration and connection with social science, as well as to discuss the future direction for developing church growth based on evaluation from a viewpoint of practical theology. Through such discussion, this study also attempts to talk about how practical theology should be developed. Practical theology, born in the mid-19th century, has been divided and specialized into several categories to the trends of social science. However, excessive specialization of each category resulted in weakening its connection with others. For this reason, practical theology needed an academic methodology to integrate its many disciplines. Church growth satisfies such a need by integrating the diverse disciplines of practical theology based on the missional concern of the triune God. To grow healthily, the church must develop its internal areas and external areas in balance, viewing itself as an organism. Not only does it value theological understandings related to the church and its ministries, church growth also actively utilizes academic results of social science to effectively apply those understandings into its ministries. In fact, church growth began with the intent of analyzing both growing and non-growing churches in mission fields to identify reasons of growth and stagnation. To accomplish this, church growth experts utilize social science methodologies including area studies, diverse research methods, strategies, planning, and organization management. Such academic attitude is based on the belief that healthy church growth needs the power of the Gospel related to the biblical text as well as an understanding of situational conditions around the church. It is very pragmatic for church growth to seeks development of diverse human means based on methods derived from social science in order to achieve God’s holy plan of redemption. Nevertheless, the attitude that church growth takes is not unconditional pragmatism but methodological pragmatism. While advocates for the former believe in using any kind of ways and means ignoring ethical dimensions, advocates for the latter believe that every method should be subordinated to the Kingdom of God and God’s mission(Missio Dei). Clearly, methodology of social science cannot be an end in itself, and must be used only within theological frameworks. As such, I set three─biblical principles, life of the faith community, and missional context─as methodological elements of church growth, and present their reciprocal relations as the methodological structure of church growth.

      • KCI등재

        교사공동체의 실천적 지식

        서경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교사공동체의 실천적 지식 형성 및 발전에 대한 심층탐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교사공동체인 인디스쿨을 사례로 선정하여 인디스쿨에서 실천적 지식이 어떻게 형성, 발전되는지 탐구하였다. 인디스쿨 웹사이트 관찰, 교사 면담, 교사들의 제작물 수집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원자료 정리, 코드 추출, 주제 생성 등의 과정을 거쳐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인디스쿨 교사공동체는 실천적 지식의 외현화, 공유, 검증, 재구성의 과정을 통해 공동의 실천적 지식을 형성, 발전시켰다. 교사들은 그들 실천 기저의 암묵적 성격의 실천적 지식을 외현하여 인디스쿨 웹사이트에 게시하였다. 이때 외현화는 자료, 이야기, 문답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졌다. 이렇게 교사 개개인의 실천 기저의 암묵지를 외현함으로써 교사 개인 수준의 실천적 지식은 공유 가능한 공적 지식이 되었다. 인디스쿨 교사들은 웹사이트 게시물을 조회하고 필요한 것들을 다운로드하며 실천적 지식을 공유하였다. 그리고 이 공유지식을 각자 자신의 교실에서 실천에 옮겨 검증하였다. 교사들은 검증 결과를 해당 게시물에 댓글을 다는 방식으로 서로 공유하였다. 댓글이 많이 달린 게시물은 유용한 지식을 담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었고, 이 지식은 교사들 사이에서 빠르게 확산되었다. 나아가서 교사들은 실천 결과를 토대로 공동체의 공유지식을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재구성한 공유지식을 자료, 이야기, 문답 등의 형태로 외현하여 웹사이트에 게시, 공동체 구성원들과 공유하였다. 이러한 외현화, 공유, 검증, 재구성의 순환적 과정을 통해 인디스쿨 교사들은 그들 개개인의 실천적 지식은 물론 공동체 공동의 실천적 지식을 계속해서 발전시켜 나아갔다. 이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공동체적 접근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교육의 충분성 인식과 사회복지실천기술 수행의 관계

        김성경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09 한국사회복지교육 Vol.10 N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social work practice education levels and the usage of social work practice skills.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from 234 social workers in 40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In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social work practice education had an effect on the usage of social work practice skills of the field worker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if social works had a higher education levels, they would develop practice skills and practice knowledg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ofessional practice is learned and developed in a range of ways over time through training, practice, and reflection. It also confirms the necessity of involvement strategy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social work education models. 이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요구하는 실천기술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의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수행에 미치는 대학교육의 충분성의 영향력에 대해서 확인하는 연구로서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종합사회복지관의 234명의 사회복지사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사회복지사들은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수행도 중 기초기술군과 개인대상 실천기술군에서 비교적 높은 수행도를 보이는 반면, 집단/가족대상 실천기술군과 지역사회서비스 실천기술군의 수행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사회복지교육의 충분도에 대해 모두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고, 그 중 실천기술 교육의 충분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교육의 충분도가 사회복지실천기술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에서는 전반적으로 사회복지교육의 충분도 인식이 높을수록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수행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실천교육 뿐 아니라 가치ㆍ윤리교육 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실천 및 사회복지교육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 다문화실천가의 다문화 실천경험과 문화적 역량 획득과정에 대한 질적연구

        김정연(Kim Jung-Yun) 한국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8 No.2

        본 연구는 다문화실천가의 실천경험을 분석하여 다문화 실천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 실천의 과정 안에서 어떻게 문화적 역량을 획득해 가는 지에 대한 기제를 찾아 실천가의 문화적 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8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다문화 관련 기관에 종사하는 실천가 8인을 유의표집하고, 심층면접 후 일반적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 실천경험의 의미는 체계없이 흔들리는 실천현장에서 다문화 실천을 어렵게 만드는 시행착오와 장애물에 맞서며 실천의 중심을 잡아가는 과정임이 확인되었 다. 또한 다문화 실천경험 과정에서 드러난 실천가들의 문화적 역량을 획득해가는 기제는 스스로의 한계와 강점을 인식하는 자기성찰과 실천지혜를 통한 자기성장의 선순환을 통해 자신에게서 클라이언트로, 클라이언트에서 지역사회로 점차 시야를 확장시켜 나가는 과정으로 확인되었다. 이 과정에서 실천가 개인의 역량증진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를 비롯한 지역사회구성원들의 역량도 상호 순환적으로 동반 성장하고 있었다. 따라서 실천가들의 문화적 역량 증진을 위해서는 우선 실천가 스스로 타문화에 대한 이해 및 실천에 있어서의 지속적인 자기인식과 성찰의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정례적인 슈퍼비전및 사례회의의 활성화 등의 기관 차원의 노력과 개별 경력 또는 역량에 따라 달리 구성 되는 세분화된 교육 및 문화적 역량과 관련한 교육과정 개설 등의 조직 차원의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문화적 다양성을 다루는 실천가들이 갖추어야 할 윤리적 책임에 대한 공식적인 언급과 함께 다문화 실천과 관련한 윤리적 행동지침 마련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ning of experience of multicultural practice through the practice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practitioner and the mechanism of how to acquire cultural competence in the course of practice. For this, eight practitioners who are engaged in multicultural settings participated and were interviewed in depth.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ndings show that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practice was a process of confronting the errors and the obstacles that make it difficult to practice. And the mechanism to acquire the cultural competence was identified as a process of gradually expanding the field of view from self to the client and from the client to community through the virtuous cycle of self-growth with self-reflection and practical wisdom.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cultural competence of practitioners self-awareness and reflection efforts should be required. Also, institutional-level efforts such as regular supervision and activation of case meetings, as well as differentiated education based on experience and ability, curricula related to cultural competence are needed in planning education courses. I also suggest the need of ethical behavior guidelines for multicultural practi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