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완전 또는 부분 강직된 슬관절에 시행한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배대경,김진문,임찬택 대한슬관절학회 2002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4 No.2

        목적: 강직성 슬관절에 대한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고, 수술시 문제점과 성공적인 결과를 위한 요인들을 조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7월부터 1996년 8월까지 강직성 슬관절에 대해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37례중 지속적인 장기 추시가 가능하였던 3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7명, 여자가 25명이었고, 평균 40.4세(20~63세)이었다. 추시기간은 평균 5년 2개월 (2년~11년 10개월)이었다. 슬관절의 완전 강직이 20례, 부분 강직이 12례였다. 임상적 평가는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HSS)의 슬관절 평가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방사선학적 검사는 Knee Society roentgenographic evaluation system을 이용하였다. 결과: HSS score는 술전 평균 56.8점 (26~87)에서 술후 평균 85.6점 (64~97)으로 향상되었다. 완전 강직 되었던 20례는 술후 관절 운동 범위가 평균 75.3˚(30~115)로 향상되었고, 부분 강직 되었던 12례에서는 평균 49.5˚(15~80)에서 술후 평균 98.7˚ (60~130)로 향상되었다. 술후 관절 운동범위나 HSS score를 이용한 임상적 분석결과 대퇴사두근건의 연장술이나 경골결절의 근위 이동술을 시행한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2mm 이하의 방사선 투과선 (radiolucent line)이 2례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일반적으로 수술 수기가 어렵고 예후 또한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온 강직성 슬관절에 대한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에 있어서 슬관절 주위 연부 조직 및 골의 상태, 굴곡각도, 신전 기능 유무를 정확히 평가한 후, 구축된 연부 조직의 적절한 유리술 및 연장술과 세심한 수술수기 및 적극적인 재활요법이 병행된다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of total knee arthroplasty in complete or partial ankylosed kne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1986 to August 1996, total knee arthroplasties were performed in 37 ankylosed knees. Of these, five patients were lost to follow-up. Thirty two patients were evaluated.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5 years 2 months (2 years-11 years 10month). Average age of patients at the time of total knee arthroplasty was 40.4 years (20~63 years). There were seven men and twenty five women. Twenty patients has complete ankylosis and twelve patients had partial ankylosis. Quadriceps tendon was lengthened with the method of modified V-Y advancement technique ub 10 cases. Tibial tubercle was proximally transferred in 3 cases. Result: The postoperative average range of motion was 75.3˚ (30˚ -115˚) in complete ankylosis, 98.7˚ (60˚ -130˚) in partial ankylosis. The average HSS knee score improved from 56.8 points preoperatively to 85.6 points postoperatively. Radiolucent line was observed in two knees with less than 2mm width in 3years and 4 years postoperatively, but the patient had no pain. Conclusion: In patient selection, healthy extensor mechanism and adequate soft tissue condition are most important. With meticulous surgical technique and aggressive rehabilitation, patients can obtain reasonable restoration of function in ankylosed knee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 KCI등재

        불안정성이 없는 슬관절과 전방십자인대 손상 슬관절에서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후방 및 회전 안전성에 관한 생체 비교 연구

        박상진 ( Sang Jin Park ),송은규 ( Eun Kyoo Song ),선종근 ( Jong Keun Seon ),허창익 ( Chang Ich Hur ),박기헌 ( Gi Heon Park ) 대한슬관절학회 2009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1 No.1

        목적: 불안정성이 없는 슬관절과 전방십자인대 손상 슬관절에서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전후방 및 회전안정성에 대한 생체 내 비교 연구를 통해 각 군에서의 객관적인 값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반월상 연골 손상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퇴행성 변화가 관찰되거나, 인대손상이 동반된 환자를 제외한 44명의 환자(Group A)와 전방십자인대 손상으로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퇴행성 변화가 관찰되거나, 반월상 연골, 부분 전방십자인대, 후방십자인대, 내·외측측부인대 손상이 동반된 환자를 제외한 41명의 환자(Group B)를 대상으로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슬관절 굴곡 0, 30, 60, 90도 각각에서 전후방 전위와 회전 안정성을 검사하였다. 결과: 평균 총 회전값은 Group A에서는 각각 18.8°, 31.4°, 30.1°와 29.2°를 보였고, Group B에서 각각 22.7°, 37.6°, 34.0°와 31.8°를 보였다. 결론: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불안정성이 없는 슬관절과 전방십자인대 손상 슬관절에서 슬관절 전후방 및 회전 안정성 정도를 정량화한 값들을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We compared the anteroposterior translation and the internal-external rotation of the tibia in stable knees without 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jury with those of ACL injured knees by using a navigation system and we report the objective data. Materials and Methods: Forty-four patients who were treated for a meniscal tear without ACL injury were allocated to the stable group, and 41 patients were allocated to the ACL injury group. The anteroposterior displacement and the rotation of the knees were measured in 0, 30, 60 and 90 degrees of flexion with using the Orthopilot(R) navigation system. Results: The mean total rotation values were 18.8°±4.5°, 31.4°±4.2°, 30.1°±5.1° and 29.2°±5.9° at 0, 30, 60 and 90 degrees of flexion, respectively, in the stable group and 22.7°±6.9°, 37.6°±5.8°, 34.0°±9.4° and 31.8°±8.8° at 0, 30, 60 and 90 degrees of flexion, respectively, in the ACL injury group. Conclusion: The quantitative values for anteroposterior translation and rotations of stable and ACL injured knee were obtained using a navigation system.

      • KCI등재

        고도 굴곡형 슬관절 전치환술 후의 기능평가

        송영준 ( Young Joon Song ),하철원 ( Chul Won Ha ) 대한슬관절학회 2009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1 No.1

        목적: 고도 굴곡형 슬관절 전치환술의 결과를 한국인의 생활 방식과 관련한 기능에 주안점을 두어 분석하고, 술 후 임상 결과를 평가하는 여러 방법들 중 어떠한 것이 이를 잘 반영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Scorpio-flex 치환물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266예를 최소 1년 이상 추시 관찰하였다. 기능적 평가는 양반다리로 앉기, 쪼그려 앉기, 무릎 꿇기, 바닥에서 일어서기, 의자에서 일어서기, 계단 오르기 및 계단 내려가기가 가능한지를 설문지로 평가하였다. 기존의 평가 방법(미국 슬관절 학회 슬관절 점수, 슬관절 기능 점수, WOMAC점수 그리고 환자 만족도)들이 이러한 기능들을 평가하는데 적합한지를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슬관절의 최대 굴곡 각도는 최종 추시 시 평균 132.6도였다. 양반다리로 앉기는 90.6%, 쪼그려 앉기는 32.3%, 무릎 꿇기는 28.0%, 바닥에서 일어서기는 66.9%, 의자에서 일어서기는 99.6%, 계단 오르기는 96.2%, 계단 내려가기는 90.6%에서 가능하다고 응답하였다. WOMAC 점수 및 슬관절 점수는 이러한 각 기능 평가 항목에서 해당 활동에 대한 군 간의 차이를 모두 잘 반영하였으며 슬관절 기능 점수 및 환자 만족도는 일부 항목에서 군 간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였다. 결론: 고도 굴곡형 슬관절 전치환술 후 양반다리, 의자에서 일어서기, 계단 오르내리기는 양호한 결과를 보이나 쪼그려 앉기와 무릎 꿇기의 회복은 부족하였다. 술 후 임상 평가 지표 중에서는 WOMAC과 슬관절 점수가 고도 굴곡 기능과 관련하여 좋은 평가 방법으로 판단되며 슬관절 기능 점수 및 환자 만족도는 일부 기능과는 관련되지 않아 기능 평가에 이용 시 주의를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functional result of High-Flex (HF) total knee arthroplasty (TKA) with focusing on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 Korean life style, and we identified the suitability of the presently used tools for performing functional evalua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266 knees that underwent HF-TKAs with using a Scorpio-flex and the follow up period for all the knees was over 1 year. Functional evaluation was performed by questionnaire on activities, including cross-leg sitting, squatting, kneeling, standing from the floor, standing from a chair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stairs. The clinical evaluation included the Knee Society Knee Score (KSKS) & Function Score (KSFS), the WOMAC score and the patient`s satisfaction score. The identification of suitable tools for the functional evaluation of high flexion activities was performed by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Deep flexion of the knees averaged 132.6˚. Cross-leg sitting was possible for 90.6%, squatting for 32.3%, kneeling for 28.0%, standing from the floor for 66.9%, standing from a chair for 99.6%, ascending stairs for 96.2% and descending stairs for 90.6%. The WOMAC score and KSKS well differentiated the groups for the possibility of their activities, but the KSFS and patient`s satisfaction did not differentiate between the groups for some activities. Conclusion: The functional evaluatio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with HF-TKA revealed good results on cross-leg sitting, standing from chair, ascending & descending stairs, but still poor results on squatting and kneeling. For the functional evaluation of HF-TKA, we believe that the WOMAC and KSKS are good evaluation tools. The KSFS and the patient`s satisfaction need careful interpretation when using these for high flexion-related functional evaluation due to their lack of ability to differentiate between good and poor results by some activities.

      • KCI등재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와 정상인의 보행 시 슬관절 가속도

        신준호(Joon-Ho Shin),김영진(Young-Gene Kim),홍대종(Dae-Jong Hong),나웅칠(oong-Chil Na),김영호(Young-Ho Kim),황선홍(Sun-Hong Hwang),김미정(Mi-Jung Kim),이규훈(Kyu-Hoon Lee),윤재남(Jae-Nam Yoon),박시복(Si-Bog Park)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6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7 No.2

        목적: 보행 시 슬관절에는 내측으로 지면반발력이 작용하게 되어 외측으로 회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퇴행성 슬관절염은 이 회전력에 의해 슬관절 내측으로 가해지는 힘이 커져서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와 정상인의 슬관절 가속도를 측정하여 보행 시 슬관절에서 나타나는 가속도의 양상을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상 여성 22명과 퇴행성 슬관절염으로 진단 받은 성인 여성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같은 종류의 양말과 신발을 착용하여 편안한 걸음을 걷는 상태에서 무선가속도 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슬관절의 가속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범위가±2 g (중력가속도)인 삼축 가속도 센서 CXL03LF3 (Crossbow, USA)를 비골두에 부착하여 가속도를 측정하였고 Mann-Whitney 검정법과 Spearman의 상관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1)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서는 정상인에 비해 부하 반응기 직후에 나타나는 슬관절 가속도의 첫 번째 최고치가 외측 방향과 앞쪽방향으로 크게 나타났다(p<0.01). 2)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서는 정상인에 비해 편안한 걸음을 걷는 상태의 분속수가 유의하게 적었으나(p<0.01) 분속수와 슬관절 가속도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3)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와 정상인 모두에서 부하 반응기 직후에 나타나는 슬관절 가속도의 첫 번째 최고치가 외측 방향과 앞쪽 방향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1) 전후측, 내외측, 상하측간에도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결론: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서는 보행시 정상인보다 부하 반응기 직후에 나타나는 슬관절 가속도의 최고치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슬관절의 동적 가속도 형태를 관찰하는 것이 슬관절 질환 진단의 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To investigate and describe the acceleration of the knee during walking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knee and healthy adults. Methods: 22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knee and 22 heathy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accelerometer fixed at left fibular head was used to record anterior-posterior, medio-lateral and superior-inferior accelerations of the knee during walking.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lateral and anterior 1st peak of acceleration at loading response in the patients with osteoarthrits of knee compared to healthy adults (P<0.01).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cadence in the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knee compared to heathy adults (P<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adence and 1st peak of acceleration at loading response. There was correlated with anterior and lateral acceleration in all subjects (P<0.01). Also there was relationship between anterior-posterior, medio-lateral and superior-inferior acceleration in all subjects (P<0.01). Conclusion: The accelerometer can be an easy and useful way to evaluate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knee.

      • KCI등재

        MR T2 Map 기법을 이용한 슬관절염 환자의 연골 변화 평가

        조재환,박철수,이선엽,김보희,Cho, Jae-Hwan,Park, Cheol-Soo,Lee, Sun-Yeob,Kim, Bo-Hui 한국의학물리학회 2009 의학물리 Vol.20 No.4

        본 연구는 MR T2 map기법을 이용하여 슬관절염이 없는 건강한 사람과 관절염이 있는 환자의 연골의 T2값 변화를 측정하여 슬관절 연골의 형태 및 손상 정도를 평가하고 아울러 T2 map기법의 유용성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과거 병력 및 현재 임상적으로 슬관절염이 없는 건강한 사람 30명과 2007년 1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무릎 통증으로 내원한 환자 중 단순 방사선 촬영에서 슬관절염 소견이 보이는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multi-echo 방식(TR: 1,000 ms, TE values (6.5, 13, 19.5, 26, 32.5. 40, 45.5, 52))인 T2 SE (spin echo) sequence를 이용하여 슬관절 연골 T2 SE 영상을 획득 하였다. 획득한 영상을 바탕으로 슬관절 연골 내 구역별 신호강도(S.I)의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Origin 7.0 Professional (northampton, MA 01060 USA)을 이용하여 평균 T2값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T2값은 독립표본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건강한 그룹과 슬관절염 그룹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시행,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건강한 그룹과 슬관절염 그룹의 시상면과 관상면의 내, 외측 관절연골에 대한 각각의 T2 값은 시상면에서는 대퇴연골의 경우 슬관절염 그룹의 평균 T2값($42.22{\pm}2.91$)이 건강한 그룹의 평균 T2값($36.26{\pm}5.01$)보다 크게 나타났고 경골 연골의 경우도 슬관절염 그룹의 평균 T2값($43.83{\pm}1.43$)이 건강한 그룹의 평균 T2값($36.45{\pm}3.15$)보다 크게 나타났다. 관상면에서는 내측 대퇴연골의 경우 슬관절염 그룹의 평균 T2값($45.65{\pm}7.10$)이 건강한 그룹의 평균 T2값($36.49{\pm}8.41$)보다 크게 나타났고 내측 경골 연골의 경우도 슬관절염 그룹의 평균 T2값($44.46{\pm}3.44$)이 건강한 그룹의 평균 T2값($37.61{\pm}1.97$)보다 크게 나타났다. 외측 대퇴연골의 경우 슬관절염 그룹의 평균 T2값($43.41{\pm}4.99$)이 건강한 그룹의 평균 T2값($37.64{\pm}4.02$)보다 크게 나타났고 외측 경골 연골의 경우도 슬관절염 그룹의 평균 T2값($43.78{\pm}8.08$)이 건강한 그룹의 평균 T2값($36.62{\pm}7.81$) 보다 크게 나타났다. 슬관절염이 있는 환자인 경우 T2 map기법을 이용하여 지금까지 사용되었던 형태학적 MR 영상화 방법과 더불어 연골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연골질환의 조기 진단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By using the MR T2 map technique, this study intends, first, to measure the change of T2 values of cartilage between healthy people and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and, second, to assess the form and the damage of cartilage in the knee-joint, through which this study would consider the utility of the T2 map technique. Thirty healthy people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clinical history and current status and another thirty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the knee who were screened by simple X-ray from November 2007 to December 2008 were selected. Their T2 Spin Echo (SE hereafter) images for the cartilage of the knee joint were collected by using the T2 SE sequence, one of the multi-echo methods (TR: 1,000 ms; TE values: 6.5, 13, 19.5, 26, 32.5. 40, 45.5, 52). Based on these images, the changes in the signal intensity (SI hereafter) for each section of the cartilage of the knee joint were measured, which yielded average values of T2 through the Origin 7.0 Professional (Northampton, MA 01060 USA). With these T2s,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performed by SPSS Window version 12.0 to run the quantitative analysis and to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healthy group and the patient group. Closely looking at T2 values for each anterior and lateral articular cartilage of the sagittal plane and the coronal plane, in the sagittal plane, the average T2 of the femoral cartilage in the patient group with arthritis of the knee ($42.22{\pm}2.91$) was higher than the average T2 of the healthy group ($36.26{\pm}5.01$). Also, the average T2 of the tibial cartilage in the patient group ($43.83{\pm}1.43$) was higher than the average T2 in the healthy group ($36.45{\pm}3.15$). In the case of the coronal plane, the average T2 of the medial femoral cartilage in the patient group ($45.65{\pm}7.10$) was higher than the healthy group ($36.49{\pm}8.41$) and so did the average T2 of the anterior tibial cartilage (i.e., $44.46{\pm}3.44$ for the patient group vs. $37.61{\pm}1.97$ for the healthy group). As for the lateral femoral cartilage in the coronal plane, the patient group displayed the higher T2 ($43.41{\pm}4.99$) than the healthy group did ($37.64{\pm}4.02$) and this tendency was similar in the lateral tibial cartilage (i.e., $43.78{\pm}8.08$ for the patient group vs. $36.62{\pm}7.81$ for the healthy group). Along with the morphological MR imaging technique previously used, the T2 map technique seems to help patients with cartilage problems, in particular, those with the arthritis of the knee for early diagnosis by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nges of the cartilage.

      • KCI등재

        한국인에서 Mobile Bearing 슬관절 부분치환술의 단기 결과

        최원식(Won Sik Choy),김갑중(Kap Jung Kim),양동현(Dong Hyun Yang),이항호(Hang Ho Lee),김하용(Ha Yong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5

        목적: 슬관절 부분치환술이 소개된 이후 그 치료 결과에 대하여 많은 이론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Oxford Uni<SUP>®</SUP>를 이용하여 슬관절 부분치환술을 시작한 2002년 첫 1년간의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최소 침습적 슬관절 부분치환술(Oxford Uni<SUP>®</SUP>)을 시행받고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49명 57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65세 (46-77)였으며 남자가 5명, 여자가 44명이었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28개월(24-31)이었다. 수술 전 진단은 퇴행 성 슬관절염이 50예, 대퇴골 내과의 무혈성 괴사가 5예, 슬관절 연골석회화증이 2예였다. 임상적 결과의 평가는 HSS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점수와 수술 전 및 최종 추시 시 슬관절의 운동범위, 최종 추시 시 쪼그려 앉기 자세의 가능 여부로 평가하였다. 방사선학적 결과의 평가는 수술 전 및 수술 후 대퇴 경골각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대퇴 경골각은 수술 전 평균 내반 1.3°에서 수술 후 평균 외반 4.8°로 교정되었으며, HSS 점수는 수술 전 평균 67.7점(52-80)에서 최종 추시 시 평균 94.6점(88-100)으로 향상되었다. 슬관절 굴곡 구축은 수술 전 평균 6.3° (0-15)에서 최종 추시시 평균 1.7° (0-5)로 향상되었다. 전 예의 환자에서 능동적 슬관절 최대 굴곡이 수술 후 2개월 내에 가능하였으며, 최종 추시 시 대부분(91%)에서 쪼그려 앉기 자세가 가능하였다. 4예에서 meniscal bearing의 탈구가 발생하였는데 1예에서 슬관절 전치환술로 전환하였고, 3예는 더 두꺼운 meniscal bearing으로 교체하였다. 결론: 최소 침습적 슬관절 부분치환술(Oxford Uni<SUP>®</SUP>)은 슬관절의 편측 병변이 있는 환자에서 적합한 술식으로 사료되며, 짧은 회복기간, 우수한 통증 감소 및 한국인의 생활 방식에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추시 기간 중 발생한 lacsinem bearing의 탈구가 매우 중요한 합병증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results of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are controversial. We report our first year's experience of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sing minimally invasive Oxford Uni<SUP>®</SUP>. Materials and Methods: 57 knees from 49 patients who had undergone operation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02 were reviewed. The mean age was 65 years (46-77). There were 5 males and 44 female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8 months (24-31). The preoperative diagnosis was 50 cases of osteoarthritis, 5 cases of avascular necrosis of the medial femoral condyle and 2 cases of chondrocalcinosis.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preoperatively and at the final follow up using the H55 knee score and the range of motion of knee. At the final follow up, ability of the patient to assume the squatting position was checked. The tibiofemoral angle was measured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Results: The tibiofemoral angle was improved varus 1.3° preoperatively to valgus 4.8° postoperatively. The H55 knee score was 67.7 (52-80) preoperatively and 94.6 (88-100) at the final follow up. The mean preoperative flexion contracture was 6.3° (0-15) and 1.7° (0-5) at the final follow up. The active full flexion of the knee was possible in all patients within 2 months after surgery. The squatting position was possible in forty patients within 6 months after surgery. Complications were encountered in four cases with a meniscal bearing dislocation. One case was converted to a total knee arthroplasty and three cases were changed with thicker bearings. Conclusion: Minimally invasive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sing Oxford Uni<SUP>®</SUP> is suitable surgical method for a unicompartmental knee lesion. It provides a short recovery period, excellent pain relief, and is compatible with the Korean life style. However, a meniscal bearing dislocation during the follow-up period is an important complication.

      • KCI등재

        후방십자인대 대치형 Medial Pivot Knee를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단기 추시 결과-

        조성도 ( Sung Do Cho ),염윤석 ( Yoon Seok Youm ),정지영 ( Ji Young Jeong ),박기봉 ( Ki Bong Park ) 대한슬관절학회 2009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1 No.1

        목적: 후방 십자 인대 대치형 Medial Pivot Knee를 사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후 최소 2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환자들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0월부터 2006년 2월까지 PS Advance(R) Medial Pivot Knee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고 최소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48명(70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술전 및 술후 슬관절의 관절운동 범위, 대퇴 경골간 각, Knee Society (KS) 슬관절 점수 및 합병증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슬관절의 관절 운동 범위는 술전 굴곡 구축 6.3°, 후속 굴곡 116.4°에서 술후 굴곡 구축 1.9°, 후속굴곡 120.5°로 호전되었다. 대퇴 경골간 각은 술전 내반 4°에서 술후 외반 5.5°로 호전되었다. 슬관절 점수는 술전 46점에서 술후 87점으로, 슬관절 기능 점수는 술전 37점에서 술후 83점으로 향상되었다. 합병증으로는 치환물 주위 골절 2예와 경골 삽입물의 실패가 1예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후방 십자 인대 대치형 Medial Pivot Knee를 사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최소 2년 추시 결과 만족할 만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o evaluate minimum 2-year follow-up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with a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substituting (PS) Medial Pivot Knee.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 knees in 48 patients, who could be followed up more than 2 years after TKA with PS Advance(R) Medial Pivot Knee from October 2004 to February 2006,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The evaluations included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ange of motion (ROM), tibiofemoral angle, Knee Society (KS) knee and function scor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The ROM increased from preoperative mean flexion contracture of 6.3° and further flexion of 116.4° to a postoperative mean flexion contracture of 1.9° and further flexion of 120.5°. The tibiofemoral angle changed from preoperative varus 4° to postoperative valgus 5.5°. The KS knee and function score improved from 46 and 37 before surgery to 87 and 83 after surgery, respectively (p<0.05). The complications were 2 cases of periprosthetic patellar fracture and 1 case of early failure of the tibial component. Conclusion: The minimum 2 year follow-up results after TKA with PS Medial Pivot Knee were satisfactory.

      • KCI등재

        슬관절 부분치환술을 이용한 자발성 슬관절 골괴사증의 치료

        배지훈(Ji Hoon Bae),임홍철(Hong Chul Lim),천성광(Sung Kwang Chu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3

        목적: 자발성 슬관절 골괴사증으로 진단받고 슬관절 부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9월부터 2005년 3월까지 자발성 슬관절 골괴사증으로 진단받고 슬관절 부분치환술을 시행받은 15명 16 슬관절을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여자가 13명, 남자가 2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64세(55-78세)였다. 임상적으로 미국 슬관절 학회의 임상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고, 방사선학적 분석은 수술 전 슬관절 전후면 방사선 사진을 통하여 발생부위, 병변의 크기, 진행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수술 후 새로운 병변의 여부, 치환물의 해리, 괴사 부위의 함몰, 관절염의 발생 등을 관찰하였다. 결과: 슬관절 점수는 수술 전 평균 52.5점에서 수술 후 24개월에 89.2점으로 증가하였고, 기능 점수는 수술 전 평균 56.0점에서 술 후 24개월에 85.2점으로 증가되었다. 추시 방사선 소견에서 새로운 병변의 발생은 없었고 치환물의 해리나 함몰, 관절염의 발생은 없었다. 결론: 자발성 슬관절 골괴사증에 있어서 슬관절 부분치환술을 이용하여 단기 추시 결과 임상적 및 방사선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of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KA) in patients with spontaneous osteonecrosi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September 2002 and March 2005, 15 patients with 16 knees were treated with UKA for the treatment of spontaneous osteonecrosis. There were thirteen women and two men with a mean age of 64 years old. The clinical assessment was performed using the American Knee Society Score system. The preoperative radiography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tage of the osteonecrotic lesion and the osteoarthritic changes. Postoperatively, the presence of new osteoneerotic lesion, loosening of the implant, subsidence and arthritic changes was recorded. Results: The mean preoperative knee score and the knee function score was improved from 52.5 to 89.2 and 56.0 to 85.2, respectively. There was no new necrotic lesion in the lateral compartment, loosening of the implant, subsidence or arthritic change. Conclusion: UKA in patients with spontaneous osteonecrosis provided satisfactory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in the short to medium term.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원위 대퇴골의 계측 및 여성형 치환물의 적합성

        박형택 ( Hyung Taek Park ),최선진 ( Sun Jin Choi ),박종훈 ( Jong Hoon Park ),하정민 ( Jung Min Ha ) 대한슬관절학회 2008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0 No.2

        목적: 최근 남녀간 대퇴골의 계측학적 차이를 고려한 여성형 슬관절 치환물이 등장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수술 중 원위 대퇴골의 계측과 여성형 슬관절의 적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 중 여자 환자 10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중 대퇴골절제 이후, 절단부의 크기를 6군데로 나누어 측정하였고, 두 가지 삽입물 중 측정치에 가까운 대퇴 슬관절 치환물을 사용하였으며, 같은 크기에 속하는 치환물에서 여성형 슬관절 치환물이 적용된 환자군(1군)과 고식적 슬관절 치환물이 사용된 환자군(2군)의 계측학적 차이와 적합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58예에서 여성형 슬관절 치환물이 적용되었고(58%), 내외측 전방 크기를 제외한 수치에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여성형 슬관절 치환물을 사용한 빈도는 size C에서 33.4%, size D는 57.4%, size E는 70.4%로 나타났고, 5%에서 치환물과 대퇴골 사이에 내외측 불일치가 관찰되었다. 치환물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대퇴골의 전후방 길이에 대한 내외측 길이비가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인에서 작은 대퇴골을 가진 여성은 고식적 치환물이 더 적합하고, 큰 대퇴골을 가진 여성에 있어 기존의 고식적 삽입물보다 여성형 치환물이 형태학적인 적합성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여성형 슬관절은 술 중 대퇴골의 크기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new prosthesis was introduced for female recently considering anthropometric differences of distal femur between male and female. We evaluated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distal femur and compatibility of gender knee prosthesis in total knee replacement. Materials and Methods: The candidates were 100 female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knee replacement. We measured the size of resection site which was divided into 6 areas after resection of femur. According to this result, we made a decision which prosthesis would be better fit. Group 1 was whom gender knee prosthesis was used in and group 2 was whom conventional knee prosthesis was used in. Results: Gender knee prosthesis was used in 58cases out of 100 cases (58%).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surements between group 1 and 2 except anterior flange lengths (p<0.05). Gender knee prosthesis was chosen in 33.4% of size C, in 57.4% of size D, in 70.4% of size E. There were less than 5% discrepancies of width between components and femur. The larger the femur, the lesser the ML/AP ratio. Conclusion: Conventional knee prosthesis is adequate to who has smaller distal femur and gender knee prosthesis is adequate to who has larger distal femur in total knee replacement. It is thought that we may select gender knee prosthesis considering the size of femur intraoperatively.

      • KCI등재

        중등도 이상의 슬개 대퇴 관절염 환자에서 슬개골 비치환 슬관절 전치환술

        손정환 ( Jung Hwan Son ),강명수 ( Myung Soo Kang ) 대한슬관절학회 2006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8 No.2

        목적: 슬개골 치환술의 일반적 적응증 인 중등도 이상의 슬개 대퇴 관절염 환자에게 슬개골 비치환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에서 2004년 3월까지 본원에서 원발성 퇴행성 슬관절염으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 중 수술 전 단순 방사선촬영상 Ahlback의 슬관절 방사선 소견을 기준으로 중등도 이상의 슬개 대퇴 관절염 소견을 보이면서 슬개골 치환술을 시행하지 않고,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일측 슬관절 54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 평가 방법으로는 수술 전과 수술 후 2년에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슬관절 점수 및 Feller의 슬개골 지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슬관절 점수는 수술 전 평균 55.1(35~78)점에서 수술 후 82.8(67~95) 점으로 향상되었으며, Feller의 슬개골 지수는 수술 전 19.1(11~24)에서 수술 후 28.3(18~30)로 호전되었다. 5례(9.3%)에서 경도의 수술 후 전방 슬부 동통이 발생하였으나, 2례에서만 통증 조절을 위해 약물 치료를 시행하였고, 42례(77.8%)에서 계단 난간의 의지 없이 정상적으로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었다. 결론: 슬개골 치환의 강력한 적응증이 되는 중등도 이상의 슬개 대퇴 관절염 환자에게 슬개골 비치환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여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To analyse clinical result of total knee arthroplasty without patellar resurfacing who had moderate to severe patellofemoral arthritis. Materials and Methods: Unilateral knee joints of 54 cases, diagnosed to be moderate to severe patellofemoral arthritis on the basis of Ahlback`s radiographic evaluation score of patella on preoperative plain radiography among the patients undergone the total knee arthroplasty due to primary degenerative osteoarthritis at this hospital between January 2000 and March 2004, were subject to this study. Patellar resurfacing was not performed in any cases. Likewise, the knee score of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and Feller`s patellar score were used in clinical assessment preoperatively, and was used two years after the operation. Results: The knee score of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was increased from 55.1 (35~78) to 82.8 (67~95), and also Feller`s patellar score was increased from 19.1 (11~24) to 28.3 (18~30) after operation. Mild anterior knee pain was observed in 5 cases (9.3%) after the operation, but medication was needed in just 2 cases. The 42 cases (77.8%) could normally go up and down stairs without holding the rail. Conclusion: The total knee arthroplasty without patellar resurfacing, performed for the patients diagnosed with moderate to severe patellofemoral arthritis related with the indication for patellar resurfacing, derived satisfactory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