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역-기초간 시도비 보조금 제도의 개선방안

        이상범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9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9 No.4

        There is a problem in operating the system of local subsidies between upper‐tier local governments and lower‐tier local governments not based on elaborate principles or objective analysis of affairs and functions, but through a subsidy rate arbitrarily set by upper‐tier local governments. This poses many problems for the financial efficiency, equity and predictability of lower‐tier local governments. In recognition of these problem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improvement strategy of municipal/provincial subsidy system. To this end, this study discussed collaborative fiscal relations through the municipal/provincial subsidy system and the theory of fiscal relations between governments, and analyzed the legal and financial contributions of the municipal/provincial subsidy system to examine their structural problems. On the basis of this, an improvement strategy of the municipal/provincial subsidy system was sought. For improvement strategies for municipal/provincial subsidies, through consultation on the allocation of financial use between local governments including the central government, this study proposed a decentralization plan based on cooperative financial governance system that is being promoted as follows. The first is the establishment of a regional cost sharing standard for the national disbursement fund project. For each national disbursement fund projec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andards for central and regional security by considering the type and nature of the project, the size of the project cost and the degree of reaching effect, and the subject of implementation, etc., and to set additional standards between upper‐tier local governments and lower‐tier local governments taking into account local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differential subsidy rate, it is necessary to revise it to the purpose that only the increase subsidy rate is possible. In the case of non‐compliance with the national disbursement fund project, the penalties need to be introduced. The second is the establishment of a deliberation body for municipal/provincial subsidy project of upper‐tier and lower‐tier local governments. This involves setting up a tentative “local finance matching deliberation committee for upper‐tier and lower‐tier local governments” in each city and/or province to deliberate on key issues related to the subsidies matching burden. To this end, Article 23‐2 of the Local Finance Act should be newly established to consider whether to promote new subsidies projects and adjust the subsidy rate of existing subsidies projects. In this case, consultation on related financial burdens is to be made mandatory, and only through deliberation should it be possible to establish or change the subsidy grant system.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간 지방보조금 제도는 사무와 기능에 관한 정교한 원칙이나 객관적인 분석 결과에 근거하지 않고, 광역자치단체가 임의적으로 설정한 보조율을 통하여 제도를 운영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기초자치단체의 재정 효율성과 형평성 그리고 예측 가능성에 많은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본 연구는 시도비 보조금 제도의 개선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시도비 보조금 제도와 정부간 재정관계 이론을 통해 협력적 재정관계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시도보조금 제도의 법적 현황과 재원분담 현황을 파악하여 구조적 문제점에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시도비 보조금 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시도비 보조금의 개선방안은 중앙정부를 포함한 지방정부간 재정의 활용 배분 등을 협의 등을 통해 추진하는 협력적 재정 거버넌스 시스템 기반의 분권화 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안되었다. 첫째, 국고보조사업 지방비 분담 기준안의 마련이다. 이는 국고보조사업별로 사업의 유형과 성격, 사업비의 규모 및 파급효과 정도, 시행주체 등을 감안하여 중앙과 지방 간 경비부담의 기준을 마련한 후 지방의 특성을 고려한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 간 기준을 추가로 설정하여 마련하도록 한다. 차등보조율과 관련해서는 인상보조율만 가능하다는 취지의 개정이 필요하며, 국고보조사업 기준분담률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패널티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광역-기초 시도보조사업 심의기구 신설이다. 이는 보조사업 매칭부담에 관한 주요사항을 심의하기 위해 각 시도에 가칭 ‘광역-기초 지방재정부담심의 위원회’를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 지방재정법 제23조의 2를 신설하여, 신규보조사업의 추진여부, 기존 보조사업 보조율 조정 등을 심의하도록 한다. 이 경우 관련 재정부담에 관한 협의는 의무적인 사항으로 해야 하며, 심의를 통해서만 보조금제도 신설 및 변경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지방자치단체 보조금 제도의 효율적 운영방안

        이현우 경기연구원 2010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Vol.2010 No.12

        The local government subsidy is a monetary subsidy without any returning benefit that the national government transfers to local governments to support their specific projects. Local government subsidy project is the project supported by this national government subsidy. The local government subsidy takes up to around 31% of total budget in 2010. So do local government subsidy projects in local governments. However, even if subsidy projects are aimed to achiev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or national level projects, the projects are directly or indirectly under the influence of local power. As a result, it has been criticized that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subsidy projects does not depend on the evaluation of their necessity and effectiveness. This paper analyzes government subsidy and its actual condition to see whether upper government's subsidy would be the solution for lower government financial operation or rather the problem causing factor. After researching on actual condition of subsidy projects of 31 municipal and lower government in Gyeonggi province, this paper divides government subsidy project into 4 process: project planing and budgeting, applying for subsidy and decision making, operating on subsidy project, managing and adjusting, to show the problems both at institutional level and operational level. As the result of analysis, government subsidy has some institutional framework, but it shows many problems when it comes to actual operational level. Thu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plan for the government subsidy, we need to solve the problems gradually in present institutional framework.

      • KCI등재

        기초자치단체별 아동복지 재정격차와 이에 대한 재정조정제도의 격차완화효과

        김윤영(Kim, Yunyoung),강현아(Kang, Hyunah) 한국아동복지학회 2020 한국아동복지학 Vol.6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228개 기초자치단체의 아동복지 재정 격차를 파악하고 재정조정제도가 지역 간 재정격차 완화에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재정조정제도 중 하나인 분권교부세가 폐지된 2015년을 기점으로 5년 전인 2010년, 5년 후인 2019년의 세 시점에서 지역간 격차가 각각 어떤 변화를 보였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2010년, 2015년, 2019년 3개년도 기초자치단체 별 아동 1인당 아동복지예산자료이며, 자료의 분석에는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변이계수와 지니계수 및 국가재정의 재정조정계수측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지난 10년 간 전체 228개 기초자치단체 간에, 그리고 시 · 군 · 구 각 기초자치단체 유형 간에도 아동복지 재정 격차가 꾸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정조정제도의 효과는 분권교부세가 폐지된 2015년에 감소하였다가 아동수당과 같은 대규모 현금사업이 도입된 2019년에는 훨씬 향상되었다. 그러나 구 단위 기초자치단체의 경우, 시 · 군에 비해 보조금 의존도가 높고 수도권과 지방의 빈부격차로 인한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나타날 우려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 단위 기초자치단체의 자체재정력을 더 강화시킴과 동시에 아동수당 등 대규모 현금보조 복지사업의 확대에 발맞춰 재정불균형 해소를 위한 재원보전기능도 보강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financial gaps among 228 local governments in child welfare budget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fiscal adjustments in decreasing the regional financial gaps.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the gaps among 228 regions nationwide at three points: in the years of 2010, 2015, and 2019. The data collected for the analysis were the child welfare budget data per child of 228 local governments for the years 2010, 2015, and 2019. Coefficient of variation, the Gini coefficient, and coefficient of financial adjustment syste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aps in child welfare budgets of 228 regions have steadily decreased over the past decade.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fiscal adjustments decreased in 2015 when the decentralized grant tax system was abolished. However, the effects improved significantly in 2019 when large-scale cash welfare programs were introduced. The group of districts showed larger gaps in child welfare budgets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cities and counties). Based on th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