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하대와 신라말

        권영오(Kwon, Young-Oh) 부산경남사학회 2014 역사와 경계 Vol.90 No.-

        신라하대를 신라의 쇠퇴기인 羅末과 동일시하기도 하지만 진성여왕 3년 농민봉기 이전의 신라하대 중기 사회의 안정을 언급한 사료들도 다수 있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료들의 의미를 과소 평가했으며, 다른 의미로 해석하기도하였다. 하지만 사료에 근거한 실증적 연구를 토대로 당대의 사회적 상황을 다면적으로 검증해볼 여지도 있다. 『삼국사기v』에서 三代의 시기구분은 王系를 근거로 한 것으로 하대를 말세, 또는 말기의 의미로 설정하지는 않았다. 말세라는 표현은 하대 전후시기에도 등장하며, 역사적 맥락에 따라 달리 전개될 수 있는 것으로 하대 시기와 직결시키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 신무왕의 즉위 이후 하대 초기의 왕위계승 분쟁은 일단락되고 신라 사회는 안정을 되찾았다. 당은 신라에 원군을 청할만큼 하대시기 신라를 군자국으로 인식하였고, 이것은 당이 멸망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때문에 이른바 ‘羅末’의 시간적 범위와 정치적 성격을 분명히 하고, 이를 하대와 동일시하는 시각은 좀 더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진성여왕 3년의 농민봉기는 시작부터 왕조 부정을 목표로 하지 않았지만 당시의 역사적 조건과 조응하여 신라체제를 붕괴시키고 신라를 삼국으로 분열시켰다. 이때를 신라말과 후삼국의 시대적 전환기로 인식한 기록들이 보인다. 스스로 굳게 지키다가 힘이 다한 후에 멸망한 백제, 고구려와는 달리 신라는 신라말이라는 인식이 확산되어 내부에서 붕괴되었다. 5대 10국과 당 말기가 구분되는 중국과는 달리 우리는 신라의 분열과 후삼국의 재편, 신라의 말기가 동시에 진행되었고, 신라말과 후삼국시대라는 인식도 혼용되어 사용되었다. The Hadae period(下代) of Silla(新羅) is often understood to be the late Silla dynasty which means the decline phase of Silla. However, various historical records have been found to reveal the social stability before the peasant uprising in the third year of Queen Chin-sung(眞聖女王). Although the previous literature had a tendency to reduce the significance of these historical records and even interpret them as if they have different meanings, it seems to be reasonable to triangulate the social situation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in those days. As the division of the period in Samdea(三代), according to 『Samguksagi(三國史記)』?, is on the basis of royal lineage, it didn"t establish the Hadae period as a meaning of degenerate age or last period. Also, considering the expression ‘degenerate age(末世)’ appears in the period both before and after the Hadae period, which means the age can be understood differently depending on historical context, the direct link between the Hadae period and degenerate age seems to fail to be appropriate. As the contention for the throne in the early Hadae period ceased after king Shinmu(神武王)"s accedence, the Silla society regained its stability. Tang (唐) recognized Silla as a land of gentleman(君子國). Hence, the current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temporal range and the political character in the so-called ‘closing years of Silla’ and verifying whether the Hadae period could be identified with the closing years of Silla. The peasant uprising during the third year of Queen Chin-sung didn"t aim to deny dynasty from the beginning, but led to the collapse of Silla and the division of Silla into three states, in response to the historical contexts. The records show that this period was recognized as the historical turning point of the late Silla dynasty and the Late Three Kingdoms(後三國). Silla collapsed internally because of the expanding perception that Silla was closing among the people. In China"s history, there has been a clear distinction between Wu-Tai Shoh-Kuo(五代十國) and the late Tang dynasty. In contrast, several incidents such as Silla"s division, Late Three Kingdoms" reorganization, and Silla"s closing years were progressed simultaneously in the Hadae period so that the late Silla dynasty and Late Three Kingdoms have been mixed and used together.

      • KCI등재

        신라 하대의 불교와 정치

        박희택(Park Hee-Tae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7 No.2

        이 논문은 신라 하대의 불교와 정치의 관계를 다룬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신라 중대의 불교와 정치의 관계를 영향사적 맥락에서 먼저 검토하였다. 신라 중대의 전제 왕권을 뒷받침한 정치이데올로기는 화엄사상과 법상종 및 정토사상 등을 들 수 있다. 정토사상 가운데 미륵상생사상과 미타사상은 신라 중대의 귀족과 일반민중의 의지처로 기능하였다. 신라 하대의 불교와 정치의 관계는 이러한 영향사 아래 전개되었다. 진골귀족의 반대운동으로 전제왕권이 해체되고 귀족연합정치가 전개된 정치변동은, 화엄사상이나 법상종같은 복잡한 교리가 아닌 개인주의적 성격을 지니는 선종과 현세지향적인 미륵하생사상을 선호하게 하였다. 미륵하생사상은 법상종과 연결된 것이므로 법상종 또한 신라 하대의 정치이데올로기로 여전히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신라 하대의 불교와 정치의 관계에서 반드시 하나 더 주목해야 할 사상은 밀교(비로자나불사상)이라 할 것이다. 통일신라 9세기 이후 신라 전역에 조성된 비로자나 불상이 그 반증이 된다. 이것은, 1) 신라 하대의 무상한 정치현실을 넘어서 영원광명을 지향하는 측면에서 빛의 부처님인 비로자나불을 모셨다는 점, 2) 신라불교사상사의 전개상 신라 하대는 화염불교에서 밀교로 나아가고 있었다는 점, 3) 신라 하대의 사상계가 화염불교보다는 밀교에 친근성을 보였다는 점 등과 결부된다. 신라 하대의 신라인들은 스스로 빛의 부처님이 되어 한계를 넘어서고자 하였다. 분절된 정치를 사상적으로 통합한 변증은 선종이나 미륵하생사상, 법상종이 아닌 밀교의 비로자나불사상에 의해 이루어졌다. This paper treats of the relationship of Buddhism and politics of Silla Hadae(下代). In order to study this subject, I examine in advance that of Buddhism and politics of Silla Jungdae(中代). Political ideology that supporting despotic regime of Silla Jungdae is Hwaeomsasang(華嚴思想) and Beobsangjong(法相宗) and Jeongtosasang(淨土思想) and so on. Political change of Silla Hadae, that is, dissolution of despotic regime and development of aristocracy brought on the preference for Seonjong(禪宗) and Mireukhasaengsasang(彌勒下生思想). For all that, we should take notice of Esoteric Buddhism(Vairocana Buddha thought). Because, Vairocana Buddha of Esoteric Buddhism is Buddha of light who console people exhausted due to politics with rays, Main stream of Silla Hadae is not Hwaeomsasang but Esoteric Buddhism, Seonjong runs through Esoteric Buddhism. People of Silla Haedae had intention to get over the limit through being Buddha of light themselves. The dialectic of segment and integration of Silla Haedae could be realized by Vairocana Buddha thought of Esoteric Buddhism.

      • KCI등재

        원성왕대 政法典의 개편과 正法治國 이념

        신선혜(Sin, Sun-hye) 신라사학회 2018 新羅史學報 Vol.0 No.43

        왕권의 강화라는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왕실의 불교적 행위는 승관 및 불교기구의 설치와 개편 등 승정으로 부각된다. 이러한 이유로 신라 하대 왕실과 불교계의 관계에서 승정의 일환인 원성왕대 정법전의 개편이 주목된다고 하겠다. 이에 본고에서는 政法典관원의 구성과 그들의 성격을 파악해봄으로써 政法典의 구체적인 역할과 위상에 접근하였다. 가장 중점적으로 살핀 것은 세 가지이다. 첫째는 원성왕대 승려만으로 구성된 政法典에 大德의 직을 가진 이들이 주로 임명되었다는 점이고, 둘째는 하대 왕실은 불교의 正法治國이념을 정치에 이용함으로써 민심수습뿐 만 아니라 왕실의 안정과 왕권의 강화를 추구하였다는 점이다. 셋째는 하대 왕실이 중대와 괴리된 것이 아니라 불교를 통해 중고기부터 하대까지 간단없이 이어졌음을 인식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먼저 政法典에 大德을 둔 것은 계율을 잘 아는 이들을 정법전에 소속시킴으로써 계율에 따른 바른 승정 및 정치를 하고자 했다는 점이다. 물론 이러한 바람은 불교계뿐 만 아니라 왕실에서도 찾아지는데, 승정기구의 명칭을 전륜성왕의 正法治國이념을 의미하는 ‘政法’으로 개칭했다는 것이 그것을 말해준다. 이때 전륜성왕의 正法治國이념은 중고기~중대에 걸쳐 왕실에서 지속적으로 추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대 왕실이 무열왕계의 도전을 극복하기 위해 중대가 아닌 중고기와의 연결성을 찾으려 노력했다고 보는 기존 연구와 달리 중고기, 중대를 막론하고 이전 시기의 계승성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던 것이다. 원성왕대 정법치국의 이념이 정법전의 개편으로 천명된 후 신라하대 왕실에서 지속적으로 중고기 및 중대와의 불교적 연속성을 강조하였던 사실을 통해 알 수 있다. 즉 경문왕대에는 원성왕대 표명된 정법치국 이념을 내세움으로써 왕위 계승의 정당성과 왕권의 안정을 도모하였는데, 이를 통해 하대 왕실의 正法治國이념에 따른 전륜성왕 인식은 원성왕대 정법의 강조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신라 하대 불사에서 찾아지는 成典, 道監典, 昭玄精署등 여타 승정기구와 政法典은 어떠한 관계에 있었을까 살펴봄으로써 정법전의 위상을 가늠해 보았다. 특히 소현정서의 경우 동일한 사료에 정법전과 함께 기록되어 두 관부가 별개로 설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두 관부의 기능 차이 역시 발견하였는데, 중국 승정기구의 명칭인 소현시를 그대로 신라의 관부에 대입하였다는 점에서 그 역할이 승관을 통한 불교계의 효율적 통제를 위함이었을 것으로 짐작해 보았다. 이렇듯 원성왕대 정법전 개편의 의미는 그 구성원이 승려로 바뀐 사실뿐만 아니라 개칭의 사실에 주목하여 파악하여야 한다. 원성왕대는 실질적으로 신라 하대가 시작된 시기로, 중대 말의 혼란을 잠재우고 왕권을 공고히 하여야 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다양한 정책이 실시되었고, 그 중 정법전 개편은 즉위 원년에 실행된 만큼 정법을 통한 치국의 의지가 우선적으로 표명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의지는 원성왕대뿐 만 아니라 신라 하대 전반에 걸쳐 왕실의 치국 이념으로 수용되었던 점에서 정법전 개편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新羅 下代 禪宗史 硏究動向

        鄭東樂(Jung Dong-Lak)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1 한국고대사탐구 Vol.7 No.-

        신라 하대 선종사 연구는 20세기에 들어오면서 자료정리 차원에서 다루어졌다. 그러다가 1970년대 이후 체계적인 연구가 시작되어, 선종은 지방호족의 종교라는 성과가 도출되면서 그 토대가 마련되었다. 이후 1980년대에는 선종의 宗派성립과 9山禪門의 실재 여부, 정치세력과의 관계, 敎ㆍ禪의 위치정립 문제가 논의되었다. 1990년대에는 선종의 수용을 중심으로 하는 시대구분과 中世佛敎의 성격, 선승의 사회개혁론, 개별 산문에 대한 집중적인 분석이 시도되었다. 2000년대에는 선종과 신라왕실의 관계가 크게 부각되었고, 9산선문의 개별적인 검토, 선승들의 활동과 선사상, 신라 西南지역 선종산문과 張保皐 세력과의 관계가 주목되었다. 이처럼 신라 하대 선종사 연구는 정치세력과의 관련성, 선종과 교종(화엄종)의 관계 등이 지속적으로 추구되었다. 이 문제가 신라 하대 선종사를 밝히는 핵심적인 주제였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종파성립의 시기와 9산선문의 실재, 선종사의 시기구분과 중세불교의 성격, 개별 산문과 선승, 지역별 선종산문의 분석 등이 시기에 따라 집중적으로 연구되었다. 신라 하대의 선승들은 시대적 전환기에 현실을 고뇌하고 행동하는 知性으로서 자신의 삶을 살아간 知識人이었다. 따라서 이들 선승들에 대해 주목하여 그들의 시대적 과제가 무엇이었고, 현실인식과 대응이 어떠했는지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선승들의 생애와 활동을 정리하고, 생의 마디마다 나타나는 선택과 문제의식을 정리해야 한다. 그 방법론의 일환으로 신라 하대 선종사를 시대적 흐름과 관련하여 시기구분하고, 각 시기별 선승들의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 유용하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

        신라 하대 철불의 수용과 후원 세력

        배재훈(Bae, Jae-hoo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7 한국고대사탐구 Vol.27 No.-

        신라 하대의 철조 불상은 9세기 중엽 경에 새로이 등장한 문화 요소이다. 이는 이전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당시의 불교문화를 표상하는 조형예술로 중국에서 기원한 것이다. 그러나 중국의 철불이 6세기경 등장하여 8세기 전반에 크게 유행한 반면, 신라는 이를 9세기 이후에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중국의 철불 도입은 전황에 따른 금동령이 그 직접적 원인이었다고 하나, 신라 하대의 경우는 그러한 움직임을 확인할 수 없다. 한편, 철불에 사용된 주조 기술의 상당 부분은 이미 청동불에도 사용된 것이다. 신라는 철불 조성 초창기인 9세기 전반부터 기술적 완성도가 높은 대형 철불을 제작하는 데에 큰 문제가 없었다. 따라서 철불의 수용에는 기술적 문제보다는 조성 재료 변화에 대한 감수성이나 태도 변화가 더 중요한 문제였을 가능성이 높다. 철불이 본격적으로 제작된 9세기는 중국 남종선에 귀의한 승려들이 귀국하여 신라에 선종을 전파하기 시작하는 시점이었다. 그러나 초전 승려들은 철불 제작에 나서지 않았다. 철불의 제작은 이들보다 늦은 830년대 후반에 귀국하는 현욱, 혜철 이후부터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초전승인 도의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당시는 선종이 도입되고 10여 년이 지난 시점이다. 이들이 활동하기 시작하였을 때, 신라 사회에서 선종은 제도권 내로 어느 정도 편입될 수 있었다. 선종 승려가 국사의 지위에 오를 정도가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들보다 20여 년 쯤 뒤에 활동하는 도헌에 이르러서는 대형 철불의 조성에 선승이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신라 하대 철불 제작의 초기 중심지는 지리산의 실상사였고, 실상사 철조여래좌상은 그 시원에 해당한다. 9세기의 철불은 선종 사찰 뿐 아니라 화엄 사찰에서도 크게 유행하였다. 양자는 9세기부터 시작하여 고려 초기에 이르기까지, 서로 경쟁을 하듯 철불을 제작하여 봉안하였다. 그 중 명문이 남겨진 동해 삼화사의 예는 화엄종 계통의 사찰에서 이루어진 철불 조성 사례이다. 여기에는 형식적일 수는 있지만, 국왕의 발원과 함께 그가 파견한 중요 인물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철불 조성 불사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당시 삼화사의 불사에 참여한 대대덕 결언의 행적을 통해 볼 때, 화엄종의 철불 조성도 선종과 마찬가지로 일련의 혁신 세력에 의해 시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들은 왕실과의 밀접한 관계 속에 신라 화엄의 계보를 정리하고, 초조를 정립하는 등의 활동을 벌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선종의 그것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한편으로 철불이라는 새로운 양식의 불상 조성은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한 단월 세력의 지지 속에 진행될 수 있었다. 이들은 매우 적극적인 불사의 후원자로서 선종 및 화엄종 계통 사찰의 중창과 철불 조성에 경제적,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 초기 단계에는 유력 고승과 대형 사찰의 영향력을 해당 지방의 통치에 이용하고자 하는 왕실의 의도가 크게 개입되어, 철불 조성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졌다. 반면에 9세기 말에 이르게 되면, 도헌의 봉암사 개창과 철불 조성의 예에서처럼 심충과 같은 지역의 유력 세력, 즉 호족이 이를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철불 조성 후원 세력의 변화임과 동시에 지방의 문화와 정치를 담지하는 세력의 교체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 KCI우수등재

        신라 하대 철불의 연원과 의미

        권보경(Kwon Bo Kyung) 한국미술사학회 2023 美術史學硏究 Vol.318 No.318

        불상은 다양한 재료로 만들었으나 철로 만든 불상인 철불은 신라 하대에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고려 이후 거의 나타나지 않는 시대적 특수성 때문에 우리나라 미술사에서 독특한 의미를 가진다. 학계에서는 철불의 등장에 대해 선종의 유입, 호족의 영향, 동의 부족 등으로 설명하였으나, 본고는 철불 조성 원인을 주석 수급의 문제로 보았다. 신라는 동이 부족하지 않았던 것에 비해, 주석은 청동제품 제작에 꼭 필요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생산되지 않아 신라에서 귀한 금속이었다. 당시 왕실은 지방지배를 위해 곳곳에 자리 잡은 선종에 관심을 가졌고, 선원에 대형 불상을 조성하여 왕실의 권위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귀한 주석이 들어가는 동불이 아닌 철불을 조성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지기 시작한 철불은 도량의 장엄을 위한 것으로, 왕실과 같은 후원 세력의 뜻에 따라 조성되었으며, 선승은 처음에는 불상 조성에 적극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시대가 흐르면서 선승도 적극적으로 철불을 조성하게 된다. 사찰 장엄과 망자 추복을 위해 조성한 철불은 사회 혼란기를 지나면서 사찰의 수호와 호위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신라 하대의 경제와 정치, 사회 양상에서 철불에 부여한 신라인의 인식과 의미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Among the various materials used for Buddhist statues, iron is noteworthy in the history of Korean art as it only started to be used for Buddha statues in late Shilla and almost disappears after Koryŏ. Previous studies have attributed the emergence of iron Buddha statues to the introduction of the Sŏn(Chinese Chan) Buddhism to Shilla, rise of local powers, and shortage of copper, but this study argues that the lack of tin brought the production of iron Buddha statues. Shilla was not short of copper, but tin, another indispensable material when making bronzeware, was not mined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refore was expensive. At the time, to effectively exert power in the provinces, monarchs of Shilla turned to the Sŏn Buddhism, which had spread to all corners of the country. Large Buddhist statues were made for Sŏn temples to demonstrate the royal authority. For this purpose, iron was used in the place of bronze, whose production process required tin, a precious material. First made with above reasons, iron Buddha statues fulfilled the wishes of patrons including the royal family, to decorate temples. At first, Sŏn monks were not enthusiastic about making iron statues, but as time passed, they also participated actively. Iron Buddha statues were initially made to decorate temples and to pray for the souls of the dead but they came to take on the role of supporting and protecting the temple in the chaotic late Shilla society. In conclusion, the perception and the significance attributed to iron Buddha statues changed according to the economical,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in late Shilla.

      • KCI등재

        신라 하대 왕위계승전과 사병의 확대

        이상훈(Yi, Sang-hun)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48

        신라 하대는 정치, 사회, 문화 등 여러 방면에서 유례없는 변혁의 시대로 평가된다. 이 시기에는 진골귀족들의 왕위계승 분쟁이 치열하였고, 그 과정에서 私兵의 존재가 드러났다. 혜공왕대 대공의 난, 헌덕왕대 김헌창의 난, 흥덕왕대 김양의 난 등에서 사병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이에 따라 신라 하대는 국가의 공병이 작동하지 못하고 사병이 주축이 된 것처럼 인식되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신라 하대는 사병이 확대되고 공병이 소멸되는 과정이었지만, 국왕에 따라 공병 체계가 작동하는 수준이 달랐다. 신라 하대에도 국왕들은 즉위 후 끊임없이 왕권 강화와 군사력 통제를 위해 노력하였다. 이에 따라 국왕권의 변화가 있었고, 또한 사병과 공병의 역학 관계도 시기별 변동이 있었다. 신라 하대에 사병의 활동이 부각된다고 해서 공병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볼 수는 없다. 이에 신라 하대 전체를 단순히 ‘사병의 시대’로 인식해서는 곤란할 것이다. The late period in Silla was an era of change in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so on. The battle for the throne was fierce, and the presence of private army appeared. The late period in Silla was a process in which the nation"s military were weakened and private army expanded. However, the level of movement of the nation"s military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king. The kings constantly tried to strengthen their authority after their ascension. Thus, there were changes of royal authority from time to time, and the presence of private army was also changed. As a result, the late period in Silla should not be regarded simply as an era of private army.

      • KCI등재

        『三國遺事』 處容郞望海寺條를 통해서 본 新羅下代의 樂

        權珠賢(Kwon Joo Hyeon) 한국상고사학회 2007 한국상고사학보 Vol.57 No.-

        한국고대의 악에 관해서 기록하고 있는 『三國史記』 樂志에는 「伎樂」이라는 용어가 따로 나오지 않고 있다. 일본의 경우 고대부터 연행되었던 기악에 관한 기록과 유물이 많이 남아 있으며, 현대에 와서도 다양하게 연행되고 있는데, 이 일본의 古代伎樂은 韓半島에서 전래되었다고 전한다. 하지만 한국고대 기악이 어떤 모습으로 연행되었는지, 어떠한 필요에 의해 행해졌으며 그 사회적 기능은 어떠했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한일 고대 악문화에 대한 비교연구’의 첫 단계로서 『三國遺事』 처용량 망해사조에 나타난 신라의 공식적인 제사의례에서 행해진 기악에 관해서 살펴본 것이다. 『三國遺事』의 서술내용이 그렇듯이, 「처용랑망해사」조도 ‘사실’과 ‘설화’가 뒤섞여 있다. 즉, 4개의 설화가 삽화로 들어가 있으며, 각각의 삽화는 춤과 노래 또는 연극적 요소로 구성된 기악이었으며, 그 무대는 신라의 제사의례가 행해진 곳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악을 주관한 사람은 급간의 직위를 가진 음성서의 최고 직책인 ‘卿’이 맡았고, 이들은 제사의례 때 음악을 담당하는 사람이었다. 등장인물 중 하나인 처용은 화랑이었으며, 노래와 춤으로 재액을 물리치는 능력을 가진 무당과 같은 존재였으며, 헌강왕에 의해 국가공식악의 주관자로 등용된 것이었다. 신라의 기악을 병을 치료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이해되었으며, 왕의 권위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이용되었다. 기악은 고대사회의 안정과 통치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정악(正樂)과 마찬가지로 정치 이데올로기적인 것이었다. 기악이 많이 행해졌던 헌강왕대는 ‘태평성대’였다는 것을 여러차례 강조하고 있다. 그런데, 이 시기는 왕권이 약해지고 政治·社會的으로 모순이 노출되는 ‘신라하대’시기였다. 따라서, ‘태평성대’라는 말의 강조는 역설적인 것이며, 국내외의 불안을 기악을 자주 행함으로써 해소하려고 했던 것이었다. 『三國遺事』 악지에 이러한 기악에 관해 정식으로 기록하지 않은 것은, 찬자인 김부식이 기악을 정악과는 구분해서 속된 악으로 보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신라하대에 성행했던 기악은 춤, 노래, 연극이 어우러진 종합적 형태의 악이었다. 이점은 신라중대에 많이 성행했던 정악과는 일정한 차이를 보이는 점이기도 하다. In the book "Samkuksagi(三國史記)“ there are information about the music of Silla(新羅) dynasty, but none about the Giak(伎樂). However, in Japan there are documents and materials of the Giak, and it is performed occasionally. This Giak in Japan is from Korean peninsula. Little is known about the way, the reason and the social functions of the Silla Giak. This research is the first step of "Comparative Study of Korea vs. Japan Ancient Music Culture" focusing on the Giak in worship ceremonies of Silla dynasty revealed in the "Cheoyongrang Manghaesa(處容郞 望海寺)" Clause of "Samkukyusa(三國遺事)", As is "Samkukyusa", the narratives of "Cheoyongrang Manghaesa" also were composed of fiction and nonfiction. To be specific, it had four fictions as inserted stories and each inserted story was Giak consisting of dances, songs, and plays. The place of the performance was the place of Silla's worship ceremonies. The program directors were Gyong(卿), the chiefs of Music Department(Eomsungseo, 音聲暑). They belonged to the class of geobkan(級干), and played the musical role in worship ceremonies. One of the characters, Cheoyong(處容), was a Hwarang(花郞), and considered to be an exorcist to beat off the misfortunes by singing and dancing. He was appointed to the chief of the Music Department by the King Hungang(憲康王). The Silla Giak was considered to cure the diseases and used to reinforce the authority of the Kings. As Giak played an important role to stabilize and control the ancient society, it was political ideology as was Jeongak(正樂). The era of King Hungang, when Giak was performed numerously, "a reign of peace" was stressed many times. However this was the later period of Unified Silla when the power of King was reduced and the political and social conflicts were exposed. Therefore the emphasis of "a reign of peace" was paradoxical, and the habitual performance of Giak was to appease the uneasiness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There are no official record of Giak in the "Akji of Samkuksage(三國史記 樂志)”, which tells the writer Busik Kim(金富軾) considered Giak as the antithesis of Jeongak and was vulgar. In sum, the Giak flourished in the later period of Unified Silla was total form of music consisting of dances, songs, and plays. This is the very difference of the Jeongak performed in the middle period of Unified Silla.

      • KCI등재

        新羅下代 禪宗寺院의 華嚴法身佛像 조성 배경 연구

        서지민 백산학회 2022 白山學報 Vol.- No.124

        This paper was intended to explain the reason why the Zen Buddhism temples in the latter part of the Silla Dynasty that built Avatamska Vairocana Buddha statues became to believe in Avatamska Vairocana Buddha statues unlike the discipline of the Zen sect that regards the Buddhist sanctuary where Zen masters preach Buddhist teachings so that complete enlightenment can be obtained on behalf of Buddha as the most important space without building the Buddhist sanctum where the main Buddha statue is created and the rituals such as sutra chanting or prayers to Buddha are hel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although it has been vaguely assumed that the Avatamska Vairocana Buddha was enshrined in Zen Buddhism temples in the latter part of the Silla Dynasty, when the literature data and excavation investigation results were put together, no clear evidence to conclude such an assumption could be found. In addition, given that the Avatamska Vairocana Buddha statue was not enshrined in the main building of the temple, which is the central Buddhist sanctum of the Zen Buddhism temple, but was enshrined in an attached Buddhist temple or created afte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after the temple was built, it was found that the Avatamska Vairocana Buddha statue did not play the role of the main Buddha statue, which was the main object of worship from the beginning.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Avatamska Vairocana Buddha was not believed as the main Buddha in Zen Buddhism temples in the latter part of the Silla Dynasty from the mention that the iron Vairocana Buddha statue in Borimsa Temple played the role of decorating the place where Chejing stayed, written in the 「Bojo Zen master Changseong stone monument」. The Zen masters who created mountain monasteries in the latter part of the Silla Dynasty must have adapted to the Zen Buddhism temple system of the Tang age through studying abroad and thus it is thought that they followed the Buddhism temple architecture presented in the『Baizhang Qinggui (百丈淸規)』 in the Tang age. However, the Zen Buddhism temples in the latter part of the Silla Dynasty enshrined the Avatamska Vairocana Buddha statue unlike the Zen Buddhism temples of the Tang age, and it is presumed that they could not but respond to the demand from the royal family because the royal family sponsored the operation of Zen Buddhism temples with political purposes. In the latter part of the Silla Dynasty, the Avatamsaka sutra studies were popular such as the creation of the Avatamska Vairocana Buddha statue centered on the royal temple, and it is thought it affected Zen Buddhism temples. It is understood that in the latter part of the Silla Dynasty, the Zen sect supplemented and developed its ideological system while actively developing ideological exchanges with the Huayan sect. In the atmosphere of the Buddhist world where the Zen sect and the Huayan sect communicate, the original theory of the Zen sect that Buddha statues are not the true form of the Tathagata and therefore do not need to be respected was not followed, and Zen Buddhism temples became to enshrine the Avatamska Vairocana Buddha statue, which was most familiar to Buddhists. By analyzing the mention that Buddha statues could not but be created to convey enlightenment written in the 「Dansoksa Temple Shinhaeng Zen master monument」 and the recognition of Avatamska Vairocana Buddha recorded in 「Borimsa Temple Bozo Zen master Changseong stone monument」 which is in line with the Buddha faith view in 「Avatamsaka sutra」 the reason why Zen Buddhism temples in the latter part of the Silla Dynasty became to believe in Avatamska Vairocana Buddha could be concretely understood. 본고에서는 주존 불상을 봉안하고 독경이나 염불을 하는 등의 의례를 하는 불전을 세우지 않고부처를 대신하여 정각을 얻을 수 있도록 가르침을 주는 선사들이 설법을 하는 법당을 사원의 가장주요한 공간으로 보는 선종의 청규와는 달리 신라하대 선종사원에서 화엄법신불상을 조성하게된 배경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고찰의 결과, 기존에는 막연하게 신라하대 선종사원에서 화엄법신불상을 주존으로 봉안하였다고 여겨왔지만, 관련 문헌과 발굴조사 결과를 종합해보면 그런 사실을 명확하게 말해주는 근거는 찾을 수 없다. 그리고 선종사원에서 화엄법신불상은 중심불전인 금당에 봉안된 것이 아니라부속불전에 안치되어 있거나 또 사찰이 창건되고 상당 기간이 지난 후에 조성되기도 했다는 점을볼 때 가장 주요한 예경의 대상인 주존으로 신앙되었던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보조선사창성탑비」에서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상이 ‘체징이 머무는 공간을 장엄하는 역할’이라는 언급을통해서 신라하대 선종사원에서 화엄법신불상을 주존으로 신앙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라하대에 산문을 개창했던 선사들은 유학하면서 唐代 선종사원 제도에 적응했을 것이며, 그래서 신라에서 선종사원을 개창할 때도 唐代 청규에서 제시한 선종사원의 규범을 따랐을 것으로생각된다. 하지만 唐代 선종사원과는 달리 신라하대 선종사원은 화엄법신불상을 봉안하였는데, 그 이유는 왕실에서 정치적인 목적을 갖고 선종사원의 조영을 후원했기 때문에 왕실의 요구에부응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즉 신라하대에는 왕실의 원당을 중심으로 화엄법신불상을 조성하는 등의 화엄경신앙결사가 유행하였는데, 선종사원에도 그런 영향이 미치게 되었다고 여겨진다. 신라하대 선종은 화엄종과 사상적인 교류를 활발하게 전개하면서 사상체계를 보완, 발전해 나갔다고 파악된다. 선종과 화엄종이 회통하는 불교계의 분위기 속에서 불상은 여래의 참모습이아니므로 예경할 필요가 없다는 선종의 原論을 따르지 않고, 선종사원에서는 불교도들에게 가장친숙한 화엄법신불상을 신앙하게 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깨달음을 전하기 위해서 불상을 조성할 수밖에 없다고 밝히고 있는「단속사 신행선사비」의 언급이나『화엄경』의 불신관과 상통하는「보림사 보조선사창성탑비」에 기록된 화엄법신불에 대한 인식을 통해서 신라하대 선종사원에서화엄법신불상을 신앙하게 된 이유를 파악하였다.

      • KCI등재

        善德王 지기삼사(知幾三事)의 형성 시기와 배경

        김선주(Kim, Sun-ju)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7 한국고대사탐구 Vol.25 No.-

        본 논문은 『삼국유사』에 실려 있는 ‘지기삼사’의 내용을 검토하면서 이야기의 형성 시기와 형성 배경을 살펴본 것이다. ‘지기삼사’는 우리 역사상 첫 여왕인 선덕왕이 왕으로서 뛰어난 능력과 지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에 지금까지 ‘지기삼사’는 최초의 여왕으로 즉위했던 선덕왕의 왕위 계승의 정당성이나 왕권 강화라고 하는 정치적 목적과 관련하여 생성된 것으로 이해했다. 그러나 검토 결과 선덕왕과 실질적인 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설화는 주인공이 선덕왕이지만 선덕왕을 목적으로 하고 있지 않았다. 모란꽃 설화의 경우 모란꽃이 향기가 없다는 것도 사실이 아닐 뿐 아니라 모란꽃의 전래 시점으로 보았을 때 선덕왕이 직접 보았을 가능성이 없었다. 여근곡 설화는 신라 하대 진성왕대 ‘백제’라고 불리는 세력이 신라 왕경 근처까지 왔던 것이 선덕왕대 옥문곡 전투에 부회되어 생성된 것으로 보았다. 도리천 설화는 증명되는 시점이 사망 뒤로 나타날 뿐 아니라, 또한 도리천 장지를 예언했던 주인공도 선덕왕이 아닌 안함이었다. 지기삼사가 모두 선덕왕 사후에 만들어졌다는 것은, 지기삼사의 수혜자가 선덕왕이 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검토결과 지기삼사 이야기는 선덕왕의 뛰어난 능력을 내용으로 하지만, 시간적 배경은 오히려 신라 하대가 주목되었다. 신라 하대는 신라에서 세 번째로 여왕 즉위가 나타나는 시기이다. 그렇지만 진성왕이 즉위하던 하대는 여성의 정치적 활동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팽배했다. 결국 진성왕은 신라 역사상 유일하게 도중에 왕위를 양위하였다. 진성왕측으로서는 여왕임에도 불구하고 통치자로서 문제가 없다는 것을 항변하고 싶었을 것이다. 이에 첫 여왕이었던 선덕왕을 내세워 여왕이지만 뛰어난 능력을 가진 통치자로 문제가 없다는 것을 설파하면서 여왕인 진성왕을 간접적으로 옹호하고자 했던 것이 아닐까 한다. 그러므로 선덕왕이 여왕임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지기삼사는 주인공인 선덕왕이 아니라 진성왕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그렇지만 지기삼사는 일시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며, 진성왕 치세 기간에 왕권강화를 의도로 만들었다고 보려는 것은 아니다. 세가지 내용은 일시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각자 생성되어 취합된 것으로 이해했다. 그러므로 진성왕의 즉위에 영향을 준 것도 있지만, 양위 후에 만들어진 것도 있는 것으로 보았다. 결론적으로 여기서는 ‘지기삼사’를 통해 신라 하대에 여왕으로 즉위한 진성왕의 즉위나 왕권의 정당성에 선덕왕이 유용하게 활용되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이를 통해 신라에만 있었던 3명의 여왕 즉위는 서로 긴밀한 정치적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ormative period and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fable of "three affairs already known by Queen Seondeok" carried in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Samguk Yusa)』. The fable of ‘three affairs already known by Queen Seondeok’ shows the ability and wisdom of Queen Seondeok as the first queen in the history of Korea and has been interpreted as that made and dissemina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her enthronement as the queen and reinforce her royal authority. But as a result of its examination,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of the fable of "three affairs already known by Queen Seondeok" was mostly formed with no relationship to Queen Seondeok. Most of the fable of "three affairs already known by Queen Seondeok was formed after her death. This exhibits that the beneficiary of the fable could not be Queen Seondeok. As a result of examination, the story of "three affairs already known by Queen Seondeok is composed of the excellent ability of Queen Seondeok but rather, the latter part of Shilla Dynasty was raised as the temporal background for its formation and the period in time when the third queen ascended the throne in the Shilla Dynasty. Queen Jinseong ascended the throne under the situation that the negative consciousness of women"s political activity was strong in Later Shilla. She ascended the throne according to the will of King Jeonggang but her royal authority was threatened only in that she was woman. At length, she alone demised the Crown midway in the history of Shilla. What was the most necessary for Queen Jinseong was that she had no problem though she was the queen. The story that Queen Seondeok had the excellent ability in spite of the female gender may be that it was made in relation with the political situation of Queen Jinseong like this. But "three affairs already known by Queen Seondeok were not formed at a time. Therefore, it cannot be seen to have been formed with the poltiical intention of reinforcing the royal authorty in the reigning period of Queen Jinseong. Queen Seondeok is seen to be useful for purpose of advocating the succession of the throne and the royal authority by Queen Jinseong after the demise of her throne as well as in the process of her enthronement and reigning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